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817Y1 - 새들분수전의 분기관 접속구조 - Google Patents

새들분수전의 분기관 접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817Y1
KR200290817Y1 KR2020020020110U KR20020020110U KR200290817Y1 KR 200290817 Y1 KR200290817 Y1 KR 200290817Y1 KR 2020020020110 U KR2020020020110 U KR 2020020020110U KR 20020020110 U KR20020020110 U KR 20020020110U KR 200290817 Y1 KR200290817 Y1 KR 2002908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pipe
connection structure
core
ring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01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택
Original Assignee
부덕실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덕실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덕실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201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8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8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817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새들분수전의 분기관 접속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유동성을 갖는 스테인레스 분기관을 메인 수도파이프에 장착되어지는 새들분수전에 체결함에 있어 보다 견고한 결합력이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됨으로서 외부충격이나 자연재해 등에 따른 지반침하가 발생하더라도 항상 안정적인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접속구조는, 분기관(20)의 일단에는 누름너트(14)와 인코아링(18)이 순차적으로 끼워지되, 인코아(12)가 최종적으로 분기관(20)의 내측에 압입되어 끼워짐으로서 누름너트(14) 및 인코아링(18)이 탈리되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접속구(16)에는 외주면에 나사부(16a)가 형성됨과 함께 내주면에는 상기 인코아(12)의 삽입을 제한하기 위한 걸림턱(17)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접속구(16)에 누름너트(14)가 나합 체결되어짐에 따라 누름너트(14)의 압착력에 의해 인코아링(18)과 인코아(12) 사이에서 분기관(20)이 압착. 고정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새들분수전의 분기관 접속구조{A GAPE PIPE CONNECTION STRUCTURE OF SADDLE WATER}
본 고안은 새들분수전의 분기관 접속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 수도파이프의 적소에 장착되어진 새들분수전에 분기관을 접속함에 있어 상호간에 한층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분기관 접속구조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철관, 아연도강관, PVC관, 동관 등의 재질로 제작되어지는 메인 수도파이프는 지하에 매설되어져 있는 상태에서 분기관에 의해 각 가정으로 수도물을 공급하게 되는데, 고압의 수도물이 흐르고 있는 수도파이프에 이러한 분기관 설치를 위해서는 먼저 해당 부위에 새들분수전을 고정 장착시킨 후 천공기를 이용하여 해당부위에 분기공을 천설하는 작업이 진행되어지게 된다.
이후, 새들분수전의 일측에 분기관을 접속시킴으로서 분기공을 통해 분기되어진 수도물이 분기관을 통해 각 가정으로 공급되어질 수 있게된다.
한편 이러한 분기관이 연약지반에 설치되거나 도로나 하천의 지하로 통과할 경우에는 분기관 접속부위의 토양이 지속적으로 지반침하 현상이 발생하여서 접속부의 해당부위를 눌러서 분기관의 위치이탈과 함께 관로의 파손을 가져오는 단점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겨울철이나 해빙기에 이들 접속 부위의 지반침하로 인하여서 잦은 단수 사고가 발생되며 특히, 지진 발생시에는 이들 분기관과 새들분수전이 신축성이 전혀 없으므로 비교적 작은 지진에도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여서 접속부위가 심각하게 파손되어 누수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새들분수전과 분기관의 결합력 저하에 따른 기술적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한 결합력이 유지됨과 아울러 기밀성이 더욱 개선되어지는 접속구조를 제공함으로서 외부충격이나자연재해 등에 따른 지반침하 발생시에도 결합부위에서 누수 발생을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새들분수전의 분기관 접속을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기관 접속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기관 접속상태 측면도.
도 4는 도 3의 A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메인수도관 10 : 새들분수전
12 : 인코아 14 : 누름너트
16 : 접속구 17 : 걸림턱
18 : 인코아링 20 : 분기관
상기 목적은, 새들분수전의 상단에 연장구비되어진 접속구에 분기관을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의 단부에는 누름너트와 인코아링이 순차적으로 끼워지되, 인코아가 최종적으로 분기관의 내측에 압입되어 끼워짐으로서 누름너트 및 인코아링이 탈리되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접속구에는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됨과 함께 내주면에는 상기 인코아의 삽입을 제한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접속구에 누름너트가 나합 체결되어짐에 따라 누름너트의 압착력에 의해 인코아링과 인코아 사이에서 분기관이 압착. 고정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새들분수전의 분기관 접속구조를 통해 이룰 수 있게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분기관(20)이 새들분수전(10)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어져 있는 접속구(16)에 연결되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연결을 위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즉, 도 1에 도시되어진 바와같이 분기관(20)의 선단에는 누름너트(14)와 인코아링(18)이 순차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인코아(12)를 분기관(20)의 내측에 압입되어 끼워짐으로서 분기관(20) 선단부가 확관되어 누름너트(14) 및 인코아링(18)이 탈리되지 않도록 하게된다.
그리고, 새들분수전(10)측 접속구(16)의 선단 외주면에는 누름너트(14)와의 나합 체결을 위한 나사부(16a)가 형성됨과 함께 내주면에는 걸림턱(17)이 형성됨으로서 인코아(12)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도록 하였다.
도면중 새들분수전(10)측 구성의 미설명 부호로서 5는 상부캠, 6은 개폐조절구를 나타낸다.
이와같이 구성되어져 있는 본 고안의 설치작업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하에 매설되어져 있는 메인수도관(1)의 특정위치에서 관로를 분기시키기 위해서는 해당 지점에 새들분수전(10)을 먼저 고정 장착한 후, 새들분수전(10)의 상부캡(5)을 열고 별도의 천공기를 이용하여 메인수도관(1)의 해당부위에 분기공을 천설하는 것으로 이러한 분기공 형성과정은 공지의 작업과정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한편, 상기 분기공의 형성이 이루어지면 새들분수전(10)의 개폐조절구(6)를 조절하여 분기공을 막아놓은 상태에서 접속구(16)에 분기관(20)을 체결하게 되는데, 체결을 위해서는 분기관(20)의 선단부에 누름너트(14)와 인코아링(18)을 순차적으로 끼운 후 테이퍼진 형태의 인코아(12)를 최종적으로 관내부에 압입시킴으로서 분기관(20)이 확관되어지도록 하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누름너트(14)를 회전시켜 접속구(16)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6a)에 나합시키게 되면 누름너트(14)가 전진 이동하면서 선단에 끼워져 있는 인코아링(18)을 압착시키게 되고, 이와같은 압착력이 가해진 인코아링(18)은 다시인코아(12)와 밀착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분기관(20)이 압지되면서 접속 체결이 이루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상기 접속 체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접속구(16)와 분기관(20)의 연결부위에서 인코아링(18)이 압착되어지면서 틈새를 완벽하게 차단하여 기밀유지를 위한 밀폐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고안의 접속구조는 접속구(16)와 분기관(20) 간에 강한 밀착력에 의해 체결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서 지지력이 한층 보강되어진 가운데 내부 기밀성 및 결합력이 한층 증가된 견고한 접속구조를 이루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새들분수전 접속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 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고안의 접속구조는, 유동성을 갖는 스테인레스 분기관을 메인 수도파이프에 장착되어지는 새들분수전에 체결함에 있어 보다 견고한 결합력이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됨으로서 외부충격이나 자연재해 등에 따른 지반침하가 발생하더라도 항상 안정적인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된다.
또한, 부재간에 강한 밀착력이 가해지면서 기밀이 유지될 수 있게되어 시설노후화에 따른 누수발생이 최소화 되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Claims (2)

  1. 새들분수전(10)의 상단에 연장구비되어진 접속구(16)에 분기관(20)을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20)의 일단에는 누름너트(14)와 인코아링(18)이 순차적으로 끼워지되, 인코아(12)가 최종적으로 분기관(20)의 내측에 압입되어 끼워짐으로서 누름너트(14) 및 인코아링(18)이 탈리되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접속구(16)에는 외주면에 나사부(16a)가 형성됨과 함께 내주면에는 상기 인코아(12)의 삽입을 제한하기 위한 걸림턱(17)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접속구(16)에 누름너트(14)가 나합 체결되어짐에 따라 누름너트(14)의 압착력에 의해 인코아링(18)과 인코아(12) 사이에서 분기관(20)이 압착. 고정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새들분수전의 분기관 접속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코아(12)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구비되어짐으로서 분기관(20)의 선단이 나팔관 형태를 이루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새들분수전의 분기관 접속구조.
KR2020020020110U 2002-07-04 2002-07-04 새들분수전의 분기관 접속구조 KR2002908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110U KR200290817Y1 (ko) 2002-07-04 2002-07-04 새들분수전의 분기관 접속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110U KR200290817Y1 (ko) 2002-07-04 2002-07-04 새들분수전의 분기관 접속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0817Y1 true KR200290817Y1 (ko) 2002-10-07

Family

ID=73055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110U KR200290817Y1 (ko) 2002-07-04 2002-07-04 새들분수전의 분기관 접속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81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928B1 (ko) * 2011-03-24 2013-09-12 주식회사 영인 새들 분수전 접속구의 연결 및 보강구조와 이를 이용한 이음관의 연결방법
KR101687135B1 (ko) * 2016-05-19 2016-12-15 박진혁 매연측정장치
KR20210156207A (ko) * 2020-06-17 2021-12-24 부덕실업 주식회사 새들 분수전의 피이관 연결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928B1 (ko) * 2011-03-24 2013-09-12 주식회사 영인 새들 분수전 접속구의 연결 및 보강구조와 이를 이용한 이음관의 연결방법
KR101687135B1 (ko) * 2016-05-19 2016-12-15 박진혁 매연측정장치
KR20210156207A (ko) * 2020-06-17 2021-12-24 부덕실업 주식회사 새들 분수전의 피이관 연결 장치
KR102380190B1 (ko) * 2020-06-17 2022-03-30 부덕실업 주식회사 새들 분수전의 피이관 연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8461A (en) Pipe tapping bands
MXPA06014430A (es) Junta de tuberia corrugada impermeable al agua.
EP1130306A3 (en) A method for sealing a leak in a pipe joint
CN206093277U (zh) 止脱式给水承插式焊接钢管
KR200290817Y1 (ko) 새들분수전의 분기관 접속구조
KR20160004207U (ko)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US20070200341A1 (en) Sewer tap with watertight lip
KR100836905B1 (ko) 하수관용 연결구
CN211203148U (zh) 一种穿墙套管的安装结构
CN213929819U (zh) 一种用于市政给排水的管路连接结构
KR100521061B1 (ko)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KR200402713Y1 (ko) 맨홀용 지수단관의 연결구조
CN209557853U (zh) 高适应性管道连接构造及其分水器和阀门
KR100873199B1 (ko) 하수관용 연결구
KR101192408B1 (ko) 상하수도관의 분기관 연결구조체
KR200234957Y1 (ko) 새들분수전의 분기관 접속구조
KR101047503B1 (ko) 분기관 소켓
KR101706762B1 (ko) 수도용 새들분수전
CN220749291U (zh) 一种管道防水装置
CN209990461U (zh) 一种非开挖钻机芯轴旋接器
JPS6343308Y2 (ko)
KR200268328Y1 (ko) 새들붙이 분수전 연결용 에스 밴드
CN211083174U (zh) 一种室外埋地排水管道安装结构
CN219866744U (zh) 一种具有防渗漏功能的给排水管安装结构
CN214466688U (zh) 一种地下侧墙密集穿墙管道的防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