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7042B1 - 파이프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7042B1
KR101187042B1 KR1020120057635A KR20120057635A KR101187042B1 KR 101187042 B1 KR101187042 B1 KR 101187042B1 KR 1020120057635 A KR1020120057635 A KR 1020120057635A KR 20120057635 A KR20120057635 A KR 20120057635A KR 101187042 B1 KR101187042 B1 KR 101187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ion
connecting member
pipe connecting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승운
문선
김도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피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피이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피이엠
Priority to KR1020120057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0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14Flanged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는, 제 1 합성수지 파이프와 결합되는 제 1 연결 파이프와 제 1 연결 파이프의 일단에 구비되는 연결 헤드를 포함하는 제 1 파이프 연결체, 제 2 합성수지 파이프와 결합되는 제 2 연결 파이프와 제 2 연결 파이프의 일단에 마련되는 패킹부를 포함하는 제 2 파이프 연결체, 제 2 파이프 연결체에 삽입되는 금속 파이프, 제 2 파이프 연결체의 패킹부가 제 1 파이프 연결체의 걸림턱 측으로 가압되도록 제 1 파이프 연결체와 제 2 파이프 연결체를 결합하는 커플링 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는 제 2 파이프 연결체에 금속으로 이루어진 금속 파이프를 삽입함으로써, 제 1 파이프 연결체와 제 2 파이프 연결체의 결합부위 강도를 높일 수 있고 제 1 파이프 연결체와 제 2 파이프 연결체를 고강도 결합력으로 결합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장치{Device for connecting pipe}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의 합성수지 파이프를 고강도 결합력으로 결합함으로써 파이프 연결부위 및 배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은 일반 가정집에서 각종 산업현장의 산업설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설의 급수 라인이나 급유 라인으로 이용된다. 이러한 배관은 유체의 공급지에서 수요지를 연결하는 다수의 파이프로 이루어진다.
배관을 구성하는 다수의 파이프는 각종 파이프 연결수단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파이프와 파이프의 사이에는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밸브가 설치되기도 한다. 실제 배관공사의 현장에서는 일정 길이의 파이프를 순차적으로 매설하면서, 각각의 파이프 하나 하나를 파이프 연결수단으로 연결하여 배관을 완성하게 된다.
최근 상수 공급용 배관에 있어서 금속 유해물질의 검출 허용치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수 공급용 배관에서 납이나 카드뮴 등의 금속 유해물질에 대한 허용 기준치가 낮아지면서, 금속 파이프의 사용이 제약을 받고 있다. 특히, 지금까지 금속 파이프의 주재료로 사용되어 왔던 동(황동) 재질의 경우, 규제가 강화되면서 더 이상 사용이 불가능한 현실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스테인리스 스틸 등 유해물질의 용출이 덜 되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파이프를 이용하여 배관을 구성하는 방법이 제시된 바 있으나, 이 경우 제조의 어려움과 더불어 경제성을 만족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금속 파이프의 또 다른 대안으로 합성수지 재질의 파이프가 주목받고 있다. 합성수지 파이프는 유해물질의 용출이 없고, 성형이 비교적 용이하며,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합성수지 파이프는 용접 등 금속 파이프의 연결에 이용하던 연결 방법을 적용하여 연결할 수 없고, 금속 파이프의 연결에 이용하던 종래 직선형의 소켓이나, 엘보우, T형 조인트 등의 연결기구를 사용하여 연결할 수 없다. 따라서, 합성수지 파이프로 배관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구조의 파이프 연결장치가 필요하다.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30241호(2003. 10.06 등록)에는 두 개의 합성수지 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는 2단 파이프 형상의 결합부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파이프 결합부재는 플라스틱 파이프의 일단에 삽입 결합되는 관압착부와 다른 플라스틱 파이프의 일단이 삽입 결합되는 관삽입부를 갖는다. 관압착부는 플라스틱 파이프의 제조 시 플라스틱 파이프가 냉각되기 전에 플라스틱 파이프의 일단에 압입되어 플라스틱 파이프의 열수축에 의해 플라스틱 파이프에 압착 결합된다. 다른 플라스틱 파이프는 관삽입부에 그 일단이 삽입되고, 관삽입부와 이에 삽입된 플라스틱 파이프의 사이에는 패킹링이 개재된다.
그런데 상술한 것과 같은 종래 파이프 결합부재는 플라스틱 파이프 제조 과정 중에 플라스틱 파이프에 결합해야 하므로, 이를 이용하는 경우 플라스틱 파이프의 제조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더욱이 종래 파이프 결합부재는 플라스틱 파이프와 압착 결합되는 것이어서 결합력이 약하다. 따라서, 배관을 따라 유동하는 유체가 고압일 경우나 지중에서의 압력 등에 의해 파이프 연결부위에 고하중이 가해지면 파이프 연결부위가 파손되고 유체가 누출될 위험이 크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두 개의 합성수지 파이프를 고강도 결합력으로 결합함으로써 파이프 연결부위 및 배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는, 제 1 합성수지 파이프와 결합되는 제 1 연결 파이프와 상기 제 1 연결 파이프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연결 파이프의 내경보다 큰 직경의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 내에 상기 수용홈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걸림턱을 갖는 연결 헤드를 포함하는 제 1 파이프 연결체, 상기 제 2 합성수지 파이프와 결합되는 제 2 연결 파이프와 상기 제 2 연결 파이프의 일단에 상기 제 2 연결 파이프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마련되고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과 대면하는 패킹부를 포함하는 제 2 파이프 연결체, 상기 제 2 파이프 연결체에 삽입되는 금속 파이프, 상기 제 2 파이프 연결체의 패킹부가 상기 제 1 파이프 연결체의 걸림턱 측으로 가압되도록 상기 제 1 파이프 연결체와 상기 제 2 파이프 연결체를 결합하는 커플링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금속 파이프는 상기 제 2 파이프 연결체의 제 2 연결 파이프에 내주면에 밀착되는 파이프부와, 상기 파이프부의 일단에 상기 파이프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 2 파이프 연결체의 패킹부와 상기 제 1 파이프 연결체의 걸림턱 사이에 놓이는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파이프 연결체의 걸림턱에는 링 형상의 삽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금속 파이프의 플랜지부에는 상기 제 1 파이프 연결체의 걸림턱과 상기 금속 파이프의 플랜지부 사이의 밀폐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링 형상의 가압 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파이프 연결체의 걸림턱은 상기 제 1 연결 파이프 쪽에 가까이 배치되는 제 1 밀착면과, 상기 제 1 밀착면보다 상기 제 1 연결 파이프로부터 멀리 배치되고 상기 제 1 밀착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제 2 밀착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파이프 연결체의 패킹부는 상기 제 1 밀착면에 대면하는 제 1 밀착부와, 상기 제 2 밀착면에 대면하도록 상기 제 1 밀착부의 외부 둘레에 배치되는 제 2 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 기구는, 상기 제 2 파이프 연결체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제 2 파이프 연결체에 결합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제 2 파이프 연결체의 패킹부를 상기 제 1 파이프 연결체의 걸림턱 쪽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부의 일면에 상기 관통구멍 둘레에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가압 리브를 갖는 클램프와, 상기 연결 헤드의 상기 수용홈 둘레에 마련되는 복수의 결합구멍과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관통구멍 둘레에 마련되는 복수의 삽입구멍에 동시에 삽입되어 상기 플랜지부를 상기 연결 헤드에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는 복수의 고정 림으로 분리될 수 있고, 상기 고정 림은 상기 삽입구멍을 구비하는 원호 형상의 림 몸체와 상기 림 몸체에 일체로 구비된 원호형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림 몸체는 복수가 상기 제 2 파이프 연결체의 제 2 연결 파이프 외주면에 차례로 배치되어 상기 플랜지부를 구성하고, 상기 원호형 리브는 복수가 상기 제 2 연결 파이프 외주면에 차례로 배치되어 상기 가압 리브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연결 헤드의 결합구멍 및 상기 클램프의 삽입구멍보다 큰 헤드와, 상기 헤드의 일단에 결합되고 복수의 수톱니가 길이 방향으로 마련된 고정축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헤드의 결합구멍 또는 상기 클램프의 삽입구멍에는 상기 고정축의 수톱니와 맞물릴 수 있는 복수의 암톱니가 마련될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연결 헤드의 결합구멍 및 상기 클램프의 삽입구멍보다 큰 헤드와, 상기 헤드의 일단에 결합되고 복수의 수톱니가 길이 방향으로 마련된 고정축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헤드의 단부 또는 상기 클램프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축의 수톱니와 맞물릴 수 있는 복수의 암톱니가 마련된 복수의 탄성압착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의 가압 리브에 의해 밀려 상기 제 2 파이프 연결체의 패킹부에 압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파이프 연결체의 연결 헤드와 상기 제 2 파이프 연결체의 제 2 연결 파이프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탄력성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탄성 몸체와, 상기 탄성 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압축성 기체를 수용하는 기체실과, 상기 탄성 몸체에 돌출되도록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제 2 파이프 연결체의 제 2 연결 파이프 외주면에 밀착되는 복수의 주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의 가압 리브에 의해 밀려 상기 제 2 파이프 연결체의 패킹부에 압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파이프 연결체의 연결 헤드와 상기 제 2 파이프 연결체의 제 2 연결 파이프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탄력성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탄성 몸체와, 상기 제 2 연결 파이프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탄성 몸체에 돌출되도록 일체로 구비되되 상기 탄성 몸체에서 상기 제 2 연결 파이프 쪽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복수의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는 제 1 합성수지 파이프가 결합된 제 1 파이프 연결체에 제 2 합성수지 파이프가 결합된 제 2 파이프 연결체를 부분적으로 삽입하고 이들을 커플링 기구로 결합하여 제 1 합성수지 파이프와 제 2 합성수지 파이프를 연결하고, 제 2 파이프 연결체에 금속으로 이루어진 금속 파이프를 삽입함으로써, 제 1 파이프 연결체와 제 2 파이프 연결체의 결합부위 강도를 높일 수 있고 제 1 파이프 연결체와 제 2 파이프 연결체를 고강도 결합력으로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합성수지 파이프와 제 2 합성수지 파이프를 이들 사이에서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배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두 개의 합성수지 파이프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두 개의 합성수지 파이프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두 개의 합성수지 파이프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두 개의 합성수지 파이프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두 개의 합성수지 파이프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파이프 연결장치에 구비된 실링부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두 개의 합성수지 파이프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두 개의 합성수지 파이프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100)는 배관을 구성하는 두 개의 합성수지 파이프(10)(2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두 개의 합성수지 파이프(10)(20) 중 제 1 합성수지 파이프(10)와 결합되는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와, 제 2 합성수지 파이프(20)와 결합되는 제 2 파이프 연결체(120)와, 제 2 파이프 연결체(120)에 삽입되는 금속 파이프(125) 및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와 제 2 파이프 연결체(120)를 결합하기 위한 커플링 기구(13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파이프 연결체(110)(120)는 이와 결합되는 합성수지 파이프(10)(20)와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융착 등 다양한 방법으로 합성수지 파이프(10)(20)와 결합된다.
제 1 파이프 연결체(110)는 일측 끝단이 합성수지 파이프(10)의 끝단과 결합되는 제 1 연결 파이프(111)와, 제 1 연결 파이프(111)의 타측 끝단에 마련되는 연결 헤드(112)를 포함한다. 제 1 연결 파이프(111)는 제 1 합성수지 파이프(10)와 같은 외경 및 내경을 갖는다. 연결 헤드(112)의 내부에는 수용홈(113)과 걸림턱(114)이 마련된다. 수용홈(113)은 제 1 연결 파이프(111)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고, 걸림턱(114)은 제 1 연결 파이프(111)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배치되도록 수용홈(113) 내에 마련된다.
연결 헤드(112)의 외측 둘레에는 복수의 결합구멍(115)이 마련된다. 이들 결합구멍(115)은 후술할 커플링 기구(130)의 고정부재(136)를 삽입하기 위한 것으로 수용홈(113) 둘레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연결 헤드(112)의 결합구멍(115)이 마련된 부분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보강부(116)가 마련된다. 보강부(116)는 연결 헤드(112)의 면적을 확장시켜 연결 헤드(112)에 결합구멍(115)이 형성될 수 있는 충분한 면적이 확보되도록 함으로써, 결합구멍(115) 형성에 따른 연결 헤드(112)의 강도 저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 2 파이프 연결체(120)는 일측 끝단이 합성수지 파이프(20)의 끝단과 결합되는 제 2 연결 파이프(121)와, 제 2 연결 파이프(121)의 타측 끝단에 마련되는 패킹부(122)를 포함한다. 패킹부(122)는 제 2 연결 파이프(121)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고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의 수용홈(113)으로 삽입되어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의 걸림턱(114)과 대면한다. 패킹부(122)의 외경 크기는 수용홈(113)의 내경 크기에 대응하여 패킹부(122)가 수용홈(113)에 삽입될 때 패킹부(122)의 외주면이 연결 헤드(112)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이렇게 패킹부(122)가 금속 파이프(125)의 플랜지부(127)를 사이에 두고 연결 헤드(112)의 걸림턱(114)과 밀착되고, 패킹부(122)의 외주면이 연결 헤드(112)의 내주면에 밀착됨으로써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와 제 2 파이프 연결체(120)는 틈새 발생 없이 단단히 결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금속 파이프(125)는 제 2 파이프 연결체(120)에 삽입된다. 금속 파이프(125)는 스테인리스 스틸 등 합성수지 파이프(10)(20)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에 부식되지 않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금속 파이프(125)는 제 2 파이프 연결체(120)의 제 2 연결 파이프(121) 내주면에 압착되는 파이프부(126)와, 파이프부(126)의 일단에 파이프부(126)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구비되어 제 2 파이프 연결체(120)의 패킹부(122) 끝단을 덮는 플랜지부(127)를 포함한다.
금속 파이프(125)가 삽입된 상태에서 제 2 파이프 연결체(120)가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와 결합될 때 금속 파이프(125)의 플랜지부(127)는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의 걸림턱(114)과 제 2 파이프 연결체(120)의 패킹부(122) 사이에 놓인다. 금속 파이프(125)는 제 2 파이프 연결체(120)에 삽입되어 제 2 파이프 연결체(120)의 강도뿐만 아니라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와 제 2 파이프 연결체(120)의 결합부위 강도를 높여주고,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와 제 2 파이프 연결체(120)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준다.
금속 파이프(125)의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금속 파이프(125)는 플랜지부(127)가 생략된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커플링 기구(130)는 제 2 파이프 연결체(120)의 패킹부(122)가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의 걸림턱(114) 측으로 가압되도록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와 제 2 파이프 연결체(120)를 결합한다. 커플링 기구(130)는 제 2 파이프 연결체(120)에 결합되는 클램프(131)와, 클램프(131)를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부재(136)를 포함한다. 클램프(131)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클램프(131)는 제 2 파이프 연결체(120)가 삽입되는 관통구멍(133)을 갖는 플랜지부(132)와, 플랜지부(132)의 일면에 관통구멍(133) 둘레에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가압 리브(135)를 포함한다. 플랜지부(132)에는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에 구비된 복수의 결합구멍(115)에 대응하는 복수의 삽입구멍(134)이 관통구멍(133)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가압 리브(135)는 그 내부로 제 2 파이프 연결체(1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경 크기가 제 2 파이프 연결체(120)의 외경 크기보다 큰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클램프(131)가 복수의 고정부재(136)에 의해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에 결합될 때 가압 리브(135)는 제 2 파이프 연결체(120)의 패킹부(122)를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의 걸림턱(114) 쪽으로 가압하며, 이에 의해 금속 파이프(125)의 플랜지부(127)가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의 걸림턱(114)에 강하게 밀착된다.
고정부재(136)는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의 결합구멍(115)과 클램프(131)의 삽입구멍(134)에 동시에 삽입됨으로써 클램프(131)를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에 고정한다. 고정부재(136)의 끝단에는 수나사부(137)가 구비된다. 고정부재(136)가 클램프(131)의 삽입구멍(134)을 통해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의 결합구멍(115)으로 삽입될 때 고정부재(136)의 끝단은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의 연결 헤드(112) 외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연결 헤드(112)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부재(136)의 끝단에 너트(138)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클램프(131)는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부재(136)와 너트(138)에 의해 클램프(131)가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에 단단히 고정되면 클램프(131)의 가압 리브(135)가 제 2 파이프 연결체(120)의 패킹부(122)를 걸림턱(114) 쪽으로 가압함으로써 패킹부(122)를 덮은 금속 파이프(125)의 플랜지부(127)가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의 걸림턱(114)에 단단히 밀착된다.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의 패킹부(122)와 클램프(131)의 가압 리브(135) 사이에는 실링부재(140)가 개재되고, 실링부재(140)에 의해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와 제 2 파이프 연결체(120)의 밀폐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부재(136)는 도시된 것과 같은 볼트 구조 이외에 핀이나 리벳 등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의 결합구멍(115) 및 클램프(131)의 삽입구멍(134)에 동시에 삽입되어 클램프(131)를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에 고정할 수 있는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두 개의 합성수지 파이프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200)는 제 1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100)와 비교하여 제 1 파이프 연결체(210)와, 제 2 파이프 연결체(220) 및 금속 파이프(230)의 구조 일부가 변경된 것이다. 커플링 기구(130)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100)의 커플링 기구(130)와 같다.
제 1 파이프 연결체(210)는 일측 끝단이 합성수지 파이프(10)의 끝단과 결합되는 제 1 연결 파이프(211)와, 제 1 연결 파이프(211)의 타측 끝단에 마련되는 연결 헤드(212)를 포함한다. 연결 헤드(212)의 내측에 마련된 수용홈(213)에는 걸림턱(214)이 구비된다. 걸림턱(214)은 다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 1 밀착면(215)과 제 2 밀착면(216)을 포함한다. 제 1 밀착면(215)은 제 1 연결 파이프(211) 쪽에 가까이 배치되고, 제 2 밀착면(216)은 제 1 밀착면(215)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고 제 1 밀착면(215)보다 연결 헤드(212)의 입구 쪽에 가까이 배치된다.
제 2 파이프 연결체(220)는 일측 끝단이 합성수지 파이프(20)의 끝단과 결합되는 제 2 연결 파이프(221)와, 제 2 연결 파이프(221)의 타측 끝단에 마련되는 패킹부(222)를 포함한다. 패킹부(222)는 제 1 파이프 연결체(210)의 제 1 밀착면(215)에 대면하는 제 1 밀착부(223)와 제 2 밀착면(216)에 대면하는 제 2 밀착부(224)를 포함한다. 제 1 밀착부(223)의 외주면 둘레에는 결합홈(225)이 구비되고, 이 결합홈(225)에 실링부재(240)가 결합된다.
제 2 파이프 연결체(220)의 패킹부(222)가 연결 헤드(212)의 수용홈(213)에 삽입될 때 패킹부(222)의 제 1 밀착부(223)는 금속 파이프(230)를 사이에 두고 제 1 파이프 연결체(210)의 제 1 밀착면(215) 쪽으로 가압되고, 제 2 밀착부(224)는 제 2 밀착면(216)에 밀착된다. 또한 제 1 밀착부(223) 둘레에 배치된 실링부재(240) 및 제 2 연결 파이프(221) 외주면에 배치된 실링부재(245)가 제 1 파이프 연결체(210)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금속 파이프(230)는 제 2 파이프 연결체(220)의 제 2 연결 파이프(221)에 내주면에 압착되는 파이프부(231)와, 파이프부(231)의 일단에 파이프부(231)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구비되어 제 2 파이프 연결체(220)의 제 1 밀착부(223)를 덮는 플랜지부(232)를 포함한다. 플랜지부(232)의 일면에는 가압 돌출부(233)가 구비된다. 가압 돌출부(233)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 1 파이프 연결체(210)의 제 1 밀착면(215)에 마련된 삽입홈(217)에 삽입됨으로써 제 1 파이프 연결체(210)와 금속 파이프(230) 사이의 밀폐력을 높여준다. 도시된 것과 같이, 가압 돌출부(233)를 외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줄어들어 끝단이 뾰족한 형상으로 하면 제 1 밀착면(215)에 별도의 삽입홈(217)을 형성하지 않아도, 금속 파이프(230)를 제 1 밀착면(215) 쪽으로 가압할 때 가압 돌출부(233)가 제 1 밀착면(215)을 파고들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200)는 제 1 밀착부(223)가 제 1 밀착면(215)에 밀착됨과 동시에 제 2 밀착부(224)가 제 2 밀착면(216)에 밀착됨으로써, 제 1 파이프 연결체(210)와 제 2 파이프 연결체(220)가 이중으로 실링된다. 따라서, 제 1 파이프 연결체(210)와 제 2 파이프 연결체(220) 사이의 밀폐성이 우수하다. 더욱이 금속 파이프(230)의 가압 돌출부(233)가 제 1 파이프 연결체(210)에 압착됨으로써 제 1 파이프 연결체(210)와 제 2 파이프 연결체(220) 사이의 밀폐성은 더욱 향상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두 개의 합성수지 파이프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300)는 대부분의 구성이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100)와 같은 것으로, 제 1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100)와 비교하여 커플링 기구(310)의 구조가 다른 것이다. 커플링 기구(310)는 제 2 파이프 연결체(120)에 결합되는 클램프(311)와, 클램프(311)를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부재(136) 및 복수의 너트(138)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고정부재(136)와 너트(138)는 상술한 것과 같다.
클램프(311)는 한 쌍의 고정 림(312)을 포함한다. 고정 림(312)은 제 2 파이프 연결체(120)의 제 2 연결 파이프(121) 외주면에 밀착되는 내측면(314)을 갖는 원호 형상의 림 몸체(313)와, 림 몸체(313)의 일단에 원호 형상으로 구비되는 원호형 리브(318)를 포함한다. 림 몸체(313)에는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의 결합구멍(115)에 대응하는 복수의 삽입구멍(315)이 구비된다. 림 몸체(313)의 양쪽 끝단에는 삽입구멍(315)이 마련된 결합부(316)가 구비되고, 림 몸체(313)의 삽입구멍(315)이 형성된 부분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보강부(317)가 마련된다. 보강부(317)는 림 몸체(313)의 면적을 확장시켜 림 몸체(313)에 삽입구멍(315)이 형성되는 충분한 면적이 확보되도록 함으로써 삽입구멍(315) 형성에 따른 림 몸체(313)의 강도 저하를 방지한다.
두 개의 고정 림(312)이 결합될 때, 하나의 고정 림(312)에 구비된 결합부(316)는 다른 고정 림(312)에 구비된 결합부(316)와 겹쳐진다. 이때 겹쳐지는 두 개의 결합부(316) 각각에 구비된 삽입구멍(315)은 일치된다. 이렇게 두 개의 고정 림(312)은 끝단과 끝단이 연결되도록 결합됨으로써 하나의 클램프(310)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두 개의 고정 림(312)으로 구성되는 클램프(310)는 도 1에 도시된 클램프(131)와 비교하여 각 고정 림(312)에 구비된 두 개의 림 몸체(313)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플랜지부를 구성하고, 두 개의 원호형 리브(318)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가압 리브를 구성하게 된다.
금속 파이프(125)가 삽입된 제 2 파이프 연결체(120)의 패킹부(122)를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의 수용홈(113)에 삽입한 후, 한 쌍의 고정 림(312)을 제 2 파이프 연결체(120)의 제 2 연결 파이프(121) 둘레에 배치한 후 복수의 고정부재(136)와 너트(138)로 이들 고정 림(312)을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에 고정하면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와 제 2 파이프 연결체(120)를 단단히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고정 림(312)의 원호형 리브(318)는 제 2 파이프 연결체(120)의 외주면에 결합된 실링부재(140)를 압착하면서 제 2 파이프 연결체(120)의 패킹부(122)를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의 걸림턱(114) 쪽으로 가압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300)는 클램프(311)가 분리될 수 있는 두 개의 고정 림(312)으로 이루어져 클램프(311)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다. 즉, 두 개의 고정 림(312) 각각을 하나씩 제 2 파이프 연결체(120)의 외주면에 결합하여 클램프(311)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 2 파이프 연결체(120)에 합성수지 파이프(20)를 결합하기 전이나 제 2 파이프 연결체(120)를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에 가결합하기 전에 먼저 클램프(311)를 제 2 파이프 연결체(120)에 결합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클램프(311)를 분리하기 위해 제 2 파이프 연결체(120)를 합성수지 파이프(20)나 제 1 파이프 연결체(110)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없다. 클램프(311)는 세 개 이상의 고정 림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두 개의 합성수지 파이프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400)는 대부분의 구성이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100)와 같은 것으로, 제 1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100)와 비교하여 제 1 파이프 연결체(410) 및 커플링 기구(420)의 구조 일부가 변경된 것이다.
제 1 파이프 연결체(410)는 일측 끝단이 합성수지 파이프(10)의 끝단과 결합되는 제 1 연결 파이프(411)와, 제 1 연결 파이프(411)의 타측 끝단에 마련되는 연결 헤드(412)를 포함한다. 연결 헤드(412)의 내부에는 수용홈(413)과 걸림턱(414)이 마련되고, 연결 헤드(412)의 외측 둘레에는 복수의 결합구멍(415)이 마련된다.
커플링 기구(420)는 제 2 파이프 연결체(120)에 결합되는 클램프(421)와, 클램프(421)를 제 1 파이프 연결체(410)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부재(430)를 포함한다. 클램프(421)는 제 2 파이프 연결체(120)가 삽입되는 관통구멍(423)을 갖는 플랜지부(422)와, 플랜지부(422)의 일면에 관통구멍(423) 둘레에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가압 리브(425)를 포함한다. 플랜지부(422)에는 제 1 파이프 연결체(410)에 구비된 복수의 결합구멍(415)에 대응하는 복수의 삽입구멍(424)이 관통구멍(423) 둘레에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제 1 파이프 연결체(410)의 결합구멍(415) 및 클램프(421)의 삽입구멍(424)에는 복수의 암톱니(426)가 구비된다.
고정부재(430)는 제 1 파이프 연결체(410)의 연결 헤드(412)에 마련된 결합구멍(415) 및 클램프(421)의 플랜지부(422)에 마련된 삽입구멍(424)보다 큰 헤드(431)와, 헤드(431)의 일단에 결합된 복수의 고정축(432)을 포함한다. 복수의 고정축(432)은 헤드(431)의 일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각 고정축(432)에는 제 1 파이프 연결체(410)의 암톱니(426) 및 클램프(421)의 암톱니(426)에 대응하는 복수의 수톱니(433)가 길이 방향으로 구비된다.
고정부재(430)는 클램프(421)의 삽입구멍(424)을 통해 제 1 파이프 연결체(410)의 결합구멍(415)에 삽입되는데, 이때 고정부재(430)에 구비된 복수의 고정축(432)은 서로 모아지면서 고정부재(430)는 클램프(421)의 삽입구멍(424)을 통해 제 1 파이프 연결체(410)의 결합구멍(415)에 삽입된다. 고정부재(430)가 클램프(421)의 삽입구멍(424) 및 제 1 파이프 연결체(410)의 결합구멍(415)에 삽입되면, 고정부재(430)의 수톱니(433)는 클램프(421)의 암톱니(426) 및 제 1 파이프 연결체(410)의 암톱니(426)와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고정부재(430)는 클램프(421) 및 제 1 파이프 연결체(41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고 클램프(421)와 제 1 파이프 연결체(410)를 단단히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400)는 고정부재(430)에 너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를 결합할 필요없이, 고정부재(430)를 간단히 클램프(421)의 삽입구멍(424) 및 제 1 파이프 연결체(410)의 결합구멍(415)에 삽입하는 것으로 클램프(421)와 제 1 파이프 연결체(410)를 단단히 결합할 수 있어 제 1 파이프 연결체(410)와 제 2 파이프 연결체(120)의 결합이 용이하다. 도면에는 클램프(421)의 삽입구멍(424) 및 제 1 파이프 연결체(410)의 결합구멍(415) 모두에 암톱니(426)가 구비된 것으로 나타냈으나, 암톱니(426)는 제 1 파이프 연결체(410)의 결합구멍(415)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고정부재(430)가 제 1 파이프 연결체(410)의 결합구멍(415)을 통해 클램프(421)의 삽입구멍(424)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암톱니(426)가 클램프(421)의 삽입구멍(424)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두 개의 합성수지 파이프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500)는 대부분의 구성이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100)와 같은 것으로, 제 1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100)와 비교하여 제 1 파이프 연결체(510) 및 커플링 기구(520)의 구조 일부가 변경된 것이다.
제 1 파이프 연결체(510)는 일측 끝단이 합성수지 파이프(10)의 끝단과 결합되는 제 1 연결 파이프(511)와, 제 1 연결 파이프(511)의 타측 끝단에 마련되는 연결 헤드(512)를 포함한다. 연결 헤드(512)의 내부에는 수용홈(513)과 걸림턱(514)이 마련된다. 연결 헤드(512)의 외측 둘레에는 복수의 결합구멍(515)이 마련된다.
커플링 기구(520)는 제 2 파이프 연결체(120)에 결합되는 클램프(131)와, 클램프(131)를 제 1 파이프 연결체(510)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부재(521)를 포함하는 것으로, 클램프(131)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100)의 클램프(131)와 같은 것이다.
고정부재(521)는 제 1 파이프 연결체(510)의 연결 헤드(512)에 마련된 결합구멍(515) 및 클램프(131)의 플랜지부(132)에 마련된 삽입구멍(134)보다 큰 헤드(522)와, 헤드(522)의 일단에 결합된 고정축(523)을 포함한다. 고정축(523)의 끝단에는 복수의 수톱니(524)가 길이 방향으로 구비된다.
제 1 파이프 연결체(510)의 연결 헤드(512) 일단에는 수톱니(524)가 구비된 고정축(523)의 끝단이 결합되는 톱니 결합부(525)가 구비된다. 톱니 결합부(525)는 제 1 파이프 연결체(510)에 구비된 결합구멍(515)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며, 결합구멍(515)의 둘레에 배치되는 복수의 탄성압착부재(526)를 포함한다. 각 탄성압착부재(526)의 안쪽에는 고정부재(521)의 수톱니(524)에 대응하는 복수의 암톱니(527)가 구비된다.
고정부재(521)를 클램프(131)의 삽입구멍(134)을 통해 제 1 파이프 연결체(510)의 결합구멍(515)으로 삽입할 때, 고정부재(521)의 끝단이 톱니 결합부(525) 내부로 진입하면 탄성압착부재(526)가 고정부재(521)의 끝단에 의해 외측으로 밀리면서 고정부재(521)의 끝단이 톱니 결합부(525)에 완전히 삽입된다. 이때, 고정부재(521)의 수톱니(524)가 톱니 결합부(525)의 암톱니(527)와 맞물리게 되고, 이에 의해 고정부재(521)는 클램프(131) 및 제 1 파이프 연결체(51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고 클램프(131) 및 제 1 파이프 연결체(510)를 단단히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500)는 고정부재(521)에 너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를 결합할 필요없이, 고정부재(521)를 간단히 클램프(131)의 삽입구멍(134) 및 제 1 파이프 연결체(510)의 결합구멍(515)에 삽입하는 것으로 클램프(131)와 제 1 파이프 연결체(510)를 단단히 결합할 수 있어 제 1 파이프 연결체(510)와 제 2 파이프 연결체(120)의 결합이 용이하다. 도면에는 톱니 결합부(525)가 제 1 파이프 연결체(510)에 마련된 것으로 나타냈으나 톱니 결합부(525)는 클램프(131)의 일단부에 고정부재(521)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고정부재(521)는 제 1 파이프 연결체(510)의 결합구멍(515)을 통해 클램프(131)의 삽입구멍(134)으로 삽입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두 개의 합성수지 파이프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파이프 연결장치에 구비된 실링부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600)는 대부분의 구성이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100)와 같은 것으로, 제 1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100)와 비교하여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와 제 2 파이프 연결체(120) 사이의 밀폐성을 높이기 위한 실링부재(610)의 구조가 변형된 것이다. 실링부재(610)는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의 연결 헤드(112)와 제 2 파이프 연결체(120)의 제 2 연결 파이프(121) 사이에 개재되어 커플링 기구(130)가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와 제 2 파이프 연결체(120)를 결합할 때 클램프(131)의 가압 리브(135)에 의해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의 패킹부(122) 쪽으로 가압된다.
실링부재(610)는 제 2 파이프 연결체(120)의 제 2 연결 파이프(121) 둘레를 감쌀 수 있도록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고무나 실리콘 등 탄력성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탄성 몸체(611)와, 탄성 몸체(611)의 내부에 마련되는 기체실(612)과, 탄성 몸체(611)에 돌출되도록 일체로 구비된 복수의 주름부(613)를 포함한다. 기체실(612)은 탄성 몸체(611)의 폭 방향, 즉 탄성 몸체(611)가 가압 리브(135)에 의해 압축되는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고, 기체실(612)에는 공기 등 압축될 수 있는 압축 기체가 채워진다. 그리고 복수의 주름부(613)는 탄성 몸체(611)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 각각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의 연결 헤드(112) 내주면 및 제 2 파이프 연결체(120)의 제 2 연결 파이프(121) 외주면에 각각 밀착된다.
이러한 실링부재(610)는 탄성 몸체(611)의 외주면에 구비된 복수의 주름부(613)가 연결 헤드(112)와의 사이에 복수의 밀착부를 형성하고, 탄성 몸체(611)의 내주면에 구비된 복수의 주름부(613)가 제 2 연결 파이프(121)와의 사이에 복수의 밀착부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실링부재(610)로 복수의 실링부재를 설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와 제 2 파이프 연결체(120) 사이의 밀폐성을 더욱 높여준다.
또한 실링부재(610)는 기체가 채워지는 기체실(612)를 구비함으로써, 폭 방향으로 더욱 큰 압축 변위를 가질 수 있고, 더욱 원활하게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즉, 탄성 몸체(611)의 일단이 패킹부(122)에 밀착된 상태에서 가압 리브(135)가 탄성 몸체(611)의 타단을 패킹부(122) 쪽으로 가압하면 탄성 몸체(611)가 폭 방향으로 압축력을 받게 되는데, 탄성 몸체(611)는 그 중간이 비어 있으므로 더욱 원활하게 수축할 수 있다. 여기에서 폭 방향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가압 리브(135)에 의해 압축되는 방향이다. 탄성 몸체(611)가 수축할 때 기체실(612)의 기체도 압축되면서 기체실(612)의 길이 또한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탄성 몸체(611)에 대한 가압력이 해제되면 탄성 몸체(611) 자체의 탄성 복원력과 함께 기체실(612)의 압축된 기체의 팽창으로 탄성 몸체(611)는 원활하게 팽창할 수 있다.
도 8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겨울철과 같이 기온이 하강하여 합성수지 파이프(10)(20)가 수축하면, 패킹부(122)와 가압 리브(135) 사이가 벌어져 가압 리브(135)의 탄성 몸체(611)에 대한 가압력이 감소하게 된다. 이때 기체실(612)에서 압축되었던 기체가 팽창하고 탄성 몸체(611)가 탄성 복원되면서 탄성 몸체(611)가 폭 방향으로 팽창하면서 탄성 몸체(611)가 패킹부(122) 및 가압 리브(135)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합성수지 파이프(10)(20)가 과도하게 수축하여 패킹부(122)와 가압 리브(135) 사이의 거리가 탄성 몸체(611)의 팽창 전 폭보다 크게 벌어지면 탄성 몸체(611)가 패킹부(122)나 가압 리브(135)에 밀착되지 못할 수도 있지만, 합성수지 파이프(10)(20)가 그 정도로 과도하게 수축되는 경우는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실링부재(610)는 폭 방향 변위량이 일반적인 실링부재에 비해 크므로 합성수지 파이프(10)(20)의 수축량을 고려하여 탄성 몸체(611)의 폭을 충분히 크게 설계하면, 합성수지 파이프(10)(20)가 수축하더라도 패킹부(122) 및 가압 리브(135)와 안정적인 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와 제 2 파이프 연결체(120) 사이를 안정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반면, 도 8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여름철과 같이 기온이 상승하면 합성수지 파이프(10)(20)가 팽창할 수 있다. 이때 패킹부(122)와 가압 리브(135) 사이가 좁아져 실링부재(610)는 폭 방향으로 더욱 큰 가압력을 받게 되고, 탄성 몸체(611)는 더욱 수축하여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와 제 2 파이프 연결체(120) 사이를 안정적으로 밀폐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두 개의 합성수지 파이프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700)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100)와 비교하여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와 제 2 파이프 연결체(120) 사이의 밀폐성을 높이기 위한 실링부재(710)의 구조가 변형된 것이다. 실링부재(710)는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의 연결 헤드(112)와 제 2 파이프 연결체(120)의 제 2 연결 파이프(121) 사이에 개재되어 커플링 기구(130)가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와 제 2 파이프 연결체(120)를 결합할 때 클램프(131)의 가압 리브(135)에 의해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의 패킹부(122) 쪽으로 가압된다.
실링부재(710)는 제 2 파이프 연결체(120)의 제 2 연결 파이프(121) 둘레를 감쌀 수 있도록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고무나 실리콘 등 탄력성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탄성 몸체(711)와, 탄성 몸체(711)에 돌출되도록 일체로 구비된 복수의 날개부(712)를 포함한다. 복수의 날개부(712)는 제 2 연결 파이프(121)의 외주면을 향하도록 탄성 몸체(711)의 내주면에서 돌출되고, 탄성 몸체(711)에서 제 2 연결 파이프(121) 쪽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것과 같이, 날개부(712)가 제 2 연결 파이프(121)의 외주면에 밀착될 때 날개부(712)는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의 걸림턱(114)과 금속 파이프(125)의 플랜지부(127) 사이의 접촉면을 향해 다소 기울어진다.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의 걸림턱(114)과 금속 파이프(125)의 플랜지부(127) 사이의 밀착력이 감소되는 경우 제 1 파이프 연결체(110) 및 제 2 파이프 연결체(120)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가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와 제 2 파이프 연결체(120) 사이의 틈새로 유입될 수 있다. 이렇게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와 제 2 파이프 연결체(120)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는 유체는 패킹부(122)와 가압 리브(135) 사이의 실링부재(710)를 거쳐야만 외부로 누출될 수 있다. 고압의 유체가 실링부재(710)가 있는 패킹부(122)와 가압 리브(135)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면 유체의 압력에 의해 날개부(712)가 가압 리브(135) 쪽으로 가압력을 받게 된다. 이때 제 2 연결 파이프(121)의 외주면에 밀착된 날개부(712)의 끝단은 가압 리브(135) 쪽으로 밀리면서 제 2 연결 파이프(121)의 외주면에 더욱 강하게 밀착되며, 이에 의해 유체의 누출을 막게 된다.
도면에는 날개부(712)가 탄성 몸체(711)의 내주면에만 구비되어 제 2 연결 파이프(121) 외주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날개부(712)는 탄성 몸체(711)의 외주면에도 구비될 수 있다. 탄성 몸체(711)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날개부는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의 연결 헤드(112) 내주면에 밀착됨으로써 제 1 파이프 연결체(110)와 제 2 파이프 연결체(120) 사이의 밀폐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는 제 1 합성수지 파이프가 결합된 제 1 파이프 연결체에 제 2 합성수지 파이프가 결합된 제 2 파이프 연결체를 부분적으로 삽입하고 이들을 커플링 기구로 결합하여 제 1 합성수지 파이프와 제 2 합성수지 파이프를 연결하되, 제 2 파이프 연결체에 금속으로 이루어진 금속 파이프를 삽입함으로써, 제 1 파이프 연결체와 제 2 파이프 연결체의 결합부위 강도를 높일 수 있고 제 1 파이프 연결체와 제 2 파이프 연결체를 고강도 결합력으로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합성수지 파이프와 제 2 합성수지 파이프를 이들 사이에서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배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 700 : 파이프 연결장치
110, 210, 410, 510 : 제 1 파이프 연결체
111, 211, 411, 511 : 제 1 연결 파이프
112, 212, 412, 512 : 연결 헤드 114, 214, 414, 514 : 걸림턱
120, 220 : 제 2 파이프 연결체 121, 221 : 제 2 연결 파이프
122, 222 : 패킹부 125, 230 : 금속 파이프
126, 231 : 파이프부 127, 132, 232 : 플랜지부
130, 310, 420, 520 : 커플링 기구 131, 311, 421 : 클램프
135, 425 : 가압 리브 136, 430, 521 : 고정부재
140, 240, 245, 610, 710 : 실링부재 215, 216 : 제 1, 2 밀착면
223, 224 : 제 1, 2 밀착부 233 : 가압 돌출부
312 : 고정 림 318 : 원호형 리브
433, 524 : 수톱니 426, 527 : 암톱니
525 : 톱니 결합부 526 : 탄성압착부재

Claims (10)

  1. 제 1 합성수지 파이프와 제 2 합성수지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합성수지 파이프와 결합되는 제 1 연결 파이프와, 상기 제 1 연결 파이프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연결 파이프의 내경보다 큰 직경의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 내에 상기 수용홈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걸림턱을 갖는 연결 헤드를 포함하는 제 1 파이프 연결체;
    상기 제 2 합성수지 파이프와 결합되는 제 2 연결 파이프와, 상기 제 2 연결 파이프의 일단에 상기 제 2 연결 파이프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마련되고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과 대면하는 패킹부를 포함하는 제 2 파이프 연결체;
    상기 제 2 파이프 연결체에 삽입되는 금속 파이프; 및
    상기 제 2 파이프 연결체의 패킹부가 상기 제 1 파이프 연결체의 걸림턱 측으로 가압되도록 상기 제 1 파이프 연결체와 상기 제 2 파이프 연결체를 결합하는 커플링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파이프 연결체의 걸림턱에는 링 형상의 삽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금속 파이프의 플랜지부에는 상기 제 1 파이프 연결체의 걸림턱과 상기 금속 파이프의 플랜지부 사이의 밀폐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링 형상의 가압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파이프는 상기 제 2 파이프 연결체의 제 2 연결 파이프에 내주면에 밀착되는 파이프부와, 상기 파이프부의 일단에 상기 파이프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 2 파이프 연결체의 패킹부와 상기 제 1 파이프 연결체의 걸림턱 사이에 놓이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이프 연결체의 걸림턱은 상기 제 1 연결 파이프 쪽에 가까이 배치되는 제 1 밀착면과, 상기 제 1 밀착면보다 상기 제 1 연결 파이프로부터 멀리 배치되고 상기 제 1 밀착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제 2 밀착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파이프 연결체의 패킹부는 상기 제 1 밀착면에 대면하는 제 1 밀착부와, 상기 제 2 밀착면에 대면하도록 상기 제 1 밀착부의 외부 둘레에 배치되는 제 2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기구는,
    상기 제 2 파이프 연결체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제 2 파이프 연결체에 결합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제 2 파이프 연결체의 패킹부를 상기 제 1 파이프 연결체의 걸림턱 쪽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부의 일면에 상기 관통구멍 둘레에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가압 리브를 갖는 클램프와,
    상기 연결 헤드의 상기 수용홈 둘레에 마련되는 복수의 결합구멍과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관통구멍 둘레에 마련되는 복수의 삽입구멍에 동시에 삽입되어 상기 플랜지부를 상기 연결 헤드에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복수의 고정 림으로 분리될 수 있고,
    상기 고정 림은 상기 삽입구멍을 구비하는 원호 형상의 림 몸체와 상기 림 몸체에 일체로 구비된 원호형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림 몸체는 복수가 상기 제 2 파이프 연결체의 제 2 연결 파이프 외주면에 차례로 배치되어 상기 플랜지부를 구성하고, 상기 원호형 리브는 복수가 상기 제 2 연결 파이프 외주면에 차례로 배치되어 상기 가압 리브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연결 헤드의 결합구멍 및 상기 클램프의 삽입구멍보다 큰 헤드와, 상기 헤드의 일단에 결합되고 복수의 수톱니가 길이 방향으로 마련된 고정축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헤드의 결합구멍 또는 상기 클램프의 삽입구멍에는 상기 고정축의 수톱니와 맞물릴 수 있는 복수의 암톱니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연결 헤드의 결합구멍 및 상기 클램프의 삽입구멍보다 큰 헤드와, 상기 헤드의 일단에 결합되고 복수의 수톱니가 길이 방향으로 마련된 고정축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헤드의 단부 또는 상기 클램프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축의 수톱니와 맞물릴 수 있는 복수의 암톱니가 마련된 복수의 탄성압착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가압 리브에 의해 밀려 상기 제 2 파이프 연결체의 패킹부에 압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파이프 연결체의 연결 헤드와 상기 제 2 파이프 연결체의 제 2 연결 파이프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탄력성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탄성 몸체와, 상기 탄성 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압축성 기체를 수용하는 기체실과, 상기 탄성 몸체에 돌출되도록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제 2 파이프 연결체의 제 2 연결 파이프 외주면에 밀착되는 복수의 주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가압 리브에 의해 밀려 상기 제 2 파이프 연결체의 패킹부에 압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파이프 연결체의 연결 헤드와 상기 제 2 파이프 연결체의 제 2 연결 파이프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탄력성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탄성 몸체와, 상기 제 2 연결 파이프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탄성 몸체에 돌출되도록 일체로 구비되되 상기 탄성 몸체에서 상기 제 2 연결 파이프 쪽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복수의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KR1020120057635A 2012-05-30 2012-05-30 파이프 연결장치 KR101187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635A KR101187042B1 (ko) 2012-05-30 2012-05-30 파이프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635A KR101187042B1 (ko) 2012-05-30 2012-05-30 파이프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7042B1 true KR101187042B1 (ko) 2012-09-28

Family

ID=47114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635A KR101187042B1 (ko) 2012-05-30 2012-05-30 파이프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0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6282A (ko) * 2016-07-08 2018-01-1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플라스틱 밀봉 부속품
KR101972968B1 (ko) * 2018-09-13 2019-08-23 주식회사 비비테크 파이프 연결용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930B1 (ko) * 2009-09-28 2012-02-29 현대제철 주식회사 커플링 패킹 삽입용 지그
KR101144277B1 (ko) * 2010-03-19 2012-05-11 주식회사 한국피이엠 파이프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930B1 (ko) * 2009-09-28 2012-02-29 현대제철 주식회사 커플링 패킹 삽입용 지그
KR101144277B1 (ko) * 2010-03-19 2012-05-11 주식회사 한국피이엠 파이프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6282A (ko) * 2016-07-08 2018-01-1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플라스틱 밀봉 부속품
KR101889732B1 (ko) 2016-07-08 2018-08-2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플라스틱 밀봉 부속품
US10378686B2 (en) 2016-07-08 2019-08-13 Hanon Systems Plastic seal fitting
KR101972968B1 (ko) * 2018-09-13 2019-08-23 주식회사 비비테크 파이프 연결용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70692C (en) Polymer pipe joint assembly
CN101563563A (zh) 用于波纹不锈钢管道的快速驱动接头
KR101424730B1 (ko) 호스밴드를 이용한 배관의 부분 보수장치
IL153222A (en) Internal gasket for pipe connector
KR101187042B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100638415B1 (ko) 연결 소켓의 팽창, 수축을 이용한 접속부 수밀구조를 가진나선 파형관
KR20120038745A (ko) 합성수지관 연결 장치
JP2012072910A (ja) 管継手の組立て方法
CN109114322A (zh) 一种管接头
CA2458710C (en) Improved pipe clamp inner seal
KR101181489B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101181488B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100880384B1 (ko) 유체 누설 방지를 위한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KR102000018B1 (ko) 체결파이프 회전방지 록킹구조를 가지는 완전삽입 확인이 용이한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의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시공방법
JP5978129B2 (ja) リテーナ及び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
CN103201550B (zh) 管连接装置
KR100596742B1 (ko) 관 접속구조
JP5719529B2 (ja) ユニオン継手およびユニオン継手のシール構造
KR20090008779A (ko) 나선 파형관 결합구조
KR101856509B1 (ko) 배관 연결부 밀봉 장치
EP2357389B1 (en) Press fitting apparatus having a sealing ring
CN112879701A (zh) 一种热熔式金属环型波纹管(螺旋波纹管)连接方法
KR102146593B1 (ko) 밀봉 요소 및 장치
JP3663511B2 (ja) 管継手のシール構造
KR20130075098A (ko) 나사조임식 이음관용 고무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이음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