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746B1 - 파이프 압착 연결구 - Google Patents

파이프 압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746B1
KR101478746B1 KR20140022662A KR20140022662A KR101478746B1 KR 101478746 B1 KR101478746 B1 KR 101478746B1 KR 20140022662 A KR20140022662 A KR 20140022662A KR 20140022662 A KR20140022662 A KR 20140022662A KR 101478746 B1 KR101478746 B1 KR 101478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pipe
ring
fastening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22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득출
Original Assignee
고득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득출 filed Critical 고득출
Priority to KR20140022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87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6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the wedging action being effected by means of a 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61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a pressure ring being arranged between the clamping ring and the threaded member or the connect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7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adapted for use in socket or sleev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경이 일정범위 이내로 비슷한 다른 종류의 파이프에 대하여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수밀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강관이나 스텐파이프와 같이 강하고 두꺼운 파이프도 용접하거나 나사 가공기계를 사용하여 나사부를 형성하지 않고도 쉽고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이 편리하고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파이프 압착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파이프의 끝단부에 끼워져 상호 나사결합되는 금속재질의 연결소켓 및 체결소켓과, 상기 연결소켓과 체결소켓 사이에 구비되어 연결소켓과 체결소켓의 나사결합시 파이프를 고정함과 동시에 수밀을 유지하는 가압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소켓 일끝단에는 가압경사면을 형성하고, 체결소켓에는 패킹턱이 형성되며, 가압조립체는 상기 체결소켓 내에 위치하여 연결소켓의 가압경사면과 체결소켓의 패킹턱 사이에서 파이프의 바깥둘레면에 끼워져 설치된 구성이다.

Description

파이프 압착 연결구{Connector for Fixing Pipe}
본 발명은 파이프 압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외경이 일정범위 이내에서 차이가 있는 경우에도 견고한 고정 및 수밀(水密) 유지가 가능하고 강관이나 스텐파이프와 같이 강하고 두꺼운 파이프에 대하여도 용접이나 나사 가공을 하지 않고도 쉽고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좁은 공간에서도 편리하고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파이프 압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과 일반상가건물에는 여러 종류의 파이프로 배관되어 있고, 파이프 종류는 예를 들면, 내경(안지름)이 16mm인 파이프는 거의 외경(바깥지름)이 비슷하다. 즉 강관파이프는 외경 22.0mm, BS 강관파이프는 외경 20.7mm, 스텐파이프는 외경 21.7mm, PE파이프는 외경 21.5mm이다. 또한, 내경이 20.0mm인 동파이프와 몰코파이프의 경우 외경이 22.2mm이다. 이와 같이 파이프 종류에 따라, 외경이 동일하거나 0.7~1.5mm의 차이가 난다.
이러한 배관용 파이프는 종류마다 전용의 연결구를 사용하여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파이프 연결구는 파이프가 개발될 때 연결구도 같이 맞춤형으로 개발되기 때문에, 파이프 종류마다 재질의 강도, 파이프 두께 및 외경 치수가 달라서 다른 종류의 파이프에는 사용하기 곤란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파이프 연결용 동링직 쪼인트 연결구는 외경이 같고 두께가 비슷한 몰코 스텐파이프에 사용이 가능 하지만, 외경 치수가 다른 경우는 사용이 곤란하다. 또한 양쪽에 경사면을 가지는 신주(황동) 재질의 패킹을 사용하여 패킹이 강제적으로 파이프 외주면을 파고들어가게 되어 있어 공구(스패너)를 사용하여도 소켓을 회전시키기 힘들어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주택이나 상가 보수시 파이프가 얇거나 재질이 약한 파이프는 절단하여 연결하기 위한 전용의 연결구가 각각 있지만, 두께가 두꺼운 강관 파이프나 스텐파이프를 절단하여 연결하려면 일반 연결구는 맞지 않으며, 마땅한 연결 부속이 없어서 용접을 하거나 끝단부에 나사가공기계로 나사부를 형성하여 연결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나쁘고, 패킹으로만 고정 밀착되는 종래의 드레샤쪼인트는 견고하지 못하고 또 외경이 커서 좁은 공간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나사가공이나 용접작업이 불가능한 경우, 현재는 대부분 드레샤쪼인트를 사용하지만 견고하지 못하여 수압이 높으면 이탈하는 문제가 있고, 클램프 연결구도 스텐재질로 제작되어 비싸며 부피가 크고 구성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종류가 다른 파이프와 연결할 때 외경이 일정범위 이내로 비슷한 경우에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수압이 높아도 빠지지 않는 견고한 연결구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에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110593호(1997.09.30. 등록) "파이프 연결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외경이 일정범위 이내로 비슷한 다른 종류의 파이프에 대하여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수밀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강관이나 스텐파이프와 같이 강하고 두꺼운 파이프도 용접하거나 나사 가공기계를 사용하여 나사부를 형성하지 않고도 쉽고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이 편리하고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파이프 압착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파이프의 끝단부에 끼워져 상호 나사결합되는 금속재질의 연결소켓 및 체결소켓과, 상기 연결소켓과 체결소켓 사이에 구비되어 연결소켓과 체결소켓의 나사결합시 파이프를 고정함과 동시에 수밀을 유지하는 가압조립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소켓은, 바깥둘레면에 체결소켓과 나사결합하기 위한 수나사부와, 다른 배관부속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나사부를 양쪽에 형성하고, 상기 수나사부쪽 끝단면에는 파이프의 삽입방향으로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가압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소켓은, 상기 연결소켓의 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와, 파이프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멍은 암나사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암나사부와 관통구멍 사이에 패킹턱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압조립체는 상기 체결소켓 내에 위치하여 연결소켓의 가압경사면과 체결소켓의 패킹턱 사이에서 파이프의 바깥둘레면에 끼워져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소켓의 가압경사면에 접촉하는 대응 형상의 경사면을 구비하여 상기 연결소켓과 체결소켓의 나사결합시 파이프의 바깥둘레면을 가압하도록 된 제1 금속링; 상기 체결소켓의 패킹턱쪽을 향하는 일측면에 상기 제1 금속링의 경사면과 대칭형상으로 형성한 경사면을 구비하여 상기 연결소켓과 체결소켓의 나사결합시 파이프의 바깥둘레면을 가압하도록 된 제2 금속링; 상기 제1 금속링과 제2 금속링 사이에 개재되어 제1 금속링과 제2 금속링의 사이에서 원활한 상대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와셔링; 상기 제2 금속링의 경사면과 접촉하는 대응 형상의 가압경사면을 구비하여 상기 연결소켓과 체결소켓의 나사결합시 제2 금속링을 파이프의 바깥둘레면쪽으로 가압하는 가압링; 및 상기 가압링과 상기 체결소켓의 패킹턱 사이에 설치되고, 상호 마주하는 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소켓과 체결소켓의 나사결합시 상기 경사면의 접촉에 의해 체결소켓과 파이프 사이에서 밀착하여 수밀을 유지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패킹링으로 이루어진 파이프 압착 연결구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및 제2 금속링에 절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압조립체의 제1 및 제2 금속링은 황동으로 제작하고, 상기 와셔링, 가압링 및 제1 패킹링은 PE수지로 제작하고, 제2 패킹링은 제1 패킹링보다 경도가 낮은 실리콘 재질로 제작한 파이프 압착 연결구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파이프 압착 연결구에 의하면, 연결소켓와 체결소켓의 나사결합시 가압조립체의 제1 및 제2 금속링이 파이프의 바깥둘레면에 강하게 밀착되어 2중으로 파이프를 고정하므로 파이프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제1 및 제2 패킹링이 체결소켓과 파이프 사이에서 강하게 밀착되어 이들 사이의 수밀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파이프가 두꺼운 강관파이프나 스텐파이프를 연결할 때에도 편리하고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어 용접하거나 나사가공기계를 사용해야 하는 종래의 번거로움이 해소되며, 종래의 드레샤쪼인트에 비하여 외경 사이즈가 작아서 좁은 공간에서도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구성이 간단하여 전체 부피와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조립체의 제1 및 제2 금속링과, 제1 및 제2 패킹링이 연결소켓과 체결소켓의 나사결합시 경사면의 밀착에 의해 경사방향으로 이동하여 파이프의 바깥둘레면에 강하게 밀착하는 것이므로,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외경이 일정범위 이내로 차이가 있는 경우에도 파이프의 견고한 고정 및 수밀이 가능하고, 이로써 파이프의 종류나 외경 사이즈별로 다양한 파이프 연결구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조립체의 제1 패킹링은 비교적 단단한 합성수지인 PE수지로 제작하여 강도를 높이고, 제2 패킹링은 상기 제1 패킹링보다 경도가 낮은 경도 70의 실리콘 재질로 제작하여 강도는 낮지만 높은 수축률을 가지도록 한 것이므로, 제1 패킹링에 의해서는 강도를 유지하면서 수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제2 패킹링은 큰 수축량에 의해 겨울철 온도 하강에 따른 패킹의 수축현상시 제2 패킹링의 수축이 어느 정도 느슨해져도 체결소켓과 파이프 사이의 밀착력을 유지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동링직 쪼인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압착 연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압착 연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파이프 압착 연결구로 몰코 스텐파이프(외경 22.0mm)를 연결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파이프 압착 연결구로 PE파이프(외경 21.5mm)를 연결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파이프 압착 연결구로 BS 강관파이프(외경 20.7mm)를 연결한 상태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압착 연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파이프 연결과정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파이프 압착 연결구는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P)의 끝단부에 끼워 고정되는 금속재질의 연결소켓(10)와 체결소켓(20)을 구비한다.
연결소켓(1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바깥둘레면에 체결소켓(20)과 나사결합하기 위한 수나사부(11)와, 연결소켓(10)을 다른 배관 부속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나사부(12)를 형성하며, 수나사부(11)와 연결나사부(12) 사이에는 공구(스패너)를 사용하여 연결소켓(1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육각형상부(13)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연결소켓(10)의 수나사부(11)쪽 끝단면에는 파이프(P) 삽입방향으로 직경을 점점 작게 형성한 가압경사면(14)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연결나사부(12)는 도면에 수나사로 도시하고 있지만, 암나사로 형성하여도 좋다.
체결소켓(20)은 바깥둘레면에 공구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육각형상부(21)가 형성되고, 안둘레면에는 상기 연결소켓(10)의 수나사부(11)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22)와, 파이프(P)가 관통하는 관통구멍(23)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멍(23)은 암나사부(22)의 직경보다 작게 설정되어 암나사부(22)와 관통구멍(23) 사이에 패킹턱(24)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체결소켓(20)의 암나사부(22) 내에 위치하여 파이프(P)의 바깥둘레면에 끼워지는 가압조립체(30)가 체결소켓(20)의 패킹턱(24)과 연결소켓(10)의 가압경사면(14) 사이에서 밀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가압조립체(30)는, 연결소켓(10)와 체결소켓(20)의 나사결합시, 파이프(P)를 견고하게 고정함과 동시에 수밀을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소켓(10)의 가압경사면(14)쪽으로부터 제1 금속링(31), 와셔링(33), 제2 금속링(32), 가압링(34), 한 쌍의 제1 및 패킹링(35,36)을 차례로 배치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제1 금속링(31)은 예를 들면 황동(신주)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연결소켓(10)의 가압경사면(14)과 접촉하는 면은 연결소켓(10)의 가압경사면(14)과 대응하는 형상의 경사면(31a)으로 형성하고, 반대쪽면은 연결소켓(10)과 체결소켓(20)의 나사결합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직각면(31b)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연결소켓(10)과 체결소켓(20)의 나사결합시 연결소켓(10)의 가압경사면(14)과 제1 금속링(31)의 경사면(31a)이 밀착하는 것에 의해 제1 금속링(31)의 안둘레면이 파이프(P)의 바깥둘레면에 강하게 밀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제1 금속링(31)은 일측을 절단하여 절결부(31c)를 형성함으로써 제1 금속링(31)의 내경 축소가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금속링(32)은, 제1 금속링(31)과 마찬가지로 황동(신주)로 제작되고, 경사면(32a), 직각면(32b) 및 절결부(32c)를 가지는 동일한 구성이며, 상기 경사면(32a)이 체결소켓(20)의 패킹턱(24) 쪽을 향하도록, 즉 제1 금속링(31)과는 와셔링(33)을 중심으로 하는 대칭이 되도록 배치한 구성이다.
와셔링(33)은, 상기 제1 금속링(31)과 제2 금속링(32) 사이에 배치되어 연결소켓(10)과 체결소켓(20)의 나사결합시 제1 금속링(31)이 제2 금속링(32)과 직접 밀착되지 않도록 한 것으로, PE수지로 제작되어 제1 금속링(31)과 제2 금속링(32) 사이에서 미끄럼 접촉을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연결소켓(10)과 체결소켓(20)의 나사결합시 밀착력을 받는 제1 금속링(31)과 제2 금속링(32) 사이에서 원활한 상대회전을 유도함으로써 연결소켓(10) 또는 체결소켓(20)을 회전시키는 나사결합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어서 가압링(34)은, 예를 들면 PE수지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 금속링(32)의 경사면(32a)과 접촉하는 대응형상의 가압경사면(34a)을 형성하고, 반대쪽면에는 연결소켓(10)과 체결소켓(20)의 나사결합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직각면(34b)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연결소켓(10)과 체결소켓(20)의 나사결합시 가압경사면(34a)이 제2 금속링(32)의 경사면(32a)과 밀착하여 가압하는 것에 의해 제2 금속링(32)이 파이프(P)쪽으로 이동하여 파이프(P)의 바깥둘레면에 제2 금속링(32)의 안둘레면이 강하게 밀착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제1 및 제2 패킹링(35,36)은, 상기 가압링(34)과 연결소켓(10)의 패킹턱(24) 사이에 배치되어 연결소켓(10)과 체결소켓(20)의 나사결합시 체결소켓(20)과 파이프(P) 사이에 밀착하여 파이프(P)의 수밀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제1 및 제2 패킹링(35,36)은 상호 마주하는 면에 경사면(35a,36a)을 형성하고, 경사면(35a,36a)의 반대쪽은 연결소켓(10)과 체결소켓(20)의 나사결합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직각면(35b,36b)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소켓(10)과 체결소켓(20)의 나사결합시 제1 패킹링(35)과 제2 패킹링(36)이 밀착하고, 양쪽 경사면(35a,36a)에 의해 제1 패킹링(35)은 파이프(P)쪽으로 이동하여 안둘레면이 파이프(P)의 바깥둘레면에 밀착하여 수밀을 유지하고, 제2 패킹링(36)은 체결소켓(20)쪽으로 이동하여 바깥둘레면이 체결소켓(20)의 안둘레면에 밀착하여 수밀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제2 패킹링(36)의 경도는 제1 패킹링(35)보다 낮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를 위해 예를 들면 제1 패킹링(35)은 경질의 PE수지로 제작하고, 제2 패킹링(36)은 경질의 PE수지보다 비교적 경도가 낮은 경도 70의 실리콘 재질로 제작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압착 연결구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P)의 바깥둘레에 체결소켓(20), 가압조립체(30), 연결소켓(10)을 차례로 끼우게 되면, 가압조립체(30)는 체결소켓(20)의 암나사부(22) 내의 패킹턱(24)과 연결소켓(10)의 가압경사면(14)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연결소켓(10)의 수나사부(11)와 체결소켓(20)의 암나사부(22)를 나사결합하게 되면, 도 3b에서와 같이 연결소켓(10)의 가압경사면(14)과 체결소켓(20)의 패킹턱(24) 사이가 좁혀지면서, 이들 사이에 있는 가압조립체(30)를 양쪽에서 가압하여 밀착시키게 된다.
따라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금속링(31)의 경사면(31a)과 연결소켓(10)의 가압경사면(14)에 의해 제1 금속링(31)의 경사면(31a) 끝단이 연결소켓(10)과 파이프(P) 사이의 틈새로 파고들면서 가압력을 파이프(P)쪽으로 작용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제1 금속링(31)의 안둘레면이 파이프(P)의 바깥둘레면에 강하게 밀착되어 파이프(P)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금속링(32)의 경사면(32a)과 가압링(34)의 경사면(34a)에 의해 제2 금속링(32)의 가압력도 파이프(P)쪽으로 작용하게 되고, 이로써 제2 금속링(32)의 안둘레면이 파이프(P)의 바깥둘레면에 강하게 밀착되어 파이프(P)를 견고하게 고정하게 되므로, 제1 금속링(31)과 제2 금속링(32)에 의해 2중으로 파이프(P)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체결소켓(20)의 패킹턱(24)과 가압링(34) 사이에 배치된 제1 및 제2 패킹링(35,36)에 의해서는 양쪽 경사면(35a,36a)이 상호 접촉하도록 배치된 것이므로, 연결소켓(10)와 체결소켓(20)의 나사결합시 양쪽 경사면(35a,36a)이 접촉하여 가압 되고, 이로 인해 제1 패킹링(35)의 안둘레면은 파이프(P)쪽으로 밀착되고, 제2 패킹링(36)의 바깥둘레면은 체결소켓(20)쪽으로 밀착하게 되어 체결소켓(20)과 파이프(P) 사이의 수밀을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1 및 제2 패킹링(35,36)의 밀착력에 의해 파이프(P)의 고정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제2 금속링(32)과 밀착하는 가압링(34)도 제2 금속링(32)의 경사면(32a)과 가압링(34)의 가압경사면(34a)에 의해 체결소켓(20)쪽으로 이동하여 바깥둘레면이 체결소켓(20) 안둘레면과 밀착하게 되므로, 가압링(34)에 의해서도 파이프(P)의 견고한 고정 및 수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이프(P)에 본 발명의 파이프 압착 연결구가 견고하게 고정되고, 연결소켓(10)에 형성한 연결나사부(12)는 규격화된 다른 배관부속과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규격화된 치수를 가지는 것으로, 이 연결나사부(12)를 이용하여 파이프(P)를 다른 배관부품과 연결할 수 있고, 이로써 파이프(P)에 나사가공 기계로 나사부를 형성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파이프(P)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경이 허용범위 내에서 차이가 있는 파이프(P)에 대하여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4는 외경이 22.0mm인 몰코 스탠파이프(P)의 연결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외경이 21.5mm인 PE파이프(P)의 연결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외경이 20.7mm인 BS 강관파이프(P)의 연결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P)의 외경이 작을수록 연결소켓(10)과 체결소켓(20)을 더욱 조여 나사결합하게 되면, 가압조립체(30)의 각 부품들이 더욱 밀착하면서, 제1 금속링(31)은 가압경사면(14)과 경사면(31a)에 의해 파이프(P)쪽으로 이동하고, 제2 금속링(32)는 경사면(32a)과 경사면(34a)에 의해 파이프(P)쪽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한 쌍의 제1 및 제2 패킹링(35,36)은 마주하는 양쪽 경사면(35a,36a)에 의해 제1 패킹링(35)은 파이프(P)쪽으로 이동하고, 제2 패킹링(36)은 체결소켓(20)쪽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이므로, 파이프(P)의 외경이 어느 정도 범위 내에서 차이가 있어도, 제1 및 제2 금속링(31,32)의 안둘레면이 파이프(P)의 바깥둘레면과 강하게 밀착하여 견고한 고정을 이룰 수 있고, 제1 및 제2 패킹링(35,36)이 체결소켓(20)과 파이프(P)에 강하게 밀착되어 이들 사이의 수밀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압조립체(30)의 제1 및 제2 금속링(31,32)은 황동으로 제작하고, 가압링(34), 제1 및 제2 패킹링(35,36)은 합성수지로 제작함으로써 비교적 강도가 높은 제1 및 제2 금속링(32)으로 파이프(P)의 견고한 고정을 수행하고, 금속에 비하여 수축율이 좋은 합성수지재의 가압링(34), 제1 및 제2 패킹링(35,36)으로 수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제1 패킹링(35)은 합성수지 중에서 경도가 비교적 높은 PE수지로 제작하고, 제2 패킹링(36)은 PE수지보다 경도가 낮고 수축률이 더 높은 실리콘 재질로 제작함으로써 특히 겨울철에 패킹에 수축현상이 발생하여도 수축률이 더 높은 실리콘 재질의 제2 패킹링(36)에 의해 수밀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연결소켓 11 : 수나사부
12 : 연결나사부 14 : 가압경사면
20 : 체결소켓 22 : 암나사부
23 : 관통구멍 24 : 패킹턱
30 : 가압조립체 31,32 : 제1 및 제2 금속링
33 : 와셔링 34 : 가압링
35,36 : 제1 및 제2 패킹링 P : 파이프

Claims (3)

  1. 파이프(P)의 끝단부에 끼워져 상호 나사결합되는 금속재질의 연결소켓(10) 및 체결소켓(20)과, 상기 연결소켓(10)과 체결소켓(20) 사이에 구비되어 연결소켓(10)과 체결소켓(20)의 나사결합시 파이프(P)를 고정함과 동시에 수밀을 유지하는 가압조립체(3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소켓(10)은, 바깥둘레면에 체결소켓(20)과 나사결합하기 위한 수나사부(11)와, 다른 배관부속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나사부(12)를 양쪽에 형성하고, 상기 수나사부(11)쪽 끝단면에는 파이프(P)의 삽입방향으로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가압경사면(14)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소켓(20)은, 상기 연결소켓(10)의 수나사부(11)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22)와, 파이프(P)가 관통하는 관통구멍(23)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멍(23)은 암나사부(2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암나사부(22)와 관통구멍(23) 사이에 패킹턱(24)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가압조립체(30)는, 상기 체결소켓(20) 내에 위치하여 연결소켓(10)의 가압경사면(14)과 체결소켓(20)의 패킹턱(24) 사이에서 파이프(P)의 바깥둘레면에 끼워져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소켓(10)의 가압경사면(14)에 접촉하는 대응 형상의 경사면(31a)을 구비하여 상기 연결소켓(10)과 체결소켓(20)의 나사결합시 파이프(P)의 바깥둘레면을 가압하도록 된 제1 금속링(31);
    상기 체결소켓(20)의 패킹턱(24)쪽을 향하는 일측면에 상기 제1 금속링(31)의 경사면(31a)과 대칭형상으로 형성한 경사면(32a)을 구비하여 상기 연결소켓(10)과 체결소켓(20)의 나사결합시 파이프(P)의 바깥둘레면을 가압하도록 된 제2 금속링(32);
    상기 제1 금속링(31)과 제2 금속링(32) 사이에 개재되어 제1 금속링(31)과 제2 금속링(32) 사이에서 원활한 상대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와셔링(33);
    상기 제2 금속링(32)의 경사면(32a)과 접촉하는 대응 형상의 가압경사면(34a)을 구비하여 상기 연결소켓(10)과 체결소켓(20)의 나사결합시 제2 금속링(32)을 파이프(P)의 바깥둘레면쪽으로 가압하는 가압링(34); 및
    상기 가압링(34)과 상기 체결소켓(20)의 패킹턱(24) 사이에 설치되고, 상호 마주하는 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경사면(35a,36a)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소켓(10)과 체결소켓(20)의 나사결합시 상기 경사면(35a,36a)의 접촉에 의해 체결소켓(20)과 파이프(P) 사이에서 밀착하여 수밀을 유지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패킹링(35,3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압착 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조립체(30)의 제1 및 제2 금속링(31,32)은 황동으로 제작하고, 상기 와셔링(33), 가압링(34) 및 제1 패킹링(35)은 PE수지로 제작하고, 제2 패킹링(36)은 제1 패킹링(35)보다 경도가 낮은 실리콘 재질로 제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압착 연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금속링(31,32)에 절결부(31c,32c)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압착 연결구.
KR20140022662A 2014-02-26 2014-02-26 파이프 압착 연결구 KR101478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2662A KR101478746B1 (ko) 2014-02-26 2014-02-26 파이프 압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2662A KR101478746B1 (ko) 2014-02-26 2014-02-26 파이프 압착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8746B1 true KR101478746B1 (ko) 2015-01-02

Family

ID=52587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22662A KR101478746B1 (ko) 2014-02-26 2014-02-26 파이프 압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874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66732A (zh) * 2019-09-23 2019-12-13 黄子颢 一种管道连接件
KR102099210B1 (ko) * 2019-01-30 2020-04-09 이예순 분체 배출 장치
KR102117915B1 (ko) 2019-10-07 2020-06-02 이홍구 신축배관과의 연결이 용이한 멀티관 구조
CN114453842A (zh) * 2022-02-22 2022-05-10 泉州旺腾厨卫有限公司 一种管接头用的螺帽的加工工艺
US11655923B2 (en) * 2018-12-27 2023-05-23 Junsungenc Co., Ltd. Pipe coupl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680U (ja) * 1993-07-26 1995-02-14 株式会社イナックス ソケットへのサプライ管固定構造
JP2007032632A (ja) 2005-07-25 2007-02-08 Arai Pump Mfg Co Ltd 管継手
KR100820939B1 (ko) 2006-09-29 2008-04-11 김용진 기밀용 패킹수단과 이를 구비한 관로 연결장치
KR20120093484A (ko) * 2011-02-15 2012-08-23 김용태 관이음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680U (ja) * 1993-07-26 1995-02-14 株式会社イナックス ソケットへのサプライ管固定構造
JP2007032632A (ja) 2005-07-25 2007-02-08 Arai Pump Mfg Co Ltd 管継手
KR100820939B1 (ko) 2006-09-29 2008-04-11 김용진 기밀용 패킹수단과 이를 구비한 관로 연결장치
KR20120093484A (ko) * 2011-02-15 2012-08-23 김용태 관이음 조립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55923B2 (en) * 2018-12-27 2023-05-23 Junsungenc Co., Ltd. Pipe coupler
KR102099210B1 (ko) * 2019-01-30 2020-04-09 이예순 분체 배출 장치
CN110566732A (zh) * 2019-09-23 2019-12-13 黄子颢 一种管道连接件
KR102117915B1 (ko) 2019-10-07 2020-06-02 이홍구 신축배관과의 연결이 용이한 멀티관 구조
CN114453842A (zh) * 2022-02-22 2022-05-10 泉州旺腾厨卫有限公司 一种管接头用的螺帽的加工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8746B1 (ko) 파이프 압착 연결구
KR101891081B1 (ko) 관 연결 조립체
KR101295175B1 (ko) 상수관의 연결 구조
KR200474790Y1 (ko) 파이프 연결구
KR20170001915U (ko) 개선된 가스배관용 클램프
KR101563167B1 (ko) 파이프 압착연결구
NO321053B1 (no) Rorkobling
KR101756526B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20140044347A (ko) 자가 밀착식 배관 연결구
KR20170047881A (ko) 파이프 연결구
KR101628997B1 (ko)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
KR101942774B1 (ko) 난방용 분배기 원터치 연결구
TWM493166U (zh) 電纜固定裝置
KR101372931B1 (ko) 파이프 피팅 장치
KR20130006665A (ko) 반경 방향 밀봉부를 갖는 위생 클램프 커플러
KR101131815B1 (ko)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KR100943787B1 (ko) 슬라이드 조임식 파이프 연결 소켓
JPH0689866B2 (ja) 管継手
KR20180064939A (ko) 주름관파이프 연결구
KR200387796Y1 (ko) 합성수지관 이음쇠
KR200492191Y1 (ko) 조임표시형 배관연결장치
KR200375822Y1 (ko) 패킹의 가압수단이 개선된 배관의 이음쇠
KR100558189B1 (ko) 관 연결 장치
KR200444985Y1 (ko) 삽입식 이중수밀 이음관
KR20090079511A (ko) 배관용 커플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