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8978A - 스택 인양장치 - Google Patents

스택 인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8978A
KR20190058978A KR1020170156450A KR20170156450A KR20190058978A KR 20190058978 A KR20190058978 A KR 20190058978A KR 1020170156450 A KR1020170156450 A KR 1020170156450A KR 20170156450 A KR20170156450 A KR 20170156450A KR 20190058978 A KR20190058978 A KR 20190058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ck
crane
lifting device
fixing member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광택
전인영
Original Assignee
한국가스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가스공사 filed Critical 한국가스공사
Priority to KR1020170156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8978A/ko
Publication of KR20190058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9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6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minimising or preventing longitudinal or transverse swinging of l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천연가스의 가스 히터용 스택의 분해 또는 조립시, 스택의 인양을 위한 스택 인양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택 인양장치는, 스택 본체의 양측에 구비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와 연결되며 크레인의 와이어에 체결되어 상기 스택을 인양시키는 스프레드 바; 및 일단이 상기 스프레드 바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작업자가 지면에서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섀클을 상기 스프레드 바에 체결시키고,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에 형성된 후크를 상기 고정부재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스택의 인양을 위한 크레인과의 연결 작업이 지상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택 인양장치 {STACK LIF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스택 인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가스의 가스 히터용 스택의 분해 또는 조립을 위하여 스택을 인양하는 경우, 지면에서 스택의 인양을 위한 크레인과의 연결작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스택 인양 작업의 편의성과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스택 인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가스는 지하로 배관된 배관망을 통해 공급되는데, 일단 전국 3개의 천연가스 생산기지(인천, 통영, 평택)에서 각 지역의 도시가스사 또는 발전소의 울타리 경계선까지 연장되어 있다.
천연가스 생산기지에서 생산된 천연가스는 상기한 배관망을 통해 일단 지역의 공급 관리소로 공급된 후 각 지역의 도시가스사 또는 발전소로 공급되며, 도시가스사를 통해 각 가정 또는 사무실, 상가, 공장 등과 같은 사용처로 공급되는 것이다.
한편, 천연가스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가스 공급 관리소에서 각 사용처로 공급될 때 통상 65 ~ 75kg/cm2를 감압하여 공급하며, 이 때, 유체 역학상 압력을 감압하게 되면 줄-톰슨 효과에 의해 천연가스의 경우 열량이 크게 줄어든다.
천연가스는 가스 공급 관리소에서 각 사용처로 공급되기 전 즉, 감압되기 전 미리 천연가스 열량 관리 장치로 가열되어 열량이 보충된 후 정압 설비로 감압되어 각 사용처로 공급되고 있다. 상기 천연가스 열량 관리 장치는 천연가스를 연료로 사용한 가스 히터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가스 히터에는 버너의 화염 및 열로 인해 손상될 수 있는 설비를 보호하기 위한 원통형의 중량물인 화덕이 장착된다. 상기 화덕은 가스 히터 본체의 파이어튜브(Fire Tube) 내주면에 지지되는 외통부 및 상기 외통부와 이격된 내통부를 가지며, 상기 외통부와 내통부 사이에 케스타블이 시공된다.
상기 화덕에는 연소 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스택(Stack; 굴뚝)설치되며, 상기 스택은 상기 가스 히터 설비의 정기적인 점검 시 분해 및 조립된다.
상기 스택은 분해 또는 조립 시 크레인에 연결되어 인양되며, 이때 작업자가 스택의 상부면에 설치된 러그(lug) 등의 체결부에 크레인의 와이어에 구비된 후크를 직접 연결하고 있다.
즉, 가스히터 정비를 위해 스택을 인양하는 경우, 5m 이상의 높이에 구비되는 스택의 상부면에 크레인의 와이어에 구비된 후크를 연결하기 위해, 작업자가 스카이 크레인에 탑승하여 고소 작업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택 인양 작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스카이 크레인에 탑승하여 작업이 진행되므로, 고소 작업 중 바람이나 충돌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탑승하는 스카이 크레인은 고가의 장비여서 스택 인양을 위한 작업 비용이 증가하고, 중장비 사용에 따른 설비의 파손 위험이 있으며, 인양 작업이 복잡하고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스택의 상부면에 설치된 러그(lug)에 단일의 와이어가 연결됨으로써, 스택의 인양시 바람 등에 의하여 스택이 심하게 흔들리거나 요동하여 안전사고 또는 주변 구조물과의 충돌 위험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가스의 가스 히터용 스택의 분해 또는 조립을 위하여 스택을 인양하는 경우, 지면에서 스택의 인양을 위한 크레인과의 연결작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스택 인양 작업의 편의성과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스택 인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스히터의 스택을 인양하는 스택 인양장치에 있어서, 스택 본체의 양측에 구비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와 연결되며 크레인의 와이어에 체결되어 상기 스택을 인양시키는 스프레드 바; 및 일단이 상기 스프레드 바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스택 인양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스택 본체의 측면에 부착되는 부착판; 상기 부착판으로부터 상기 스택 본체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봉; 상기 돌출봉의 끝단에 형성되는 막음판; 및 상기 돌출봉 상에서 상기 부착판과 상기 막음판 사이에 형성되는 중간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부착판과 상기 돌출봉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막음판 및 상기 중간판은 원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돌출봉의 외주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막음판과 상기 중간판 사이의 공간에 후크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레드 바의 상부에는 상기 크레인의 와이어가 체결되기 위한 크레인 체결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프레드 바의 하부에는 섀클이 체결되기 위한 섀클 체결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섀클 체결부는 상기 스프레드 바의 양단 하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섀클 체결부에는 섀클의 체결을 위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와이어 또는 로프이며,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에는 섀클이 마련되어 상기 스프레드 바의 섀클 체결부에 관통 체결되며, 타단에는 후크가 마련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후크 걸림부에 걸림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택 인양장치는, 가스히터의 스택을 인양하는 스택 인양장치에 있어서, 스택 본체의 양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와이어 또는 로프로 마련되는 연결부재에 의해 스프레드 바에 연결되며, 상기 스프레드 바를 크레인으로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스택을 인양시키되, 작업자가 지면에서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섀클을 상기 스프레드 바에 체결시키고,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에 형성된 후크를 상기 고정부재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스택의 인양을 위한 크레인과의 연결 작업이 지상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지면에서 스택의 인양을 위한 크레인과의 연결작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고소 작업에 따른 작업자의 추락사고 발생 위험성을 제거하여 인양작업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소 작업을 위한 스카이 크레인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중장비 사용에 따른 설비의 파손 위험을 제거하고, 작업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택의 양 측면이 각각 연결부재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스택이 회동하는 방향을 제외하고는 움직임이 제한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스택을 지지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택 인양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택 인양장치에서 고정 지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택 인양장치에서 스프레드 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택 인양장치를 사용하여 스택을 인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스택이 지면에 눕혀진 상태, (b)는 스택의 인양과정에서 스택이 회동하는 상태, (c)는 스택 인양장치에 의해 스택을 직립시킨 상태, (d)는 스택과 크레인의 연결을 해체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택 인양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택 인양장치에서 고정 지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택 인양장치에서 스프레드 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택 인양장치를 설명하기에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가스히터의 분해 또는 조립시 인양되는 스택(100, Stack)의 구조를 먼저 살펴보면, 스택(100)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가스히터의 연소가스를 배출하는 스택 본체(110); 스택 본체(110)의 상단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커버부재(120); 스택 본체(110)의 상단부에 이격되게 세워져 커버부재(12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30);를 포함하고, 스택 본체(110)의 상단부 측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는 커버부재(120)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130) 사이로 안내되어 배출된다.
커버부재(120)는 스택 본체(110)의 상단부에서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구멍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연소가스가 상기 지지부재(130)의 사이로, 즉 스택 본체(110)의 외측 둘레로 고르게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스택 본체(110)의 상부에는 커버부재(120)의 하부 측에 이격되게 배치되어 커버부재(120)에서 낙하하는 응축수를 받는 응축수 받침부재(140)가 구비될 수 있다.
응축수 받침부재(140)는 스택 본체(110)의 외측 둘레를 감싸며, 상부 측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커지는 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응축수가 스택 본체(110)의 외측면으로 흘러 스택 본체(110) 또는 스택 본체(110)의 측면에 구비되는 다른 구성들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택 인양장치는, 스택 본체(110)의 양측에 구비되는 고정부재(210)와, 상기 고정부재(210)와 연결되며 크레인의 와이어에 체결되어 스택(100)을 인양시키는 스프레드 바(220, spread bar)를 포함한다.
고정부재(210)는 스택 본체(110)의 양측면에 용접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210)는 스택 본체(110)의 무게중심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택 본체(110)의 하단으로부터 스택 본체(110) 전체 길이의 약 55% ~ 65% 높이에 고정부재(21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각각 고정부재(210) 및 스프레드 바(220)의 상세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고정부재(210)는 스택 본체(110)의 측면에 부착되기 위한 부착판(211)과, 부착판(211)으로부터 스택 본체(1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즉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봉(212)과, 돌출봉(212)의 끝단에 형성되는 막음판(213)과, 돌출봉(212)의 중간 부분에 형성되는 중간판(214)으로 구성된다.
부착판(211)과 돌출봉(212)이 접하는 부분에는 다수의 지지부재(215)가 설치되어, 부착판(211)과 돌출봉(212) 사이를 지지할 수 있다.
막음판(213) 및 중간판(214)은 원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돌출봉(212)의 외주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출봉(212)의 길이 중 막음판(213)과 중간판(214)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후크가 연결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 공간을 후크 걸림부(212h)라고 한다.
돌출봉(212)은 단면이 원인 봉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둘레가 둥근 돌출봉(212)의 형상에 의해, 크레인과 체결된 스택(100)은 고정부재(210)를 축으로 회동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프레드 바(220)의 상부에는 크레인의 와이어가 체결되기 위한 크레인 체결부(221)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프레드 바(220)의 하부에는 섀클(shackle)이 체결되기 위한 섀클 체결부(22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섀클 체결부(222)는 스프레드 바(220)의 양단 하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섀클 체결부(222)에는 섀클의 체결을 위한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은 복수로 형성되어, 섀클이 체결되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복수의 섀클과 와이어가 체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택 인양장치는, 일단이 상기 스프레드 바(2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부재(210)에 연결되는 연결부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230)는 와이어 또는 로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연결부재(230)의 일단에는 섀클이 마련되어 스프레드 바(220)의 섀클 체결부(222)에 관통 체결될 수 있고, 타단에는 후크가 마련되어 고정부재(210)의 돌출봉에 걸림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230)는 와이어 또는 로프 뿐만 아니라, 상기 스택(100)을 인양하는데 발생하는 하중을 견디는 강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택 인양장치를 사용하여 스택을 인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스택이 지면에 눕혀진 상태, (b)는 스택의 인양과정에서 스택이 회동하는 상태, (c)는 스택 인양장치에 의해 스택을 직립시킨 상태, (d)는 스택과 크레인의 연결을 해체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택 인양장치를 사용하여 스택(100)을 인양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는 지면에서 연결부재(230)의 일단에 형성된 섀클을 상기 스프레드 바(220)에 형성된 섀클 체결부(222)에 체결하고, 연결부재(230)의 타단에 형성된 후크를 고정부재(210)의 후크 걸림부(212h)에 체결함으로써, 스택(100)과 크레인이 상호 연결된다. (제1 단계)
본 발명은 가스 히터 정비를 위해 스택을 인양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스택을 설치 및 해체하는 경우 등, 스택을 들어올릴 필요성이 발생하는 어떠한 경우에라도 적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 4의 (a)와 같이 지면에 눕혀진 상태의 스택(100)을 인양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스프레드 바(220)와 고정부재(210)가 연결부재(230)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크레인에 의해 스프레드 바(220)를 들어올림으로써 스택(100)을 인양한다. (제2 단계)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210)에서 후크 걸림부(212h)가 형성되는 돌출봉(212)이 둘레가 둥근 봉 형상으로 마련됨에 따라, 크레인과 체결된 스택(100)은 고정부재(210)를 축으로 회동할 수 있다. 도 4의 (b)에 이러한 내용이 도시되어 있다.
이는 스택(100)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고정부재(210)를 축으로, 이에 연결된 연결부재(230)가 회동할 수도 있다는 의미이며, 이에 따라 스택(100)의 인양을 위한 크레인과의 연결(연결부재(230)에 의한 고정부재(210)와 스프레드 바(220)의 연결 및 스프레드 바(220)와 크레인의 연결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 작업을 지면에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연결 작업 후에 크레인에 의해 스프레드 바(220)를 들어올리더라도 구조물간의 간섭 없이 스택(100)을 용이하게 인양할 수 있는 것이다.
스택(100)을 인양하여 스택(100)의 설치, 분해 또는 이동 등의 작업이 완료되면 스택(100)과 크레인의 연결을 해체한다. (제3 단계)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지면에서 스택의 인양을 위한 크레인과의 연결작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고소 작업에 따른 작업자의 추락사고 발생 위험성을 제거하여 인양작업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소 작업을 위한 스카이 크레인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중장비 사용에 따른 설비의 파손 위험을 제거하고, 작업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스택의 상부면에 설치된 러그(lug)에 단일의 와이어가 연결됨으로써, 스택의 인양시 바람 등에 의하여 스택이 심하게 흔들리거나 요동하여 안전사고 또는 주변 구조물과의 충돌 위험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스택의 양 측면이 각각 연결부재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스택이 회동하는 방향을 제외하고는 움직임이 제한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스택을 지지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스택
210 : 고정부재 211 : 부착판
212 : 돌출봉 212h : 후크 걸림부
213 : 막음판 214 : 중간판
215 : 지지부재
220 : 스프레드 바 221 : 크레인 체결부
222 : 섀클 체결부
230 : 연결부재

Claims (8)

  1. 가스히터의 스택을 인양하는 스택 인양장치에 있어서,
    스택 본체의 양측에 구비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와 연결되며 크레인의 와이어에 체결되어 상기 스택을 인양시키는 스프레드 바; 및
    일단이 상기 스프레드 바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스택 인양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스택 본체의 측면에 부착되는 부착판;
    상기 부착판으로부터 상기 스택 본체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봉;
    상기 돌출봉의 끝단에 형성되는 막음판; 및
    상기 돌출봉 상에서 상기 부착판과 상기 막음판 사이에 형성되는 중간판;을 포함하는,
    스택 인양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부착판과 상기 돌출봉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택 인양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막음판 및 상기 중간판은 원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돌출봉의 외주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막음판과 상기 중간판 사이의 공간에 후크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택 인양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드 바의 상부에는 상기 크레인의 와이어가 체결되기 위한 크레인 체결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프레드 바의 하부에는 섀클이 체결되기 위한 섀클 체결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택 인양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섀클 체결부는 상기 스프레드 바의 양단 하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섀클 체결부에는 섀클의 체결을 위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택 인양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와이어 또는 로프이며,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에는 섀클이 마련되어 상기 스프레드 바의 섀클 체결부에 관통 체결되며, 타단에는 후크가 마련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후크 걸림부에 걸림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택 인양장치.
  8. 가스히터의 스택을 인양하는 스택 인양장치에 있어서,
    스택 본체의 양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와이어 또는 로프로 마련되는 연결부재에 의해 스프레드 바에 연결되며, 상기 스프레드 바를 크레인으로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스택을 인양시키되,
    작업자가 지면에서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섀클을 상기 스프레드 바에 체결시키고,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에 형성된 후크를 상기 고정부재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스택의 인양을 위한 크레인과의 연결 작업이 지상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택 인양장치.
KR1020170156450A 2017-11-22 2017-11-22 스택 인양장치 KR201900589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450A KR20190058978A (ko) 2017-11-22 2017-11-22 스택 인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450A KR20190058978A (ko) 2017-11-22 2017-11-22 스택 인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978A true KR20190058978A (ko) 2019-05-30

Family

ID=66675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450A KR20190058978A (ko) 2017-11-22 2017-11-22 스택 인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89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32980A (zh) * 2020-04-03 2020-08-14 中国能源建设集团安徽电力建设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立式高加吊装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32980A (zh) * 2020-04-03 2020-08-14 中国能源建设集团安徽电力建设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立式高加吊装方法
CN111532980B (zh) * 2020-04-03 2021-12-10 中国能源建设集团安徽电力建设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立式高加吊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70093B (zh) 砼烟囱拆除方法
KR20070112238A (ko) 작업 플랫폼
CN105927479A (zh) 风力发电机组的安装方法
JP2010126959A (ja) 通信アンテナ用鉄塔の格納式足場
CN102761083A (zh) 安装线缆的布置结构和方法
KR102344183B1 (ko)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
KR20190058978A (ko) 스택 인양장치
JP5589183B2 (ja) 円筒状構築物の足場装置及びその移動方法
JP5584674B2 (ja) 鉄塔補修システム
CN208071727U (zh) 一种高炉用吊盘
KR101266282B1 (ko) 노내 와이어 비계 설치 및 해체 방법
KR101236184B1 (ko) 팬던트 조립방식의 대형 보일러 노내 비계시스템
JP2016089601A (ja) 通信用鉄塔の塗装工事に用いられる吊り足場および養生ネット設置装置
CN105350698A (zh) 一种大跨度穹顶安装施工方法
CN106049846A (zh) 一种防倾斜施工平台及其使用方法
KR101954789B1 (ko) 파이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플랫폼 고정식 풍력 발전 플랜트.
US11619062B2 (en) Utility structure with retractable mast
JP2023129823A (ja) 配管ユニット、作業用台車、及び、施工方法
KR200483581Y1 (ko) 가스 히터용 굴뚝 구조체
KR101466021B1 (ko) 원자로 내부구조물용 리프트 장치
KR101829662B1 (ko) 펜던트 타입 노 내 시스템비계의 분할식 로프 연결장치 및 이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
CN113803213A (zh) 塔筒段的电缆敷设方法、塔筒段、塔筒及风力发电机组
JP6514677B2 (ja) ボイラー整備用炉内足場システム及びその施工方法
JP5669645B2 (ja) 避雷針取外方法及び避雷針取外用治具
CN219528344U (zh) 一种快速搭设的平台悬挂脚手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