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6123U - 배관용 임시마개 - Google Patents

배관용 임시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6123U
KR20000016123U KR2019990000965U KR19990000965U KR20000016123U KR 20000016123 U KR20000016123 U KR 20000016123U KR 2019990000965 U KR2019990000965 U KR 2019990000965U KR 19990000965 U KR19990000965 U KR 19990000965U KR 20000016123 U KR20000016123 U KR 200000161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crew portion
stopper
ring
tempor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09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곤
Original Assignee
김희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곤 filed Critical 김희곤
Priority to KR20199900009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6123U/ko
Publication of KR200000161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123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1Plugs
    • F16L55/1108Plugs fixed by screwing or by means of a screw-threaded 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의 개방된 단부를 통하여 이물질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임시마개를 설치하되 마개본체의 선단에 형성된 숫나사부에 패킹 역할을 하는 각형링을 설치한 다음 숫나사부가 파이프의 너트부에 체결되면 각형링이 파이프의 내부로 끼워 들어가 파이프가 밀폐되도록 함으로써, 각형링의 외부노출로 인한 파손의 우려가 감소되고 또한 각형링이 수압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는 등의 문제점이 해소되는 배관용 임시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파이프의 개방된 단부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파이프를 임시로 막아주는 배관용 임시마개에 있어서, 상기 임시마개의 선단에 상기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숫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숫나사부의 선단에는 상기 파이프의 내부로 끼워들어가 상기 파이프의 내경면에 형성된 걸림턱과 긴밀하게 접하는 각형링이 구비되며, 상기 숫나사부와 연이어서 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의 외주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다수개의 돌기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배관용 임시마개{SPECIAL A STOPPER FOR PIPE ARRANGEMENT}
본 고안은 배관용 임시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수도꼭지 등이 결합되는 파이프의 개방된 단부에 임시마개를 체결하여 배관내부로 담배꽁초 등의 이물질이 투입되지 못하도록 하고 또한 임시마개의 선단에 각형링을 설치하여 각형링이 파이프의 내부로 끼워들어가 밀폐되도록 함으로써, 누수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한 배관용 임시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를 시공할 때 수도관 등의 파이프가 각 층마다 연결 설치된다. 이때 각 층마다 설치된 파이프의 개방된 단부를 임시마개로 막으면서 배관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각 층마다 설치된 파이프의 개방된 단부를 막지 않으면 파이프의 내부로 담배꽁초, 비닐 등의 이물질이 투입되어 파이프의 내부가 막히게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각 층마다 설치된 파이프의 개방된 단부에 임시마개를 설치하게 되며 배관작업이 완료되면 각 층마다 연결된 파이프의 누수등을 시험 체크하기 위해 수압체크를 하게된다.
수압체크시 각 층마다 설치된 파이프의 개방된 단부를 막고 있는 임시마개쪽으로 수압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들 임시마개를 파이프의 개방된 단부에 체결할 때 테프론 테이프를 사용하여 이들 체결부위를 밀폐시켰다.
그러나 임시마개를 체결할 때 사용하는 테프론 테이프는 이를 임시마개에 일일이 감아주어야 됨으로 작업성이 저하되며 특히 테이프를 감는 량이 작업자 마다 틀리기 때문에 밀폐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이프 마개가 제안된바 있다. 이는 파이프(1)의 개방된 선단에 형성된 암나사부(2)에 체결되는 숫나사부(4)가 형성된 마개본체(3)로 구성되며 숫나사부(4)의 후방에는 단면이 원형 형태의 패킹(5)이 구비된다.
이처럼 구성된 종래의 파이프 마개는 숫나사부(4)가 암나사부(2)에 체결된 상태에서 이들의 경계면에 패킹(5)이 위치되어 이들 나사부의 나사산 사이로 누수되는 물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파이프 마개는 패킹(5)을 숫나사부(4)의 후방까지 밀어서 조립해야 됨으로 조립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패킹(5)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배관 작업도중에 날카로운 물건에 의해 패킹의 일부가 파손될 경우 밀폐력이 저하되어 누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수압체크시 보통 1Okg/㎠의 큰 수압이 작용하기 때문에 파손된 패킹이 수압에 의해 밀려나 숫나사부(4)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있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와같이 패킹이 파손되어 누수되거나 또는 이탈될 경우 수압체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되어 배관작업성이 저하되고 아파트의 시공기간이 늘어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 된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파이프의 개방된 단부를 통하여 이물질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임시마개를 설치하되 마개본체의 선단에 형성된 숫나사부에 패킹 역할을 하는 각형링을 설치한 다음 숫나사부가 파이프의 너트부에 체결되면 각형링이 파이프의 내부로 끼워 들어가 파이프가 밀폐되도록 함으로써, 각형링의 외부노출로 인한 파손의 우려가 감소되고 또한 각형링이 수압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는 등의 문제점이 해소되는 배관용 임시마개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배관 마개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임시마개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임시마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파이프 1a : 걸림턱
2 : 암나사부 10 : 마개본체
11 : 손잡이 12 : 돌기
13 : 숫나사부 14 : 걸림부
15 : 각형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파이프의 개방된 단부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파이프를 임시로 막아주는 배관용 임시마개에 있어서, 상기 임시마개의 선단에 상기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숫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숫나사부의 선단에는 상기 파이프의 내부로 끼워들어가 상기 파이프의 내경면에 형성된 걸림턱과 긴밀하게 접하는 각형링이 구비되며, 상기 숫나사부와 연이어서 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의 외주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다수개의 돌기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 파이프 마개의 분리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고안 파이프 마개의 단면도 이다. 본 고안의 파이프 마개는 원통 형태의 마개본체(10) 선단부에 파이프(1)의 암나사부(2)에 체결되는 숫나사부(13)가 형성되며 숫나사부(13)의 체결방향을 따라 후방쪽으로 손잡이(11)가 마련된다. 그리고 손잡이(11)의 후방에는 스패너등의 공구가 끼워질수 있도록 육각의 다각형으로 형성된 공구자리(16)가 형성되고 공구자리(16)의 후방에는 이와 연이어서 원통부(17)가 형성된다. 원통부(17)는 각 파이프를 막고 있는 마개본체(10)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일종의 지그가 끼워지는 곳이다.
손잡이(11)에는 외주면에 다수개의 직선형 돌기(12)가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기(12) 들은 마개본체(10)를 수작업으로 파이프(1)에 체결할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또한 숫나사부(13)의 체결방향을 따라 그 선단에는 단면이 사각형인 각형링(15)이 끼워질수 있는 걸림부(14)가 형성된다. 걸림부(14)는 선단이 원추형으로 형성되며 숫나사부(13)와 경계를 이루도록 잘록한 요홈의 형태를 갖는다. 각형링(15)은 파이프(1)의 내경면에 형성된 걸림턱(1a)과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마개본체(10)가 완전히 체결되면 각형링(15)이 걸림턱(1a)과 접한상태로 일정하게 가압되어 그 밀폐력이 증가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은 단면이 각형인 각형링(15)이 숫나사부(13)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부(14)에 끼워져 조립된다. 걸림부(14)는 선단이 원추형으로 구성되어 있음으로 각형링(15)이 끼워지기 쉽도록 되어 있으며 숫나사부와의 경계에는 잘록한 형태의 요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각형링(15)이 걸림부(14)에 완전히 끼워지면 되빠지지 않도록 된다. 각형링(15)이 마개본체(10)에 끼워진 상태에서 마개본체(10)를 파이프(1)의 선단에 체결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본체의 숫나사부(13)가 파이프(1)의 선단에 개방된 너트부(2)에 체결되며 이 과정에서 각형링(15)이 파이프(1)의 내부로 들어간다. 마개본체(10)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이의 손잡이(11)에 형성된 돌기(12)로 인하여 마개본체가 헛돌지 않고 신속하게 체결된다.
마개본체(10)가 파이프(1)의 내부에 완전히 체결되면 이의 각형링(15)이 파이프(1)의 내경면에 형성된 걸림턱(1a)에 접한 상태로 가압되어 파이프(1)의 내부를 밀폐시켜 준다. 따라서 파이프의 내부로 이물질 등의 투입이 방지되며 특히 파이프의 수압체크시 물이 파이프의 외부로 누수되지 않음으로 아파트의 배관 시공시 각 층마다 연결된 파이프 들의 이음새 부분의 이음정도를 정확하게 측정할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파이프의 개방된 단부를 막아주는 임시마개의 선단에 단면이 각형인 각형링이 설치되어 있음으로 파이프 마개를 파이프에 체결하면 각형링이 파이프의 내부로 끼워들어가 파이프의 내경면에 형성된 걸림턱과 긴밀하게 접촉되어 이물질이 파이프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누수의 위험이 없기 때문에 파이프의 수압체크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며 각형링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 않음으로 이의 파손이 방지되고 수압에 따라 밀려나 벗겨지는 일이 없는 등의 효과가 있다. 그리고 마개본체의 선단에 각형링을 설치하기 때문에 각형링의 설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져 작업성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파이프의 개방된 단부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파이프를 임시로 막아주는 배관용 임시마개에 있어서,
    상기 임시마개의 선단에 상기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숫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숫나사부의 선단에는 상기 파이프의 내부로 끼워들어가 상기 파이프의 내경면에 형성된 걸림턱과 긴밀하게 접하는 각형링이 구비되며,
    상기 숫나사부와 연이어서 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의 외주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다수개의 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배관용 임시마개.
KR2019990000965U 1999-01-25 1999-01-25 배관용 임시마개 KR2000001612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965U KR20000016123U (ko) 1999-01-25 1999-01-25 배관용 임시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965U KR20000016123U (ko) 1999-01-25 1999-01-25 배관용 임시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123U true KR20000016123U (ko) 2000-08-25

Family

ID=54758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0965U KR20000016123U (ko) 1999-01-25 1999-01-25 배관용 임시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6123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577B1 (ko) * 2001-10-04 2004-06-30 한국전력공사 공 관로구 밀폐구조
KR200459201Y1 (ko) * 2009-12-29 2012-03-22 김흥국 수압측정용 배관마개
KR200459303Y1 (ko) * 2010-01-08 2012-03-22 김흥국 수압측정용 배관마개
WO2013054977A1 (ko) * 2011-10-13 2013-04-18 김상수 호스 연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577B1 (ko) * 2001-10-04 2004-06-30 한국전력공사 공 관로구 밀폐구조
KR200459201Y1 (ko) * 2009-12-29 2012-03-22 김흥국 수압측정용 배관마개
KR200459303Y1 (ko) * 2010-01-08 2012-03-22 김흥국 수압측정용 배관마개
WO2013054977A1 (ko) * 2011-10-13 2013-04-18 김상수 호스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3900B1 (ko) 표준 관 피팅/포트를 삽입 연결식 관 피팅/포트로전환하는 연결장치 및 방법
US7469936B2 (en) Pipe coupling
US5375887A (en) Plumbing hookup kit
US5957509A (en) Pipe coupling
CA2459637C (en) Pipe coupling
KR101326154B1 (ko) 표준 관 피팅/포트를 푸시 연결식 관 피팅/포트로 전환하는 어댑터 및 방법
JP3538090B2 (ja) 管継手における確認孔保護カバー
KR20000016123U (ko) 배관용 임시마개
GB1576038A (en) Coupling branch pipes to main pipes
CZ281099A3 (cs) Zařízení pro těsné spojení připojované trubky s kanalizační trubkou, zejména tenkostěnnou kanalizační trubkou
ES2685096T3 (es) Conector para taza de inodoro
US4166479A (en) Blind liner for service pipes
JP4104753B2 (ja) 漏水検査用プラグ
JP2007232121A (ja) 管継手
US20060163872A1 (en) Pipe coupling
JP4597889B2 (ja) 管継手
JPH1019178A (ja) 管継手
JPH0488288A (ja) 分岐パイプ継手
JPH0237889Y2 (ko)
KR102380190B1 (ko) 새들 분수전의 피이관 연결 장치
JP3059366B2 (ja) 管の接続構造および管継手
JPS5846303Y2 (ja) チユ−ブ装着用装置
JPH0914535A (ja) 圧縮管継手
JPH11236986A (ja) 管継手
JP2002195480A (ja) 継 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