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749B1 -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 Google Patents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7749B1
KR101367749B1 KR1020130136244A KR20130136244A KR101367749B1 KR 101367749 B1 KR101367749 B1 KR 101367749B1 KR 1020130136244 A KR1020130136244 A KR 1020130136244A KR 20130136244 A KR20130136244 A KR 20130136244A KR 101367749 B1 KR101367749 B1 KR 101367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tunnel
trough
hydraulic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6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은옥
Original Assignee
공은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은옥 filed Critical 공은옥
Priority to KR1020130136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7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H02G9/025Coverings therefor, e.g. t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005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by using val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80Arrangements for signal proces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8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tu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중에 콘크리트 구조물로 설치되며 바닥 슬래브와, 상기 바닥 슬래브의 상부에 설치되는 터널 벽체와, 상기 터널 벽체의 상단을 복개하는 터널 덮개가 구비된 터널과; 상기 터널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러프 바닥판과, 상기 프래프 바닥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트러프 벽체와, 상기 트러프 벽체의 상단을 복개하는 트러프 덮개가 구비되며, 그 내부에 지중전선이 배선되는 트러프와; 상기 터널 내에 물이 유입되었을 때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수단과; 상기 수위감지수단의 감지신호에 따라 트러프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터널 내에 유입된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수단; 및 상기 수위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수위감지신호에 따라 승강수단과 배수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터널 내에 물이 유입되었을 때 수용된 트러프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상향 도피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터널 내로 유입된 물을 배수시킴으로써 침수 피해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Bracket for connecting electric power distribution cable in underground}
본 발명은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터널 내로 물이 유입되었을 때 송배전선이 수용된 트러프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상향 도피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터널 내로 유입된 물을 배수시킴으로써 침수 피해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 지역의 전력수용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도로변에 전신주를 일정 간격으로 세우고, 이에 절연대와 애자를 이용하여 송배전선을 가설하는 가공 송배전 시설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가공 송배전 시설은 가공 송배전선이 복잡하게 얽혀 있게 되어 누전이나 단락 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태풍이나 강우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으며, 도심지 미관을 해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1973년도에 처음으로 송배전선의 지중화 사업이 시작되어 가공 송배전 시설의 설치가 기술적으로 불가능하고 유지보수가 곤란한 지역과, 가공선이 집중되어 있는 변전소 인출 부근, 고가도로, 고속도로, 철도 등을 횡단하는 장소, 부하밀도가 높고 고층빌딩으로서 공급 여력을 확보하는데 다회선 구성이 기술적으로 곤란한 장소, 사업비지원, 지역주민의 행정관서와의 업무협조가 원활한 지역 등 변전소 건설시나 기존 변전소 주변압기 증설시 다회선의 배전선을 인출하기 위해 전력구 또는 배전지중 대비관로를 시설하여 장차 부하 증가에 대비할 필요가 있는 지역에 집중적으로 송배전선의 지중화 사업을 추진하여 왔다.
최근에는 전기설비기술기준, 기타 관계 법규(도로법, 도시계획법, 건축법, 하천법, 공원법, 소방법 등에 의해 제한을 받아 가공 송배전 시설을 설치할 수 없는 지역, 지중공급지역, 지중배전 공급예정지역, 지중화 확정지역에서 송배전선로를 설치하는 경우, 행정관서 또는 고객의 요청으로 지중선로로 공급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인정되는 지역, 발전소와 변전소 인출구 등 회선수가 많아 가공 송배전 시설을 설치하기 곤란한 지역, 장경간으로 가공 송배전 시설의 설치가 곤란한 교량 지역, 기타 시설방법, 보안상 및 기술적으로 지중 선로로 시설함이 타탕한 지역에 대하여 지중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외국의 송배전선의 지중화율은 런던과 파리가 100%에 달하는 등 전 세계에서 송배전선의 지중화 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지중 송배전선 시설은 설치 방식에 따라서 직매식과 관로식 및 전력구식으로 구분된다.
직매식은 배전선의 방호를 위하여 트러프(Through) 내에 케이블을 시설한 후 트러프와 케이블 사이에 모래를 채운 후 뚜껑을 덮는 방식이다. 매설깊이는 전기설비기술기준령에 의거 차량 등의 중량물의 압력을 받는 장소에는 1~2m 이상, 기타 장소에서는 60cm이상으로 하지만 타 지하매설물이 있을 경우에는 타 지하매설물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깊이를 조정하도록 하고 있다.
관로식은 관로와 맨홀을 설치한 후 케이블을 관로에 인입하여 맨홀 내에서 케이블을 접속할 수 있도록 포설하는 방식이다. 직매식과 같이 도로를 장기간 굴착된 상태로 유지할 수 없는 도심지의 교통량이 많은 장소에 적용되며, 차후 증설이 예상되는 장소의 재굴착시에 따르는 문제점을 고려하여 미리 관로와 맨홀을 설치한다.
전력구식은 지중에 작업자가 통행할 수 있는 크기의 터널을 구축하고 이 터널의 양 옆에 지지물(선반)을 설치하여 케이블을 지지물(선반)에 지지하는 방식이다. 암거식 또는 동도(洞道)식이라고도 한다. 전력구식은 케이블 수가 20가닥 이상인 경우와 변전소 인출부 같이 다회선이 요구되는 지역 등에 유리하며, 초고압 이상의 케이블을 사용할 경우 유지, 보수 및 점검 등의 편리성 및 열방산이 좋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력구식 지중 송배전 시설의 경우 집중호우나 홍수 등이 발생할 경우 내부로 다량의 물이 유입 염려가 있으며, 이 경우 지중 송배전선이 물과 접촉하거나 침수되어 누전과 이로 인한 정전 사고를 초래하게 된다.
종래 선행기술로서는 전력구식 지중 송배전 시설에서 지중 송배전선을 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터널 내에 물이 유입하였을 때 송배전선이 수용된 트러프를 물로부터 상향 도피시켜 침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1039358호의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 등록 제10-1039358호는 수위 상승에 따라 플레이트를 상승시키기만 할 뿐 스프링은 스스로 수축되지 않기 때문에 본래의 위치로 복귀되지 못하므로 작업자에 의해서 강제적으로 하강시켜야 하나 스프링의 탄성이 큰 경우에는 인력에 의해서도 하강작업이 쉽지 않아 유지 보수가 난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특허 등록 제10-1039358호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라는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271746호의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 특허들은 부력체를 사용하여 터널 내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부력체의 부력에 의하여 리미트스위치를 작동시켜 송배전선이 수용된 트러프를 물로부터 상향 도피시키는 것으로서 일정 이하의 수위에서는 부력체의 부상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등 감지감도가 낮아 수위 변동에 대한 대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특허 등록 제10-1039358호 및 제10-1271746호는 터널 내로 유입된 물로부터 트러프를 상향 도피시키는 수단만을 구비하고 있을 뿐, 유입된 물을 배수하여 원천적으로 침수를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으며, 터널 내에서 트러프를 상향 도피시킬 수 있는 범위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침수 피해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터널 내에 물이 유입되었을 때 신속하고 원활하게 대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널 내로 침투한 물을 배수함으로써 침수 피해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1039358호 (2011.05.31. 등록)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1271746호 (2013.05.30. 등록)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터널 내로 물이 유입되었을 때 송배전선이 수용된 트러프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상향 도피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터널 내로 유입된 물을 배수시킴으로써 침수 피해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중에 콘크리트 구조물로 설치되며 바닥 슬래브와, 상기 바닥 슬래브의 상부에 설치되는 터널 벽체와, 상기 터널 벽체의 상단을 복개하는 터널 덮개가 구비된 터널과; 상기 터널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러프 바닥판과, 상기 트러프 바닥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트러프 벽체와, 상기 트러프 벽체의 상단을 복개하는 트러프 덮개가 구비되며, 그 내부에 지중전선이 배선되는 트러프와; 상기 터널 내에 물이 유입되었을 때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수단과; 상기 수위감지수단의 감지신호에 따라 트러프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터널 내에 유입된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수단; 및 상기 수위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수위감지신호에 따라 승강수단과 배수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중전선은 상기 트러프 바닥판에 고정되는 하부 고정체와, 상기 하부 고정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고정체와, 상기 지중전선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그랩퍼와, 상기 하부 고정체와 그랩퍼, 상부 고정체와 그랩퍼 사이에 탄력 설치되는 완충스프링이 구비된 고정구에 의하여 트러프에 고정되고,
상기 수위감지수단은 상기 터널의 일측벽 내면에 고정브래킷에 의하여 고정되는 수위감지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트러프 바닥판의 하면에 일단이 고정된 유압실린더 본체와, 상기 유압실린더 본체의 하단에서 하향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압실린더 로드가 구비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 로드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어 바닥 슬래브의 상면에 지지되는 유압실린더 로드 받침판과, 상기 바닥 슬래브의 상면에 하단이 고정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는 복수개의 승강안내봉과, 상기 트러프 바닥판의 양측에 천공되어 상기 승강안내봉이 삽입 관통되는 안내공과, 상기 안내공과 동축으로 상기 프래프 바닥판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안내봉이 삽입 관통되는 선형 베어링과, 상기 유압실린더 본체에 작동유를 공급하기 위하여 작동유를 펌핑하는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실린더 본체에 공급되었다가 복귀하는 작동유를 저류하는 작동유저류탱크 및, 상기 유압펌프로부터 유압실린더 본체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방향을 제어하는 유압방향전환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배수수단은 상기 터널의 바닥 슬래브의 양측에 터널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측구형 배수로와, 상기 배수로의 상면에 복개되는 격자형 덮개와, 상기 측구형 배수로의 일단에 연결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에 설치되는 배수밸브와, 상기 배수관에 설치되는 배수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수위감지수단의 수위감지센서의 수위감지신호를 중앙처리장치에 전달하는 수위감지신호 입력부와, 상기 수위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수단의 유압펌프를 구동하는 유압펌프 구동부와, 상기 수위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수단의 유압방향전환밸브를 구동하는 유압방향전환밸브 구동부와, 상기 수위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배수수단의 배수밸브와 배수펌프를 구동하는 배수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터널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를 구비한 수위감지수단과 트러프와 송배전선 전체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터널 내에 유입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수단 및 승강수단과 배수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으로서, 터널 내에 물이 유입되었을 때 수용된 트러프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상향 도피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터널 내로 유입된 물을 배수시킴으로써 침수 피해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터널 내에 물이 유입되지 않은 상태의 종단면도,
도 2는 터널 내에 물이 유입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배수로와 배수밸브 및 배수펌프를 포함하는 배수수단을 보인 도 2의 A-A선 부분 확대 단면도,
도 4는 유압실린더가 정지된 상태를 보인 배수수단과 승강수단 및 제어수단을 보인 블록도,
도 5는 유압실린더가 전진하는 상태를 보인 배수수단과 승강수단 및 제어수단을 보인 블록도,
도 6은 유압실린더가 후진하는 상태를 보인 배수수단과 승강수단 및 제어수단을 보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중에 콘크리트 구조물로 설치되며 바닥 슬래브(110)와, 상기 바닥 슬래브(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터널 벽체(120)와, 상기 터널 벽체(120)의 상단을 복개하는 터널 덮개(130)가 구비된 터널(100)과;
상기 터널(100)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러프 바닥판(210)과, 상기 프래프 바닥판(210)의 상부에 설치되는 트러프 벽체(220)와, 상기 트러프 벽체(220)의 상단을 복개하는 트러프 덮개(230)가 구비되며, 그 내부에 지중전선(300)이 배선되는 트러프(200)와;
상기 터널(100) 내에 물이 유입되었을 때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수단(400)과;
상기 수위감지수단(400)의 감지신호에 따라 트러프(200)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500)과;
상기 터널(100) 내에 유입된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수단(600); 및
상기 수위감지수단(400)에 의해 감지된 수위감지신호에 따라 승강수단(500)과 배수수단(600)을 제어하는 제어수단(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터널(100)은 현장에서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현장 타설식으로 구축하거나 공장에서 성형한 콘크리트 블록을 현장에 운반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는 현장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터널(100)은 송배전 거리에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터널로 구성하고, 터널과 터널 사이에는 맨홀(미도시)을 설치하여 작업자가 맨홀을 통해 터널(100) 내로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인바, 맨홀은 본 발명의 핵심기술이 아니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트러프(200)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트러프 바닥판(210)과 트러프 벽체(220)는 용접이나 볼트, 너트 등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트러프 벽체(220)와 트러프 덮개(230)는 볼트, 너트 등에 의하여 결합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중전선(300)은 22,900볼트 이상의 고압용 전선과 230볼트의 저압용 전선 및 통신용 전선 중 어느 한 종류의 전선 또는 둘 종류 이상의 전선일 수 있으며, 둘 종류 이상의 전선일 경우에는 상하 복층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지중전선(300)은 고정구(310)에 의하여 상기 트러프 바닥판(210) 상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구(310)는 상기 트러프 바닥판(210)에 고정되는 하부 고정체(311)와, 상기 하부 고정체(311)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고정체(312)와, 상기 지중전선(30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그랩퍼(313)와, 상기 하부 고정체(311)와 그랩퍼(313), 상부 고정체(312)와 그랩퍼(313) 사이에 탄력 설치되는 완충스프링(314)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고정체(311)와 상부 고정체(312)는 볼트, 너트 또는 클램프 등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그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수위감지수단(400)은 상기 터널(100)의 일측벽 내면에 고정브래킷(420)에 의하여 고정되는 수위감지센서(410)로 구성된다.
상기 수위감지센서(410)는 도시예와 같이 전극식 수위계, 정전용량식 수위계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초음파식 수위계, 레이더식 수위계, 레이저식 수위계, 초음파식 수위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플로트식 수위계의 사용은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승강수단(500)은 상기 트러프 바닥판(210)의 하면에 일단이 고정된 유압실린더 본체(511)와, 상기 유압실린더 본체(511)의 하단에서 하향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압실린더 로드(512)가 구비되는 유압실린더(510)와, 상기 유압실린더 로드(512)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어 바닥 슬래브(110)의 상면에 지지되는 유압실린더 로드 받침판(520)과, 상기 바닥 슬래브(110)의 상면에 하단이 고정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는 복수개(도면에서는 2개만 보임)의 승강안내봉(530)과, 상기 트러프 바닥판(210)의 양측에 천공되어 상기 승강안내봉(530)이 삽입 관통되는 안내공(540)과, 상기 안내공(540)과 동축으로 상기 프래프 바닥판(210)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안내봉(530)이 삽입 관통되는 선형 베어링(linear bearing)(550)과, 상기 유압실린더 본체(511)에 작동유를 공급하기 위하여 작동유를 펌핑하는 유압펌프(560)와, 상기 유압실린더 본체(511)에 공급되었다가 복귀하는 작동유를 저류하는 작동유저류탱크(570) 및, 상기 유압펌프(560)로부터 유압실린더 본체(511)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방향을 제어하는 유압방향전환밸브(5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압실린더(510)는 그 자체가 침수되었을 때 기능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수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압실린더 로드 받침판(520)과 상기 승강안내봉(530)의 하단에 결합된 승강안내봉 받침판(531)은 각각 앵커볼트(미도시) 등에 의하여 바닥 슬래브(110)의 상면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선형 베어링(550)으로서는 화이트메탈 부시 또는 리니어 볼 베어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압방향전환밸브(580)는 솔레노이드 작동식 3위치 4포트 스풀밸브(Spool Valv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3위치 4포트 스풀밸브는 중앙의 제1 위치인 닫힘위치에는 4개의 포트가 모두 막혀 있고, 일단(도면에서는 상단)의 제2 위치인 전진위치에는 2개의 포트씩 서로 평행한 통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도면에서는 하단)의 제3 위치인 후진위치에는 2개의 포트씩 서로 교차하는 통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배수수단(600)은 상기 터널(100)의 바닥 슬래브(110)의 양측에 터널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측구형 배수로(610)와, 상기 배수로(610)의 상면에 복개되는 격자형 덮개(Steel Grating)(620)와, 상기 측구형 배수로(610)의 일단에 연결되는 배수관(630)과, 상기 배수관(630)에 설치되는 배수밸브(640)와, 상기 배수관(630)에 설치되는 배수펌프(6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1 내지 도 3 참조).
상기 제어수단(700)은 중앙처리장치(710)와, 상기 수위감지수단(400)의 수위감지센서(410)의 수위감지신호를 중앙처리장치(710)에 전달하는 수위감지신호 입력부(720)와, 상기 수위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수단(500)의 유압펌프(560)를 구동하는 유압펌프 구동부(730)와, 상기 수위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수단(500)의 유압방향전환밸브(580)를 구동하는 유압방향전환밸브 구동부(740)와, 상기 수위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배수수단(600)의 배수밸브(640)와 배수펌프(650)를 구동하는 배수구동부(7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압펌프(560)와 유압방향전환밸브(580)와 배수밸브(640) 및 배수펌프(650) 및 제어수단(700)은 각 터널(100) 별로 설치되는 콘트롤박스(미도시) 내에 설치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서 실선표시 라인은 제어라인을 보인 것이고, 점선표시 라인은 유압라인을 보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의 상태는 터널(100) 내에 물이 유입되지 않은 정상적인 상태를 보인 것으로, 이 상태에서는 수위감지수단(400)의 수위감지센서(410)가 감지신호를 발생하지 않으므로 유압펌프(560)와 유압방향전환밸브(580), 배수밸브(640) 및 배수펌프(650)에는 구동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승강수단(500)과 배수수단(600)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유압방향전환밸브(58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위치인 닫힘위치가 유압실린더 본체(511)에 대응하게 되어 유압실린더 본체(511) 내에 유입되어 있는 작동유가 빠져나오지 않고 가압된 상태로 압력을 유지하게 되어 그 압력에 의하여 트러프(200)와 송배전선(300) 전체의 하중을 지탱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호우나 홍수 등으로 인하여 터널(100) 내에 물이 유입되면, 1차적으로 터널(100)의 바닥 슬래브(110)의 양측에 구비된 배수로(610)에 모이게 되고, 수위감지수단(400)의 수위감지센서(410)는 유입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게 된다.
터널(100) 내의 수위가 바닥 슬래브(110)의 상면보다 낮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경우에는 수위감지신호 입력부(720)를 통해 수위감지수단(400)의 수위감지센서(410)의 수위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중앙처리장치(710)는 유압펌프 구동부(730)와 유압방향전환밸브 구동부(740)를 통한 유압펌프(560)와 유압방향전환밸브(580)의 상승구동신호는 전달하지 않고, 배수구동부(750)를 통해 배수밸브(640)와 배수펌프(650)에만 배수구동신호를 전달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배수밸브(640)가 개방됨과 아울러 배수펌프(650)가 작동하여 배수로(610) 내에 모인 물을 외부로 배수하게 된다.
배수가 완료되고 더 이상 물이 유입되지 않아 일정 시간 동안 수위가 상승하지 않고 “0”으로 유지되면, 수위감지신호 입력부(720)를 통해 수위감지수단(400)의 수위감지센서(410)의 수위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중앙처리장치(710)는 배수구동부(750)를 통해 배수밸브(640)와 배수펌프(650)에 배수정지신호를 전달하게 되어, 배수밸브(640)가 닫히고 배수펌프(650)가 정지하여 배수동작이 종료된다.
터널(100) 내에 유입된 물의 수위가 바닥 슬래브(110)의 상면보다 높게 상승하게 되면, 수위감지신호 입력부(720)를 통해 수위감지수단(400)의 수위감지센서(410)의 수위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중앙처리장치(710)가 유압펌프 구동부(730)와 유압방향전환밸브 구동부(740) 및 배수구동부(750)를 통해 각각 유압펌프(560)와 유압방향전환밸브(580)에는 상승구동신호를, 배수밸브(640)와 배수펌프(650)에는 배수구동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배수동작이 이루어지게 됨과 아울러 유압펌프(560)가 작동하여 작동유를 펌핑하게 되고, 아울러 유압방향전환밸브(580)는 제2 위치인 전진위치가 유압실린더 본체(511)에 대응하게 되어 압력유가 유압실린더 본체(511)의 상단부로 공급되고 하단부에 있는 작동유는 작동유저류탱크(570)로 복귀하게 되어 유압실린더 로드(512)가 하방으로 전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트러프(200)와 송배전선(300) 전체를 상승시키게 된다.
따라서 터널(100) 내에 물이 유입되더라도 배수수단(600)에 의해 배수함과 아울러 승강수단(500)에 의하여 트러프(200)와 송배전선(300) 전체를 상승시키므로 트러프(200)와 송배전선(300)의 침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터널(100) 내의 수위가 일정 이하로 하강하게 되면, 승강수단(500)에 의한 트러프(200)와 송배전선(300)의 상승동작이 종료되도록 할 수 있다.
배수가 완료되고 일정 시간 동안 수위가 상승하지 않고 “0”으로 유지되면, 수위감지신호 입력부(720)를 통해 수위감지수단(400)의 수위감지센서(410)의 수위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중앙처리장치(710)는 배수구동부(750)를 통해 배수밸브(640)와 배수펌프(650)에 배수정지신호를 전달하게 되어, 배수밸브(640)가 닫히고 배수펌프(650)가 정지하여 배수동작이 종료된다.
아울러 수위감지신호 입력부(720)를 통해 수위감지수단(400)의 수위감지센서(410)의 수위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중앙처리장치(710)는 유압펌프 구동부(730)와 유압방향전환밸브 구동부(740)를 통해 유압펌프(560)와 유압방향전환밸브(580)에 하강구동신호를 전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유압방향전환밸브(580)는 제3 위치인 후진위치가 유압실린더 본체(511)에 대응하게 되어 압력유가 유압실린더 본체(511)의 하단부로 공급되고 상단부에 있는 작동유가 작동유저류탱크(570)로 복귀하게 되어 유압실린더 로드(512)가 상방으로 후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트러프(200)와 송배전선(300) 전체가 최초의 높이까지 하강하게 된다.
상술한 유압실린더(510)의 작동에 있어서 유압실린더 로드(512)가 유압실린더(510)의 사양에 따른 상승한계와 하강한계에 이르게 되면, 유압실린더(510) 자체의 기능에 의하여 정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에 의하면, 터널(100) 내로 물이 유입되었을 때 배수와 함께 트러프(200)와 송배전선(300) 전체를 상승시키게 되므로 트러프(200)와 송배전선(300)의 침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터널 200 : 트러프
300 : 송배전선 400 : 수위감지수단
500 : 승강수단 600 : 배수수단
700 : 제어수단

Claims (1)

  1. 지중에 콘크리트 구조물로 설치되며 바닥 슬래브(110)와, 상기 바닥 슬래브(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터널 벽체(120)와, 상기 터널 벽체(120)의 상단을 복개하는 터널 덮개(130)가 구비된 터널(100)과; 상기 터널(100)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러프 바닥판(210)과, 상기 트러프 바닥판(210)의 상부에 설치되는 트러프 벽체(220)와, 상기 트러프 벽체(220)의 상단을 복개하는 트러프 덮개(230)가 구비되며, 그 내부에 지중전선(300)이 배선되는 트러프(200)와; 상기 터널(100) 내에 물이 유입되었을 때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수단(400)과; 상기 수위감지수단(400)의 감지신호에 따라 트러프(200)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500)과; 상기 터널(100) 내에 유입된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수단(600); 및 상기 수위감지수단(400)에 의해 감지된 수위감지신호에 따라 승강수단(500)과 배수수단(600)을 제어하는 제어수단(7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중전선(300)은 상기 트러프 바닥판(210)에 고정되는 하부 고정체(311)와, 상기 하부 고정체(311)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고정체(312)와, 상기 지중전선(30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그랩퍼(313)와, 상기 하부 고정체(311)와 그랩퍼(313), 상부 고정체(312)와 그랩퍼(313) 사이에 탄력 설치되는 완충스프링(314)이 구비된 고정구(310)에 의하여 트러프(200)에 고정되고,
    상기 수위감지수단(400)은 상기 터널(100)의 일측벽 내면에 고정브래킷(420)에 의하여 고정되는 수위감지센서(410)로 구성되며,
    상기 승강수단(500)은 상기 트러프 바닥판(210)의 하면에 일단이 고정된 유압실린더 본체(511)와, 상기 유압실린더 본체(511)의 하단에서 하향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압실린더 로드(512)가 구비되는 유압실린더(510)와, 상기 유압실린더 로드(512)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어 바닥 슬래브(110)의 상면에 지지되는 유압실린더 로드 받침판(520)과, 상기 바닥 슬래브(110)의 상면에 하단이 고정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는 복수개의 승강안내봉(530)과, 상기 트러프 바닥판(210)의 양측에 천공되어 상기 승강안내봉(530)이 삽입 관통되는 안내공(540)과, 상기 안내공(540)과 동축으로 상기 트러프 바닥판(210)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안내봉(530)이 삽입 관통되는 선형 베어링(550)과, 상기 유압실린더 본체(511)에 작동유를 공급하기 위하여 작동유를 펌핑하는 유압펌프(560)와, 상기 유압실린더 본체(511)에 공급되었다가 복귀하는 작동유를 저류하는 작동유저류탱크(570) 및, 상기 유압펌프(560)로부터 유압실린더 본체(511)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방향을 제어하는 유압방향전환밸브(58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배수수단(600)은 상기 터널(100)의 바닥 슬래브(110)의 양측에 터널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측구형 배수로(610)와, 상기 배수로(610)의 상면에 복개되는 격자형 덮개(620)와, 상기 측구형 배수로(610)의 일단에 연결되는 배수관(630)과, 상기 배수관(630)에 설치되는 배수밸브(640)와, 상기 배수관(630)에 설치되는 배수펌프(6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수단(700)은 중앙처리장치(710)와, 상기 수위감지수단(400)의 수위감지센서(410)의 수위감지신호를 중앙처리장치(710)에 전달하는 수위감지신호 입력부(720)와, 상기 수위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수단(500)의 유압펌프(560)를 구동하는 유압펌프 구동부(730)와, 상기 수위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수단(500)의 유압방향전환밸브(580)를 구동하는 유압방향전환밸브 구동부(740)와, 상기 수위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배수수단(600)의 배수밸브(640)와 배수펌프(650)를 구동하는 배수구동부(7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KR1020130136244A 2013-11-11 2013-11-11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KR101367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244A KR101367749B1 (ko) 2013-11-11 2013-11-11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244A KR101367749B1 (ko) 2013-11-11 2013-11-11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7749B1 true KR101367749B1 (ko) 2014-02-26

Family

ID=50272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6244A KR101367749B1 (ko) 2013-11-11 2013-11-11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7749B1 (ko)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7418B1 (ko) * 2016-10-17 2017-05-18 주식회사 우리스틸 에폭시 수지층을 갖는 강관을 이용한 공동구 차집관과 그 제조방법
KR101737415B1 (ko) * 2016-10-17 2017-05-19 주식회사 우리스틸 에폭시 수지층을 갖는 강관을 이용한 공동구 차집관과 그 제조방법
KR101737410B1 (ko) * 2016-10-17 2017-05-19 주식회사 우리스틸 에폭시 수지층을 갖는 강관을 이용한 공동구 차집관
KR101737411B1 (ko) * 2016-10-17 2017-05-19 주식회사 우리스틸 에폭시 수지층을 갖는 강관을 이용한 공동구 차집관
KR101737413B1 (ko) * 2016-10-17 2017-05-19 주식회사 우리스틸 에폭시 수지층을 갖는 강관을 이용한 공동구 차집관
KR101823311B1 (ko) * 2017-12-08 2018-01-29 홍기곤 내진구조와 위치가변이 가능한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1848089B1 (ko) * 2018-01-09 2018-04-11 (주)삼성엔지니어링 지중전선의 배전선로 보호패널
KR101939249B1 (ko) * 2018-07-09 2019-01-16 주식회사 다일테크 행거형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1939248B1 (ko) * 2018-07-09 2019-01-16 주식회사 다일테크 내진형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1939247B1 (ko) * 2018-07-09 2019-01-16 주식회사 다일테크 방진형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CN110021905A (zh) * 2019-03-21 2019-07-16 中国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预制装配式高压电缆隧道
KR102095680B1 (ko) * 2019-08-14 2020-03-31 정현철 주차 차단기
CN113818370A (zh) * 2021-10-25 2021-12-21 西安文理学院 一种具有排水阻水功能的地下停车库减速带装置及方法
KR102474155B1 (ko) * 2021-11-02 2022-12-05 주식회사 한창엔지니어링 출몰식 자동제어반
KR102584135B1 (ko) * 2022-11-03 2023-10-04 주식회사 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누전 차단을 위한 전기맨홀
CN117039644A (zh) * 2023-10-08 2023-11-10 泰州市通辰电气有限公司 一种小型箱式变电站
CN117913679A (zh) * 2024-03-15 2024-04-19 山东三晶照明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高速多脉冲直流远程供电系统
CN117913679B (zh) * 2024-03-15 2024-06-04 山东三晶照明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高速多脉冲直流远程供电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214B1 (ko) 2008-08-11 2008-11-06 주식회사 유진전기감리 전주의 가공선로 고정용 지지애자
KR100890063B1 (ko) 2008-12-04 2009-03-25 홍봉선 가공배전선 지지용 전주
KR100933506B1 (ko) 2009-09-16 2009-12-31 이호기술단(주) 가공배치형 배전선 지지 전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214B1 (ko) 2008-08-11 2008-11-06 주식회사 유진전기감리 전주의 가공선로 고정용 지지애자
KR100890063B1 (ko) 2008-12-04 2009-03-25 홍봉선 가공배전선 지지용 전주
KR100933506B1 (ko) 2009-09-16 2009-12-31 이호기술단(주) 가공배치형 배전선 지지 전주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7418B1 (ko) * 2016-10-17 2017-05-18 주식회사 우리스틸 에폭시 수지층을 갖는 강관을 이용한 공동구 차집관과 그 제조방법
KR101737415B1 (ko) * 2016-10-17 2017-05-19 주식회사 우리스틸 에폭시 수지층을 갖는 강관을 이용한 공동구 차집관과 그 제조방법
KR101737410B1 (ko) * 2016-10-17 2017-05-19 주식회사 우리스틸 에폭시 수지층을 갖는 강관을 이용한 공동구 차집관
KR101737411B1 (ko) * 2016-10-17 2017-05-19 주식회사 우리스틸 에폭시 수지층을 갖는 강관을 이용한 공동구 차집관
KR101737413B1 (ko) * 2016-10-17 2017-05-19 주식회사 우리스틸 에폭시 수지층을 갖는 강관을 이용한 공동구 차집관
KR101823311B1 (ko) * 2017-12-08 2018-01-29 홍기곤 내진구조와 위치가변이 가능한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1848089B1 (ko) * 2018-01-09 2018-04-11 (주)삼성엔지니어링 지중전선의 배전선로 보호패널
KR101939249B1 (ko) * 2018-07-09 2019-01-16 주식회사 다일테크 행거형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1939248B1 (ko) * 2018-07-09 2019-01-16 주식회사 다일테크 내진형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1939247B1 (ko) * 2018-07-09 2019-01-16 주식회사 다일테크 방진형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CN110021905A (zh) * 2019-03-21 2019-07-16 中国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预制装配式高压电缆隧道
KR102095680B1 (ko) * 2019-08-14 2020-03-31 정현철 주차 차단기
CN113818370A (zh) * 2021-10-25 2021-12-21 西安文理学院 一种具有排水阻水功能的地下停车库减速带装置及方法
KR102474155B1 (ko) * 2021-11-02 2022-12-05 주식회사 한창엔지니어링 출몰식 자동제어반
KR102584135B1 (ko) * 2022-11-03 2023-10-04 주식회사 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누전 차단을 위한 전기맨홀
CN117039644A (zh) * 2023-10-08 2023-11-10 泰州市通辰电气有限公司 一种小型箱式变电站
CN117039644B (zh) * 2023-10-08 2024-02-23 泰州市通辰电气有限公司 一种小型箱式变电站
CN117913679A (zh) * 2024-03-15 2024-04-19 山东三晶照明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高速多脉冲直流远程供电系统
CN117913679B (zh) * 2024-03-15 2024-06-04 山东三晶照明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高速多脉冲直流远程供电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749B1 (ko)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CN105113543B (zh) 浅埋0815型地下综合管廊拼装组合舱室混凝土结构
CN206346233U (zh) 一种污染场地垂直隔离修复系统
KR101873870B1 (ko) 수위별 펌프일체형 수문 조작시스템
US10975538B2 (en) Method and system for a retractable floodwall system
CN108350700A (zh) 用于控制建筑物竖直位置的系统和方法
CN107171189A (zh) 一种与变电站设备基础一体化的电缆隧道
KR101271746B1 (ko)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KR101195008B1 (ko) 힌지형 지중 방수함 장치
US865112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solating a section of fluid line
KR101177920B1 (ko) 특별 고압 한전 배전 선로의 지중 전선 연결용 커넥터
CN205476655U (zh) 满足特高压gis设备现场安装用全封闭移动厂房轨道
JP2014066123A (ja) 地下設置水力浮上型防護壁
CN106437842B (zh) 地铁过海区间排水型隧道的辅助兼转输排水泵站
KR101624518B1 (ko) 활선 프리캐스트맨홀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43725B1 (ko) 지중 전력 설비 매립형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117774B1 (ko) 밸브실의 기초콘크리트구조 및 이를 이용한 밸브실의 매설방법
JP5079748B2 (ja) 集合住宅において共用設備のメンテナンス及び更新が容易な地下トレンチ構造及びそれを用いる集合住宅
CN112085924A (zh) 一种山沟季节性河流冲击预警监测装置
KR200459236Y1 (ko) 소형 맨홀용 받침 구조물
CN215482547U (zh) 安全性高的阻车结构
CN219287075U (zh) 一种用于通行的隔水电缆保护槽
CN109599807B (zh) 槽钢组装式电缆槽盒
Memari et al. A New Milestone In Pan-European Network Leveraging On Shared Infrastructures
CN212809413U (zh) 一种山沟季节性河流冲击预警监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