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3506B1 - 가공배치형 배전선 지지 전주 - Google Patents

가공배치형 배전선 지지 전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3506B1
KR100933506B1 KR1020090087384A KR20090087384A KR100933506B1 KR 100933506 B1 KR100933506 B1 KR 100933506B1 KR 1020090087384 A KR1020090087384 A KR 1020090087384A KR 20090087384 A KR20090087384 A KR 20090087384A KR 100933506 B1 KR100933506 B1 KR 100933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ransformer
pressing plate
fixed
distribu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7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준
Original Assignee
이호기술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기술단(주) filed Critical 이호기술단(주)
Priority to KR1020090087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35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02G7/205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extending along a po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18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4Arrangements or devices for damping mechanical oscillations of lines, e.g. for reducing production of s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배치형 배전선 지지 전주에 관한 것으로, 중공을 갖는 관 형상을 이루고, 내면에는 기어형 내측걸림면(122)이 형성되며, 중공을 개구하는 개구홈(121)이 둘레에 형성된 지주 중부(120)와; 변압기(500)를 내설하고, 변압기(500)로 인입되는 전선이 관통하는 인입출홈(111)이 형성된 지주 하부(110)와; 하기 팬(400)의 내설을 위한 관 형상을 이루면서 지주 하부(110)에 내설되되, 관 형상으로 상방 돌출되고 개구된 제1출구(142a)가 형성된 인입대(142)와, 인입대(142)의 내면을 따라 돌출되어서 변압기(500)를 상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안착 지지하는 스페이서(143)를 갖춘 고정관(140)과; 스페이서(143) 상에 안착된 변압기(500)를 감싸는 관 형상을 이루고, 둘레를 따라 인입대(142)가 삽입돼 연통하는 중공이 형성되며, 내면에는 이 중공을 개구하는 다수의 제2출구(151)가 형성된 통풍관(150)과; 지주 하부(110), 지주 중부(120), 고정관(140) 및 통풍관(150)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면서 하단부를 개구한 개구부(161)를 갖춘 지주 기초(160)를 구비한 지주: 고정관(140)에 내설되어서 상부에 위치한 변압기(500)로 공기를 강제 이동시키되; 전원과 연결되면서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전극체(411)와, 지주 하부(110)의 내면으로부터 인입출되도록 고정 배치되는 누름판(412)과, 누름판(412)이 지주 하부(11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탄발 지지하는 스프링(413)과, 누름판(412)에 설치되어서 누름판(412)이 가압으로 눌리면 누름판(412)의 하방 이동을 따라 이동해서 이격된 한 쌍의 전극체(411)를 서로 연결해 통전되도록 누름 판(412)에 설치되는 전도성 재질의 통전체(414)를 갖춘 스위치(410)를 구비한 팬(400): 일방향 회전에 대해 탄발해서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지주의 중공에 내설되는 탄발형 회전축대(210)와; 탄발형 회전축대(210) 상에 회전가능하게 축조되어서 탄발형 회전축대(210)의 회전력으로 회전하고, 평평한 상면에는 제1,2회전축(221, 222)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1,2회전축(221, 222) 사이에는 한 쌍의 직선 레일(223)이 나란히 배치되는 한편, 둘레를 따라 누름판(412)이 간섭없이 맞물리면서 말단에는 누름판(412)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면(224a)이 형성된 안내홈(224)을 갖춘 회전차(220)와; 내측걸림면(122)과 맞물리는 기어형 메인롤(231)과, 이 메인롤(231)과 상하로 배치돼 동축으로 고정되는 기어형 서브롤(232)을 갖추고, 제1,2회전축(221, 222)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제1,2활차(230, 240);를 구비하는 앵커(200):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애자(10)를 매개로 일단에 배전선(11)을 고정하고, 타단이 개구홈(121)으로 인입되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곧은 막대형상을 이루고; 서브롤(232)과 맞물리는 기어형 걸림면(310)과, 레일(223)과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는 레일홈(301)을 형성하며; 제1,2활차(230, 240) 사이에 한 쌍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편; 서로 마주하게 되는 측면에는 스토퍼(320)와, 이 스토퍼(320)가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330)가 각각 형성되는 제1,2지지대(300, 300'): 및 지주 기초(160)의 바닥에 상호 이격 배치되는 제1,2종동기어(610, 620)와; 제1,2종동기어(610, 620)에 각각 동축으로 고정되어서, 지주 기초(160)와 나란히 입설되는 제1,2스크류바(630, 640)와; 제1,2스크류바(630, 640) 와 나란히 배치되는 고정가이드(650)와; 제1,2스크류바(630, 640) 및 고정가이드(350)가 관통하는 평판 형상으로 되고, 팬(400)을 상면에 안착지지하며, 제1,2스크류바(630, 640)와 볼스크류 방식으로 맞물려서 제1,2종동기어(610, 620)의 회전시 고정가이드(65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승강판(660)과; 제1,2종동기어(610, 620) 사이에 배치돼 맞물려 연동하고 개구부(161)를 통해 외부로 공개되며 관리자가 회전작업을 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에 편중 배치되는 핸들(671)을 갖춘 주동기어(670);를 구비한 승강기(600):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가공배치형 배전선 지지 전주{Electric pole}
본 발명은 가공배치형 배전선 지지 전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선은 발전소 및 변전소 등으로부터 송전된 전기를 소비지로 배전하기 위한 전선으로, 그 안전을 위해 지상으로부터 이격된 전주에 고정된다. 따라서, 배전선은 전도효율이 우수하고 경제적인 금속재질, 특히 구리 등이 적용된다.
한편, 배전선을 통해 배전되는 전기는 송전효율을 고려해 고압으로 변압되어 있으므로, 이를 가정과 같은 소비지의 규정 전압으로 낮추기 위해 전주에는 변압기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변압기는 전주의 직경과, 관리자의 편의 등을 이유로 외부에 설치되고 있다.
그런데, 변압기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외력에 의한 파손이 빈번하고, 낙뢰에 의한 훼손 또한 적지않게 발생하고 있다.
계속해서, 배전선에 적용되는 금속재질은 온도에 따른 팽창 및 수축 변화가 커서, 여름에는 열에 의한 팽창으로 늘어지고, 겨울에는 냉기에 의한 수축으로 팽 팽해진다. 따라서, 온도가 높아져서 배전선이 팽창하면, 배전선이 지면 가까이 늘어져서 통행차량 또는 통행인에게 위협을 가할 수 있고, 외관 또한 미려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온도가 낮아져서 배전선이 수축하면, 배전선이 받는 장력이 커져서 배전선을 고정하는 애자 등에 무리를 줄 수 있다. 물론, 상기 무리는 애자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한편, 배전선의 팽창과 수축의 반복으로 자체 길이가 점차 늘어나면서 배전선의 수명 또한 단축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변압기가 외력 또는 낙뢰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해서 유지 및 관리 효율을 개선시키고, 팽창 및 수축으로부터 배전선이 받는 물리적인 영향을 최소화함은 물론, 고온에 의한 늘어짐을 방지해서 인근을 통행하는 보행자 및 차량을 보호할 수 있는 가공배치형 배전선 지지 전주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공을 갖는 관 형상을 이루고, 내면에는 기어형 내측걸림면(122)이 형성되며, 중공을 개구하는 개구홈(121)이 둘레에 형성된 지주 중부(120)와; 변압기(500)를 내설하고, 변압기(500)로 인입되는 전선이 관통하는 인입출홈(111)이 형성된 지주 하부(110)와; 하기 팬(400)의 내설을 위한 관 형상을 이루면서 지주 하부(110)에 내설되되, 관 형상으로 상방 돌출되고 개구된 제1출구(142a)가 형성된 인입대(142)와, 인입대(142)의 내면을 따라 돌출되어서 변압기(500)를 상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안착 지지하는 스페이서(143)를 갖춘 고정관(140)과; 스페이서(143) 상에 안착된 변압기(500)를 감싸는 관 형상을 이루고, 둘레를 따라 인입대(142)가 삽입돼 연통하는 중공이 형성되며, 내면에는 이 중공을 개구하는 다수의 제2출구(151)가 형성된 통풍관(150)과; 지주 하부(110), 지주 중부(120), 고정관(140) 및 통풍관(150)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면서 하단부를 개구한 개구부(161)를 갖춘 지주 기 초(160)를 구비한 지주:
고정관(140)에 내설되어서 상부에 위치한 변압기(500)로 공기를 강제 이동시키되; 전원과 연결되면서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전극체(411)와, 지주 하부(110)의 내면으로부터 인입출되도록 고정 배치되는 누름판(412)과, 누름판(412)이 지주 하부(11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탄발 지지하는 스프링(413)과, 누름판(412)에 설치되어서 누름판(412)이 가압으로 눌리면 누름판(412)의 하방 이동을 따라 이동해서 이격된 한 쌍의 전극체(411)를 서로 연결해 통전되도록 누름판(412)에 설치되는 전도성 재질의 통전체(414)를 갖춘 스위치(410)를 구비한 팬(400):
일방향 회전에 대해 탄발해서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지주의 중공에 내설되는 탄발형 회전축대(210)와; 탄발형 회전축대(210) 상에 회전가능하게 축조되어서 탄발형 회전축대(210)의 회전력으로 회전하고, 평평한 상면에는 제1,2회전축(221, 222)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1,2회전축(221, 222) 사이에는 한 쌍의 직선 레일(223)이 나란히 배치되는 한편, 둘레를 따라 누름판(412)이 간섭없이 맞물리면서 말단에는 누름판(412)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면(224a)이 형성된 안내홈(224)을 갖춘 회전차(220)와; 내측걸림면(122)과 맞물리는 기어형 메인롤(231)과, 이 메인롤(231)과 상하로 배치돼 동축으로 고정되는 기어형 서브롤(232)을 갖추고, 제1,2회전축(221, 222)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제1,2활차(230, 240);를 구비하는 앵커(200):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애자(10)를 매개로 일단에 배전선(11) 을 고정하고, 타단이 개구홈(121)으로 인입되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곧은 막대형상을 이루고; 서브롤(232)과 맞물리는 기어형 걸림면(310)과, 레일(223)과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는 레일홈(301)을 형성하며; 제1,2활차(230, 240) 사이에 한 쌍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편; 서로 마주하게 되는 측면에는 스토퍼(320)와, 이 스토퍼(320)가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330)가 각각 형성되는 제1,2지지대(300, 300'): 및
지주 기초(160)의 바닥에 상호 이격 배치되는 제1,2종동기어(610, 620)와; 제1,2종동기어(610, 620)에 각각 동축으로 고정되어서, 지주 기초(160)와 나란히 입설되는 제1,2스크류바(630, 640)와; 제1,2스크류바(630, 640)와 나란히 배치되는 고정가이드(650)와; 제1,2스크류바(630, 640) 및 고정가이드(350)가 관통하는 평판 형상으로 되고, 팬(400)을 상면에 안착지지하며, 제1,2스크류바(630, 640)와 볼스크류 방식으로 맞물려서 제1,2종동기어(610, 620)의 회전시 고정가이드(65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승강판(660)과; 제1,2종동기어(610, 620) 사이에 배치돼 맞물려 연동하고 개구부(161)를 통해 외부로 공개되며 관리자가 회전작업을 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에 편중 배치되는 핸들(671)을 갖춘 주동기어(670);를 구비한 승강기(600):
를 포함하는 가공배치형 배전선 지지 전주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변압기를 외력 및 낙뢰 등의 영향이 미치지 않는 지주에 내설해서 변압기의 보호효율을 높이고, 앵커를 매개로 배전선을 고정하는 지지대가 배전선의 팽창 및 수축 등의 상태변화에 따라 수평으로 회전하면서 이를 완화하므로, 배전선이 받는 장력과 앵커가 받는 장력을 최소화함은 물론, 배전선이 고온에 의해 팽창하면서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주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의 회전모습을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주는 지주 하부(110)와 지주 중부(120)와 지주 상부(130)와 지주 기초(160)로 구성되면서 중공을 갖추고 지면에 입설되는 지주와, 지주의 중공에 내설되는 앵커(200)와, 애자(10)를 매개로 배전선(11)을 고정하고 지주에 수평하게 고정되는 제1,2지지대(300, 300')와, 팬(400)과, 변압기(500)와 지주 기초(160)에 내설되는 승강기(600)로 구성된다.
상기 지주는 앵커(200) 및 제1,2지지대(300, 300')와 팬(400) 및 변압기(500)의 내설을 위해 중공을 갖추고, 특히 제1,2지지대(300, 300')의 인입출을 위해 지주 중부(120)에는 개구홈(121)을 형성한다. 또한, 팬(400) 및 변압기(500)가 내설되는 지주 하부(110)에는 배전선(11)으로부터 인출된 전선이 변압기(500)로 인입되도록 하기 위한 인입출홈(111)을 형성한다. 아울러, 팬(400)은 배터리 등을 이용한 자체 전원으로 구동할 수도 있고, 변압기(500)에서 변압된 전기를 공급받아 구동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팬(400)과 변압기(500)가 설치되는 지주 하부(110)에는 고정 관(140)이 내설된다.
고정관(140)은 팬(400)을 감싸는 관 형상이고, 상면에는 관 형상으로 돌출되고 상방 개구된 제1출구(142a)를 구비한 인입대(142)와, 인입대(142)의 내면을 따라 돌출되어서 변압기(500)를 상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안착 지지하는 스페이서(143)를 구비한다.
결국, 전술한 구조를 갖는 고정관(140)에 의해 팬(400) 및 변압기(500)는 상하로 순차 축조된다.
한편, 고정관(140)의 상면에는 변압기(500)를 둘러싸는 관 형상의 통풍관(150)이 보강 축조된다.
도 3(본 발명에 따른 고정관의 단면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풍관(150)은 둘레를 따라 중공이 형성되고, 이 중공은 관 내면을 따라 절개 형성된 제2출구(151)에 의해 개구된다. 이때, 상기 중공으로 인입대(142)가 삽입되면서 통풍관(150)과 고정관(140)은 서로 연통한다. 따라서, 팬(400)이 구동해 동작하면, 팬(400)에 의해 급상승하는 공기는 고정관(140)의 상단 중심은 물론 인입대(142)로도 유입되고, 인입대(142)로 유입된 공기는 제1출구(142a)를 통해 통풍관(150)으로 유입된 후 제2출구(151)를 통해 통풍관(150)의 중공으로 유입된다.
물론, 통풍관(150)의 중심에는 변압기(500)가 위치하므로, 제2출구(151)로 배출되는 공기는 과열된 변압기(500)를 냉각시킨다. 또한, 변압기(500)는 스페이서(143)에 의해 고정관(14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돼 안착되므로, 고정관(140)의 상 단 중심으로 이동하는 공기 또한 큰 간섭없이 변압기(500)의 냉각에 일조할 것이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전주는 지주에 내설된 팬(400)을 관리자가 용이하게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기(600)가 더 포함된다.
승강기(600)는 높은 위치에 배치된 팬(400)을 관리자가 지면에서 관리 및 보수하기 위해 지면으로 하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지주의 기초를 이루는 지주 기초(160)에 내설된다. 지주 기초(16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기(600)의 내설을 위해 직경이 확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지주 기초(160)는 승강기(600)의 조작을 위해 지주 기초(160)를 개방하는 개구부(161)가 형성된다.
승강기(600)는 지주 기초(160)의 바닥에 상호 이격 배치되는 제1,2종동기어(610, 620)와, 제1,2종동기어(610, 620)에 각각 동축으로 고정되어서 지주 기초(160)와 나란히 입설되는 제1,2스크류바(630, 640)와, 제1,2스크류바(630, 640)와 나란히 배치되는 고정가이드(650)와, 제1,2스크류바(630, 640) 및 고정가이드(350)가 관통하는 평판 형상으로 제1,2스크류바(630, 640)와 공지,공용의 볼스크류 방식으로 맞물려서 제1,2종동기어(610, 620)의 회전시 고정가이드(65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승강판(660)과, 제1,2종동기어(610, 620) 사이에 배치돼 맞물려 연동하고 개구부(161)를 통해 외부로 공개되며 관리자가 회전작업을 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에 편중 배치되는 핸들(671)을 갖춘 주동기어(670)로 된다.
여기서, 승강판(660) 상에는 변압기(500)가 안착된다.
참고로, 도 1에 도시한 고정관(140)은 원형의 관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해 도시한 것으로, 다른 한쪽 편은 그 도시를 생략하였다. 또한, 지주는 콘크리트 재질일 수 있는데, 중공 형성을 위해 지주 중부(120)는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앵커(200)는 제1,2지지대(300, 300')를 이동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으로, 지주 하부(110)에 내설되는 탄발형 회전축대(210)와, 탄발형 회전축대(210)에 고정되어서 강제로 회전하는 회전차(220)와, 회전차(220)의 상면에 상호 이격되도록 나란히 입설되어 회전하는 제1,2활차(230, 240)로 구성된다.
탄발형 회전축대(210)는 회전차(220)가 외력을 받아 일방향으로 수평회전할 경우 이에 탄발해 회전차(220)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태엽스프링, 토션스프링 또는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체가 내장되어서, 회전차(220)의 회전을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킬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탄발형 회전축대(210)의 탄발력은 배전선(11)을 당겨서 배전선(11)이 늘어짐 없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방향으로 발생한다.
회전차(220)는 탄발형 회전축대(210)에 조적되어 수평하게 회전하는 것으로, 수평하게 배치된 제1,2지지대(300, 300')가 기울어짐 없이 안정되도록 상면은 평평한 면을 이루고, 상기 상면에는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입설되는 제1,2회전축(221, 222)이 위치한다. 아울러, 제1,2지지대(300, 300')의 직선이동이 일정하면서 정확히 안내되도록 가이드하는 한 쌍의 레일(223)이 회전차(220)의 상면에 형성된다.
한편, 회전차(220)의 둘레면을 따라 안내홈(224)이 형성되되, 안내홈(224)의 말단에는 경사진 가압면(224a)이 형성된다. 여기서, 안내홈(224)은 스위치(410)의 누름판(412)이 간섭없이 삽입되도록 되어서 회전차(220)가 회전할 때 누름판(412)에 걸리지 않도록 하고, 가압면(224a)은 회전차(220)가 일정한 회전각 이상으로 회전하면 스위치(410)의 누름판(412)을 가압해 누르도록 성형된다.
제1,2활차(230, 240)는 각각 동축으로 회전하면서 상하로 배치되는 메인롤(231)과 서브롤(232)을 갖추고, 제1,2회전축(221, 222)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메인롤(231)과 서브롤(231)의 둘레면은 기어가 형성되어서, 지지대(300, 300')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면(310)과 지주 중부(120)의 내면에 형성된 내측걸림면(122)에 각각 맞물리고, 이를 통해 제1,2활차(230, 240)는 제1,2지지대(300, 300') 및 지주 중부(120)와 연동하게 된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제1,2지지대(300, 300')의 내용 설명과 더불어 한다.
제1,2지지대(300, 300')는 일단이 애자(10)를 매개로 배전선(11)과 연결되고, 타단이 지주 중부(120)의 개구홈(121)으로 삽입돼 일면에 형성된 걸림면(310)이 제1,2활차(230, 240)의 서브롤(232)과 각각 맞물린다.
이때, 상기 걸림면(31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지지대(300, 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고, 이에 상응해서 제1,2활차(230, 240)는 걸림면(3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된 부분이 맞물리는 경계홈(233)이 형성된다. 여기서, 경계홈(233)은 메인롤(231)과 서브롤(232)을 경계선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제1,2지지대(300, 300')와 제1,2활차(230, 240)는 상호 긴밀하게 맞물려서, 이탈 없이 정밀하게 연동한다.
계속해서, 제1,2지지대(300, 300')는 서로 이격 배치된 제1,2활차(230, 240)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되, 제1,2지지대(300, 300')가 마주하는 측면은 서로 밀착시켜서 제1,2지지대(300, 300')가 각자를 서로를 고정하는 기능을 갖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밀착은 제1,2지지대(300, 300')의 수평이동시 마찰을 일으키므로, 상기 측면에 리스를 도포하거나 바퀴를 고정시켜서 상기 마찰을 줄여야 할 것이다.
한편, 제1,2지지대(300, 300')가 마주하는 측면에는 각각 스토퍼(320)와 가이드(33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지지대(300)의 측면에 스토퍼(320)가 돌출형성되면, 제2지지대(300')의 측면에 스토퍼(320)가 맞물리는 홈 형상의 가이드(330)가 형성되어서, 제1,2지지대(300, 300')의 수평이동이 상호 이탈 없이 정밀하게 안내된다.
팬(400)은 상부에 위치한 변압기(500) 주변에 강제로 기류를 발생시켜서 가열된 변압기(500)를 냉각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변압기(500)는 지주의 중공에 내설되므로, 그 구동시 자체 발열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특히, 더운 여름철에는 그 가열 정도가 크므로, 변압기(500)가 큰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주는 변압기(500)가 무리하게 열을 받을 수 있을 정도로 기온이 상승하면, 이를 감지해 자동으로 구동하도록 되고, 이를 위해 팬(4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위치(410)는 지주 하부(110)의 내면에 위치한다.
도 4(본 발명에 따른 회전차의 동작모습을 도시한 도면)를 참조해 상세히 설 명하면, 스위치(410)는 전원과 연결되면서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전극체(411)와, 지주 하부(11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서 회전차(220)의 안내홈(224)에 삽입되는 누름판(412)과, 누름판(412)이 지주 하부(110)의 내면으로부터 항시 돌출되도록 탄발 지지하는 스프링(413)과, 누름판(412)에 설치되어서 누름판(412)이 가압면(224a)의 가압으로 눌리면 누름판(412)의 하방 이동을 따라 이동하면서 이격된 한 쌍의 전극체(411)를 서로 연결해 통전되도록 누름판(412)에 설치되는 전도성 재질의 통전체(414)로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팬(400)은 그 구동을 위해 필요한 전기공급을 별도의 배터리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고, 변압기(500)에서 변압된 전기를 인출해 공급받을 수도 있다. 이렇게 공급되는 전기를 전원으로 한 한 쌍의 전극체(411)가 서로 이격 배치되고, 누름판(412)에 고정된 통전체(414)는 누름판(412)의 상하 이동을 따라 이동하면서 양단이 전극체(411)와 각각 탈착되며, 이를 통해 전극체(411)는 통전 여부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판(412)은 안내홈(224)에 있을 땐 압력을 받지 않지만, 회전차(220)가 일정 각 이상으로 회전해서 가압면(224a)이 누름판(412)에 미치면 누름판(412)은 하방으로 이동하고, 이를 통해 누름판(412)에 고정된 통전체(414)는 한 쌍의 전극체(411)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여기서, 가압면(224a)이 누름판(412)에 압력을 가했다는 것은 회전차(220)가 충분히 회전했다는 것이고, 이는 배전선(11)이 고온에 의해 지나치게 늘어난 것을 의미하므로, 변압기(500)는 팬(400)에 의해 냉각이 필요할 때일 것이다.
이상 설명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동작모습을 설명한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지지대(300, 300')는 제1,2활차(230, 240) 사이에서 측면이 상호 맞물리도록 배치되고, 제1,2활차(230, 240)의 서브롤(232)과 기어를 매개로 맞물린다. 물론, 제1지지대(300)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320)는 제2지지대(300')의 측면에 절개 형성된 가이드(330)와 맞물려서, 제1,2지지대(300, 300')의 이동범위가 가이드(330)의 길이를 벗어나지 않는다. 또한, 회전차(220)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1,2지지대(300, 300')는 저면에 형성된 레일홈(301)이 회전차(220)의 상면에 형성된 레일(223)과 이동가능하게 맞물려서, 제1,2지지대(300, 300')가 탈선없이 정밀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된다.
한편, 서브롤(232)과 동축으로 회전하는 메인롤(231)은 지지 중부(120)에 형성된 내측걸림면(122)과 기어를 매개로 맞물린다.
계속해서, 고온으로 인해 배전선(11)이 팽창하면, 배전선(11)이 늘어지면서 제1,2지지대(300, 300')가 받는 장력을 약화시키고, 늘어짐이 지속되면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장력은 탄발형 회전축대(210)가 가하는 탄발력 보다 낮아져서 탄발형 회전축대(210)는 회전차(220)를 회전시키게 된다.
회전차(220)가 회전하면, 회전차(220)의 상면에 입설된 제1,2활차(230, 240)도 회전차(220)를 따라 이동하는데, 이때 제1,2활차(230, 240)의 메인롤(231)은 지주 중부(120)의 내측걸림면(122)과 맞물리면서 회전하게 된다. 물론, 그 회전방향은 회전차(220)의 회전방향과 반대일 것이다.
한편, 메인롤(231)의 회전은 메인롤(231)과 동축으로 회전하는 서브롤(232) 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서브롤(232)은 제1,2지지대(300, 300')의 걸림면(310)과 맞물리므로, 제1,2지지대(300, 300')는 서브롤(232)이 가하는 회전력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연동을 통해 팽창돼 늘어지는 배전선(11)은 제1,2지지대(300, 300')가 회전하면서 이를 당겨 늘어짐을 방지한다. 아울러, 제1,2지지대(300, 300')는 지주를 중심으로 회전하더라도 지주로부터 인출되면서 배전선(11)이 지주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지주와 배전선(11) 간의 접촉에 의한 전기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방지한다.
한편, 제1,2지지대(300, 300')의 회전과는 상관없이 애자(10)는 배전선(11)을 일정한 방향으로 배선되도록 고정해야 하므로, 애자(10)는 제1,2지지대(300, 300')에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주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의 회전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관의 단면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차의 동작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1)

  1. 중공을 갖는 관 형상을 이루고, 내면에는 기어형 내측걸림면(122)이 형성되며, 중공을 개구하는 개구홈(121)이 둘레에 형성된 지주 중부(120)와; 변압기(500)를 내설하고, 변압기(500)로 인입되는 전선이 관통하는 인입출홈(111)이 형성된 지주 하부(110)와; 하기 팬(400)의 내설을 위한 관 형상을 이루면서 지주 하부(110)에 내설되되, 관 형상으로 상방 돌출되고 개구된 제1출구(142a)가 형성된 인입대(142)와, 인입대(142)의 내면을 따라 돌출되어서 변압기(500)를 상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안착 지지하는 스페이서(143)를 갖춘 고정관(140)과; 스페이서(143) 상에 안착된 변압기(500)를 감싸는 관 형상을 이루고, 둘레를 따라 인입대(142)가 삽입돼 연통하는 중공이 형성되며, 내면에는 이 중공을 개구하는 다수의 제2출구(151)가 형성된 통풍관(150)과; 지주 하부(110), 지주 중부(120), 고정관(140) 및 통풍관(150)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면서 하단부를 개구한 개구부(161)를 갖춘 지주 기초(160)를 구비한 지주:
    고정관(140)에 내설되어서 상부에 위치한 변압기(500)로 공기를 강제 이동시키되; 전원과 연결되면서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전극체(411)와, 지주 하부(110)의 내면으로부터 인입출되도록 고정 배치되는 누름판(412)과, 누름판(412)이 지주 하부(11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탄발 지지하는 스프링(413)과, 누름판(412)에 설치되어서 누름판(412)이 가압으로 눌리면 누름판(412)의 하방 이동을 따라 이동해서 이격된 한 쌍의 전극체(411)를 서로 연결해 통전되 도록 누름판(412)에 설치되는 전도성 재질의 통전체(414)를 갖춘 스위치(410)를 구비한 팬(400):
    일방향 회전에 대해 탄발해서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지주의 중공에 내설되는 탄발형 회전축대(210)와; 탄발형 회전축대(210) 상에 회전가능하게 축조되어서 탄발형 회전축대(210)의 회전력으로 회전하고, 평평한 상면에는 제1,2회전축(221, 222)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1,2회전축(221, 222) 사이에는 한 쌍의 직선 레일(223)이 나란히 배치되는 한편, 둘레를 따라 누름판(412)이 간섭없이 맞물리면서 말단에는 누름판(412)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면(224a)이 형성된 안내홈(224)을 갖춘 회전차(220)와; 내측걸림면(122)과 맞물리는 기어형 메인롤(231)과, 이 메인롤(231)과 상하로 배치돼 동축으로 고정되는 기어형 서브롤(232)을 갖추고, 제1,2회전축(221, 222)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제1,2활차(230, 240);를 구비하는 앵커(200):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애자(10)를 매개로 일단에 배전선(11)을 고정하고, 타단이 개구홈(121)으로 인입되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곧은 막대형상을 이루고; 서브롤(232)과 맞물리는 기어형 걸림면(310)과, 레일(223)과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는 레일홈(301)을 형성하며; 제1,2활차(230, 240) 사이에 한 쌍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편; 서로 마주하게 되는 측면에는 스토퍼(320)와, 이 스토퍼(320)가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330)가 각각 형성되는 제1,2지지대(300, 300'): 및
    지주 기초(160)의 바닥에 상호 이격 배치되는 제1,2종동기어(610, 620)와; 제1,2종동기어(610, 620)에 각각 동축으로 고정되어서, 지주 기초(160)와 나란히 입설되는 제1,2스크류바(630, 640)와; 제1,2스크류바(630, 640)와 나란히 배치되는 고정가이드(650)와; 제1,2스크류바(630, 640) 및 고정가이드(350)가 관통하는 평판 형상으로 되고, 팬(400)을 상면에 안착지지하며, 제1,2스크류바(630, 640)와 볼스크류 방식으로 맞물려서 제1,2종동기어(610, 620)의 회전시 고정가이드(65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승강판(660)과; 제1,2종동기어(610, 620) 사이에 배치돼 맞물려 연동하고 개구부(161)를 통해 외부로 공개되며 관리자가 회전작업을 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에 편중 배치되는 핸들(671)을 갖춘 주동기어(670);를 구비한 승강기(6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치형 배전선 지지 전주.
KR1020090087384A 2009-09-16 2009-09-16 가공배치형 배전선 지지 전주 KR100933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384A KR100933506B1 (ko) 2009-09-16 2009-09-16 가공배치형 배전선 지지 전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384A KR100933506B1 (ko) 2009-09-16 2009-09-16 가공배치형 배전선 지지 전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3506B1 true KR100933506B1 (ko) 2009-12-31

Family

ID=41684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384A KR100933506B1 (ko) 2009-09-16 2009-09-16 가공배치형 배전선 지지 전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350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555B1 (ko) 2012-09-10 2012-12-12 주식회사 우진엔지니어링 송배전선 지지용 절연 완철
KR101339333B1 (ko) 2013-05-15 2013-12-10 미래전기기술단(주)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 고정식 완철
KR101352421B1 (ko) 2013-09-25 2014-01-17 하봉구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KR101355103B1 (ko) 2013-10-10 2014-01-22 공은옥 가공배전선 고정용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
KR101357282B1 (ko) 2013-09-12 2014-01-28 노영철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
KR101367749B1 (ko) 2013-11-11 2014-02-26 공은옥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500Y1 (ko) 2002-04-20 2002-07-22 주식회사 덕성 통신케이블 지지선의 장력 조절구
JP2006007515A (ja) * 2004-06-24 2006-01-12 Tostem Corp 木質系部材
KR20080083826A (ko) * 2007-03-13 2008-09-19 세정감리(주) 송전선용 진동방지장치
KR100881354B1 (ko) 2008-11-01 2009-02-02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송전용 가공전선의 송전철탑용 장력완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500Y1 (ko) 2002-04-20 2002-07-22 주식회사 덕성 통신케이블 지지선의 장력 조절구
JP2006007515A (ja) * 2004-06-24 2006-01-12 Tostem Corp 木質系部材
KR20080083826A (ko) * 2007-03-13 2008-09-19 세정감리(주) 송전선용 진동방지장치
KR100881354B1 (ko) 2008-11-01 2009-02-02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송전용 가공전선의 송전철탑용 장력완화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555B1 (ko) 2012-09-10 2012-12-12 주식회사 우진엔지니어링 송배전선 지지용 절연 완철
KR101339333B1 (ko) 2013-05-15 2013-12-10 미래전기기술단(주)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 고정식 완철
KR101357282B1 (ko) 2013-09-12 2014-01-28 노영철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
KR101352421B1 (ko) 2013-09-25 2014-01-17 하봉구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KR101355103B1 (ko) 2013-10-10 2014-01-22 공은옥 가공배전선 고정용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
KR101367749B1 (ko) 2013-11-11 2014-02-26 공은옥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3506B1 (ko) 가공배치형 배전선 지지 전주
KR100940122B1 (ko) 특고압 배전선 고정용 완철
CN108279706B (zh) 具有齿轮滚筒的可移动伸缩太阳能电池板
KR100940121B1 (ko) 가공배전선 안착 앵커를 갖춘 전주대
CN107601171A (zh) 一种纺织机械用高效上蜡装置
KR100811033B1 (ko) 배전용 전선의 고정식 애자
CN103133777B (zh) 一种可调节移动旋转式组合支架
KR100939091B1 (ko) 변전용 변압기 장착형 2차 선로 위치조정대
CN105502213B (zh) 变电设备顶升装置及其调整机构
CN109179280A (zh) 一种电力施工用维修架
CN206595618U (zh) 环保气体绝缘环网柜
CN205565480U (zh) 一种采用升降门结构的箱式变电站
CN108183405A (zh) 一种具有冷却和驱鸟功能的户外配电柜
KR102033581B1 (ko) 가공 송배전 선로를 고정하는 철탑 구조
CN216006956U (zh) 一种可移动式大型扭王字块浇筑平台
CN208249584U (zh) 一种电力施工用线缆收放线装置
CN206834078U (zh) 操作装置及设有该操作装置的开关柜
CN103806781B (zh) 开关柜活门的控制装置
CN116092864A (zh) 一种气动式控制隔离开关
KR100619438B1 (ko) 전신주에 연결된 전선의 늘어짐 방지와 위치조절이 가능한전선연결기구
CN205099096U (zh) 一种电缆涂漆装置
CN208782363U (zh) 一种户内交流金属铠装移开式开关装置
CN106786103A (zh) 垂直升降式整体型双电源供电装置
KR101339333B1 (ko)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 고정식 완철
CN208015092U (zh) 一种设置有升降轮机构的环网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