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3015B1 - 공동주택의 배전용 지중전선의 파손감지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배전용 지중전선의 파손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3015B1
KR100983015B1 KR1020100034069A KR20100034069A KR100983015B1 KR 100983015 B1 KR100983015 B1 KR 100983015B1 KR 1020100034069 A KR1020100034069 A KR 1020100034069A KR 20100034069 A KR20100034069 A KR 20100034069A KR 100983015 B1 KR100983015 B1 KR 100983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ox
buried pipe
wires
press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금
Original Assignee
(주)부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부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부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00034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30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11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or the detection or protection of pipes in the grou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01B7/24Devices affording localised protection against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32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indicating defects, e.g. breaks or leaks
    • H01B7/326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indicating defects, e.g. breaks or leaks comprising pressure sens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전선이 수용되는 매설관의 외면을 감싸는 연결구와, 이 연결구와 연결된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가 연결된 압력감지센서에 의해 지반 침하시에 처지는 매설관에 의해 와이어가 당겨져 압력감지센서가 지반침하여부 및 매설관의 손상을 감지하도록 하고 감지된 데이터는 상기 압력감지센서와 연결된 제어박스를 통해 관리부에 신속하게 송신되도록 하여 침하된 지반 및 손상된 매설관의 신속한 복구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압력감지센서의 감지된 데이터가 제어박스에 의해 멀리 떨어진 관리부측으로 송신되기 때문에 감지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며, 간단한 구성에 의해 설치비용에 큰 부담을 주지 않는 공동주택의 배전용 지중전선의 파손감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다수의 전선이나 케이블이 수용되어 설치되는 매설관(11)의 외부를 감싸도록 상기 매설관(11)의 양측외면에 대응되게 밀착되고 볼트(12)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편(13)이 상/하단에 각각 형성된 연결구(10)와; 상기 연결구(10)의 상단에 형성된 체결편(13)에 일측이 내삽되어 상기 체결편(13)을 체결하는 볼트(12)의 체결력에 의해 고정되는 2개의 와이어(20)(20)와; 상기 2개의 와이어(20)(20)가 하부 내측으로 장입되어 연결되는 2개의 와이어지지판(31)(31)이 서로 마주보도록 내부에 입설되고 상기 2개의 와이어지지판(31)(31)의 내측에 위치되어 와이어지지판(31)과 스프링(32)에 의해 연결되어 와이어지지판(31)을 지지하는 지지벽(33)이 내측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20)의 상단에 연결되어 와이어(20)의 하강시에 하강되어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34)가 구성되며 상단 양측에 결합공(35)이 통공된 결합편(36)이 외면 양측에 형성된 함체형 감지박스(30)와; 상기 함체형 감지박스(30)의 상면에 위치되고 상기 함체형 감지박스(30)의 결합편(36)이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매설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저항판(40)과; 상기 함체형 감지박스(30)가 위치되는 상기 저항판(40)의 상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함체형 감지박스(30)의 압력감지센서(34)의 하강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51)와, 상기 제어부(5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2)와, 상기 제어부(51)에 전달된 압력감지센서(34)의 하강신호를 송신하는 무선송신모듈(53)이 내삽된 제어박스(50)가 포함되어 이루진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배전용 지중전선의 파손감지장치{DAMAGED PERCEIVING EQUIPMENT UNDERGROUND }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배전용 지중전선의 파손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에 매설되는 매설관이 침하 및 손상여부를 감지하여 매설관의 파손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신속한 보수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성에 의해 설치비용에 부담을 야기시키지 않도록 한 공동주택의 배전용 지중전선의 파손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심지역이나 대단위의 아파트단지에는 상,하수도관과 함께 고압선, 저압선, 통신케이블 등과 같은 전선을 일괄하여 시공 관리하기 위한 배전관체인 매설관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매설관의 내부에는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나 통신용 케이블 등이 수용되어 있음으로써 각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필요한 전력 등을 공급하고 있다.
이러한 매설관은 외부와의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지중에 매설되는 것이 보편적인 바, 지중에 매설되어 있음에 따라 외부측으로 전선이나 통신 케이블이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도시미관 등에 해를 가하지 않고 또한, 전선이나 통신 케이블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각 가정이나 사무실 및 대규모의 공장 등에서 사용되는 전기는 각 지역별로 설비되어 있는 변전소를 통해 전기를 공급받게 되는데, 이러한 변전소는 전압이나 전류의 변성 및 전력의 배분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송전선로 또는 배전선로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내 주게 된다.
상기 변전소는 대체로 지상에 설비되게 되는데, 이러한 변전소의 경우 고압의 전류를 이송시켜 주어야 하는바 고압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고, 외부로 노출된 고압전선은 외부간섭으로 인한 누전 및 합선이 유발되기 쉬우며, 어지럽게 가설된 고압전선으로 인해 주변의 경관을 해치 등의 문제가 있어 지하에 고압전선을 설치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지하에 고압의 전선을 설치하는 경우 전선을 포설하는 매설관을 지중에 매설하여 고압의 전선이 외부로 노출이 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부간섭에 따른 문제 및 주변경관을 해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지중에 매설되는 매설관이 지반의 침하현상에 의해 매설관의 지지력이 붕괴되어 설치된 매설관의 연결부위가 끊어지거나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컨대, 지반은 비가오거나 또는 동절기에 얼어 있던 지반이 녹거나 또는 지진 등과 같은 자연적인 현상에 의해 지반의 일부가 침하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되는 바, 이와 같이 지반이 침하되면 지중에 매설되어 있던 매설관의 지지력이 해제되어 침하가 이루어진 지반에 매설된 매설관이 설치위치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되며, 이러한 매설관의 이탈현상에 의해 매설관의 연결부분이 끊어지거나 또는 매설관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기 때문에, 지반침하에 의해 손상된 매설관의 신속한 복구작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손상된 위치의 파악이 용이하지 못함에 따라 신속한 복구작업이 어려워 지반침하에 의한 매설관이 붕괴됨에 따르는 2차 피해를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매설관의 붕괴 및 파손을 감지하는 장치가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바,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제10-0887987호인 배전용 지중전선의 파손감지장치가 안출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지중에 매설되는 매설관의 내측으로 지중전선이 시공되는 것에 있어서, 암나사가 형성된 나사조립부와 연결부가 형성되는 몸체의 양쪽에 대향되게 한 쌍의 보호커버조립부가 부설되어 매설관의 한쪽 선단으로 상기 나사조립부가 나사 조립되는 원통하우징과, 주름관으로 형성되는 몸체의 양쪽에 체결공을 갖는 조립부가 연설되어 체결부재를 매개로 조립부가 원통하우징의 연결부에 분해 조립되며 매설관을 양쪽으로 길게 연결하는 하우징연결부재와, 사각형 함체로 형성되는 몸체에 감지부재의 케이블이 내측으로 수납되는 수용부와 상,하조립부가 구비되어 체결부재를 매개로 하부조립부가 입형으로 세워지는 한 쌍의 보호커버와, 충전용 배터리가 내장되는 몸체의 양쪽에 창조립부가 구비되어 창조립부의 하부측으로 연설되는 커버조립부에 보호커버의 상부측이 끼워지도록 앙카볼트를 매개로 노면과 동일한 높이로 고정되는 노면블록과, 체결부재를 매개로 노면블록의 창조립부에 결합되어 감지부재 LED램프의 상태를 점검하는 점검창과, 중앙에 길이가 긴 케이블로 연결되는 소켓이 구비되는 몸체의 양쪽에 LED램프가 장착되어 체결공으로 조립되는 체결부재를 매개로 스프링의 반력을 갖는 탄성체의 체결공에 결합되어 원통하우징의 보호커버조립부에 수납되는 감지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매설관 둘레부의 흙에 의해 압력이 작용하여 지반이 일부 침하되거나 매설관에 크랙이 발생될 경우 이를 감지부재의 LED램프를 통해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되어 매설관의 손상 및 지반침하 등을 실시간으로 감시가 가능하여 시설 유지 보수작업 등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매설관의 손상되거나 또는 지반이 침하될 때 발광되는 LED램프의 발광여부에 따라 지반침하여부 및 매설관의 손상여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예컨대 지면으로 노출되는 LED램프가 흙이나 기타의 물품 등에 의해 덮어져 있을 경우에는 육안으로 파악하기가 어렵고 또한, LED램프의 주변에 감시자가 상주하고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지중전선의 파손감지장치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내부에 전선이 수용되는 매설관의 외면을 감싸는 연결구와, 이 연결구와 연결된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가 연결된 압력감지센서에 의해 지반 침하시에 처지는 매설관에 의해 와이어가 당겨져 압력감지센서가 지반침하여부 및 매설관의 손상을 감지하도록 하고 감지된 데이터는 상기 압력감지센서와 연결된 제어박스를 통해 관리부에 신속하게 송신되도록 하여 침하된 지반 및 손상된 매설관의 신속한 복구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압력감지센서의 감지된 데이터가 제어박스에 의해 멀리 떨어진 관리부측으로 송신되기 때문에 감지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며, 간단한 구성에 의해 설치비용에 큰 부담을 주지 않는 공동주택의 배전용 지중전선의 파손감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저항판이 매설관의 침하를 1차 저지하여 주므로 매설관이 바로 파손되지 않게 하고, 압력감지센서에서 감지한 신호가 관리부서에서 감지하여 처리할 때까지 매설관을 지지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배전용 지중전선의 파손감지장치는, 내부에 다수의 전선이나 케이블이 수용되어 설치되는 매설관의 외부를 감싸도록 상기 매설관의 양측외면에 대응되게 밀착되고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편이 상/하단에 각각 형성된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의 상단에 형성된 체결편에 일측이 내삽되어 상기 체결편을 체결하는 볼트의 체결력에 의해 고정되는 2개의 와이어와; 상기 2개의 와이어가 하부 내측으로 장입되어 연결되는 2개의 와이어지지판이 서로 마주보도록 내부에 입설되고 상기 2개의 와이어지지판의 내측에 위치되어 와이어지지판과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어 와이어지지판을 지지하는 지지벽이 내측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의 상단에 연결되어 와이어의 하강시에 하강되어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가 구성되며 상단 양측에 결합공이 통공된 결합편이 외면 양측에 형성된 함체형 감지박스와; 상기 함체형 감지박스의 상면에 위치되고 상기 함체형 감지박스의 결합편이 하면에 결합되고 매설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저항판과; 상기 함체형 감지박스가 위치되는 상기 저항판의 상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함체형 감지박스의 압력감지센서의 하강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제어부에 전달된 압력감지센서의 하강신호를 송신하는 무선송신모듈이 내삽된 제어박스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압력감지센서가 내부에 구성된 상기 함체형 감지박스와, 함체형 박스와 매설관을 연결하는 와이어 및 와이어가 연결되는 연결구는 지중에 매설되는 매설관의 길이를 따라 다수개 구비되되, 상기 다수개 구성되는 함체형 감지박스들과 상기 제어박스를 연결하는 전선관이 더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인 공동주택의 배전용 지중전선의 파손감지장치는, 지중에 매설된 매설관이 지반침하에 의해 붕괴될 때, 매설관의 둘레부에 포설된 연결구가 와이어를 하부측으로 당겨줌에 따라 와이어에 연결된 압력감지센서가 하부측으로 처지게 되고 이와 같은 압력감지센서의 처짐에 따른 감지값이 제어박스를 통해 관리부로 송신되기 때문에, 관리부의 빠른 대처에 의한 신속한 복구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멀리 떨어진 관리부가 제어박스를 통해 송신되는 압력감지센서의 감지값을 송신받을 수 있음에 따라, 지반침하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성에 의해 설치비용에 따른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와이어의 당겨짐 동작에 의해 압력감지센서가 지반의 변화된 압력을 감지할 수 있음으로써 지반의 침하 및 매설관의 손상여부를 쉽게 감지할 수 있다.
지반이 침하하여도 저항판에 의하여 매설관이 침하되지 않고 1차 지지되므로 관리부서에서 압력감지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시간을 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공동주택의 배전용 지중전선의 파손감지장치의 설치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공동주택의 배전용 지중전선의 파손감지장치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공동주택의 배전용 지중전선의 파손감지장치의 구성요부인 함체형 감지박스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함체형 감지박스의 내부 구성 작동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공동주택의 배전용 지중전선의 파손감지장치의 구성요부인 제어박스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공동주택의 배전용 지중전선의 파손감지장치의 설치예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공동주택의 배전용 지중전선의 파손감지장치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공동주택의 배전용 지중전선의 파손감지장치의 구성요부인 함체형 감지박스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함체형 감지박스의 내부 구성 작동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공동주택의 배전용 지중전선의 파손감지장치의 구성요부인 제어박스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배전용 지중전선의 파손감지장치는, 내부에 다수의 전선이나 케이블이 수용되어 설치되는 매설관(11)의 외부를 감싸도록 상기 매설관(11)의 양측외면에 대응되게 밀착되고 볼트(12)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편(13)이 상/하단에 각각 형성된 연결구(10)와, 상기 연결구(10)의 상단에 형성된 체결편(13)에 일측이 내삽되어 상기 체결편(13)을 체결하는 볼트(12)의 체결력에 의해 고정되는 2개의 와이어(20)(20)와, 상기 와이어(20)(20)의 타측이 내부측으로 장입구성되는 것에 의해 2개의 와이어(20)(20)에 의해 상기 연결구(10)와 연결되는 함체형 감지박스(30)와, 상기 함체형 감지박스(30)의 상면에 위치되고 상기 함체형 감지박스(30)의 결합편(36)이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매설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에 이격되어 연장형성된 장방형의 저항판(40)과, 상기 저항판(40)의 상부측에 구성되는 제어박스(5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압력감지센서(34)가 내부에 구성된 상기 함체형 감지박스(30)와, 함체형 감지박스(30)와 상기 매설관(11)을 연결하는 와이어(20) 및 와이어(20)가 연결되는 연결구(10)는 지중에 매설되는 상기 매설관(11)의 길이를 따라 다수개 구비되되, 상기 다수개 구성되는 함체형 감지박스(30)들과 상기 제어박스(50)를 연결하는 전선관(60)이 더 연결된다.
상기 연결구(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으로 형성된 2개의 연결구(10)의 내면측이 상기 매설관(11)의 외부 양측 둘레면에 서로 대응되게 밀착된 후, 볼트(12)에 의해 상기 연결구(1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된 체결편(13)이 체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매설관(11)의 둘레부에 설치된다.
이 때, 상기 2개의 연결구(10)를 볼트(12)로 체결함에 있어, 상기 2개의 와이어(20)(20)의 일측을 상기 연결구(10)의 상단 내측으로 장입한 다음, 상기 볼트(12)를 조여 체결편(13)을 체결함에 따라 2개의 와이어(20)(20)의 일측이 상기 연결구(10)의 상단에 연결구성된다.
상기 함체형 감지박스(30)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체로 이루어져 저항판(40)에 고정되고, 저항판(40)은 매설관(11)이 설치된 곳 상부에 이격되어 길이 방향으로 매설되어 설치된다.
저항판(40)에 매설관(11)이 다수개의 와이어(20)에 의해 고정되므로 하부 지반침하시 저항판(40)은 넓은 면적에 일체로 고정되므로 하방압력에 의한 저항을 받게 되어 매설관(11)이 아래로 침하되는 것을 저지하여 준다.
상기 2개의 와이어(20)가 하부 내측으로 장입되어 각각 연결되는 압력감지센서(34)에 연결되고, 압력감지센서(34)에서 두개로 갈라진 와이어가 마주보도록 설치된 한쌍의 와이어지지판(31)에 각각 연결된다.
이와같이 한쌍의 와이어(20)는 각각 압력감지센서(34)에 연결되고, 압력감지센서(34)와 각각의 와이어지지판(31)은 2개씩 총 4개의 와이어로 지지되게 된다.
2개의 와이어지지판(31)(31)은 함체형감지박스(30)의 내부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입설되되 전후 이동가능하게 가이드된다. 가이드되는 구성은 측면이나 하부에 가이드 돌기(미도시) 또는 가이드레일(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함체형감지박스(30)의 내부 중앙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쌍의 지지벽(33)이 입설되도록 형성되는데, 한쌍의 지지벽(33) 사이에 압력감지센서(34)가 위치할 뿐만 아니라 그 저부를 통하여 와이어(20)가 장입된다.
각각의 와이어지지판(31)과 지지벽(33) 사이에 스프링(32)이 설치되어 와이어지지판(31)을 탄력지지하게 되고,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와이어(20)가 압력감지센서(34)에 고정되고, 압력감지센서(34)의 하부에 연결되는 와이어(20)가 체결편(13)에 연결된다.
매설관의 하강으로 와이어(20)에 하방 장력이 발생하면 압력감지센서(34)가 감지하게 된다.
함체형감지박스(30)의 상단 양측에 결합공(35)이 통공된 결합편(36)이 외면 양측에 형성되어 저항판(40)에 고정된다.
상기 함체형 감지박스(30)의 하부 내측으로 인입되는 상기 2개의 와이어(20)(20)들의 타측이 연결된 2개의 와이어지지판(31)(31)들은 상기 2개의 와이어(20)(20)가 하부측으로 당기어 질 때, 이 와이어(20)(20)의 당겨지는 힘에 의해 서로 모아지는 것으로, 이 때 상기 와이어(20)(20)의 상단에 연결구성된 압력감지센서(34)가 하강되어 지반침하에 따른 매설관(11)의 붕괴를 감지한다.
이와 같이 매설관(11)의 붕괴에 의해 와이어(20)가 하방측으로 당겨지면, 저항판(40)에 의하여 1차 저항되어 매설관(11)이 완전히 붕괴하지 않게 된다. 상기 와이어(20)의 타측이 연결되고 상기 함체형 박스(30)의 내부에 서로 대응되게 구성된 2개의 와이어지지판(31)(31)들이 서로 모아짐에 있어, 상기 2개의 와이어지지판(31)(31)들과 지지벽(33) 사이에 구성되는 스프링(32)에 의해 상기 당겨진 와이어(20)가 팽팽한 긴장상태가 형성되어 상기 압력감지센서(34)가 매설관(11)의 처진 하중을 감지하여 줌으로써 매설관(11)의 손상 즉 지반침하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압력감지센서(34)가 함체형 감지박스(30)의 내부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침하가 이루어지지 않고 매설관(11)의 손상이 일어나지 않는 상태의 상기 와이어지지판(31)들과 수평상태를 유지한 상태의 감지값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이 침하되어 와이어(20)가 당겨져 압력감지센서(34)가 하강되면서 붕괴손상된 매설관(11)의 하중을 감지하는 감지값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 일정 압력 이상으로 감지되면, 매설관(11)이 지반침하에 의해 붕괴손상된 것으로, 빠르고 신속한 대처에 의해 복구작업이 빠르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압력감지센서(34)에 의해 일정 압력 이상으로 감지된 데이터는, 상기 제어박스(50)에 그대로 전달되는 바, 상기 제어박스(50)는, 상기 함체형 감지박스(30)가 위치되는 상기 저항판(40)의 상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함체형 감지박스(30)의 압력감지센서(34)의 하강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51)와, 상기 제어부(5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2)와, 상기 제어부(51)에 전달된 압력감지센서(34)의 하강신호를 송신하는 무선송신모듈(53)이 내삽되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무선송신모듈(53)에 의해 송신된 압력감지센서의 감지값이 관리부(54)에 전달되어 멀리 떨어진 관리부(54)에 매설관(11)의 붕괴손상 및 지반침하여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빠르고 신속한 복구작업이 이루어진다.
또한, 함체형 감지박스(30)에 의해 전달되는 감지값을 통해 제어박스(50)의 무선송신모듈(53)이 관리부(54)에 지반침하 위치를 전달하여 줌으로써 복구작업이 더욱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0 : 연결구 11 : 매설관
12 : 볼트 13 : 체결편
20 : 와이어 30 : 함체형감지박스
31 : 와이어지지판 32 : 스프링
33 : 지지벽 34 : 압력감지센서
35 : 결합공 36 : 결합편
40 : 저항판 50 : 제어박스
51 : 제어부 52 : 전원부
53 : 무선송신모듈 54 : 관리부
60 : 전선관

Claims (1)

  1. 내부에 다수의 전선이나 케이블이 수용되어 설치되는 매설관(11)의 양측외면에 대응되게 밀착되어 볼트(12)로 체결되는 체결편(13)이 상/하단에 각각 형성된 연결구(10)가 매설관(11)의 외부를 감싸면서 지지하는 공동주택의 배전용 지중전선의 파손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0)의 상단에 형성된 체결편(13)에 일측이 내삽되어 상기 체결편(13)을 체결하는 볼트(12)의 체결력에 의해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와이어지지판(31)에 각각 고정되는 2개의 와이어(20)(20)와;
    상기 2개의 와이어(20)(20)가 하부 내측으로 장입되어 연결되는 2개의 와이어지지판(31)(31)이 서로 마주보도록 내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입설되고, 상기 2개의 와이어지지판(31)(31)의 내측에 위치되어 와이어지지판(31)을 탄력지지 하는 스프링(32)의 일단이 지지되는 지지벽(33)이 내측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20)의 상단에 연결되어 와이어(20)의 하강시에 하강되어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34)가 구성되어 와이어지지판(31)에 와이어로 연결되고, 상단 양측에 결합공(35)이 통공된 결합편(36)이 외면 양측에 형성된 함체형 감지박스(30)와;
    상기 함체형 감지박스(30)의 상면에 위치되고 상기 함체형 감지박스(30)의 결합편(36)이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매설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에 이격되어 연장형성된 장방형의 저항판(40)과;
    상기 함체형 감지박스(30)가 위치되는 상기 저항판(40)의 상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함체형 감지박스(30)의 압력감지센서(34)의 하강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51)와, 상기 제어부(5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2)와, 상기 제어부(51)에 전달된 압력감지센서(34)의 하강신호를 송신하는 무선송신모듈(53)이 내삽된 제어박스(5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배전용 지중전선의 파손감지장치.
KR1020100034069A 2010-04-14 2010-04-14 공동주택의 배전용 지중전선의 파손감지장치 KR100983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069A KR100983015B1 (ko) 2010-04-14 2010-04-14 공동주택의 배전용 지중전선의 파손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069A KR100983015B1 (ko) 2010-04-14 2010-04-14 공동주택의 배전용 지중전선의 파손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3015B1 true KR100983015B1 (ko) 2010-09-17

Family

ID=43010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069A KR100983015B1 (ko) 2010-04-14 2010-04-14 공동주택의 배전용 지중전선의 파손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3015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905B1 (ko) 2011-09-15 2011-11-11 노재호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관
KR101091116B1 (ko) 2011-09-16 2011-12-09 노상도 지중배전선 절연탑재용 보호파이프
KR101113815B1 (ko) 2011-09-19 2012-04-02 (주)지형이엔지 지중배전전용 절연케이블
KR101326290B1 (ko) 2013-02-28 2013-11-11 주식회사 한국코아엔지니어링 송전, 변전, 배전용 케이블 지중 매설 표시장치
KR101338920B1 (ko) 2013-06-04 2013-12-10 노상도 지중배전전용 절연케이블
KR101607164B1 (ko) 2016-01-28 2016-03-29 주식회사 승원이엔지 배전용 지중관의 파손감지장치
KR102081909B1 (ko) * 2019-07-31 2020-02-26 대화전설(주) 지중송전선로의 보호장치
KR102346047B1 (ko) 2021-05-07 2022-01-03 (주)한림이앤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배선용 지중전선의 파손감지 장치
KR102615078B1 (ko) 2023-07-06 2023-12-19 주식회사 성신이엔지 IoT센서를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감시장치
KR102615084B1 (ko) 2023-07-06 2023-12-20 주식회사 성신이엔지 장거리 지중 배전선로 감시 IoT 시스템
KR102621071B1 (ko) 2023-07-06 2024-01-04 (주)포유텍 전선관 내장 감지선으로 지중 배전선로를 감시하는시스템
KR102621072B1 (ko) 2023-07-06 2024-01-04 (주)포유텍 지중 배전선로 감시시스템
KR102621068B1 (ko) 2023-07-06 2024-01-05 (주)포유텍 유도전류를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감시시스템
KR102671185B1 (ko) * 2023-05-25 2024-06-03 이상규 지중 배전선로의 사고 예방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1393A (ja) 2000-02-09 2001-08-17 Tokyo Gas Co Ltd 地中埋設管の破損予知方法及び地中埋設管の破損予知センサー
KR200278934Y1 (ko) 2002-03-16 2002-06-21 안영진 와이어가 구비된 합성수지재 매설관
KR100484519B1 (ko) 2004-10-26 2005-04-20 (주)원건설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단지 지중매설물 안전진단 시스템
KR100648420B1 (ko) 2006-09-04 2006-11-24 (주)태원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건축단지 바닥매설용 고압전선 케이블보호관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1393A (ja) 2000-02-09 2001-08-17 Tokyo Gas Co Ltd 地中埋設管の破損予知方法及び地中埋設管の破損予知センサー
KR200278934Y1 (ko) 2002-03-16 2002-06-21 안영진 와이어가 구비된 합성수지재 매설관
KR100484519B1 (ko) 2004-10-26 2005-04-20 (주)원건설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단지 지중매설물 안전진단 시스템
KR100648420B1 (ko) 2006-09-04 2006-11-24 (주)태원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건축단지 바닥매설용 고압전선 케이블보호관 구조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905B1 (ko) 2011-09-15 2011-11-11 노재호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관
KR101091116B1 (ko) 2011-09-16 2011-12-09 노상도 지중배전선 절연탑재용 보호파이프
KR101113815B1 (ko) 2011-09-19 2012-04-02 (주)지형이엔지 지중배전전용 절연케이블
KR101326290B1 (ko) 2013-02-28 2013-11-11 주식회사 한국코아엔지니어링 송전, 변전, 배전용 케이블 지중 매설 표시장치
KR101338920B1 (ko) 2013-06-04 2013-12-10 노상도 지중배전전용 절연케이블
KR101607164B1 (ko) 2016-01-28 2016-03-29 주식회사 승원이엔지 배전용 지중관의 파손감지장치
KR102081909B1 (ko) * 2019-07-31 2020-02-26 대화전설(주) 지중송전선로의 보호장치
KR102346047B1 (ko) 2021-05-07 2022-01-03 (주)한림이앤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배선용 지중전선의 파손감지 장치
KR102671185B1 (ko) * 2023-05-25 2024-06-03 이상규 지중 배전선로의 사고 예방시스템
KR102615078B1 (ko) 2023-07-06 2023-12-19 주식회사 성신이엔지 IoT센서를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감시장치
KR102615084B1 (ko) 2023-07-06 2023-12-20 주식회사 성신이엔지 장거리 지중 배전선로 감시 IoT 시스템
KR102621071B1 (ko) 2023-07-06 2024-01-04 (주)포유텍 전선관 내장 감지선으로 지중 배전선로를 감시하는시스템
KR102621072B1 (ko) 2023-07-06 2024-01-04 (주)포유텍 지중 배전선로 감시시스템
KR102621068B1 (ko) 2023-07-06 2024-01-05 (주)포유텍 유도전류를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감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3015B1 (ko) 공동주택의 배전용 지중전선의 파손감지장치
KR101771074B1 (ko) 지중 매설형 배전선 연결 장치
KR100914851B1 (ko) 지중배전선로의 지지구
KR102362838B1 (ko) 변압기용 이동식 기초대
KR101116185B1 (ko)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전선관
KR101262797B1 (ko)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KR101143877B1 (ko) 배전 케이블 고정장치
CN207967820U (zh) 一种箱变内电缆进线用的固定装置
KR20130057696A (ko) 맨홀 내부 감시 시스템
US9099847B2 (en) Gateway node
KR102001969B1 (ko) 상하수도 관로 매설 위치 확인 및 실시간 관리 시스템
KR100775849B1 (ko) 전주용 접지판
KR100887987B1 (ko) 배전용 지중전선의 파손감지장치
TW201742386A (zh) 用於資料通訊設備及系統之安裝結構
KR101046397B1 (ko) 변전소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KR102056171B1 (ko) 특고압 배전선로 전선관장치
KR101132388B1 (ko) 지중배전 케이블의 절연형 접속커넥터
KR101132390B1 (ko) 누전방지형 지중배전선 보호관
CN112072597B (zh) 一种地下电缆保护器
KR102540761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접지시설
WO2012093584A1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CN214850352U (zh) 防误接母线室走线结构
CN214590336U (zh) 一种连接电缆护线装置
KR102375840B1 (ko) 변전기와 연결되는 지중 송전선로의 안전장치 설치방법
KR101151291B1 (ko) 전기케이블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