KR200481695Y1 - 진공배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진공배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695Y1
KR200481695Y1 KR2020150005108U KR20150005108U KR200481695Y1 KR 200481695 Y1 KR200481695 Y1 KR 200481695Y1 KR 2020150005108 U KR2020150005108 U KR 2020150005108U KR 20150005108 U KR20150005108 U KR 20150005108U KR 200481695 Y1 KR200481695 Y1 KR 2004816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s
gasket
groove
bending
bend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1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석
방성환
강상학
Original Assignee
최명석
방성환
강상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명석, 방성환, 강상학 filed Critical 최명석
Priority to KR20201500051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6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6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6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력이 부여되는 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측 배관의 대항되는 밴딩부를 면접 연결하는 과정에서 클램핑력이 부여되는 밴딩부에 대하여 별도의 플랜지를 중첩 형성함으로써, 밴딩부의 보호가 가능하게 하는 등 구조적인 안정성의 확보가 가능하게 하며, 또한, 밴딩부에 대하여 클램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간격으로 그 클램핑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밴딩부에 대하여 균일한 밀착력 확보에 따른 우수한 밀착 조립성의 확보 및 가스켓의 균일한 가압력 확보에 따른 기밀성의 향상을 가져오게 하며, 또한, 가스켓을 형성함에 있어 양측 배관 중 어느 하나의 밴딩부를 감싸는 형태를 가지게 함으로써, 가스켓의 긴밀한 고정력 확보가 가능하게 하며, 이에, 밴딩부의 가압 연결시나 배관의 사용중 외부 요인에 의한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항시 안정된 고정 및 기밀성의 유지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진공배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진공배관 연결구조{Vacuum pipe connecting structure}
본 고안은 진공력이 부여되는 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항되는 배관의 단부에 형성된 밴딩부를 면접 및 클램핑 연결함에 있어, 그 클램핑의 용이함 확보에 따른 향상된 조립성을 가지게 하면서도 우수한 밀착력의 확보에 따른 기밀성의 향상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진공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제작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있어서, 진공 챔버는 주요한 장비 중 하나이다. 이러한 진공 챔버의 배기 라인은 진공 펌프를 통해 상기 진공 챔버의 가스를 배기 수단으로 배기시키기 위해 진공 펌프와 배기 수단 사이에 형성되며, 배기 라인은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시켜 형성되고 서로 맞닿은 파이프의 일단에는 각각 연결 고정을 위한 밴딩부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밴딩부가 형성된 배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배관의 밴딩부가 서로 대항되게 면접된 상태에서 그 밴딩부를 클램프를 이용하여 양측에서 가압력을 부여 및 그 밀착 연결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밴딩부가 밀착되는 과정에서 그 밴딩부의 사이에는 가스켓을 형성함으로 기밀성이 유지되게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연결구조는 클램프를 이용하여 밴딩부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그 밴딩부의 변형 등의 손상을 가져오는 등 구조적으로 안정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클램프를 이용하여 밴딩부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클램프를 일정 간격으로 균일하게 설치함으로 우수한 밀착 결합력의 확보 및 가스켓의 기밀 유지가 가능한 것인데, 이러한 연결구조는 클램프를 설치함에 있어 그 간격의 유지가 용이하지 못하여 균일한 결합력을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가스켓에 전해지는 가압력의 불균형에 따른 기밀성의 저하를 가져오는 등 조립성의 난해함과 기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가스켓 구조는 단순히 밴딩부의 사이에 내재된 형태를 이루는 것인바, 밴딩부의 가압 연결하는 과정이나, 배관의 사용중 하중이 부여시 그 가스켓의 밀림 현상이 발생하여 기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471772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양측 배관의 대항되는 밴딩부를 면접 연결하는 과정에서 클램핑력이 부여되는 밴딩부에 대하여 별도의 플랜지를 중첩 형성함으로써, 밴딩부의 보호가 가능하게 하는 등 구조적인 안정성의 확보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진공배관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밴딩부에 대하여 클램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간격으로 그 클램핑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밴딩부에 대하여 균일한 밀착력 확보에 따른 우수한 밀착 조립성의 확보 및 가스켓의 균일한 가압력 확보에 따른 기밀성의 향상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진공배관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가스켓을 형성함에 있어 양측 배관 중 어느 하나의 밴딩부를 감싸는 형태를 가지게 함으로써, 가스켓의 긴밀한 고정력 확보가 가능하게 하며, 이에, 밴딩부의 가압 연결시나 배관의 사용중 외부 요인에 의한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항시 안정된 고정 및 기밀성의 유지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진공배관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양측 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진공배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단부에 직각 절곡형 밴딩부가 각각 형성된 대항되는 한 쌍의 배관;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어느 하나의 배관을 감싸는 한편, 내주면에 결착홈조가 형성되어 배관의 밴딩부를 씌워 감싸는 신축성 재질의 가스켓;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각각의 배관을 감싸는 한편, 내측면에는 어느 하나의 배관에 형성되는 가스켓 또는 다른 하나의 배관에 형성된 밴딩부가 밀착 수용되도록 안치홈이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클램프 가압홈조가 형성되며, 외주연에 일정 간격을 이루는 3개소 이상의 클램프 걸림부가 형성된 대항되는 한 쌍의 플랜지; 및 양측이 각각의 플랜지에 형성된 클램프 가압홈조에 삽입되는 한편, 양측 밴딩부를 서로 당기는 가압력에 의해 양측 배관의 연결 고정력을 부여하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 설치되는 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 진공배관 연결구조는, 배관의 밴딩부에 대하여 외측면에 각각 플랜지가 면접 형성된 상태에서 클램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클램핑시 가압력이 부여되는 과정에서 밴딩부의 보호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밴딩부의 구조적인 안정성의 확보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클램프가 면접되는 플랜지에 대하여 일정간격으로 클램프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바, 클램프의 일정간격으로의 정확한 위치 확보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밴딩부에 대하여 균일한 가압력 확보 및 가스켓에 대하여 균일한 밀착력이 확보되는 등 우수한 조립성의 확보 및 기밀성의 향상을 가져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밴딩부에 가스켓을 설치시 결착홈조을 통해 밴딩부의 둘레를 결착 설치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가스켓의 긴밀한 고졍력의 확보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클램프를 이용한 밴딩부의 가압시나 배관의 사용중 외부요인으로 인한 연결부에 하중이 작용시 가스켓의 밀림이 방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진공배관 연결구조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진공배관 연결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진공배관 연결구조를 나타낸 결합상태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진공배관 연결구조를 나타낸 가스켓 요부도.
도 5는 본 고안 진공배관 연결구조를 나타낸 플랜지 제1 실시예도.
도 6은 본 고안 진공배관 연결구조를 나타낸 플랜지 제2 실시예도.
도 7은 본 고안 진공배관 연결구조를 나타낸 플랜지 제3 실시예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진공배관 연결구조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진공배관 연결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진공배관 연결구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진공배관 연결구조(1)는, 한 쌍의 배관(100)(100')과, 가스켓(200)과, 한 쌍의 플랜지(300)(300')와, 클램프(4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관(100)(100')은, 통상의 진공 챔버의 배기라인을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배관(100)(100')이 연결되어 구성되며, 양측 대항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그 단부가 서로 면접 열결되게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배관(100)(100')은, 그 대항되는 단부면에 대하여 절곡 형성되는 밴딩부(110)(110')가 형성된 것으로, 그 밴딩부(110)(110')를 통해 양측 배관(100)(100')을 조립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가스켓(200)은, 양측 연결되는 각각의 배관(100)(100')에 형성된 밴딩부(110)(110')의 사이에 내재되어 배관(100)(100')의 기밀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먼저, 그 중앙이 배관(100)(100')의 외경을 갖는 관통홀(110)이 형성되어 어느 하나의 배관(100) 일단부로부터 끼워져 감싸질 수 있게 구성된다.
이때, 가스켓(200)은, 신축성을 가지는 합성고무 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이피디엠(EDPM: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재질로 제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이피디엠(EPDM)은 ethylene propylene과 디엔계 모노머의 3원 공중합체로 고무질 특성을 한층높여 유연성은 물론 점착성이 뛰어나며, 어느 고무보다도 밀도가 높고, 유황 등을 가황하여 내오존성,내후성,내열성을 증가시켜 쉽게 노화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가스켓(200)에는 관통홀(210)의 내주면에 결착홈조(220)가 형성된 것으로, 그 결착홈조(220)를 통해 어느 하나의 배관(100)에 형성된 밴딩부(110)를 씌워 결착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착홈조(220)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밴딩부(110)의 외측면(도면중 밴딩부의 대항 반대면)에 밀착되도록 지지부(2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부(221)의 외둘레로부터는 밴딩부(110)의 외둘레를 감싸며 밀착되어 밴딩부(110)를 결착하는 결착부(222)가 형성된 것으로, 그 결착부(222)의 내주면은 밴딩부(110)의 외둘레의 직경과 동일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결착부(222)의 단부에는 밴딩부(110)의 내측면(도면중 밴딩부 대항면)을 감싸며 밀착되어 그 밴딩부(110)를 구속하는 구속부(223)가 형성된다.
즉, 결착홈조(220)는, 상기 지지부(221)와, 결착부(222)와 구속부(223)가 단면상 "ㄷ"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 것인바, 이들의 사이에서 홈 형태를 이루게 구성되어 밴딩부(110)를 결착하게된다.
한편, 가스켓(200)에는, 지지부(221)의 외측면(도면중 결착홈조 외측)에 대하여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신축홈(224)이 더 형성된 것으로, 이때, 신축홈(224)은 지지부(221)의 두께보다 얇은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 것인바, 가스켓(200)을 밴딩부(110)를 씌우는 과정에서 그 신축력이 부여되어 원활한 결착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가스켓(200)에는, 구속부(223)의 내측면(도면상 결착홈조측) 중앙에 결착홈조(220) 측으로 만곡한 곡률 형태를 이루며 융출 형성되는 융출부(225)가 형성된 것으로, 그 융출부(225)에 의해 밴딩부(110)를 결착시 탄력 결합이 가능하며, 하기하는 클램핑시 밴딩부(110)에 대하여 밀착력 증대에 따른 결합력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가스켓(200)에는, 구속부(223)의 외측면(도면중 결착홈조 외측)에 2열 이상의 탄력 돌출조(226)(226')가 돌출 형성된 것으로, 그 탄력 돌출조(226)(226')의 사이에는 진공 발생홈(227)이 형성되며, 또한, 탄력 돌출조(226)(226')는 상기 융출부(225)와 동일 수평상을 이루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탄력 돌출조(226)(226') 및 진공 발생홈(227)은, 하기하는 클램핑에 의해 양측 배관(100)(100')의 밴딩부(110)(110')에 가압력이 부여시 그 탄력 돌출조(226)(226')가 가스켓(200)이 결합된 배관(100)의 반대 배관(100')에 형성된 밴딩부(110')의 내측면에 탄력 가압되어 그 밀착력이 증대되는 한편, 그 탄력 돌출조(226)(226')의 밀착력에 의해 진공 발생홈(227)에는 진공력이 부여되어 그 진공력에 의해 기밀성이 향상되게 된다.
상기 한 쌍의 플랜지(300)(300')는, 금속 또는 함성수지 재질로 양측 대항되는 한 상으로 구성되며, 양측 연결되는 각각의 배관(100)(100')에 형성된 밴딩부(110)(110')에 밀착 형성되어 하기하는 클램핑시 밴딩부(110)(110')의 보호 및 가압력의 증대가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먼저, 그 중앙이 각각의 배관(100)(100')의 외경을 갖는 관통홀(310)이 형성되어 배관(100)(100')의 일단부로부터 끼워져 감싸질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플랜지(300)(300')에는, 그 내측면(도면중 밴딩부의 대항면)에 상기 어느 하나의 배관(100)의 밴딩부(110)에 형성되는 가스켓(200) 또는 다른 하나의 배관(100')에 형성된 밴딩부(110')가 밀착 수용되도록 안치홈(320)이 형성되어 가스켓(200) 또는 밴딩부(110')가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플랜지(300)(300')에는, 그 외측면(도면중 밴딩부의 대항 반대면)에 하기하는 클램프(400)가 결합되는 원형홈 형태의 클램프 가압홈조(330)가 형성된 것으로, 그 클램프 가압홈조(330)를 통해 안정된 클램핑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클램프 가압홈조(330)는, 상기 가스켓(200)의 구속부(223) 내측면 및 외측면에 형성된 융출부(225) 및 탄력 돌출조(226)(226')와 동일 수평상을 이루게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으로, 이는, 플랜지(300)(300')에 가압력이 부여시 그 가압력이 다른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융출부(225) 및 탄력 돌출조(226)(226')에 집중되어 그 융출부(225)를 통한 밴딩부(110)와의 결합력 증대 및 탄력 돌출조(226)(226')를 통해 반대면의 밴딩부(110')와의 밀착력이 증대되게 된다.
그리고, 각각의 플랜지(300)(300')에는, 그 외주연에 원호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3개소 이상의 클램프 걸림부(340)가 형성된 것으로, 그 클램프 걸림부(340)를 통해 하기하는 클램프(400)의 일정 간격으로의 정확한 설치가 가능하게 되며, 이에, 클램프(400)을 이용하여 양측 배관(100)(100')의 밴딩부(110)(110')에 가압력을 부여시 밴딩부(110)(110')의 전체면에 균일한 가압력의 부여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클램프 걸림부(340)를 구성함에 있어,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먼저, 제1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5를 참조하여 각각의 플랜지(300)(300') 외주면에 함몰 형성되는 홈 형태를 이루는 둘레 걸림홈(341)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둘레 걸림홈(341)은 가스켓(200)의 내측면과 외측면 측으로 개방된 형태를 이루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실시예를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각각의 플랜지(300)(300') 외측면이 따내어지는 홈 형태를 이루는 측면 걸림홈(342)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측면 걸림홈(342)은 상기 클램프 가압홈조(330)와 연통되는 형태를 이루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실시예를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각각의 플랜지(300)(300') 외주면에 함몰 형성되는 홈 형태를 이루는 둘레 걸림홈(341)과, 각각의 플랜지(300)(300') 외측면이 따내어지는 홈 형태를 이루는 측면 걸림홈(342)을 동시에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둘레 걸림홈(341)과 측면 걸림홈(342)은 단면상 "ㄱ" 형태로 연결되는 한 조를 이루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클램프 걸림부(340)는, 하기하는 클램프(400)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함에 있어, 클램프(400)들 간의 정확한 간격 유지 및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클램프(400)는, 양측 배관(100)(100')을 연결함에 있어, 각각의 배관(100)(100')의 대항면에 형성된 밴딩부(110)(110')를 서로 당겨 그 밴딩부(110)(110') 가압력 부여 및 가스켓(200)의 밀찰력을 부여하는 한편, 양측 배관(100)(100')의 연결 고정력을 부여하게 되는 것으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 설치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클램프(400)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본 고안에서는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고, 일예로, 조임볼트(410)에 나사 체결되어 서로 반대 방향의 이동력을 가지며 대항면에 각가 가압돌기(421)가 각각 형성된 양측 한 쌍을 가압부재(420)(420')를 이루는 통상의 더블 클로 클램프(Double Claw Clamp)면 가능할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진공배관 연결구조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먼저, 어느 하나의 배관(100)에 형성된 밴딩부(110)에는 가스켓(200)이 결합되는 것으로, 가스켓(200)은 관통홀(210)을 통해 배관(100)을 감싸는 한편, 결착홈조(220)를 통해 밴딩부(110)를 씌워 감싸면 된다.
이후, 각각의 배관(100)(100')에는 플랜지(300)(300')가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각각의 플랜지(300)(300')는 관통홀(310)을 통해 배관(100)(100')을 감싸는 한편, 그 내측면에 형성된 안치홈(320)을 통해 어느 하나의 밴딩부(110)에 형성된 가스켓(200)이 밀착 수용 및 다른 하나의 밴딩부(110')가 밀착 수용되게 설치하면 된다.
이후, 각각의 플랜지(300)(300')를 서로 당겨 가압력을 부여하는 클램프(400)를 설치하여 양측 배관(100)(100')을 서로 연결하되, 이때, 클램프(400)는 양측 한 쌍의 가압부재(420)(420')의 대항면에 형성된 각각의 가압돌기(421)가 각각의 플랜지(300)(300')의 외측면에 형성된 클램프 가압홈조(330)에 삽입 및 가압부재(420)(420')는 클램프 걸림부(340)에 안치되게 설치하면 된다.
즉, 클램프(400)를 설치함에 있어, 클램프(400)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 설치되는 것인바, 그 가압부재(420)(420')를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각각의 클램프 걸림부(340)에 걸려 설치하게 됨으로, 클램프(400)의 신속하면서도 일정 간격으로의 정확한 위치의 확보가 가능하게 되는 등 클램프(400)의 설치가 매우 용이하며, 하기하는 클램프(400)의 조임 작동시 클램프(4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클램프(400)의 양측 가압부재(420)(420')를 당겨 양측 밴딩부(110)(110')에 가압력을 부여하되, 이는 클램프(400)의 조임볼트(410)를 조임으로 양측 가압부재(420)(420')가 서로 당겨져 플랜지(300)(300')에 가압력이 부여되어 밴딩부(110)(110')를 서로 가압 밀착하게 되는 것이며, 이에 밴딩부(110)(110')의 사이에 형성되는 가스켓(200)과 밴딩부(110)(110')의 가압 밀착력 부여에 따른 기밀성이 부여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이 클램프(40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가압부재(420)(420')는 플랜지(300)(300')에 형성된 클램프 걸림부(340)에 걸려 설치된 상태를 이루는 것인바, 가압부재(420)(420')의 조임 과정에서 가압부재(420)(420')의 밀림이나 비틀림 현상을 예방할 수 있으며, 이에 가압돌기(421)를 통해 밴딩부(110)(110')에 대하여 균일하면서도 안정된 가압력의 부여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각각의 가압부재(420)(420') 대항면에 형성된 가압돌기(421)를 통해 가압력이 부여되는 과정에서 그 가압돌기(421)는 가스켓(200)의 융출부(225) 및 탄력 돌출조(226)(226')를 집중 가압하는 것인바, 이때, 융출부(225)를 통해 가스켓(200)이 결합된 밴딩부(110)와의 밀착력 향상에 따른 결합력이 증대되게 되는 것이며, 또한, 탄력 돌출조(226)(226')에 의해 반대편의 밴딩부(110')의 내측면에 탄력 밀착력이 증대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탄력 돌출조(226)(226')를 통한 밴딩부(110')에 밀착력이 부여되는 과정에서 그 탄력 돌출조(226)(226')의 사이에 형성된 진공 발생홈(227)에는 진공력이 부여되는 것인바, 배관(100)(100')의 기밀성이 현격히 향상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진공배관 연결구조는 양측 배관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신속한 연결 작업의 수행이 가능하여 우수한 조립성을 가질 수 있으며, 특히 면접 연결되는 밴딩부에 대하여 전체면에 균일한 가압력이 부여되는 것인바 우수한 결합력의 확보 및 가스켓에 대한 밀착력 증대에 따른 우수한 기밀성의 확보가 가능하게 되는 등 배관의 안정된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100,100' : 배관 110,110' : 밴딩부
200 : 가스켓 210 : 관통홀
220 : 결착홈조 221 : 지지부
222 : 결착부 223 : 구속부
224 : 신축홈 225 : 융출부
226,226' : 탄력 돌출조 227 : 진공 발생홈
300,300' : 플랜지 310 : 관통홀
320 : 안치홈 330 : 클램프 가압홈조
340 : 클램프 걸림부 341 : 둘레 걸림홈
342 : 측면 걸림홈 400 : 클램프
410 : 조임볼트 420 ,420' : 가압부재
421 : 가압돌기

Claims (5)

  1. 단부에 직각 절곡형 밴딩부(110)(110')가 각각 형성된 대항되는 한 쌍의 배관(100)(100'); 중앙에 관통홀(210)이 형성되어 어느 하나의 배관(100)을 감싸는 한편, 내주면에 결착홈조(220)가 형성되어 배관(100)의 밴딩부(110)를 씌워 감싸는 신축성 재질의 가스켓(200); 중앙에 관통홀(310)이 형성되어 각각의 배관(100)(100')을 감싸는 한편, 내측면에는 어느 하나의 배관(100)에 형성되는 가스켓(200) 또는 다른 하나의 배관(100')에 형성된 밴딩부(110')가 밀착 수용되도록 안치홈(320)이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클램프 가압홈조(330)가 형성되며, 외주연에 일정 간격을 이루는 3개소 이상의 클램프 걸림부(340)가 형성된 대항되는 한 쌍의 플랜지(300)(300'); 및 양측이 각각의 플랜지(300)(300')에 형성된 클램프 가압홈조(330)에 삽입되는 한편, 양측 밴딩부(110)(110')를 서로 당기는 가압력에 의해 양측 배관(100)(100')의 연결 고정력을 부여하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 설치되는 클램프(400); 를 포함하는 진공배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가스켓(200)은,
    밴딩부(110)의 외측면에 밀착 지지되는 지지부(221)와, 밴딩부(110)의 외둘레를 감싸는 결착부(222)와, 밴딩부(110)의 내측면을 감싸는 구속부(223)를 통해 결착홈조(220)가 형성 및 밴딩부(110)를 감싸게 구성하되,
    지지부(221)의 외측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신축홈(224)이 형성되고,
    구속부(223)의 내측면에는 중앙이 만곡한 곡률을 이루며 융출 형성된 융출부(225)가 형성되며,
    구속부(223)의 외측면에는 상기 융출부(225)와 동일 수평상을 이루는 2열 이상의 탄력 돌출조(226)(226')가 형성 및 그 탄력 돌출조(226)(226')의 사이에 진공 발생홈(227)이 형성되게 구성하고,
    신축홈(224)은 지지부(221)의 두께보다 얇은 형태를 이루게 구성되며,
    플랜지(300)(300')에 형성된 클램프 걸림부(340)는,
    플랜지(300)(3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함몰홈 형태의 둘레 걸림홈(341)으로 구성하고,
    플랜지(300)(300')에 형성된 클램프 걸림부(340)는,
    플랜지(300)(300')의 외측면이 따내어지는 형태를 이루며, 상기 클램프 가압홈조(330)와 연통되는 측면 걸림홈(342)으로 구성되며,
    플랜지(300)(300')에 형성된 클램프 걸림부(340)는,
    플랜지(300)(3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함몰홈 형태의 둘레 걸림홈(341); 및
    플랜지(300)(300')의 외측면이 따내어지는 형태를 이루며, 상기 클램프 가압홈조(330)와 연통되는 측면 걸림홈(342)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둘레 걸림홈(341)과 측면 걸림홈(342)이 서로 연결되어 한 조를 이루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배관 연결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50005108U 2015-07-29 2015-07-29 진공배관 연결구조 KR2004816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108U KR200481695Y1 (ko) 2015-07-29 2015-07-29 진공배관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108U KR200481695Y1 (ko) 2015-07-29 2015-07-29 진공배관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695Y1 true KR200481695Y1 (ko) 2016-11-01

Family

ID=57485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108U KR200481695Y1 (ko) 2015-07-29 2015-07-29 진공배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69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2428A1 (ko) * 2021-07-09 2023-01-12 주식회사 제이앤미 배관연결용 풀림방지 클램프
KR20230137053A (ko) 2022-03-21 2023-10-04 윤지훈 진공회전형 cf 플렌지의 이탈방지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814B1 (ko) * 2011-06-10 2012-03-02 유옥수 안전 연결형 상하수도관
KR101159146B1 (ko) * 2012-01-12 2012-06-22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고 밀폐성을 갖는 가스배관장치
KR101471772B1 (ko) 2013-06-21 2014-12-10 주식회사 엠앤이 진공 배관 접속용 본디드 플랜지 오링
KR20150011539A (ko) * 2013-07-23 2015-02-02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반도체 배관 연결구조
KR101539540B1 (ko) * 2014-10-08 2015-07-24 주식회사 비비테크 덕트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814B1 (ko) * 2011-06-10 2012-03-02 유옥수 안전 연결형 상하수도관
KR101159146B1 (ko) * 2012-01-12 2012-06-22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고 밀폐성을 갖는 가스배관장치
KR101471772B1 (ko) 2013-06-21 2014-12-10 주식회사 엠앤이 진공 배관 접속용 본디드 플랜지 오링
KR20150011539A (ko) * 2013-07-23 2015-02-02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반도체 배관 연결구조
KR101539540B1 (ko) * 2014-10-08 2015-07-24 주식회사 비비테크 덕트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2428A1 (ko) * 2021-07-09 2023-01-12 주식회사 제이앤미 배관연결용 풀림방지 클램프
KR20230137053A (ko) 2022-03-21 2023-10-04 윤지훈 진공회전형 cf 플렌지의 이탈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7396B1 (ko) 진공 배관용 플렌지 구조
KR20160030880A (ko) 아치형 강성 리브들을 갖는 설치부
KR101508659B1 (ko) 배관용 조인트 장치
KR20130112714A (ko) 밀폐 조립체 및 개구에 밀폐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밀폐방법
TW201730470A (zh) 轉接頭之連接器
US7722092B2 (en) Pipe joint device by flange
KR200481695Y1 (ko) 진공배관 연결구조
KR101408807B1 (ko) 진공배관용 주름관 및 이와 파이프의 결합구조체
KR20210131531A (ko) 개량된 커플링장치
KR200474790Y1 (ko) 파이프 연결구
KR101021968B1 (ko) 분할 플랜지형 비용접 관 이음매
RU160908U1 (ru) Соединение фланцево-хомутовое
KR20120038745A (ko) 합성수지관 연결 장치
KR102314781B1 (ko) 배관 실링 장치
KR20150011539A (ko) 반도체 배관 연결구조
US9765911B2 (en) Soil pipe coupler
KR102054436B1 (ko) 배관용 조인트
KR100925867B1 (ko) 파형강관의 연결장치
JP2012225500A (ja) 配管フランジ接続構造
KR20150090770A (ko) 플랜지관 이음용 클램프 장치
KR101469151B1 (ko) 원푸싱 배관결합체
KR101827315B1 (ko) 관 연결용 개스킷
KR101856509B1 (ko) 배관 연결부 밀봉 장치
KR101736681B1 (ko) 파이프 연결밸브
KR102017890B1 (ko) 유동식 패스트 조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