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0063B1 - 가공배전선 지지용 전주 - Google Patents

가공배전선 지지용 전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0063B1
KR100890063B1 KR1020080122678A KR20080122678A KR100890063B1 KR 100890063 B1 KR100890063 B1 KR 100890063B1 KR 1020080122678 A KR1020080122678 A KR 1020080122678A KR 20080122678 A KR20080122678 A KR 20080122678A KR 100890063 B1 KR100890063 B1 KR 100890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line
wire
overhead
suppor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2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봉선
Original Assignee
홍봉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봉선 filed Critical 홍봉선
Priority to KR1020080122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00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단이 지중에 매설되고 수직하게 설치되는 지주(100)와, 지주(100)의 외면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완철(200)과, 완철(200)에 설치되어 완철(200)을 지나는 가공전선(400)을 지지하는 애자(300)를 포함하는 가공배전선지지용 전주에 있어서,
상기 지주(100)에는, 지주(100)의 외면에 감착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제1탄성패드(511)와, 제1탄성패드(511)의 외면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고 다열종대로 배치되어 지중으로 매립되게 설치되는 가공전선(400)을 설치 및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지지돌부(512)를 갖춘 가공전선고정부재(510)와, 제1탄성패드(511)의 외면에 고정되어 가공전선(400)을 억류하고 있는 제1탄성패드(511)의 지지돌부(512)를 감착함과 동시에 보호할 수 있도록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제2탄성패드(521)가 마련된 가공전선보호패드(520)가 보강 구비된 것으로서, 가공전선고정부재의 지지돌부에 여유분의 가공전선을 실장할 수 있도록 하여 다른 가공전선과 연결할 때에 가공전선을 단선시키지 않고 필요한 만큼만 풀어 사용할 수 있고, 외부의 충격을 지지돌부에서 흡수되도록 하여 가공전선이 훼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복 수개의 가공전선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재질로 형성하여 지주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할 수 있다.
지주. 완철. 애자. 가공전선. 가공전선설치유닛.

Description

가공배전선 지지용 전주{A Distribution Line Support For Electric Pole}
본 발명은,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지주의 외면에 고정설치되어 지중으로 매설되는 가공전선을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설치된 가공전선을 보호할 수 있도록 된 가공배전선 지지용 전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빌딩이 밀집된 도심지에 설치되는 가공전선은 외부로 노출되는데에 따른 감전에 대한 우려와 미관경관을 해치는 요인으로 인하여 설치비용이 조금 비싸더라도 지중에 매설하는 작업이 선호되고 있다.
종래의 가공전선 지중화작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지중(E)에 매설되고 수직하게 설치되는 지주(100)를 형성시켜 주되, 지주(100)의 상부에는 완철(200)을 수평하게 설치시켜 주고, 완철(200)의 상측 또는 하측에는 가공전선(400)을 고정함과 동시에 지지해주는 애자(300)를 장착시켜 주며, 가공전선(400)을 별도로 배선하여 지중으로 매설시켜 주게 된다.
또한, 선택적으로 가공전선(400)을 지중에 매설시켜 줄 때에 지주(100)에 수직하게 배치하거나 또는 별도의 지중관체(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마련하여 내부에 가공전선(400)을 장전시켜고 지주(100)에 지중관체(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고정시켜 줌으로서, 가공전선(400)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상기의 가공전선 지중화작업은, 지중관체(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의 내부에 가공전선(400)을 장전하여 지주(100)에 고정함으로 안전하게 보호해 줄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설치된 가공전선(400) 이 외에 다른 가공전선(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을 더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설치된 지중관체와 매설된 가공전선을 전부 해체시켜 재설치해줘야 함으로 배선이 불편하고,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지주(100)에서 이탈되어 단선의 우려로 안전상의 문제가 있으며, 가공전선(400)을 연장하거나 연결시켜 주어야 하는 경우 설치된 가공전선(400)을 단선시켜 배선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서, 지주의 외면에 가공전선고정부재를 설치하여 지중으로 매설되기 위해 전주의 외면에 수직하게 늘어지는 복 수개의 가공전선을 지지돌부에 장전하여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탄성재질로 형성하여 지주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할 수 있으며, 가공전선이 억류된 가공전선고정부재의 외면을 가공전선보호패드로 감착하여 줌으로서, 외부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지지돌부에서 흡수되도록 하여 가공전선이 훼손되는 것을 최소할 수 있도록 된 가공배전선지지용 전주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단이 지중에 매설되고 수직하게 설치되는 지주와, 지주의 외면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완철과, 완철에 설치되어 완철을 지나는 가공전선을 지지하는 애자를 포함하는 가공배전선지지용 전주에 있어서,
상기 전주에는, 지주의 외면에 감착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제1탄성패드와, 제1탄성패드의 외면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고 다열종대로 배치되어 지중으로 매립되게 설치되는 가공전선을 설치 및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지지돌부를 갖춘 가공전선고정부재와, 제1탄성패드의 외면에 고정되어 가공전선을 억류하고 있는 제1탄성패드의 지지돌부를 감착함과 동시에 보호할 수 있도록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 되는 제2탄성패드가 마련된 가공전선보호패드가 보강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선지지용 지주이다.
본 발명은, 가공전선고정부재의 지지돌부에 여유분의 가공전선을 실장할 수 있도록 하여 다른 가공전선과 연결할 때에 가공전선을 단선시키지 않고 필요에 따라 풀어 사용할 수 있고, 외부의 충격을 지지돌부에서 흡수되도록 하여 가공전선이 훼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복 수개의 가공전선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재질로 형성하여 지주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지지용 전주(1)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지지용 전주(1)의 결합상태를 평면에서 절단하여 보인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지지용 전주(1)는, 상협하광의 장방형으로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일부가 지중에 매설되는 콘크리트재질로 형성된 지주(100)와, 지주(100)의 상부 외면에 고정수단에 의해 수평설치되고 금속재질로 된 완철(200)과, 완철(200)의 외면에는 전기적으로 충분한 절연내력(絶緣耐力)을 가지며 가공전 선(400)의 나선(裸線)부분을 절연함과 동시에 지지해주는 애자(300)가 장착되되, 상기 지주(100)의 외면에는 장착되어 지중으로 매설되는 가공전선(400)을 고정하는 가공전선고정부재(510)와, 장착된 가공전선(400)을 보호해주는 가공전선보호패드(520)로 이루어진 가공전선설치유닛(5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주(100)의 외면에는 장착되어 지중으로 매설되는 가공전선(400)을 고정하는 가공전선고정부재(51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지주(100)의 모양과 형상에 상관없이 외면을 감싸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탄성을 지닌 고무재질로 형성하고, 감싸진 상태에서 상호연결되며 고정될 수 있도록 외면의 양단에는 각각 제1걸고리(513)와 제1걸림부(514)가 대응되게 형성된 제1탄성패드(511)와, 제1탄성패드(511)의 외면에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고 다열종대로 배치되어 지중으로 매립되게 설치되는 가공전선(400)을 설치 및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지지돌부(512)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 지지돌부(512)의 형상은, 원기둥형상 뿐만 아니라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웨이브형상으로도 제작될 수 있으며, 재질은 원상회복이 신속히 이루어지고 탄발력을 지닌 합성고무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탄성패드(511)에 비해 덜 탄력적인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공전선(400)이 장착되는 가공전선고정부재(510)의 외면에 감착되어 가공전선(400)을 보호함과 동시에 억류하는 가공전선보호패드(52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가공전선고정부재(510)의 외면을 감쌀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탄성을 지닌 고무재로 형성되고, 양단에는 감싸진 상태에서 상호연결되며 고정될 수 있도록 외면의 양단에는 각각 제2걸고리(522)와 제2걸림부(523)가 대응되게 형성된 제2탄성패드(521)로 형성한 것이다.
또한,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상기 제2탄성패드(521)의 외면에 사각뿔형, 원뿔형, 반구형 등의 돌부를 다열종대로 형성하여 광고지 및 전단지 등이 외면에 붙더라도 용이하게 때어낼 수 있도록 하였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도 2 내지 도 3에 대비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된 지주(100)의 외면에 가공전선설치유닛(500)의 가공전선고정부재(510)를 장착시켜주게 되는데, 상기 가공전선고정부재(510)의 제1탄성패드(511)를 지주(100)의 외면에 감착시켜 주고, 제1탄성패드(510)의 외면 일단에 형성된 제1걸고리(513)를 손가락으로 잡아당겨 타단에 형성된 제2걸림부(514)에 걸어 가공전선고정부재(510)의 감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준다.
상기와 같이 가공전선고정부재(510)를 지주(100)에 고정시켜 준 상태에서, 제1탄성패드(511)의 외면에 다열종대로 배치된 지지돌부(512) 사이에 가공전선(400)을 삽입시켜 고정하되, 선택적으로 가공전선(400)을 여유있게 실장하여 필요에 따라 실장된 가공전선(400)을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공전선(400)을 지지돌부(512) 사이에 실장시켜 준 다음 가공전선보호 패드(520)의 제2탄성패드(521)를 양손으로 파지하고 내향으로 잡아당겨 가공전선(400)이 실장된 지지돌부(512)의 외면을 감착시켜 주고, 제2탄성패드(521)의 일단에 형성된 제2걸고리(522)를 손가락으로 잡아당겨 제2탄성패드(521)의 타단에 형성된 제2걸림부(523)에 걸어 가공전선보호패드(520)의 감착상태를 유지시켜 주면 되며, 해체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방법에 역순으로 하면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가공배전선지지용 전주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지지용 전주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지지용 전주의 결합상태를 평면에서 절단하여 보인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가공배전선지지용 전주 100: 지주 200: 완철
300: 애자 400: 가공전선 500: 가공전선설치유닛
510: 가공전선고정부재 511: 제1탄성패드 512: 지지돌부
513: 제1걸고리 514: 제1걸림부 520: 가공전선보호패드
521: 제2걸고리 522: 제2걸림부

Claims (1)

  1. 일단이 지중에 매설되고 수직하게 설치되는 지주(100)와, 지주(100)의 외면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완철(200)과, 완철(200)에 설치되어 완철(200)을 지나는 가공전선(400)을 지지하는 애자(300)를 포함하는 가공배전선지지용 전주에 있어서,
    상기 지주(100)에는, 지주(100)의 외면에 감착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제1탄성패드(511)와, 제1탄성패드(511)의 외면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고 다열종대로 배치되어 지중으로 매립되게 설치되는 가공전선(400)을 설치 및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지지돌부(512)를 갖춘 가공전선고정부재(510)와, 제1탄성패드(511)의 외면에 고정되어 가공전선(400)을 억류하고 있는 제1탄성패드(511)의 지지돌부(512)를 감착함과 동시에 보호할 수 있도록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제2탄성패드(521)가 마련된 가공전선보호패드(520)가 보강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선지지용 전주.
KR1020080122678A 2008-12-04 2008-12-04 가공배전선 지지용 전주 KR100890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678A KR100890063B1 (ko) 2008-12-04 2008-12-04 가공배전선 지지용 전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678A KR100890063B1 (ko) 2008-12-04 2008-12-04 가공배전선 지지용 전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0063B1 true KR100890063B1 (ko) 2009-03-25

Family

ID=40698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2678A KR100890063B1 (ko) 2008-12-04 2008-12-04 가공배전선 지지용 전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006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555B1 (ko) 2012-09-10 2012-12-12 주식회사 우진엔지니어링 송배전선 지지용 절연 완철
KR101280403B1 (ko) 2013-04-17 2013-07-01 주식회사 한일엔지니어링 송배전선 지지용 절연완철
KR101319935B1 (ko) * 2013-06-10 2013-10-21 동양감리(주)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가공 배전선 절연체
KR101339329B1 (ko) 2013-05-15 2013-12-10 대한기술단(주) 송배전 전용 전선케이블의 전주 연결용 어댑터
KR101346264B1 (ko) 2013-07-16 2014-01-07 (주)성원이엔씨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KR101355102B1 (ko) * 2013-11-11 2014-01-22 하봉구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가공 배전선 절연체
KR101354716B1 (ko) 2013-08-19 2014-01-27 주식회사 한국종합전기 변전소의 특고압 인입전선용 절연형 커넥터
KR101367749B1 (ko) 2013-11-11 2014-02-26 공은옥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6433A (ja) * 1992-08-31 1994-03-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給電ポール
JPH0775240A (ja) * 1993-08-31 1995-03-17 Nippon Chikou Kk 電柱立上り防護管用カバー
KR20080014353A (ko) * 2006-08-11 2008-02-14 정삼주 튼튼이 전주
KR20080049583A (ko) * 2006-11-30 2008-06-04 안승범 전선유도관이 내장된 신호등 지주 및 이의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6433A (ja) * 1992-08-31 1994-03-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給電ポール
JPH0775240A (ja) * 1993-08-31 1995-03-17 Nippon Chikou Kk 電柱立上り防護管用カバー
KR20080014353A (ko) * 2006-08-11 2008-02-14 정삼주 튼튼이 전주
KR20080049583A (ko) * 2006-11-30 2008-06-04 안승범 전선유도관이 내장된 신호등 지주 및 이의 제작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555B1 (ko) 2012-09-10 2012-12-12 주식회사 우진엔지니어링 송배전선 지지용 절연 완철
KR101280403B1 (ko) 2013-04-17 2013-07-01 주식회사 한일엔지니어링 송배전선 지지용 절연완철
KR101339329B1 (ko) 2013-05-15 2013-12-10 대한기술단(주) 송배전 전용 전선케이블의 전주 연결용 어댑터
KR101319935B1 (ko) * 2013-06-10 2013-10-21 동양감리(주)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가공 배전선 절연체
KR101346264B1 (ko) 2013-07-16 2014-01-07 (주)성원이엔씨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KR101354716B1 (ko) 2013-08-19 2014-01-27 주식회사 한국종합전기 변전소의 특고압 인입전선용 절연형 커넥터
KR101355102B1 (ko) * 2013-11-11 2014-01-22 하봉구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가공 배전선 절연체
KR101367749B1 (ko) 2013-11-11 2014-02-26 공은옥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0063B1 (ko) 가공배전선 지지용 전주
KR101180466B1 (ko) 지중송전선 보호용 절연관
KR102344183B1 (ko)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
KR20110106642A (ko) 제거식 유턴 앵커용 내하체
JP6724012B2 (ja) クランプ装置における、又はクランプ装置に関する改良
KR100951147B1 (ko) 특고압 지중전선 배전대
KR102179147B1 (ko) 건축설비용 행거의 내진 장치
RU85182U1 (ru) Комплект для промежуточной опоры воздушной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
JP4592609B2 (ja) 通信ケーブル固定具
KR100736833B1 (ko) 지중 송전케이블 보호시설구조
KR102355163B1 (ko) 압축 완철밴드
KR102194195B1 (ko) 송전선로 가설용 스페이서
CN209981997U (zh) 电缆固定夹
KR101931483B1 (ko) 케이블트레이용 케이블 정리부재
KR101179244B1 (ko) 케이블 파손 방지와 탈부착이 용이한 지중 송전용 보호관 구조
KR101016056B1 (ko) 송전, 변전, 배전 지중 전력케이블 매설용 고압선 지지대
KR101024898B1 (ko) 송전 가공선로용 점퍼선 고정장치
CN109524936B (zh) 一种用于通信架空线路中的缆线自脱装置
JP2011114928A (ja) 引き込み線用相間スペーサ
KR100839013B1 (ko) 배전용 전봇대의 안전장치
KR101719128B1 (ko) 내진 설계를 위한 와이어 기반의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및 덕트 시스템
JP2010088415A (ja) 営巣防止装置
JP2013241789A (ja) 橋梁構造体の桁連結装置
KR200439820Y1 (ko) 케이블 보호관
KR102242326B1 (ko) 체결력을 상승시킨 유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