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4135B1 - 누전 차단을 위한 전기맨홀 - Google Patents

누전 차단을 위한 전기맨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4135B1
KR102584135B1 KR1020220145375A KR20220145375A KR102584135B1 KR 102584135 B1 KR102584135 B1 KR 102584135B1 KR 1020220145375 A KR1020220145375 A KR 1020220145375A KR 20220145375 A KR20220145375 A KR 20220145375A KR 102584135 B1 KR102584135 B1 KR 102584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bracket
water level
manhole body
pola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5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20145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1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1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80Arrangements for signal proces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10Miscellaneous comprising senso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전 차단을 위한 전기맨홀을 제공하고, 상기 누전 차단을 위한 전기맨홀은, 지중에 매설되며, 내부공간이 형성된 맨홀 바디와; 상기 맨홀 바디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캡과; 상기 맨홀 바디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전선들을 지지하며, 외면에 절연층이 형성되고, 상단에 제 1극성의 자석이 구비되는 브라켓과; 상기 맨홀 바디의 상단 테두리에 설치되며, 승강되는 승강축을 갖되, 상기 승강축은 상기 제 1극성의 자석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축의 단부에는 전류 제공에 따라 제 2극성을 이루도록 자화되는 전자석이 설치되는 승강 실린더와; 상기 맨홀 바디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빗물로 인한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 및, 상기 측정되는 수위가 미리 설정되는 경계 수위에 이르면, 전류 제공기를 사용하여 상기 전자석을 자화시키고, 상기 승강 실린더를 사용하여 상기 승강축을 하강시켜 상기 전자석을 상기 자석에 부착시켜 상기 브라켓을 그립하고, 상기 브라켓의 위치가 상기 측정되는 수위 보다 일정 높은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승강 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극성과 상기 제 2극성은 인력을 형성한다.

Description

누전 차단을 위한 전기맨홀{ELECTRONIC MANHOLE FOR PROTECTING ELECTRIC LEAKAGE}
본 발명은 누전 차단을 위한 전기맨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맨홀 바디의 내부에 위치되는 전선들을 별도의 브라켓을 사용하여 그립함과 아울러, 맨홀 바디의 내부에 빗물이 스며들어 수위가 상승되는 경우, 맨홀 바디의 내측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도피 공간에 브라켓을 수용하도록 하여 빗물 또는 일정 이상의 습도 분위기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누전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누전 차단을 위한 전기맨홀에 관한 것이다.
통상 맨홀이란 관로의 중간에 케이블의 인입, 인출, 접속 등의 공사 및 점검 기타 보수작업을 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지하구조물로서, 선로가 설치되는 공동 주택 단지 내 중간 일정 거리마다 또는 말단에 설치된다. 맨홀은 지중에 매립되며 내부에는 고압케이블 등이 배선되는 공간을 갖는 콘크리트 등의 몸체 및 이 몸체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하는 맨홀 뚜껑으로 구성된다.
맨홀은 대개 차도(車道)나 인도에 많이 설치되기 때문에 맨홀 뚜껑은 차량 등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주철제로 제작되어 왔다.
따라서, 맨홀 내부에 설치된 고압케이블 등의 전력선에서 누전이 발생하면서 비가 오는 날에는 주철제의 맨홀뚜껑에 전기가 통하여 행인(行人)의 감전 사망 사고가 수차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맨홀 뚜껑을 전기가 통하지 않는 재질로 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전기가 통하지 않는 재질의 맨홀 뚜껑의 경우 전기가 통하지 않으므로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는 있다.
그러나, 맨홀이 하중을 많이 받는 곳에 설치되기 때문에 중장비 등의 차량과 보행자로부터 전가되는 하중을 견디지 못하여 내구성이 매우 짧은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맨홀의 내부 공간으로 우수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없어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맨홀 내에 다량의 우수가 저수되는 문제점도 있고, 상술한 문제점으로 인해 맨홀 내에 위치한 전기, 통신 선로가 자주 파손되었으며, 이로 인해 전기, 통신 선로를 보수시 작업자가 감전되는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다.
일반적인 맨홀 뚜껑은 맨홀 입구에 배치됨에 따라 우수가 발생되는 경우 빗물이 맨홀 뚜껑과 입구의 사이 공간을 통해 맨홀의 내부로 유입되어 전기 사고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4334호(등록일자: 2019.06.24)
상기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의 목적들을 가질 수 잇다.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맨홀 바디의 내부에 위치되는 전선들을 별도의 브라켓을 사용하여 그립함과 아울러, 맨홀 바디의 내부에 빗물이 스며들어 수위가 상승되는 경우, 맨홀 바디의 내측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도피 공간에 브라켓을 수용하도록 하여 빗물 또는 일정 이상의 습도 분위기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누전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누전 차단을 위한 전기맨홀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맨홀 바디의 상단에 결합되는 캡과 맨홀 바디의 상단 테두리와의 틈으로 빗물이 침투하는 경우, 침투된 빗물을 강제로 외부에 배출되도록 함과 아울러, 이 부분을 일시적으로 건조시키고, 맨홀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는 절연재를 상기 틈새에 분사하여 건조시킴으로써 누전 차단 및 빗물이 맨홀 바디의 내부에 침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누전 차단을 위한 전기맨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누전 차단을 위한 전기맨홀을 제공하고,
상기 누전 차단을 위한 전기맨홀은, 지중에 매설되며, 내부공간이 형성된 맨홀 바디와; 상기 맨홀 바디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캡과; 상기 맨홀 바디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전선들을 지지하며, 외면에 절연층이 형성되고, 상단에 제 1극성의 자석이 구비되는 브라켓과; 상기 맨홀 바디의 상단 테두리에 설치되며, 승강되는 승강축을 갖되, 상기 승강축은 상기 제 1극성의 자석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축의 단부에는 전류 제공에 따라 제 2극성을 이루도록 자화되는 전자석이 설치되는 승강 실린더와; 상기 맨홀 바디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빗물로 인한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 및, 상기 측정되는 수위가 미리 설정되는 경계 수위에 이르면, 전류 제공기를 사용하여 상기 전자석을 자화시키고, 상기 승강 실린더를 사용하여 상기 승강축을 하강시켜 상기 전자석을 상기 자석에 부착시켜 상기 브라켓을 그립하고, 상기 브라켓의 위치가 상기 측정되는 수위 보다 일정 높은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승강 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극성과 상기 제 2극성은 인력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맨홀 바디의 내부 공간의 내벽 제 1위치에는,
도피홈이 배치되되,
상기 도피홈에는 그립부가 설치되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내부 공간으로 돌출 가능한 제 2축을 갖는 제 2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제 2실린더는, 상기 도피홈의 내측벽에 설치되고,
상기 제 2축은 상기 도피홈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 돌출 가능하고,
상기 제 2축의 단부에는,
상기 브라켓의 일측부를 그립하는 그립퍼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되는 수위가 미리 설정되는 상기 경계 수위 이상의 위험 수위에 이르면,
상기 승강 실린더를 사용하여 상기 브라켓을 상기 제 1위치로 승강시키고,
상기 제 2실린더를 사용하여 상기 제 2축을 돌출시키고, 상기 그립퍼를 사용하여 상기 브라켓의 일단부를 그립한 후,
상기 도피홈의 내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도피홈의 입구에 설치되는 개폐 도어를 회전기를 사용하여 회전시켜 상기 도피홈을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피홈의 양측벽에는,
전선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의 내주에는, 상기 전선의 외주와 밀착되는 탄성의 기밀층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캡의 하단 중앙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회전축을 갖는 회전 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하단에는 외측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대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연장대의 타단에는,
상기 캡과 상기 맨홀 바디의 상단과의 결합부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결합부를 건조시키고, 상기 결합부에 절연 물질을 충진시키는 보조 누전 차단부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보조 누전 차단부는,
상기 연장대의 타단에 설치되며, 레일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레일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결합부에서 누수로 인한 물기를 강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물기 배출부와,
상기 물기 배출부와 이격되도록 상기 레일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물기가 제거된 상기 결합부로 일정 온도의 건조 공기를 제공하는 건조 공기 제공부와,
상기 건조 공기 제공부와 이격되도록 상기 레일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건조된 상기 결합부로 절연 물질을 공급하여 충진시키는 절연물질 공급부와,
상기 레일에 연결되어, 상기 물기 배출부, 상기 건조 공기 제공부, 상기 절연물질 공급부를 상기 결합부 근방으로 이동 위치시키는 리니어 모터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물기 배출부는,
상기 리니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결합부 근방으로 위치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과 연결되어 상기 캡의 외부로 돌출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물기를 상기 흡입관으로 강제 유입시켜 상기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펌프를 갖고,
상기 건조 공기 제공부는,
상기 리니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결합부 근방으로 위치되는 건조 공기 분사관과, 상기 건조 공기 분사관과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일정의 고온을 이루는 건조 공기를 상기 건조 공기 분사관을 통해 상기 결합부로 분사시키는 가열 공기 제공기를 갖고,
상기 절연물질 공급부는,
상기 리니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결합부 근방으로 위치되는 건조 공기 분사관과, 상기 건조 공기 분사관과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일정의 고온을 이루는 건조 공기를 상기 건조 공기 분사관을 통해 상기 결합부로 분사시키는 가열 공기 제공기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 맨홀 바디의 내부에 위치되는 전선들을 별도의 브라켓을 사용하여 그립함과 아울러, 맨홀 바디의 내부에 빗물이 스며들어 수위가 상승되는 경우, 맨홀 바디의 내측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도피 공간에 브라켓을 수용하도록 하여 빗물 또는 일정 이상의 습도 분위기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누전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맨홀 바디의 상단에 결합되는 캡과 맨홀 바디의 상단 테두리와의 틈으로 빗물이 침투하는 경우, 침투된 빗물을 강제로 외부에 배출되도록 함과 아울러, 이 부분을 일시적으로 건조시키고, 맨홀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는 절연재를 상기 틈새에 분사하여 건조시킴으로써 누전 차단 및 빗물이 맨홀 바디의 내부에 침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들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누전 차단을 위한 전기맨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승강축이 하강되어 전자석이 브라켓에 구비되는 자석에 부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브라켓이 제 1위치로 상승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브라켓이 도피홈에 삽입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개폐 도어에 절개홀이 형성되고, 도피홈의 양측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상태를 맨홀 바디의 내측벽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캡의 하단에 보조 누전 차단부가 설치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보조 누전 차단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물기 배출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건조 공기 제공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절연물질 공급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누전 차단을 위한 전기맨홀을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누전 차단을 위한 전기맨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승강축이 하강되어 전자석이 브라켓에 구비되는 자석에 부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브라켓이 제 1위치로 상승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브라켓이 도피홈에 삽입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개폐 도어에 절개홀이 형성되고, 도피홈의 양측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상태를 맨홀 바디의 내측벽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누전 차단을 위한 전기맨홀은 지중에 매설되며, 내부공간이 형성된 맨홀 바디(100)와, 상기 맨홀 바디(10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캡(200)과, 상기 맨홀 바디(1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전선들(10)을 지지하며, 외면에 절연층이 형성되고, 상단에 제 1극성의 자석(310)이 구비되는 브라켓(300)과, 상기 맨홀 바디(100)의 상단 테두리에 설치되며, 승강되는 승강축(410)을 갖되, 상기 승강축(410)은 상기 제 1극성의 자석(310)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축(410)의 단부에는 전류 제공에 따라 제 2극성을 이루도록 자화되는 전자석(420)이 설치되는 승강 실린더(400)와, 상기 맨홀 바디(10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빗물로 인한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500)와, 상기 측정되는 수위가 미리 설정되는 경계 수위에 이르면, 전류 제공기(600)를 사용하여 상기 전자석을 자화시키고, 상기 승강 실린더(400)를 사용하여 상기 승강축(410)을 하강시켜 상기 전자석(420)을 상기 자석(310)에 부착시켜 상기 브라켓(300)을 그립하고, 상기 브라켓(300)의 위치가 상기 측정되는 수위 보다 일정 높은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승강 실린더(4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극성과 상기 제 2극성은 인력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맨홀 바디(100)의 내부 공간의 내벽 제 1위치에는, 도피홈(110)이 형성된다.
상기 도피홈(110)에는 그립부(120)가 설치된다.
상기 그립부(120)는 상기 내부 공간으로 돌출 가능한 제 2축(121a)을 갖는 제 2실린더(121)를 구비한다.
상기 제 2실린더(121)는, 상기 도피홈(110)의 내측벽에 설치된다.
상기 제 2축(121a)은 상기 도피홈(110)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 돌출 가능한다.
상기 제 2축(121a)의 단부에는, 상기 브라켓(300)의 일측부를 그립하는 그립퍼(122)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측정되는 수위가 미리 설정되는 상기 경계 수위 이상의 위험 수위에 이르면, 상기 승강 실린더(400)를 사용하여 상기 브라켓(300)을 상기 제 1위치로 승강시킨다.
이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 2실린더(121)를 사용하여 상기 제 2축을 돌출시키고, 상기 그립퍼(122)를 사용하여 상기 브라켓(300)의 일단부를 그립한 후, 상기 브라켓(300)을 상기 도피홈(110)의 내부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도피홈(110)의 입구에 설치되는 개폐 도어(111)를 회전기(112)를 사용하여 회전시켜 상기 도피홈(110)을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피홈(110)의 양측벽에는, 전선(10)이 관통되는 관통홀(110a)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 도어(111)의 양측에는 상기 관통홀(110a)과 연결되는 절개홀(111a)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110a) 및 절개홀(111a)의 내주에는, 상기 전선(10)의 외주와 밀착되는 탄성의 기밀층(2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캡의 하단에 보조 누전 차단부가 설치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보조 누전 차단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물기 배출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건조 공기 제공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절연물질 공급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 하면 상기 캡 (200) 의 하단 중앙에는 상기 제어부 (700) 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회전축 (211) 을 갖는 회전 모터 (210) 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 (211) 의 하단에는 외측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대 (220) 의 일단이 연결된다.
상기 연장대 (220) 의 타단에는 상기 캡 (200) 과 상기 맨홀 바디 (100) 의 상단과의 결합부 (a) 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결합부 (a) 를 건조시키고, 상기 결합부 (a) 에 절연 물질을 충진시키는 보조 누전 차단부 (900) 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보조 누전 차단부 (800) 는 상기 연장대 (220) 의 타단에 설치되며, 레일 (811) 이 형성되는 본체 (810) 와, 상기 레일 (811)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결합부 (a) 에서 누수로 인한 물기를 강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물기 배출부 (820) 와, 상기 물기 배출부 (820) 와 이격되도록 상기 레일 (811)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물기가 제거된 상기 결합부 (a) 로 일정 온도의 건조 공기를 제공하는 건조 공기 제공부 (830) 와, 상기 건조 공기 제공부 (830) 와 이격되도록 상기 레일 (811)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건조된 상기 결합부 (a) 로 절연 물질을 공급하여 충진시키는 절연물질 공급부 (840) 와, 상기 레일 (811) 에 연결되어, 상기 물기 배출부 (820) , 상기 건조 공기 제공부 (830) , 상기 절연물질 공급부 (840) 를 상기 결합부 (a) 근방으로 이동 위치시키는 리니어 모터 (850) 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물기 배출부 (820) 는 상기 리니어 모터 (850) 의 구동에 의해 상기 결합부 근방으로 위치되는 흡입관 (821) 과, 상기 흡입관 (821) 과 연결되어 상기 캡 (200) 의 외부로 돌출되는 배출관 (822) 과, 상기 배출관 (822)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 (700) 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물기를 상기 흡입관 (821) 으로 강제 유입시켜 상기 배출관 (822) 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펌프 (823) 를 갖는다.
상기 건조 공기 제공부 (830) 는 상기 리니어 모터 (850) 의 구동에 의해 상기 결합부 근방으로 위치되는 건조 공기 분사관 (831) 과, 상기 건조 공기 분사관 (831) 과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 (700) 의 제어에 따라 일정의 고온을 이루는 건조 공기를 상기 건조 공기 분사관 (831) 을 통해 상기 결합부 (a) 로 분사시키는 가열 공기 제공기 (832) 를 갖는다.
상기 절연물질 공급부 (841) 는 상기 리니어 모터 (850) 의 구동에 의해 상기 결합부 (a) 근방으로 위치되는 건조 공기 분사관 (841) 과, 상기 건조 공기 분사관 (841) 과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 (700) 의 제어에 따라 일정의 고온을 이루는 건조 공기를 상기 건조 공기 분사관 (841) 을 통해 상기 결합부 (a) 로 분사시키는 가열 공기 제공기 (842) 를 갖는다.
또한 상기 맨홀 바디의 내부 공간의 내벽의 제 1위치에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의 하단에는, 반구 형상의 밀폐 부재가 연결되되,
상기 밀폐 부재는 내수성을 가지는 유연성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밀폐 부재의 상단 중앙은, 상기 브라켓의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의 하단에는,
사방을 따라 신축되는 제 1축을 갖는 제 1실린더들이 설치되고,
상기 제 1실린더들 각각 제 1축의 단부는, 상기 밀폐 부재의 외측 테두리 근방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브라켓의 하단이 상기 빗물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제 1실린더들을 사용하여 상기 제 1축을 일정 길이 돌출시키되,
상기 밀폐 부재의 끝단은, 상기 제 1홈에 끼워질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맨홀 바디의 내부에 위치되는 전선들을 별도의 브라켓을 사용하여 그립함과 아울러, 맨홀 바디의 내부에 빗물이 스며들어 수위가 상승되는 경우, 맨홀 바디의 내측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도피 공간에 브라켓을 수용하도록 하여 빗물 또는 일정 이상의 습도 분위기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누전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맨홀 바디의 상단에 결합되는 캡과 맨홀 바디의 상단 테두리와의 틈으로 빗물이 침투하는 경우, 침투된 빗물을 강제로 외부에 배출되도록 함과 아울러, 이 부분을 일시적으로 건조시키고, 맨홀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는 절연재를 상기 틈새에 분사하여 건조시킴으로써 누전 차단 및 빗물이 맨홀 바디의 내부에 침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맨홀 바디
110 : 도피홈
110a : 관통홀
111 : 개폐 도어
111a : 절개홀
112 : 회전기
120 : 그립부
121 : 제 2실린더
121a : 제 2축
122 : 그립퍼
200 : 캡
210 : 회전 모터
211 : 회전축
220 : 연장대
300 : 브라켓
310 : 자석
400 : 승강 실린더
410 : 승강축
420 : 전자석
500 : 수위 센서
600 : 전류 제공기
700 : 제어부
800 : 보조 누전 차단부
810 : 본체
811 : 레일
820 : 물기 배출부
821 : 흡입관
822 : 배출관
823 : 배출 펌프
830 : 건조 공기 제공부
831 : 건조 공기 분사관
832 : 가열 공기 제공기
840 : 절연물질 공급부
850 : 리니어 모터

Claims (4)

  1. 지중에 매설되며, 내부공간이 형성된 맨홀 바디;
    상기 맨홀 바디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캡;
    상기 맨홀 바디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전선들을 지지하며, 외면에 절연층이 형성되고, 상단에 제 1극성의 자석이 구비되는 브라켓;
    상기 맨홀 바디의 상단 테두리에 설치되며, 승강되는 승강축을 갖되, 상기 승강축은 상기 제 1극성의 자석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축의 단부에는 전류 제공에 따라 제 2극성을 이루도록 자화되는 전자석이 설치되는 승강 실린더;
    상기 맨홀 바디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빗물로 인한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 및,
    상기 측정되는 수위가 미리 설정되는 경계 수위에 이르면, 전류 제공기를 사용하여 상기 전자석을 자화시키고, 상기 승강 실린더를 사용하여 상기 승강축을 하강시켜 상기 전자석을 상기 자석에 부착시켜 상기 브라켓을 그립하고, 상기 브라켓의 위치가 상기 측정되는 수위 보다 일정 높은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승강 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극성과 상기 제 2극성은 인력을 형성하고,
    상기 맨홀 바디의 내부 공간의 내벽 제 1위치에는,
    도피홈이 배치되되,
    상기 도피홈에는 그립부가 설치되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내부 공간으로 돌출 가능한 제 2축을 갖는 제 2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제 2실린더는, 상기 도피홈의 내측벽에 설치되고,
    상기 제 2축은 상기 도피홈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 돌출 가능하고,
    상기 제 2축의 단부에는,
    상기 브라켓의 일측부를 그립하는 그립퍼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되는 수위가 미리 설정되는 상기 경계 수위 이상의 위험 수위에 이르면,
    상기 승강 실린더를 사용하여 상기 브라켓을 상기 제 1위치로 승강시키고,
    상기 제 2실린더를 사용하여 상기 제 2축을 돌출시키고, 상기 그립퍼를 사용하여 상기 브라켓의 일단부를 그립한 후,
    상기 도피홈의 내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도피홈의 입구에 설치되는 개폐 도어를 회전기를 사용하여 회전시켜 상기 도피홈을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을 위한 전기맨홀.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피홈의 양측벽에는,
    전선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의 내주에는, 상기 전선의 외주와 밀착되는 탄성의 기밀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을 위한 전기맨홀.
KR1020220145375A 2022-11-03 2022-11-03 누전 차단을 위한 전기맨홀 KR102584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5375A KR102584135B1 (ko) 2022-11-03 2022-11-03 누전 차단을 위한 전기맨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5375A KR102584135B1 (ko) 2022-11-03 2022-11-03 누전 차단을 위한 전기맨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4135B1 true KR102584135B1 (ko) 2023-10-04

Family

ID=88290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5375A KR102584135B1 (ko) 2022-11-03 2022-11-03 누전 차단을 위한 전기맨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13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749B1 (ko) * 2013-11-11 2014-02-26 공은옥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KR101638508B1 (ko) * 2015-12-01 2016-07-11 주식회사 삼일엔지니어링 지중배전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
KR101994334B1 (ko) 2019-02-01 2019-06-28 (주)선경엔지니어링 전기통신 맨홀의 누전방지시설
KR102153679B1 (ko) * 2020-04-03 2020-09-09 주식회사 웅부기술단 지중배전선 연결지지를 위한 행거장치
KR102273249B1 (ko) * 2021-04-07 2021-07-06 (주)케이제이종합감리 내진 및 누전 방지기능을 갖는 공동주택 단지용 전기 맨홀 구조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749B1 (ko) * 2013-11-11 2014-02-26 공은옥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KR101638508B1 (ko) * 2015-12-01 2016-07-11 주식회사 삼일엔지니어링 지중배전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
KR101994334B1 (ko) 2019-02-01 2019-06-28 (주)선경엔지니어링 전기통신 맨홀의 누전방지시설
KR102153679B1 (ko) * 2020-04-03 2020-09-09 주식회사 웅부기술단 지중배전선 연결지지를 위한 행거장치
KR102273249B1 (ko) * 2021-04-07 2021-07-06 (주)케이제이종합감리 내진 및 누전 방지기능을 갖는 공동주택 단지용 전기 맨홀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6985B1 (ko) 수동형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 시스템
US8641384B2 (en) Solid state sump pump control
KR101153502B1 (ko) 대형 전기 설비의 침수 방지를 위한 전기 설비 지하 시공 구조물 및 시공 방법
KR100896957B1 (ko) 지중배전선의 위치고정용 커넥터
KR100978210B1 (ko) 배전함 지중 승하강 장치
KR101592224B1 (ko) 공동주택 단지내 누전방지 전기맨홀
KR102273249B1 (ko) 내진 및 누전 방지기능을 갖는 공동주택 단지용 전기 맨홀 구조체
CN104334395A (zh) 用于感应式传输电能的设备
KR102584135B1 (ko) 누전 차단을 위한 전기맨홀
KR100947101B1 (ko)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 시스템
KR20110126905A (ko) 지중 매설식 전기장치 수용시스템
KR101063326B1 (ko) 건축물의 지중 매설 고압케이블 보호용 블록 구조물
KR100681450B1 (ko) 복합식 접지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KR102105537B1 (ko) 매립형 제어반 시설물
KR100898145B1 (ko) 매설형 배전선로의 누전방지구조물
KR101709324B1 (ko) 변전소의 특고압 인입전선용 절연형 커넥터
KR101177920B1 (ko) 특별 고압 한전 배전 선로의 지중 전선 연결용 커넥터
KR101868124B1 (ko) 공동주택 단지내 누전방지 전기맨홀
CN104818693B (zh) 一种组合防水基座
KR101673170B1 (ko) 배전선 안착용 전선라인 절연대
KR100708432B1 (ko) 지중매설방식의 송배전기
RU2331737C2 (ru) Способ усиления и защиты старых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фундаментов, свай и стоек электроустановок от воздействия окружающей среды
KR102309942B1 (ko) 전력 지중화 구간에 설치되는 인출식 지중 매립형 배전반
CN2406346Y (zh) 直流输电组合式深井接地极
CN109282153B (zh) 一种用于地下管网的新式检测线引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