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4183B1 -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4183B1
KR102344183B1 KR1020190132436A KR20190132436A KR102344183B1 KR 102344183 B1 KR102344183 B1 KR 102344183B1 KR 1020190132436 A KR1020190132436 A KR 1020190132436A KR 20190132436 A KR20190132436 A KR 20190132436A KR 102344183 B1 KR102344183 B1 KR 102344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mission
support
transmission support
flang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8308A (ko
Inventor
조옥진
박인화
오용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132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4183B1/ko
Publication of KR20210048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4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4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8Devices affording mechanical protection in the event of breakage of a line or cable, e.g. net for catching broken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는, 송전 지지물의 소정 높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송전 지지물의 외면을 감싸면서 방사 방향으로 형성되는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플랜지부 상에 돌출 형성되고,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돌출부; 일 단에 소정 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에 체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홈을 구비하고, 타 단은 상기 송전 지지물과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며, 소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부; 및 상기 복수의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지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부 상에 고정되는 그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A PREVENTING FALLING APPARATUS FOR POWER POLE}
본 발명은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송전 지지물의 외형과 관계없이 설치와 해체 및 운반이 용이하며, 작업자와 장치 자체의 낙하 위험도 방지하는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송전 지지물은 고압의 전류를 발전소에서 공장 등으로 수송하기 위한 고압전선이나 통신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물로서 일반적으로 철탑이 사용된다.
송전 지지물에 각종 전선이나 케이블을 설치하기도 하고 다른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한 수리가 필요할 때 작업자가 송전 지지물에 올라가기도 하는데 이때 작업자의 낙하 또는 송전 지지물에 설치된 배전기나 전선 등의 추락 방지를 위해 보호 장치가 이용된다. 기존의 추락 방지 장치는 앵글형 철탑에 사용되었다.
앵글형 철탑은 1단 수평재에 기존의 추락 방지 장치를 설치하는데 수평재에 지지부의 고정이 간단하지 않으며, 철탑마다 1단 수평재의 길이가 달라 방지 장치의 강관파이프의 길이가 부족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강관 파이프는 강성이 뛰어나지만 작업자가 추락 시 강관 파이프와의 충돌로 인해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철탑은 종래에는 앵글형 철탑이 일반적이었으나 최근 관형 지지물 철탑으로 교체되고 있는데, 기존의 앵글형 철탑의 방지망을 관형 지지물 철탑에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송전 지지물의 외형에 관계없이, 송전 지지물에 설치가 용이한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설치 후에 장치의 해체가 용이한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작업자의 추락할 경우 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 자체의 낙하 위험을 방지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는, 송전 지지물의 소정 높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송전 지지물의 외면을 감싸면서 방사 방향으로 형성되는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플랜지부 상에 돌출 형성되고,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돌출부; 일 단에 소정 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에 체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홈을 구비하고, 타 단은 상기 송전 지지물과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며, 소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부; 및 상기 복수의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지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부 상에 고정되는 그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의 타 단이 상기 송전 지지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일 단이 굽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의 일 단과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의 일 단은 상기 돌출부와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타 단은, 상기 지지부의 타 단이 상기 송전 지지물과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굽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커버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부는 외면에 소정 깊이의 리세스부가 형성되며, 상기 리세스부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그물부가 연결되어 고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플랜지부와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플랜지부는,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1 플랜지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플랜지와 마주하여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제2 플랜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그물부는, 상기 돌출부와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그물부에서 상기 송전 지지물과 인접하는 일 측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이음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음부재는 상기 그물부를 상기 송전 지지물에 밀착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송전 지지물 상에서, 상기 플랜지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송전 지지물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링; 상기 지지부의 타 단에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에서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지 않은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링과 체결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고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의 설치방법은, 송전 지지물의 외면을 감싸면서 방사 방향으로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송전 지지물의 소정 높이 상에 배치시키는 단계; 복수의 돌출부를 상기 플랜지부 상에 돌출 형성시키고, 상기 플랜지부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시키는 단계; 복수의 지지부를 일 단에 소정 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에 체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홈을 구비하고, 타 단은 상기 송전 지지물과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며, 소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 배치시키는 단계; 및 그물부를 상기 복수의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지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부 상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돌출부의 구조에 의해 지지부가 플랜지부에 쉽게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다. 그리고 지지부의 일 단에 형성되는 홈의 깊이와 크기를 조절하면 돌출부의 크기에 관계없이 체결 및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부 타 단을 송전 지지물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굽어지게 형성시킴으로써 돌출부의 돌출된 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부와 연결부재가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므로 지지부 단 부가 굽어지지 않더라도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의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부에 커버부가 포함되어 안전 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으며, 커버부에 구비된 리세스부에 의해 그물부의 연결과 고정이 견고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돌출부는 플랜지부 자체에 형성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플랜지부와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한 경우도 포함하여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그물부에 포함된 이음부재가 돌출부와 결합하여 송전 지지물과 그물부 사이에 틈이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추락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와이어에 연결된 고리와 송전 지지물 상에 존재하는 링에 의하면 송전 지지물용 추락 장치 자체의 낙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의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상기 지지부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이다.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상기 지지부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이다.
도 5는 상기 지지부에 구비된 커버부에 형성되는 리세스부와 그물부의 결합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의 설치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 예라도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100)의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추락 방지 장치(100)는 플랜지부(110), 돌출부(120), 지지부(130), 그물부(140), 링(170), 와이어(180), 고리(190)를 포함한다.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는(100) 송전 지지물(10)에 설치된다.
송전 지지물(10)은 고압 전선이나 통신 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물로서 철탑을 포함한다. 철탑은 앵글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관형으로 형설될 수 있다. 신규 송전 지지물(10)이나 철탑 교체의 경우 관형 지지물이 사용된다.
플랜지부(110)는 송전 지지물(10)의 외면을 감싸면서 방사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방사 방향이란, 중심에서 사방으로 내뻗치는 것으로써 플랜지부(110)가 송전 지지물(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사방으로 내뻗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복수의 돌출부(120)는 플랜지부(110) 상에 돌출 형성된다. 이때, 돌출부(120)는 플랜지부(110) 상에서 돌출되는 방향에 관계없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돌출부(120)는 플랜지부(110)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복수의 지지부(130)는 2개 이상의 돌출부(120)에 연결할 수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송전 지지물(10)을 둘러싼 전 범위에서 추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랜지부(110)의 둘레를 따라 지지부(130)가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송전 지지물(10) 주변의 한정된 범위에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하여 임의의 간격으로 2개 이상의 지지부(130)를 설치할 수도 있다.
복수의 지지부(130)는 강성이 큰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130)는 강관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자가 그물부(140)에 추락하는 경우, 작업자의 하중으로 인한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1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물부(140)는 복수의 지지부(130)사이에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물부(140)는 각각의 지지부(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지부(130)와 연결된다. 상기 길이 방향이란 지지부(130)의 일 단에서 타 단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그물부(140)는 작업자가 지면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링(170)은 송전 지지물(10) 상에서 플랜지부(110) 상부에 위치하고, 송전 지지물(10)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링(170)은 일반적으로 송전 지지물(10)의 작업자가 안전 장비를 체결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와이어(180)는 지지부(130)의 타 단에 연결된다. 와이어(180)는 여러 가닥의 강철 철사를 합쳐 꼬아 만든 줄을 의미하며, 와이어(180)의 굵기 및 용도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고리(190)는 와이어(180)에서 지지부(130)가 연결되지 않은 부분에 연결된다. 고리(190)는 송전 지지물(10)의 링(170)에 체결 또는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리(190)는 카라비너와 같은 종류의 연결장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고리(190)의 구성에 의하여,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100)가 손상되는 경우 지지부(130)와 지지부(130)에 연결된 그물부(140)가 지면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100)의 개념도이다.
돌출부(120)는 플랜지부(110)상에 체결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120)는 플랜지부(110)상에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플랜지부(110)는 제1 플랜지(111)와 제2 플랜지(112)가 마주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송전 지지물(10)의 높이를 연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플랜지(111)와 제2 플랜지(112)를 함께 체결 및 분리하여 돌출부(120)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트가 제1 플랜지(111)와 제2 플랜지(112)를 관통하여 너트와 체결할 수 있다.
그물부(140)는 송전 지지물(10)과 가까운 일측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이음부재(150)를 포함한다. 이음부재(150)는 돌출부(120)에 매듭지어 연결된다. 이때, 이음부재(150)의 매듭의 강도와 길이에 따라 그물부(140)와 송전 지지물(10)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그물부(140)와 송전 지지물(10)을 밀착시켜 빈 공간을 없애는 경우, 작업자가 공간 사이로 추락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지지부(130)의 개념도이다.
지지부(130)의 일 단에 소정 깊이의 홈(133)이 형성되고, 지지부(130)의 홈(133)은 돌출부(120)와 체결 및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100)의 설치와 해체가 편리하게 구현되는 장점이 있다.
홈(133)은 돌출부(120)의 다양한 규격에 부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0)에 따라 지지부(130)의 홈(133)의 크기가 설정될 수 있고,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홈(133)이 존재하는 지지부(130)의 일 단은, 홈(133)과 돌출부(120)가 결합했을때 지지부(130)의 타 단이 송전 지지물(10)과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굽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120)의 돌출 방향에 관계 없이 굽어지는 정도를 조절하여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100)를 설치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각각의 지지부(130)는 2개 이상의 지지부(130) 양 단을 결합하여 그물부(140)가 형성되는 위치까지 지지부(130)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지지부(130)와 연결되는 그물부(140)가 형성하는 공간을 넓혀 추락으로 인한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지지부(130)의 또 다른 개념도이다.
지지부(130)는 일 단은 지지부(130)의 일 단과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고 타 단은 돌출부(120)와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한 연결부재(160)를 더 포함한다.
연결부재(160)는 지지부(130)의 타 단에 소정 깊이의 홈(134)이 형성된다.
연결부재(160)의 홈(134)은 돌출부(120)와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다. 이때, 홈(134)은 돌출부(120)의 다양한 규격에 부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0)에 따라 연결부재(160)의 홈(134)의 크기가 설정될 수 있고, 결합할 때 견고함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연결부재(160)는 홈(134)과 돌출부(12)가 결합했을때 지지부(130)의 타 단이 송전 지지물(10)과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굽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120)의 돌출 방향에 관계 없이 연결부재(160)가 굽어지는 정도를 조절하여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100)를 설치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지지부(130)가 일직선으로 형성된 경우라도 연결부재(160)가 굽어지는 정도를 조절하여 돌출부(120)의 돌출 방향에 관계없이 송전 지지물 추락 방지 장치(100)를 설치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지지부(130)와 그물부(140)의 결합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지지부(130)는 커버부(131)와 리세스부(132)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커버부(131)는 지지부(130)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커버부(131)는 탄성 변형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커버부(131)는 작업자가 추락할 때 작업자와의 충돌로 인한 지지부(130)의 손상을 방지하고, 작업자와 지지부(130)와의 충돌로 인해 발생하는 작업자의 인체 상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리세스부(132)는 커버부(130)의 외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리세스부(132)는 그물부(140)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그물부(140)가 지지부(130)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보다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100)의 설치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100)의 설치방법은, 송전 지지물(10)의 외면을 감싸면서 방사 방향으로 형성되는 플랜지부(110)를 송전 지지물(10)의 소정 높이 상에 배치시키는 단계(S100)와, 복수의 돌출부(120)를 상기 플랜지부(110) 상에 돌출 형성시키고, 상기 플랜지부(110)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시키는 단계(S200)와, 복수의 지지부(130)를 일 단에 소정 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20)에 체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홈을 구비하고, 타 단은 상기 송전 지지물(10)과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며, 소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 배치시키는 단계(S300)와, 그물부(140)를 상기 복수의 지지부(130) 사이에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지지부(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부(130) 상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전술한 내용은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설명된 실시 예들의 범주 및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10: 송전 지지물 100: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
110: 플랜지부 111: 제1 플랜지
112: 제2 플랜지 120: 돌출부
130: 지지부 131: 커버부
132: 리세스부 133: 홈
140: 그물부 150: 이음부재
160: 연결부재 170: 링
180: 와이어 190: 고리

Claims (9)

  1. 송전 지지물의 소정 높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송전 지지물의 외면을 감싸면서 방사 방향으로 형성되는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플랜지부 상에 돌출 형성되고,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돌출부;
    일 단에 소정 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에 체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홈을 구비하고, 타 단은 상기 송전 지지물과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며, 소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부; 및
    상기 복수의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지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부 상에 고정되는 그물부를 포함하고,
    일 단은 상기 지지부의 일 단과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고, 타 단은 상기 돌출부와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부의 타 단이 상기 송전 지지물과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굽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커버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부는 외면에 소정 깊이의 리세스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는 탄성 변형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부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그물부가 연결되어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플랜지부와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1 플랜지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플랜지와 마주하여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제2 플랜지를 포함하는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부는, 상기 돌출부와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그물부에서 상기 송전 지지물과 인접하는 일 측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이음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음부재는 상기 그물부를 상기 송전 지지물에 밀착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 지지물 상에서, 상기 플랜지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송전 지지물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링;
    상기 지지부의 타 단에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에서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지 않은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링과 체결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고리를 더 포함하는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
  9. 삭제
KR1020190132436A 2019-10-23 2019-10-23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 KR102344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436A KR102344183B1 (ko) 2019-10-23 2019-10-23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436A KR102344183B1 (ko) 2019-10-23 2019-10-23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308A KR20210048308A (ko) 2021-05-03
KR102344183B1 true KR102344183B1 (ko) 2021-12-29

Family

ID=75911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436A KR102344183B1 (ko) 2019-10-23 2019-10-23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41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4593A (ko) 2021-08-12 2023-02-21 한국전력공사 고장력 체인클램프를 활용한 관형지지물 승탑자 추락보호 및 낙하물 방호용 하부지지형 방호장치
KR102671548B1 (ko) 2022-12-16 2024-06-05 한국전력공사 관형지지물 점검용 안전장치 및 작동방법
KR102606521B1 (ko) * 2023-02-13 2023-11-29 강원숙 송전선로와 철탑의 누전 방지 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2606522B1 (ko) * 2023-02-13 2023-11-29 강원숙 송전선로의 케이블 탈선 방지용 거치대 및 그 설치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14863B2 (ja) * 2012-07-31 2014-10-29 サンテック株式会社 電柱作業落下物防止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611B1 (ko) * 2010-12-02 2012-11-27 김서헌 전주용 안전 네트
KR102385170B1 (ko) * 2016-11-04 2022-04-12 한국전력공사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14863B2 (ja) * 2012-07-31 2014-10-29 サンテック株式会社 電柱作業落下物防止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308A (ko) 2021-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4183B1 (ko)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
CN103470093B (zh) 砼烟囱拆除方法
EP3575840B1 (en) All-dielectric self-supporting optical cable line protective device
EP2250948B1 (en) Outdoor christmas tree assembly
KR101077083B1 (ko) 가공지선 겸용 중성선 설치 멀티캡
KR101215065B1 (ko) 굴뚝 해체작업 장치
RU167382U1 (ru)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крепления средств защиты работающих на длинномерных высотных опорах
RU16880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средств индивидуальной защиты работающих на опоре круглого сечения
KR20170001054U (ko) 애자 교체 장치
KR101836936B1 (ko) 거치구가 구비된 갱폼의 하부 케이지
CN113803213B (zh) 塔筒段的电缆敷设方法、塔筒段、塔筒及风力发电机组
KR102266112B1 (ko) 현수애자 작업용 사다리
KR20230018888A (ko) 입상케이블 지지금구
US9630033B2 (en) Temporary fall protection
JP5669645B2 (ja) 避雷針取外方法及び避雷針取外用治具
JPH02211012A (ja) 送電線架線工事用ネットの張設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ネット
KR20190058978A (ko) 스택 인양장치
KR100276396B1 (ko) 방조망설치용와이어고정구
KR200176499Y1 (ko) 송전선로 작업용 사다리
JP7196585B2 (ja) 足場付き自在バンド
CN218407283U (zh) 一种安全防护栏杆
KR101159194B1 (ko) 배전 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CN217151340U (zh) 一种钢管高空对接安装防护装置及其安装结构
KR102329213B1 (ko) 전주용 통합 방호 장치
CN217810513U (zh) 一种装配式立柱操作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