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739B1 - 통신용 통신전주의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통신용 통신전주의 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739B1
KR101947739B1 KR1020170005988A KR20170005988A KR101947739B1 KR 101947739 B1 KR101947739 B1 KR 101947739B1 KR 1020170005988 A KR1020170005988 A KR 1020170005988A KR 20170005988 A KR20170005988 A KR 20170005988A KR 101947739 B1 KR101947739 B1 KR 101947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hole
auxiliary
fixing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5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3564A (ko
Inventor
정재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성전기통신
정재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성전기통신, 정재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성전기통신
Priority to KR1020170005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739B1/ko
Publication of KR20180083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18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 E04H12/182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telescop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용 통신전주의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는 통신용 광케이블을 통신전주에 설치시 기존 설치된 전주 및 전선의 간섭을 피하도록 광케이블의 설치되는 위치를 낮게 고정할 수 있는 분리된 통신전주의 가설시 주변 환경에 따라 간단하게 높낮이 조절을 가능케 하기 위해,
원통형의 주전주 상부에 다수개의 고정공을 형성하고 상기 주전주의 내부로 삽입가능한 보조전주를 마련하되 보조전주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결속공을 형성하여 상기 주전주와 보조전주의 고정공과 결속공을 일선상으로 마련하여 고정구와 고정나사로 고정하여 주전주에 보조전주를 고정가능케 함과 동시에 주전주에 연결하는 보조전주의 높이를 선택하는 다수개의 고정공과 결속공을 선택하여 통신전주의 높낮이를 고정하게 하여 통신전주를 작업현장에 가설하기 위해 먼저 바닥에 고정시키는 하부의 주전주 1개와 작업현장에 맞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보조전주 1개를 구비하여 작업현장으로 이동하여 현장에 맞도록 주전주에 보조전주를 끼워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보조전주로 작업현장의 높낮이에 맞도록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성 향상의 이점과 여러개의 보조전주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간편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통신용 통신전주의 결속장치{device of fixing a utility pole}
본 발명은 통신용 통신전주의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는 통신용 광케이블을 통신전주에 설치시 기존 설치된 전주 및 전선의 간섭을 피하도록 광케이블의 설치되는 위치를 낮게 고정할 수 있는 분리된 통신전주의 가설시 주변 환경에 따라 간단하게 높낮이 조절을 가능케 하는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생산된 대전력은 송전철탑 등을 사용한 송전선로를 통해 고압전력으로 각 변전소에 송전된 다음, 변전소에서는 송전된 전력을 변압하여 가공 배전선로를 통해 수용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공급되는 것으로, 이러한 종래의 송배전선로는 지중이나 공중에 설치되는 데, 공중에 설치될 경우 철탑 또는 전주 등의 지지물을 이용하여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대전력을 일반 가정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공중에 설치되는 전주에 전선을 연결하여 가정으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 대한민국은 IT강국으로 가정 또는 사무실에서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은 보편화 되어 있는 실정으로 택지개발로 인한 가정 또는 공장, 사무실이 신축하게 되면 신축시 미리 지하로 매설하는 전선 또는 광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으나, 택지 준공 후에 추가로 신축된 건물로 인터넷을 연결하고자 하면 지하에 매설된 광케이블을 재설정하여 신축된 건물로 연결할 수 있으나, 이렇게 신축된 건물로 광케이블 선로를 연결할 수 있도록 택지개발시 신축되는 건물 또는 가정으로 인터넷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지하에 광케이블 주선로를 찾아 연결하기보다는 지상의 전주를 이용하여 광케이블을 가정으로 연결하도록 하는 작업이 간편하여 선호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광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해서 전주에 광케이블을 연결하거나 광케이블 전용 통신주를 설치하여 광케이블 전용 케이블만을 연결하도록 하여 사용하였으나,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전주의 상부에 보조전주를 삽입시켜 끼워 고정시킨 후 고정구로 고정공과 결속공을 고정나사로 고정나사로 고정시켜 통신용 통신전주를 가설하여 전주보다 높이를 낮게 하여 전주 및 전선과의 간섭을 피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전선이 연결된 전주는 설치되는 장소나 위치에 따라 그 높이가 차이가 나므로 전주의 높이보다 낮게 설치되는 통신전주는 철재로 구성되며 전주가 설치되는 높이보다 낮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상적인 통신전주의 높이는 작업환경이나 주변걸림에 피할 수 있도록 7.5m ~ 8.5m의 높이로 마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통신전주의 높이를 7.5m ~ 8.5m의 높이의 일체형의 통신전주를 차량에 이동하기 어려운 문제점으로 인해 통신전주를 분리시켜 2단으로 마련하여 지면에 설치되는 하부의 주전주와 주전주와 결합하는 상부의 보조전주를 결합하여 높이 7.5m ~ 8.5m에 맞도록 고정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통신전주의 높이가 7.5m ~ 8.5m사이에 맞도록 하부의 주전주는 통상 5m로 하며 주전주와 결합하는 보조전주는 2.5m, 3.0m, 3.5m를 연장시키는 보조전주를 별도로 구비하여 하나의 주전주와 다수개의 보조전주를 한꺼번에 실어 이동하면서 작업현장에 따라 보조전주의 높이를 선택하여 통신전주의 높이를 7.5m로 선정한 경우 주전주 5m와 보조전주 2.5m를 꺼내 일렬로 연결하도록 결합하여 설치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은 통신전주를 작업현장에 가설하기 위해서는 먼저 바닥에 고정시키는 하부의 주전주 1개와 작업현장에 맞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2.5m, 3.0m, 3.5m의 높이를 마련한 보조전주 3개를 구비하여야 하나의 통신전주를 설치할 수 있어 여러종류의 보조전주를 항상 구비하여 이동하여야 하는 번거러움과 작업환경이나 위치에 따라 통신전주의 높이를 선정하여야 하므로 통신전주를 설치시 주전주에 연결하는 보조전주 설치하다가 높이가 높거나 낮으면 다시 다른 높이의 보조전주를 가져와서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어 불편하였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22062호 "통신전주"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와 같이 통신전주를 작업현장에 가설하기 위해 먼저 바닥에 고정시키는 하부의 주전주 1개와 작업현장에 맞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보조전주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과 작업환경이나 위치에 따라 통신전주의 높이를 선정후 보조전주 설치시 높이가 높거나 낮으면 다시 다른 높이의 보조전주를 가져와서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을 해결하기 위해,
원통형의 주전주 상부에 다수개의 고정공을 형성하고 상기 주전주의 내부로 삽입가능한 보조전주를 마련하되 보조전주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결속공을 형성하여 상기 주전주와 보조전주의 고정공과 결속공을 일선상으로 마련하여 고정구와 고정나사로 고정하여 주전주에 보조전주를 고정가능케 함과 동시에 주전주에 연결하는 보조전주의 높이를 선택하는 다수개의 고정공과 결속공을 선택하여 통신전주의 높낮이를 고정하게 하는 결속장치를 발명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통형의 주전주(10) 상부에 다수개의 고정공(12)을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하고 상기 주전주(10)의 내부로 삽입가능한 보조전주(20)를 마련하되 보조전주(20)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결속공(21)을 일렬로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주전주(10)와 보조전주(20)의 높이에 맞는 고정공(12)과 결속공(21)을 일선상으로 마련하여 고정구(13)와 고정나사(14)로 고정하고,
주전주(10)의 하부에는 단턱(11)을 형성하고 단턱(11)의 상부로 주전주(10)의 외부면과 밀착되는 블럭(30)에 걸공(31)을 형성하여 주전주(10)를 수용하는 수용부(33)를 형성한 걸나사(32)로 블럭(30)의 걸공(31)을 통해 나사(34)로 고정가능케 하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통신전주의 결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전주(10)와 보조전주(20)의 높이에 맞는 고정공(12)과 결속공(21)을 일선상으로 마련하여 고정구(13)와 고정나사(14)로 고정하되,
상기 주전주(10)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공(12)과 상기 보조전주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결속공(21)의 간격은 0.5m 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원통형의 주전주(10) 상부에 다수개의 고정공(12)을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하고 상기 주전주(10)의 내부로 삽입가능한 보조전주(20)를 마련하되 보조전주(20)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결속공(21)을 일렬로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주전주(10)와 보조전주(20)의 높이에 맞는 고정공(12)과 결속공(21)을 일선상으로 마련하여 고정구(13)와 고정나사(14)로 고정하고,
주전주(10)의 하부에는 단턱(11)을 형성하고 단턱(11)의 상부로 주전주(10)의 외부면과 밀착되는 블럭(30)에 걸공(31)을 형성하여 주전주(10)를 수용하는 수용부(33)를 형성한 걸나사(32)로 블럭(30)의 걸공(31)을 통해 나사(34)로 고정가능케 하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통신전주의 결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결속공(21)은 통신전주(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승강공(43)을 형성하고 상기 승강공(43)의 상부 양측으로 상연결공(41)을 승강공(43)과 직각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양측의 상연결공(41) 끝단에는 상부로 형성하는 상걸림공(42)을 형성하며,
상기 승강공(43)의 하부 양측으로는 하연결공(44)을 승강공(43)과 직각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양측의 하연결공(41) 끝단에는 상부로 형성하는 하걸림공(45)을 형성하며,
상기 승강공에 양측으로 형성된 상연결공(41)과 하연결공(44)의 사이에는 연결공(46)을 승강공(43)과 직각방향으로 양측으로 형성하고 상기 양측의 연결공(46) 끝단에는 상부로 형성하는 걸림공(47)을 형성한 가변공(40)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주전주 상부에 다수개의 고정공을 형성하고 상기 주전주의 내부로 삽입가능한 보조전주를 마련하되 보조전주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결속공을 형성하여 상기 주전주와 보조전주의 고정공과 결속공을 일선상으로 마련하여 고정구와 고정나사로 고정하여 주전주에 보조전주를 고정가능케 함과 동시에 주전주에 연결하는 보조전주의 높이를 선택하는 다수개의 고정공과 결속공을 선택하여 통신전주의 높낮이를 고정하게 하여,
통신전주를 작업현장에 가설하기 위해 먼저 바닥에 고정시키는 하부의 주전주 1개와 작업현장에 맞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보조전주 1개를 구비하여 작업현장으로 이동하여 현장에 맞도록 주전주에 보조전주를 끼워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보조전주로 작업현장의 높낮이에 맞도록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성 향상의 이점과 여러개의 보조전주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간편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분해한 분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통신전주에 블럭을 고정시키는 예시도
도 4,5,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도 6의 요부 작동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는 본 발명의 도 6의 가변공을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종래의 통신전주 결속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통형의 주전주(10) 상부에 다수개의 고정공(12)을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하고 상기 주전주(10)의 내부로 삽입가능한 보조전주(20)를 마련하되 보조전주(20)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결속공(21)을 일렬로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주전주(10)와 보조전주(20)의 높이에 맞는 고정공(12)과 결속공(21)을 일선상으로 마련하여 고정구(13)와 고정나사(14)로 고정하고,
주전주(10)의 하부에는 단턱(11)을 형성하고 단턱(11)의 상부로 주전주(10)의 외부면과 밀착되는 블럭(30)에 걸공(31)을 형성하여 주전주(10)를 수용하는 수용부(33)를 형성한 걸나사(32)로 블럭(30)의 걸공(31)을 통해 나사(34)로 고정가능케 하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통신전주의 결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전주(10)와 보조전주(20)의 높이에 맞는 고정공(12)과 결속공(21)을 일선상으로 마련하여 고정구(13)와 고정나사(14)로 고정하되,
상기 주전주(10)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공(12)과 상기 보조전주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결속공(21)의 간격은 0.5m 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상기와 같이 통신전주(1)의 높이를 7.5m ~ 8.5m사이에 맞도록 분리시키는 실시예로는 하부의 주전주(10)는 통상 5m로 하며 주전주(10)와 결합하는 보조전주(20)를 2.5m, 3.0m, 3.5m를 선택적으로 연장시키게 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통형의 주전주(10) 상부에 다수개의 고정공(12)을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하고 상기 주전주(10)의 내부로 삽입가능한 보조전주(20)를 마련하되 보조전주(20)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결속공(21)을 일렬로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주전주(10)와 보조전주(20)의 높이에 맞는 고정공(12)과 결속공(21)을 일선상으로 마련하여 고정구(13)와 고정나사(14)로 고정하고, 주전주(10)의 하부에는 단턱(11)을 형성하고 단턱(11)의 상부로 주전주(10)의 외부면과 밀착되는 블럭(30)에 걸공(31)을 형성하여 주전주(10)를 수용하는 수용부(33)를 형성한 걸나사(32)로 블럭(30)의 걸공(31)을 통해 나사(34)로 고정가능케 하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통신전주의 결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결속공(21)은 통신전주(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승강공(43)을 형성하고 상기 승강공(43)의 상부 양측으로 상연결공(41)을 승강공(43)과 직각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양측의 상연결공(41) 끝단에는 상부로 형성하는 상걸림공(42)을 형성하며,
상기 승강공(43)의 하부 양측으로는 하연결공(44)을 승강공(43)과 직각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양측의 하연결공(41) 끝단에는 상부로 형성하는 하걸림공(45)을 형성하며,
상기 승강공에 양측으로 형성된 상연결공(41)과 하연결공(44)의 사이에는 연결공(46)을 승강공(43)과 직각방향으로 양측으로 형성하고 상기 양측의 연결공(46) 끝단에는 상부로 형성하는 걸림공(47)을 형성한 가변공(40)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상기 보조전주(20)의 승강공(43)과 연결하는 연결공(46), 상연결공(41), 하연결공(44)은 주전주(10)에 결속된 고정나사(14)를 수용하여 이동가능케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결공(46), 상연결공(41), 하연결공(44)의 끝단에 형성한 걸림공(47), 상걸림공(42), 하걸림공(45)은 상기 주전주(10)에 결속된 고정구(13)를 수용함과 동시에 고정구(13)가 걸려지게 하여 보조전주(20)가 주전주(10)에 걸려지게 한 후 고정구(13)와 고정나사(14)로 고정가능케 하여 주전주(10)에 보조전주(20)를 고정가능케 하는 것이다.
상기 보조전주(20)에 형성된 걸림공(47), 상걸림공(42), 하걸림공(45)의 간격은 일반적으로 0.5m 간격으로 형성하여 통신전주(1)의 높이를 7.5m ~ 8.5m사이에 맞도록 하부의 주전주(10)는 통상 5m로 하며 주전주(10)와 결합하는 보조전주(20)를 2.5m, 3.0m, 3.5m를 선택적으로 연장시키게 하는 것이다.
상기 주전주(10)의 하부에는 단턱(11)을 형성하고 단턱(11)의 상부로 주전주(10)의 외부면과 밀착되는 블럭(30)에 걸공(31)을 형성하여 주전주(10)를 수용하는 수용부(33)를 형성한 걸나사(32)로 블럭(30)의 걸공(31)을 통해 나사(34)로 고정가능케 하여 통신전주(1)를 지면에 고정가능케 하는 것이다.
상기 주전주(10)의 상부면에는 걸턱(15)을 형성하여 보조전주(20)의 하부면에 걸리게 하여 고정구(13)에 의한 보조전주(20)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걸턱(15)은 보조전주(20)의 하부에 형성한 결속공(21)이 주전주(10)의 고정공(12)을 일선상으로 위치시켜 고정구(13)로 결합시 보조전주(20)의 밑면이 걸턱(15)에 걸려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전력공급용 전선을 연결한 전주의 원거리 또는 근거리에 설치되어 통신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통신전주(1)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현장에 맞는 높낮이를 선택하여 주전주(10)에 고정하는 보조전주(20)를 고정시 보조전주(20)의 높낮이를 선택하여 주전주(10)의 고정공(12)과 보조전주(20)의 결속공(21)을 일선상으로 위치시킨 후 고정구(13)를 삽입시켜 고정나사(14)로 주전주(10)에 보조전주(20)를 고정하여 주전주(10)에 연결하는 보조전주(20)의 높이를 선택하는 다수개의 고정공(12)과 결속공(21)을 선택하여 통신전주(1)의 높낮이를 고정하게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주의 전선에 간섭을 피하기 위한 통신전주(1)의 높이를 7.5m의 높이로 고정하기 위해서는 일선상의 결속공(21) 맨상부에 있는 결속공(21)을 주전주(10)의 고정공(12)과 일선상으로 연결시켜 고정구(13)를 삽입시켜 고정나사(14)로 고정시켜 보조전주(20)가 주전주(10)에 하부로 하강시켜 고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주의 전선에 간섭을 피하기 위한 통신전주(1)의 높이를 8.5m의 높이로 고정하기 위해서는 일선상의 결속공(21)의 맨하부에 있는 결속공(21)을 주전주(10)의 고정공(12)과 일선상으로 연결시켜 고정구(13)를 삽입시켜 고정나사(14)로 고정시켜 보조전주(20)가 주전주(10)에 상부로 승강시켜 고정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주의 전선에 간섭을 피하기 위해 통신전주(1)의 높이를 7.5m의 높이로 고정하기 위해서는 주전주(10)와 연결하는 보조전주(20)의 가변공(40)에 고정구(13)를 마련하도록 한 후 승강공(43)을 따라 하강시켜 상연결공(41)을 통해 직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걸림공(42)에 걸려지게 한 후 고정구(13)와 고정나사(14)로 고정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주의 전선에 간섭을 피하기 위해 통신전주(1)의 높이를 8.0m의 높이로 고정하기 위해서는 주전주(10)와 연결하는 보조전주(20)의 가변공(40)에 고정구(13)를 마련하도록 한 후 승강공(43)에 마련한 고정구(13)를 연결공(46)을 통해 직각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림공(47)에 걸려지게 한 후 고정구(13)와 고정나사(14)로 고정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주의 전선에 간섭을 피하기 위해 통신전주(1)의 높이를 8.5m의 높이로 고정하기 위해서는 주전주(10)와 연결하는 보조전주(20)의 가변공(40)에 고정구(13)를 마련하도록 한 후 승강공(43)을 따라 상승시켜 하연결공(44)을 통해 직각방향으로 이동하여 하걸림공(45)에 걸려지게 한 후 고정구(13)와 고정나사(14)로 고정하게 하는 것이다.
1 : 통신전주 10 : 주전주
11 : 단턱 12 : 고정공
13 : 고정구 14 : 고정나사
15 : 걸턱 20 : 보조전주
21 : 결속공 30 : 블럭
31 : 걸공 32 : 걸나사
33 : 수용부 34 : 나사
40 : 가변공 41 : 상연결공
42 : 상걸림공 43 : 승강공
44 : 하연결공 45 : 하걸림공
46 : 연결공 47 : 걸림공

Claims (4)

  1. 원통형의 주전주(10) 상부에 다수개의 고정공(12)을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하고 상기 주전주(10)의 내부로 삽입가능한 보조전주(20)를 마련하되 보조전주(20)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결속공(21)을 일렬로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주전주(10)와 보조전주(20)의 높이에 맞는 고정공(12)과 결속공(21)을 일선상으로 마련하여 고정구(13)와 고정나사(14)로 고정하고,
    주전주(10)의 하부에는 단턱(11)을 형성하고 단턱(11)의 상부로 주전주(10)의 외부면과 밀착되는 블럭(30)에 걸공(31)을 형성하여 주전주(10)를 수용하는 수용부(33)를 형성한 걸나사(32)로 블럭(30)의 걸공(31)을 통해 나사(34)로 고정가능케 하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통신전주의 결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전주(10)와 보조전주(20)의 높이에 맞는 고정공(12)과 결속공(21)을 일선상으로 마련하여 고정구(13)와 고정나사(14)로 고정하되,
    상기 주전주(10)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공(12)과 상기 보조전주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결속공(21)의 간격은 0.5m 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통신전주의 결속장치.
  2. 원통형의 주전주(10) 상부에 다수개의 고정공(12)을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하고 상기 주전주(10)의 내부로 삽입가능한 보조전주(20)를 마련하되 보조전주(20)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결속공(21)을 일렬로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주전주(10)와 보조전주(20)의 높이에 맞는 고정공(12)과 결속공(21)을 일선상으로 마련하여 고정구(13)와 고정나사(14)로 고정하고,
    주전주(10)의 하부에는 단턱(11)을 형성하고 단턱(11)의 상부로 주전주(10)의 외부면과 밀착되는 블럭(30)에 걸공(31)을 형성하여 주전주(10)를 수용하는 수용부(33)를 형성한 걸나사(32)로 블럭(30)의 걸공(31)을 통해 나사(34)로 고정가능케 하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통신전주의 결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결속공(21)은 통신전주(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승강공(43)을 형성하고 상기 승강공(43)의 상부 양측으로 상연결공(41)을 승강공(43)과 직각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양측의 상연결공(41) 끝단에는 상부로 형성하는 상걸림공(42)을 형성하며,
    상기 승강공(43)의 하부 양측으로는 하연결공(44)을 승강공(43)과 직각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양측의 하연결공(41) 끝단에는 상부로 형성하는 하걸림공(45)을 형성하며,
    상기 승강공에 양측으로 형성된 상연결공(41)과 하연결공(44)의 사이에는 연결공(46)을 승강공(43)과 직각방향으로 양측으로 형성하고 상기 양측의 연결공(46) 끝단에는 상부로 형성하는 걸림공(47)을 형성한 가변공(40)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통신전주의 결속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70005988A 2017-01-13 2017-01-13 통신용 통신전주의 결속장치 KR101947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988A KR101947739B1 (ko) 2017-01-13 2017-01-13 통신용 통신전주의 결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988A KR101947739B1 (ko) 2017-01-13 2017-01-13 통신용 통신전주의 결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564A KR20180083564A (ko) 2018-07-23
KR101947739B1 true KR101947739B1 (ko) 2019-02-14

Family

ID=63102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5988A KR101947739B1 (ko) 2017-01-13 2017-01-13 통신용 통신전주의 결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77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789B1 (ko) 2019-09-30 2020-02-10 (주)나노통신기술 높이 가변형 조립식 카메라 폴 전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354873U (zh) * 2018-12-17 2019-09-06 江苏中电科电力建设有限公司 高压直流输电设备支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9608805A (pt) 1995-05-26 1999-08-17 Ad Aerospace Finishes Vof Composicão de revestimento tendo melhorada adesão a substrato e uso da mesm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789B1 (ko) 2019-09-30 2020-02-10 (주)나노통신기술 높이 가변형 조립식 카메라 폴 전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564A (ko) 201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739B1 (ko) 통신용 통신전주의 결속장치
KR100989444B1 (ko) 라인포스트 애자의 점퍼선 보호장치
US6667437B2 (en) Pedestal for outdoor circuits
KR200431182Y1 (ko) 송배전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
KR102160999B1 (ko)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 시스템
CN105811306B (zh) 一种带电作业绝缘横担
KR102035037B1 (ko) 지중배전용 케이블 지지장치
KR102178966B1 (ko)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구조
KR20140132626A (ko) 인입선 지지 구조체
KR102584345B1 (ko) 변압기가 설치된 배전선로 보호 시스템
CN213753498U (zh) 一种小型工地用的临时配电箱装置
KR100917395B1 (ko) 송배전 케이블 설치를 위한 양방향 접이식과 높이 조정이 가능한 전력구 내부 선반장치
KR101056640B1 (ko) 통신용 광케이블 이격가설대
CN205354805U (zh) 一种供电系统的户外变压器安装结构
CN205296928U (zh) 聚合基站
KR100818556B1 (ko) 배전용 전주 상부 지지대
KR20180134664A (ko) 전주 방호 커버 및 이를 전주에 설치하는 방법
CN106193754A (zh) 一种直线杆增高杆
KR101024898B1 (ko) 송전 가공선로용 점퍼선 고정장치
KR101129397B1 (ko) 고압선의 처짐방지장치
KR100968625B1 (ko) 배전용 전주 상부 지지대
KR101154493B1 (ko) 저압 공중분기용 지지대
CN210898450U (zh) 一种基于不停电的无杆分支线延伸装置
KR102340182B1 (ko) 높이 조절형 내진 전신주
CN215343847U (zh) 配电房电缆沟电缆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