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0190B1 - 새들 분수전의 피이관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새들 분수전의 피이관 연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80190B1 KR102380190B1 KR1020210051300A KR20210051300A KR102380190B1 KR 102380190 B1 KR102380190 B1 KR 102380190B1 KR 1020210051300 A KR1020210051300 A KR 1020210051300A KR 20210051300 A KR20210051300 A KR 20210051300A KR 102380190 B1 KR102380190 B1 KR 1023801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be
- pipe connection
- connection part
- cap member
- pip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description 10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2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title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title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10000000613 ear canal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746 surface rough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81 surface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54 cor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57 tha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19 thick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54 tympanic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2—Public or like main pipe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2—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using attaching means embracing the pi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6—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the branch pipe comprising fluid cut-off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2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for branching pipes; for joining pipes to walls; Adapto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이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새들분수전의 관연결부의 내부에서 상기 관연결부를 향해 삽입되는 피이관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인서트부재, 상기 인서트부재가 끼워지는 피이관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압착부재, 상기 압착부재의 일 단을 지지하고, 상기 관연결부의 외측면에 나사체결로 고정되는 캡부재, 및 상기 관연결부의 내측면과 상기 피이관의 외측면의 사이에 설치되는 오링을 포함하고, 상기 캡부재는, 상기 피이관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피이관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이관지지부의 두께는 상기 캡부재의 두께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새들 분수전의 피이관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새들 분수전은 일정한 압력의 수도물이 공급되는 메인 수도관에 고정시킨 후, 천공기를 이용하여 해당 부위에 분기공을 천공한 다음 개폐밸브의 인출단부에 급수관을 연결하여 수도물을 공급하는 구조를 가진다.
새들 분수전의 급수관이 피이관(PE관)일 경우, 밸브의 인출 단부에 설치되는 연결구 및 연결소켓에 의해, 피이관이 결합되게 된다.
새들 분수전은 통상적으로 지하에 매설되므로, 지진이나 지반침하(연약지반이나 도로나 하천의 지하로 통과되는 경우 또는 동절기나 해빙기에 발생되는 지반침하 현상)발생시 지면에 의한 하중이 분기관에 직접 가해지게 되어 변형(휨이나 뒤틀림)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새들 분수전과 연결구 및 연결구와 관의 연결 부위에 충격이 가해져 파손되거나 또는 변형으로 인해 연결부위에 틈새가 벌어지게 되어 누수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잦은 유지 보수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새들분수전의 피이관 연결을 위한 장치에 관한 구조로서, 새들분수전의 외경에 결합되는 캡부재의 체결력에 의해 압착부재와 오링이 차례로 가압하면서 고정되어 피이관을 보다 견고히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캡부재가 피이관의 외측면을 지지함으로써 피이관과 새들분수전에 결합된 후 그 이탈이 방지되며 피이관의 손상을 제한할 수 있는 피이관의 연결장치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새들 분수전의 피이관 고정 장치는, 새들분수전의 관연결부의 내부에서 상기 관연결부를 향해 삽입되는 피이관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인서트부재; 상기 인서트부재가 끼워지는 피이관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압착부재; 상기 압착부재의 일 단을 지지하고, 상기 관연결부의 외측면에 나사체결로 고정되는 캡부재; 및 상기 관연결부의 내측면과 상기 피이관의 외측면의 사이에 설치되는 오링을 포함하고, 상기 캡부재는, 상기 피이관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피이관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이관지지부의 두께는 상기 캡부재의 두께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피이관지지부의 외측면은, 상기 피이관을 감싸는 상기 관연결부의 외측면과 동일한 선상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피이관지지부의 외측면은 상기 피이관을 둘러싸며 육각형을 이루도록 여섯 개의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상기 캡부재는, 상기 관연결부의 상단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상단부; 및 상기 관연결부의 단부 및 상기 압착부재의 일 경사면을 지지하고 내측에 캡부재경사면이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이관지지부는 상기 경사부의 타단에서 상기 피이관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꺽여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상단부는 상기 상단부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상단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돌기; 및 상기 상단부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상단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관연결부와 결합 시 상기 관연결부의 돌출부에 걸림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부재의 일 측에는, 상기 피이관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피이관지지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피이관지지부는, 상기 압착부재의 상기 피이관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압착부재와 상기 오링은, 상기 캡부재가 상기 관연결부를 향해 결합되면서, 상기 피이관과 상기 관연결부의 사이에서 서로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인서트부재는 일 측의 외경이 상기 피이관의 내부 직경보다 작도록 이루어지지고, 다른 일 측의 외경은 상기 피이관의 내부 직경보다 크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압착부재는, 상기 피이관이 상기 관연결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두께가 감소하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연결부의 내측면과 상기 피이관의 외측면 사이에서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압착부재는, 상기 오링을 향해 경사지도록 외측면에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관연결부의 내측면의 단부로부터 경사지도록 이루어지는 압착부재지지면과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압착부재에는, 상기 제1 경사면의 단부로부터 상기 관연결부를 향해 경사지도록 제2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캡부재의 내측에는 캡부재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캡부재경사면은 상기 관연결부의 단부 및 상기 제2 경사면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인서트부재의 외측면에는, 상기 피이관과의 마찰력이 향상되도록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캡부재의 내주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관연결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상관 내진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은 새들분수전의 외경에 결합되는 캡부재가 나사 체결로 결합되면서, 압착부재와 오링이 차례로 가압되면서 피이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인서트부재을 지지하면서 피이관이 보다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를 통해, 새들분수전에 피이관의 연결이 보다 간편하며 유지 및 보수작업이 용이하므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품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새들분수전의 외경에 결합되는 캡부재의 체결력에 의해 압착부재와 오링이 인서트부재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피이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캡부재의 단부에 형성된 피이관지지부를 통해 피이관의 손상없이 피이관의 지지가 가능하다. 또한, 피이관의 손상이 제한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의하더라도 그 충격에 의한 파손이나 누수현상이 방지되어 수명이 연장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새들 분수전의 전체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피이관 연결 장치의 모습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의 (a)는 압착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3의 (b)는 압착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3의 (c)는 압착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인서트부재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의 (a), (b) 및 (c)는, 관연결부에 피이관을 결합하기 위한 피이관 연결장치의 설치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피이관 연결 장치의 모습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의 (a)는 압착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3의 (b)는 압착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3의 (c)는 압착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인서트부재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의 (a), (b) 및 (c)는, 관연결부에 피이관을 결합하기 위한 피이관 연결장치의 설치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새들 분수전(10)의 전체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또한,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피이관 연결 장치(100)의 모습을 확대한 도면이다.
새들 분수전(10)에 연결되는 피이관(20)은 피이관 연결 장치(10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새들 분수전(10)의 외측면에는 나사체결이 가능한 관연결부(11)가 형성되고, 관연결부(11)의 내부를 향해 피이관(20)이 끼워진 후, 캡부재(130)의 내측면이 관연결부(11)에 나사체결로 고정됨으로써 피이관(20)이 고정 설치될 수 있게 된다.
피이관 연결 장치(100)는, 인서트부재(110), 압착부재(120), 캡부재(130), 오링(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인서트부재(110)는 피이관(20)의 선단을 향해 삽입되어 피이관(20)에 끼워치도록 설치된다. 인서트부재(110)은, 피이관(20)의 선단에 끼움 결합된 상태로 새들분수전(10)의 관연결부(11)의 내측에 삽입됨으로써, 피이관(20)의 일 단부를 확장하여 확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인서트부재(110)가 끼워진 피이관(20)의 외면에는 오링(140)과 압착부재(120)가 나란하게 배치되고, 압착부재(120)의 후방에서 관 연결부(11)의 외측면에 캡부재(130)가 나사 체결되면서, 캡부재(130)의 결합방향으로 압착부재(120)와 오링(140)을 차례로 가압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인서트부재(110)가 삽입된 피이관(20)의 외측면과 관연결부(11)의 내측면의 사이에 오링(140)가 압착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인서트부재(110)는 일 측의 외경이 피이관(20)의 내부 직경보다 작도록 이루어지고, 다른 일 측의 외경이 피이관(20)의 외부 직경보다 큰 호퍼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호퍼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인서트부재(110)의 최대 직경은 관연결부(11)의 내부 직경보다 작도록 이루어져, 관연결부(11)의 내부에 인서트부재(110)가 위치되게 된다.
인서트부재(110)가 결합된 피이관(20) 외측에는 압착부재(120)와 오링(140)이 설치된다.
압착부재(120)와 오링(140)은, 캡부재(130)가 관연결부(11)를 향해 결합되면서, 피이관(20)과 관연결부(11)의 사이에서 서로 밀착되어 압착될 수 있게 된다.
압착부재(120)는 원통형의 관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외경이 관 연결부(11)의 내부 직경과 동일하거나 작게 제작된다.
압착부재(120)는 후술할 캡부재(130)로부터 가압력을 전달받아 오링(140)을 관연결부(11)의 내측면과 피이관(20)의 외측면의 사이로 이동시킴으로써, 피이관(20)과 관연결부(11) 내부에 형성되는 쐐기형상의 틈새를 채우는 역할을 한다. 압착부재(120)는 원통형의 관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압착부재(120)는 오링(140)의 손상을 제한함으로써 누수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압착부재(12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캡부재(130)는 너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후방부에 피이관(20)이 관통되고, 압착부재(120)의 후단부를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캡부재(130)는 너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압착부재(120)의 일 단을 지지하고, 관연결부(11)의 외측면에 나사체결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캡부재(130)의 내주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관연결부(1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체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캡부재(130)는 상단부(131), 경사부(132) 및 피이관지지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단부(131)는 상기 관연결부(11)의 상단을 감싸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캡부재(130)의 외측, 구체적으로 상단부(131)에는, 캡부재(130)의 연장 방향을 따라, 돌기(130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기(130a)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돌기(130a)는 캡부재(130)의 외측면에 도면상의 좌우 방향으로 총 8개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돌기(130a)의 개수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캡부재(130)의 외측면을 따라 복수개의 돌기(130a)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캡부재(130)의 외측을 파지하여 이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관연결부(11)와 고정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상단부(131)의 내측에는 상기 상단부(131)의 연장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관연결부(11)와 결합 시 상기 관연결부(11)의 돌출부(11b)에 걸림되는 결합돌기(130b)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상단부(131)의 결합돌기(130b)는 관연결부(11)와 캡부재(130)가 연결 시, 관연결부(11)의 돌출부(11b)에 걸림된다. 이에 따라, 외력에 의하여 관연결부(11)와 캡부재(130)가 서로 이격되는 것이 저감될 수 있다. 이때, 결합돌기(130b)는 탄성력을 가진 부재, 예를 들어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결합돌기(130b)는 돌출부(11b)가 돌출된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돌기(130b)는 탄성력을 가진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회전에 따라 압착되어 관연결부(11)과 캡부재(130) 사이에서 압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연결부(11)와 피이관(20)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누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캡부재(130)의 내측에는, 관연결부(11)의 단부와 압착부재(120)의 제2 경사면(122)을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경사를 가지도록 캡부재경사면(132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경사부(132)는 상기 관연결부(11)의 단부 및 상기 압착부재(120)의 일 경사면을 지지하고 내측에 캡부재경사면(132a)이 형성될 수 있다.
캡부재경사면(132a)에 의해, 캡부재(130)가 관연결부(11)에 결합되면서, 압착부재(120)의 제2 경사면(122)를 가압하게 되므로, 압착부재(120) 및 압착부재(12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오링(140)이 가압됨으로써, 관연결부(11)의 내측면과 피이관(20)의 외측면의 사이를 보다 잘 밀폐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상기 캡부재(130)는, 상기 피이관(20)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피이관지지부(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캡부재(130)의 일 측에는, 피이관(20)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피이관지지부(133)가 돌출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피이관지지부(133)는 상기 경사부(132)의 타단에서 상기 피이관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꺽여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이관지지부(133)의 두께는 상기 캡부재(130)의 두께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이관지지부(133)의 외측면은, 상기 피이관을 감싸는 상기 관연결부(11)의 외측면과 동일한 선상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이관지지부(133)의 외측면의 상단과, 관연결부(11)의 외측면의 상단이 동일 선상(l)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관연결부(11)의 외측면과 및 피이관(20)을 감싸는 피이관지지부(133)의 외측면이 동일 선상이 위치함으로써, 어느 한 쪽이 두꺼워짐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외력의 불균형 및 이를 통한 불량이나 누수가 방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이관(20)이 관의 외측 방향으로 힘(F2)을 받는 경우, 피이관지지부(133)가 얇은 경우 상하로 유동이 반복됨에 따라 피이관(20)이 캡부재(13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피이관지지부(133)의 두께가 캡부재(130)의 상단부(131) 및 경사부(132)와 동일한 경우 피이관(20)이 상하 방향으로 힘을 받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을 저감시킴으로써, 피이관(20)이 캡부재(1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피이관지지부는(133), 압착부재(120)의 피이관(20)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피이관지지부(133)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피이관(20)을 잡아지지함으로써, 피이관(20)이 휘어지거나 압력에 의해 눌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피이관지지부(133)는 캡부재(130)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단턱져 피이관(20)을 감싸지지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피이관(20)이 외력에 의해 꺾이는 것을 제한하여 피이관(20)으로부터 누수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피이관지지부(133)의 내측면은 피이관(2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서로 밀착되도록 이루어져 유체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피이관지지부(133)의 연장 길이는, 캡부재경사면(132a)의 단부로부터 대략 5-15mm 정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통해, 피이관(20)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며 누수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피이관지지부(133)의 외측면은 상기 피이관(20)을 둘러싸며 육각형을 이루도록 여섯 개의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이관지지부(133)의 외측면이 피이관의 두께와 관계없이 육각형을 이루는 여섯개의 면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피이관지지부(133)를 초반에 결합할 때 손으로 임시 결합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피이관지지부(133)의 외형은, 사각형, 팔각형 및 환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피이관지지부(133)의 외측면(133a)의 형상은 육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스패너에 끼워짐으로써 캡부재(130)가 헛돌지 않으면서 회전이 보다 용이하게 될 것이다. 즉, 캡부재(130)의 회전이 용이하므로 스패너에 의한 쪼임, 풀림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단부(131), 경사부(132) 및 피이관지지부(133)를 포함하는 캡부재(130)의 길이 방향으로의 전체 길이(d1)는 피이관(20)의 내경의 길이(d2)의 0.9배에서 1.5배 사이의 길이를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b를 참조하면, 캡부재(130)의 전체 길이(d1)는 피이관(20)의 내경의 길이(d2)의 0.9배에서 1.5배 사이의 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캡부재(130)의 길이 방향으로의 전체 길이는 관연결부(11) 및 피이관(20) 사이에서 발생하는 모멘트(F1)에 의하여 캡부재(130)가 관연결부(11) 및 피이관(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연결부(11) 및 피이관(20) 사이에 흐르는 수도물의 압력이 높아지는 경우 어느 한 방향, 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F1의 방향으로 피이관(20)이 이탈하려는 모멘트가 작용할 수 있다. 이때, 캡부재(130)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d1)가 피이관(20)의 내경의 길이(d2)의 0.9배에서 1.5배 사이인 경우, 관연결부(11) 및 캡부재(130)로부터 피이관(20)이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오링(140)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피이관(20)과 관연결부(11) 사이를 밀착시켜 고정하는 동시에 수밀(水密)이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오링(140)은 유체의 이동을 제한하여 피이관(20)으로부터 관연결부(11)를 통해 유체가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의 (a)는 압착부재(120)의 사시도이고, 도 3의 (b)는 압착부재(120)의 정면도이며, 도 3의 (c)는 압착부재(120)의 측면도이다.
압착부재(120)는 원통형의 관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압착부재(120)는 오링(140)의 손상을 제한함으로써 누수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압착부재(120)는, 피이관(20)이 관연결부(11)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두께가 감소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관연결부(11)의 내측면과 피이관(20)의 외측면 사이에 밀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압착부재(120)는, 오링(140)을 향해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3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압착부재(120)의 외측면에 제1 경사면(1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압착부재(120)의 후방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압착부재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압착부재홈(123)은 반경방향을 향해 함몰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캡부재(130)에 형성된 돌출부(미도시)가 끼워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압착부재(120)가 일방향으로 회전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제1 경사면(121)은, 관연결부(11)의 내측면의 단부로부터 경사지도록 이루어지는 압착부재지지면(11a)과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압착부재(120)에는, 제1 경사면(121)의 단부로부터 관연결부(11)를 향해 경사지도록 제2 경사면(122)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경사면(122)는, 캡부재(130)의 내측에 형성되는 일정한 경사를 가지도록 이루어지는 캡부재경사면(132a)와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압축부재(120)의 내측면과 피이관(20)의 사이는 서로 밀착되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피이관(20)의 단부는 피이관(20)을 향해 삽입되는 인서트부재(110)에 의해 확관되어 변형되므로, 압축부재(120)의 내측면과 피이관(20)의 사이에 일정한 간극(gap)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압착부재(120)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출 성형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도 4는, 인서트부재(110)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인서트부재(110)는 피이관(20)의 선단에 끼움 결합된 상태로 새들분수전(10)의 관연결부(11)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인서트부재(110)는 일 측의 외경이 피이관(20)의 내부 직경보다 작도록 이루어지고, 다른 일 측의 외경이 피이관(20)의 외부 직경보다 큰 호퍼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호퍼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인서트부재(110)의 최대 직경은 관연결부(11)의 내부 직경보다 작도록 이루어져, 관연결부(11)의 내부에 인서트부재(110)가 위치되게 된다.
또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서트부재(110)의 외측면에는 피이관(20)과의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되도록 미끄럼방지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서트부재(110)는 피이관(20)의 선단에 끼움 결합된 상태로 새들분수전(10)의 관연결부(11)의 내측에 삽입되게 된다.
이때, 인서트부재(110)의 외측면에는 미끄럼방지부(111)가 형성되어 끼움 결합된 피이관(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미끄럼방지부(111)는 피이관(20)과의 사이에 마찰력 향상을 한 것으로, 인서트부재(110)의 외측면의 표면조도(表面粗度)가 높아지도록 표면 처리 하여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미끄럼방지부(111)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111)는 표면조도(표면의 거칠기)를 높여 마찰계수가 증가되도록 함으로써, 인서트부재(120)가 피이관(20)의 내부를 향해 끼워지도록 설치된 후,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미끄럼방지부(111)는 인서트부재(110)의 외측면이 거칠게 표면 처리함으로써, 피이관(20)과의 결합력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미끄럼방지부(111)는 피이관(20)과의 사이에 마찰력 향상을 위해, 인서트부재(110)의 외측면을 따라 일정한 홈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미끄럼방지부(111)는 피이관(20)과의 사이에 마찰력 향상을 위해, 인서트부재(110)의 외측면을 따라, 복수개의 홈이 형성되거나 돌기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미끄럼방지부(111)는 피이관(20)과의 사이에 마찰력 향상을 위해, 인서트부재(110)의 외측면을 따라, 복수개의 딤플이 형성됨으로써 인서트부재(110)가 피이관(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게 된다.
도 5의 (a), (b) 및 (c)는, 관연결부(11)에 피이관(20)을 결합하기 위한 피이관 연결장치(100)의 설치 순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새들 분수전(10)에 연결되는 피이관(20)은 피이관 연결 장치(10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새들 분수전(10)의 외측면에는 나사체결이 가능한 관연결부(11)가 형성되고, 관연결부(11)의 내부를 향해 피이관(20)이 끼워진 후, 캡부재(132a)의 내측면이 관연결부(11)에 나사체결로 고정됨으로써 피이관(20)이 고정 설치될 수 있게 된다.
피이관 연결장치(100)에 의해, 관연결부(11)에 피이관(20)을 결합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도 5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피이관(20)의 외측면에는 피이관(20)을 고정하기 위한 대략적인 위치가 결정되면, 해당 부위에 인접하도록 오링(140)과 압착부재(120) 및 캡부재(130)가 각각 위치시키게 된다. 이때, 도 5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구된 피이관(20)의 단부에서부터 오링(140), 압착부재(120) 및 캡부재(130)의 순으로 배치되게 된다.
도 5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이관(20)의 단부를 향해 호퍼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인서트부재(110)가 완전히 삽입되면, 피이관(20)의 단부가 확관되도록 변형되며, 상기 피이관(20)의 변형에 대응하여 오링(140)과 압착부재(120)도 일부 변형될 것이다.
그 후, 도 5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이관(20) 및 피이관(20)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오링(140)과 압착부재(120) 및 캡부재(130)를 관연결부(11)를 향해 이동시키게 된다.
관연결부(11)의 외측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며, 캡부재(130)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체결부(132a)와 결합되면서, 캡부재(130)는 관연결부(11)를 향해 이동하면서, 관연결부(11)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인서트부재(110)가 끼워진 피이관(20)의 외면에는 오링(140)과 압착부재(120)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므로, 압착부재(120)의 후방에서 관 연결부(11)의 외측면에 캡부재(130)가 나사 체결되면서, 캡부재(130)의 결합방향으로 압착부재(120)와 오링(140)이 차례로 가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서트부재(110)가 삽입된 피이관(20)의 외측면과 관연결부(11)의 내측면의 사이에 오링(140)가 압착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압착부재(120)는 캡부재(130)로부터 가압력을 전달받아 오링(140)을 관연결부(11)의 내측면과 피이관(20)의 외측면의 사이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피이관(20)과 관연결부(11) 내부에 형성되는 쐐기형상의 틈새를 채우는 역할을 한다.
즉, 압착부재(120)에 의해, 오링(140)의 손상이 제한되며, 누수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캡부재(130)가 관연결부(11)에 결합되면, 캡부재(130)의 캡부재경사면(132a)은 관연결부(11)의 단부와 압착부재(120)의 제2 경사면(122)을 각각 지지하게 된다.
캡부재경사면(132a)에 의해, 캡부재(130)가 관연결부(11)에 결합되면서, 압착부재(120)의 제2 경사면(122)를 가압하게 되므로, 압착부재(120) 및 압착부재(12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오링(140)이 가압됨으로써, 관연결부(11)의 내측면과 피이관(20)의 외측면의 사이를 보다 잘 밀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캡부재(130)의 일 측에는, 피이관(20)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피이관지지부(133)에 의해, 일 방향으로 연장된 피이관(20)을 잡아지지함으로써, 피이관(20)이 휘어지거나 압력에 의해 눌려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피이관지지부(133)는, 피이관(20)이 외력에 의해 꺾이는 것을 제한하여 피이관(20)으로부터 누수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피이관 연결 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새들분수전
11: 관연결부
11a: 압착부재지지면
20: 피이관
100: 피이관 연결 장치
110: 인서트부재
111: 미끄럼방지부
120: 압착부재
121: 제1 경사면
122: 제2 경사면
123: 압착부재홈
130: 캡부재
132a: 캡부재경사면
133: 피이관지지부
140: 오링
11: 관연결부
11a: 압착부재지지면
20: 피이관
100: 피이관 연결 장치
110: 인서트부재
111: 미끄럼방지부
120: 압착부재
121: 제1 경사면
122: 제2 경사면
123: 압착부재홈
130: 캡부재
132a: 캡부재경사면
133: 피이관지지부
140: 오링
Claims (10)
- 새들분수전의 관연결부의 내부에서 상기 관연결부를 향해 삽입되는 피이관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인서트부재;
상기 인서트부재가 끼워지는 피이관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압착부재;
상기 압착부재의 일 단을 지지하고, 상기 관연결부의 외측면에 나사체결로 고정되는 캡부재; 및
상기 관연결부의 내측면과 상기 피이관의 외측면의 사이에 설치되는 오링을 포함하고,
상기 캡부재는, 상기 피이관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피이관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이관지지부의 두께는 상기 캡부재의 두께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캡부재는,
상기 관연결부의 상단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상단부; 및
상기 관연결부의 단부 및 상기 압착부재의 일 경사면을 지지하고 내측에 캡부재경사면이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부, 경사부 및 피이관지지부의 두께는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피이관지지부는 상기 경사부의 타단에서 상기 피이관의 외측면을 따라 상기 피이관의 외측면과 접촉하며 연장되며,
상기 피이관지지부의 외측면은,
상기 피이관을 감싸는 상기 관연결부의 외측면과 동일한 선상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관연결부는 단부에서 관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부는
상기 상단부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상단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관연결부의 돌출부는,
상기 상단부와 결합 시, 상기 결합돌기의 단부 및 상기 경사부 사이에 끼움되어 상기 결합돌기에 걸림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이관 연결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이관지지부의 외측면은,
상기 피이관을 둘러싸며 육각형을 이루도록 여섯 개의 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을 하는 피이관 연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부재는 일 측의 외경이 상기 피이관의 내부 직경보다 작도록 이루어지지고,
다른 일 측의 외경은 상기 피이관의 내부 직경보다 크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이관 연결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재는, 상기 오링을 향해 경사지도록 외측면에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관연결부의 내측면의 단부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되는 압착부재지지면과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이관 연결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재에는, 상기 제1 경사면의 단부로부터 상기 관연결부를 향해 경사지도록 제2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이관 연결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경사면은 상기 관연결부의 단부 및 상기 제2 경사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이관 연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는
상기 상단부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상단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이관 연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의 내주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관연결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이관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3808 | 2020-06-17 | ||
KR20200073808 | 2020-06-1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56207A KR20210156207A (ko) | 2021-12-24 |
KR102380190B1 true KR102380190B1 (ko) | 2022-03-30 |
Family
ID=79176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51300A KR102380190B1 (ko) | 2020-06-17 | 2021-04-20 | 새들 분수전의 피이관 연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80190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0817Y1 (ko) * | 2002-07-04 | 2002-10-07 | 부덕실업 주식회사 | 새들분수전의 분기관 접속구조 |
KR101107592B1 (ko) * | 2011-04-06 | 2012-01-25 | 부덕실업 주식회사 | 새들붙이 분수전의 피이관 연결구조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93676B2 (ja) * | 1997-05-09 | 2000-10-03 | 大平洋特殊鋳造株式会社 | 伸縮および可撓性絶縁管継手 |
-
2021
- 2021-04-20 KR KR1020210051300A patent/KR10238019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0817Y1 (ko) * | 2002-07-04 | 2002-10-07 | 부덕실업 주식회사 | 새들분수전의 분기관 접속구조 |
KR101107592B1 (ko) * | 2011-04-06 | 2012-01-25 | 부덕실업 주식회사 | 새들붙이 분수전의 피이관 연결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56207A (ko) | 2021-12-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739651C2 (ru) | Шланг и переходник шланга | |
KR101879248B1 (ko) | 냉매 관의 연결구조 | |
CA2175611A1 (en) | Socket joint for plastic pipes | |
KR101195280B1 (ko) |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 | |
KR101868756B1 (ko) | 지관 연결장치 | |
JP4058409B2 (ja) | 管継手において使用するための支持スリーブ及び前記スリーブと共に使用するための継手ハウジング | |
US20110318099A1 (en) | Anchor device for anchoring an element such as a fluid coupling in an opening in a wall | |
KR20210047379A (ko) | 스프링클러 어댑터 및 파이프 플러그 | |
KR20080091238A (ko) | 표준 관 피팅/포트를 푸시 연결식 관 피팅/포트로 전환하는 어댑터 및 방법 | |
KR102380190B1 (ko) | 새들 분수전의 피이관 연결 장치 | |
US8888138B2 (en) | Hose coupling | |
US20060108805A1 (en) | Coupling for anchor bolts | |
ES2685096T3 (es) | Conector para taza de inodoro | |
JP3894639B2 (ja) | 管継手構造 | |
KR200429394Y1 (ko) | 연질배관용 관 연결구 | |
JP4597889B2 (ja) | 管継手 | |
KR101889960B1 (ko) | 냉매 관의 연결구조 | |
JP2001173239A (ja) | 補修剤注入用プラグ | |
KR100408930B1 (ko) | 가요관 연결용 조인트 | |
JP3730034B2 (ja) | サドル付分水栓の継手の接続方法 | |
CN221800884U (zh) | 一种管接件 | |
KR20000016123U (ko) | 배관용 임시마개 | |
KR102528144B1 (ko) | 이종관 연결구 | |
KR102507004B1 (ko) | 주름관과 일반배관을 매개하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 |
JPS5846303Y2 (ja) | チユ−ブ装着用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