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5280B1 -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5280B1
KR101195280B1 KR1020100088650A KR20100088650A KR101195280B1 KR 101195280 B1 KR101195280 B1 KR 101195280B1 KR 1020100088650 A KR1020100088650 A KR 1020100088650A KR 20100088650 A KR20100088650 A KR 20100088650A KR 101195280 B1 KR101195280 B1 KR 101195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hose
insert
insertion type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8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6649A (ko
Inventor
박정은
야스아키 미우라
Original Assignee
박정은
황윤기
야스아키 미우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은, 황윤기, 야스아키 미우라 filed Critical 박정은
Priority to KR1020100088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280B1/ko
Priority to JP2013528097A priority patent/JP2013540963A/ja
Priority to PCT/KR2010/007352 priority patent/WO2012033253A1/ko
Publication of KR20120026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22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using a retaining member the extremities of which, e.g. in the form of a U, engage behind a shoulder of both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25Hose-clips tightened by deforming radially extending loops or f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는, 호스(10)와, 원통형 몸체 중앙에는 상기 몸체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단차부(101)가 구비되어, 그 외주면에 체결단(102)이 돌출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호스(10)에 삽입되는 연결부(103), 타단은 피팅바디에 삽입되는 체결부(104)가 형성된 인서트(100)와, 상기 연결부(103)를 상기 호스(10) 내부로 삽입하고, 상기 호스(10)를 상기 연결부(103)방향으로 밀착 지지하는 링형상의 밴드(20)와, 원통형 몸체 중앙에는 상기 몸체보다 큰 직경으로 체결볼트(201)가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체결단(102)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연통부(202)가 형성되어 내부로 상기 체결부(104)가 삽입되고, 타단은 나사선(203)으로 형성된 피팅바디(200)와, 판상의 지지단(111), 상기 지지단(111)의 양측에 상기 단차부(10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절곡부(112)가 구비되고, 상기 절곡부(112)에 상기 체결단(102)과 연통부(202)가 삽입되도록 체결홈(113)이 형성된 클램프(110)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호스의 뒤틀림이 방지되고, 체결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a insertional pipe}
본 발명은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유체를 취급하는 분야에 사용되는 연결부재에 호스를 연결하는 경우에 결합 및 탈착이 용이하고, 호스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스는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액체, 기체 또는 고체상태의 유체를 이송시키기 위해서 배관에 연결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것으로, 금속재로 형성된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된다.
호스 연결장치는, 호스에 체결너트가 끼워지고, 이어서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압착구와 패킹이 끼워지며, 상기 호스를 다른 호스 또는 파이프 등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부재의 양단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일측의 나사부에는 상기 호스가 끼워지도록 끼움부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유체 수송을 위한 배관에 연결부재를 체결시, 몽키, 드라이버, 스패너 등 작업공구를 사용하여 나사 체결방식으로 배관 체결을 하는 피팅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연결부재를 나사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각 배관에 체결하고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연결부재를 조일때, 연결부재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호스의 뒤틀림으로 인해 꺾임 또는 눌림현상이 발생하여 누수가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연결부재와 호스의 결합정도가 달라지며, 호스의 밀착작업 등 후공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작업소요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그리고, 체결에 필요한 부품수의 증가로 인해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클램프를 이용한 삽입방식형 배관 체결 방식으로 호스의 뒤틀림 및 누수를 방지하는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결부재에 인서트와 오링을 삽입하여 연결한 후 체결이 쉬운 클램프를 부착하여 체결에 필요한 부품수를 줄이고, 작업 표준화가 용이한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는, 호스(10)와, 원통형 몸체 중앙에는 상기 몸체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단차부(101)가 구비되어, 그 외주면에 체결단(102)이 돌출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호스(10)에 삽입되는 연결부(103), 타단은 피팅바디에 삽입되는 체결부(104)가 형성된 인서트(100)와, 상기 연결부(103)를 상기 호스(10) 내부로 삽입하고, 상기 호스(10)를 상기 연결부(103)방향으로 밀착 지지하는 링형상의 밴드(20)와, 원통형 몸체 중앙에는 상기 몸체보다 큰 직경으로 체결볼트(201)가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체결단(102)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연통부(202)가 형성되어 내부로 상기 체결부(104)가 삽입되고, 타단은 나사선(203)으로 형성된 피팅바디(200)와, 판상의 지지단(111), 상기 지지단(111)의 양측에 상기 단차부(10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절곡부(112)가 구비되고, 상기 절곡부(112)에 상기 체결단(102)과 연통부(202)가 삽입되도록 체결홈(113)이 형성된 클램프(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103)는, 단차지게 형성되는 테이퍼 체결돌기부(1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104)는, 그 외주면에 형성된 오링홈(10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밴드(20)는, 상부에 돌출형성된 돌출부(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프(110)는, 상기 절곡부(112)의 양측단에 외향절곡된 가이드돌기(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에 따르면, 종래의 호스 연결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체결이 쉽고, 작업시간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즉, 인서트를 피당바디의 일단에 삽입하고 체결이 간단한 클램프를 장착하여 배관체결을 완료함으로써, 공구 사용이 적고, 작업 표준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에 따르면, 클램프에 형성된 체결홈을 따라 인서트가 회전함으로써, 호스의 뒤틀림으로 인해 꺾임 또는 눌림현상이 발생하여 누수가 되는 문제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는 본 발명에 의한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가 도시되어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는, 호스(10)와, 상기 호스(10)의 일단에 삽입되는 인서트(100)와, 상기 호스(10)를 인서트(100) 방향으로 밀착 고정하는 밴드(20)와, 상기 인서트(100)의 타단을 지지하는 피팅바디(200)와, 상기 인서트(100)와 피팅바디(200)의 접합부에 체결되는 클램프(11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호스(10)는,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호스(10)는 아래에서 설명할 인서트(100)에 장착되어 필요한 곳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인서트(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상으로 형성되며, 중앙부에 상기 인서트(100)의 원통보다 큰 직경으로 단차부(101)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101)는 상기 호스(10)를 상기 인서트(100) 방향으로 삽입할 때, 상기 호스(10)가 더이상 진입하지 못하도록 일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단차부(101)의 외주면에는 상기 단차부(101)보다 큰 직경으로 체결단(102)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단(102)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클램프(110)가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단차부(101)의 일단에는 연결부(103)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103)는 상기 호스(10)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103)에는 상기 연결부(103)보다 큰 직경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테이퍼 체결돌기부(103')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테이퍼 체결돌기부(103')는 상기 인서트(100)를 상기 호스(10) 내부에 삽입시, 상기 연결부(103)와 상기 호스(10)의 틈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단차부(101)의 타단에는 체결부(104)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04)는 아래에서 설명할 피팅바디(200)에 삽입되어, 유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체결부(104)의 외주면에는 오링홈(105)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오링홈(105)에는, 오링(106)이 삽입되고, 상기 오링(106)은 피팅바디(200)의 내벽과 밀착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는, 밴드(20)가 구비된다. 상기 밴드(20)는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밴드(20)는, 상기 연결부(103) 외측에 삽입되어, 상기 호스(10)가 상기 연결부(103)에 밀착되도록 조여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밴드(20)의 상부에는 돌출부(21)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1)는 '
Figure 112010058832067-pat00001
형상'으로 상기 밴드(20)의 일측으로 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밴드(20)와 상기 돌출부(21)는 '
Figure 112010058832067-pat00002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상기 호스(10)의 외주면을 균일하게 밀착한다.
상기 인서트(100)의 타단에는 피팅바디(200)가 마련된다. 상기 피팅바디(2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원통보다 큰 직경으로 체결볼트(201)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볼트(201)의 일단에는, 상기 체결단(102)과 대응되는 형상의 연통부(202)가 형성된다. 상기 연통부(202)는, 상기 체결단(102)과 결합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클램프(11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체결볼트(201)의 타단에는, 나사선(203)이 형성되어 외부유체 공급부와 연결된다.
상기 인서트(100)와 피팅바디(200)의 접합부에는 클램프(110)가 구비된다. 상기 클램프(110)는 '
Figure 112010058832067-pat00003
형상'의 지지단(111)과, 상기 지지단(111)의 양측에 반원형상의 절곡부(1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절곡부(112)는 상기 단차부(101)의 외경에 대응되어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112)에는 체결홈(113)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113)에는 상기 체결단(102)과 연통부(202)가 삽입된다. 상기 체결홈(113)은, 상기 연통부(202)와 상기 체결단(102)이 이격되지 않으면서, 형성된 홈을 따라 상기 체결단(102)이 회전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절곡부(112)의 양측단에는 가이드돌기(114)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114)는 상기 절곡부(112)와 반대방향으로 외향절곡되어, 상기 클램프(110)의 체결을 용이하게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유체를 원하는 곳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호스(10)가 구비된다. 상기 호스(10)는 고온 및 고압에 견디기 위하여 플렉시블(flexible)한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호스(10)의 연결 부위 즉, 단부쪽에는 인서트(100)의 연결부(103)가 삽입된다. 상기 연결부(103)에는, 단차지게 형성된 테이퍼 체결돌기(103')가 형성되어, 상기 호스(10)와 타이트하게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호스(10)에서 공급되는 유체의 누수가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인서트(100)의 중앙부에는 단차부(101)가 지지대 역할을 하여, 상기 호스(10)가 상기 인서트(100) 외측에 삽입될 때, 일정 길이 이상 진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체결된 상기 호스(10)가 상기 연결부(103) 외측에 밀착되도록, 상기 호스(10) 외측에 고리형상(
Figure 112010058832067-pat00004
)의 밴드(20)를 삽입한다. 상기 밴드(20)의 돌출부(21)를 양측에서 가압하여 상기 호스(10)와 연결부(103)가 유동하지 않도록 긴밀하게 체결을 완료한다.
상기 인서트(100)의 체결부(104)에 형성된 오링홈(105)에는 오링(106)을 삽입하고, 상기 체결부(104)를 피팅바디(200)에 삽입한다. 즉, 상기 단차부(101)에 돌출형성된 체결단(102)과 상기 피팅바디(200)의 연통부(202)가 밀착하도록 상기 체결부(104)를 상기 피팅바디(200) 방향으로 삽입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체결단(102)과 연통부(202)의 외측에 탄성력을 가지는 클램프(110)를 체결하면 본 발명의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가 완성된다. 탈착은 역순으로 진행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나사결합으로 연결되던 연결구 체결방식이 아닌 인서트(100)를 피팅바디(200) 내부에 삽입하여 클램프(110)로 고정하고, 상기 클램프(110)에 형성된 체결홈(113)을 따라 인서트(100)의 체결단(102)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호스(10)의 뒤틀림이 없고 체결부(104)에 형성된 오링(106)이 피팅바디(200)의 외면에 밀착됨으로써, 누수가 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의 작용을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연결부(103)의 외주면에 테이퍼 체결돌기(103'')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테이퍼 체결돌기(103'')는 상기 연결부(103)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103)를 제 1연결부(103a)와 제 2연결부(103b)로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고압의 유체가 유동할시, 제 1연결부(103a)와 제 2연결부(103b)의 외주면에 밴드(20)를 각각 체결한다. 상기 2개의 밴드(20)로 상기 호스(10)의 외주면을 균일하게 밀착하여, 호스의 밀착력을 높이고, 공급되는 고압의 유체가 누수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호스 20. 밴드
21. 돌출부 100. 인서트
101. 단차부 102. 체결단
103. 연결부 103', 103''. 테이퍼 체결돌기
104. 체결부 105. 오링홈
106. 오링 110. 클램프
111. 지지단 112. 절곡부
113. 체결홈 114. 가이드돌기
200. 피팅바디 201. 체결볼트
202. 연통부 203. 나사선

Claims (6)

  1. 호스(10)와;
    원통형 몸체 중앙에는 상기 몸체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단차부(101)가 구비되어, 그 외주면에 체결단(102)이 돌출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호스(10)에 삽입되는 연결부(103), 타단은 피팅바디에 삽입되는 체결부(104)가 형성된 인서트(100)와;
    상기 연결부(103)를 상기 호스(10) 내부로 삽입하고, 상기 호스(10)를 상기 연결부(103)방향으로 밀착 지지하는 링형상의 밴드(20)와;
    원통형 몸체 중앙에는 상기 몸체보다 큰 직경으로 체결볼트(201)가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체결단(102)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연통부(202)가 형성되어 내부로 상기 체결부(104)가 삽입되고, 타단은 나사선(203)으로 형성된 피팅바디(200)와;
    판상의 지지단(111), 상기 지지단(111)의 양측에 상기 단차부(10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절곡부(112)가 구비되고, 상기 절곡부(112)에 상기 체결단(102)과 연통부(202)가 삽입되도록 체결홈(113)이 형성된 클램프(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03)는, 단차지게 형성되는 테이퍼 체결돌기부(1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04)는, 그 외주면에 형성된 오링홈(10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20)는, 상부에 돌출형성된 돌출부(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110)는, 상기 절곡부(112)의 양측단에 외향절곡된 가이드돌기(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
  6. 삭제
KR1020100088650A 2010-09-10 2010-09-10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 KR101195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650A KR101195280B1 (ko) 2010-09-10 2010-09-10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
JP2013528097A JP2013540963A (ja) 2010-09-10 2010-10-26 挿入型配管用連結装置
PCT/KR2010/007352 WO2012033253A1 (ko) 2010-09-10 2010-10-26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650A KR101195280B1 (ko) 2010-09-10 2010-09-10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649A KR20120026649A (ko) 2012-03-20
KR101195280B1 true KR101195280B1 (ko) 2012-10-26

Family

ID=45810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650A KR101195280B1 (ko) 2010-09-10 2010-09-10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3540963A (ko)
KR (1) KR101195280B1 (ko)
WO (1) WO20120332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915B1 (ko) * 2019-10-07 2020-06-02 이홍구 신축배관과의 연결이 용이한 멀티관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9439A (en) * 2012-02-17 2013-08-21 Argus Fluidhandling Ltd Hose Assemblies
KR102152908B1 (ko) * 2014-05-26 2020-09-08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처리장치 및 방법
CN105402524A (zh) * 2015-11-16 2016-03-16 广西凯纵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管路连接头
KR101668582B1 (ko) * 2016-06-23 2016-10-21 차호준 좌변기의 배수관 소음 방지장치
WO2018100997A1 (ja) * 2016-11-30 2018-06-07 東レ株式会社 浄水器、浄水器用ホルダおよび浄水器用フィルタカートリッジ
KR102125387B1 (ko) * 2018-03-05 2020-06-22 비씨태창산업(유) 고수압용 커플러장치
KR102278377B1 (ko) * 2020-02-18 2021-07-19 국방과학연구소 포탄 추출기
CN114413091A (zh) * 2022-01-24 2022-04-29 刘丹 一种液体冷却水冷散热用无漏滴插拔阀
CN115143319B (zh) * 2022-09-05 2022-12-27 山西天然气有限公司 天然气管道固定安装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2436A (en) 1964-11-24 1968-09-24 Oetiker Hans Clamp construction
JP2000088157A (ja) 1998-09-17 2000-03-31 Inax Corp 管体接続構造
JP2000220773A (ja) 1999-02-03 2000-08-08 Kvk Corp 給水栓用継手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9334A (en) * 1977-07-01 1978-10-10 Fafco Incorporated Spinwelded plastic pipe coupling joint
GB2283068B (en) * 1993-10-22 1997-09-10 Taylor Kerr Pipe coupling
JPH102477A (ja) * 1996-06-17 1998-01-06 Inax Corp 配管接続具セット
JP2000088163A (ja) * 1998-09-17 2000-03-31 Inax Corp 管体接続構造
JP2003125523A (ja) * 2001-10-10 2003-04-25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ワイヤハーネス取付用部材及びワイヤハーネス取付構造
US7240930B2 (en) * 2004-02-23 2007-07-10 Stravitz David M Quick-connect/quick-disconnect conduit connectors
CA2565267C (en) * 2004-05-25 2013-07-09 Breeze-Torca Products, Llc Ribbed pipe clamp with sealing sleeve
JP2006349050A (ja) * 2005-06-16 2006-12-28 Yamamoto:Kk 合成樹脂パイプ接続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2436A (en) 1964-11-24 1968-09-24 Oetiker Hans Clamp construction
JP2000088157A (ja) 1998-09-17 2000-03-31 Inax Corp 管体接続構造
JP2000220773A (ja) 1999-02-03 2000-08-08 Kvk Corp 給水栓用継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915B1 (ko) * 2019-10-07 2020-06-02 이홍구 신축배관과의 연결이 용이한 멀티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40963A (ja) 2013-11-07
KR20120026649A (ko) 2012-03-20
WO2012033253A1 (ko) 201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5280B1 (ko)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
KR20110031762A (ko) 나선형 주름관 연결구
CN109764197A (zh) 一种管路连接结构及管路系统
US20160025248A1 (en) Universal tube fitting adaptable for different sized tubes
KR20130052967A (ko) 파이프 연결구
KR101489711B1 (ko) 분기관 연결장치
KR20150019500A (ko) 풀림 방지용 배관 연결장치
US6554233B1 (en) Hose clamp weight
JP5818855B2 (ja) 管継手
CN107827172B (zh) 集成水路板与管路的连接结构及水处理设备
KR101638835B1 (ko) 파이프 연결구
CN210566874U (zh) 一种皮管接头
US9657877B2 (en) Tube coupling device
CN113294609A (zh) 一种卡钩式快速接头装置
KR101783524B1 (ko) 연결관의 파이프 체결구조
KR101642889B1 (ko) 분기파이프 연결용 연결장치
KR101208671B1 (ko) 파이프 고정기구
KR20190000417A (ko) 파이프 고정장치
KR20110137759A (ko) 나선형 주름관 연결구
KR101186550B1 (ko) 관이음 조립체
KR101539407B1 (ko) 나선형 주름관 연결구
CN216143343U (zh) 一种卡钩式快速接头装置
KR20080006508U (ko) 배관 연결구
KR200467224Y1 (ko) 수도꼭지용 호스 연결구
KR200399460Y1 (ko) 엘보우관용 결속 실링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