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147B1 - 건축설비용 행거의 내진 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설비용 행거의 내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147B1
KR102179147B1 KR1020180071772A KR20180071772A KR102179147B1 KR 102179147 B1 KR102179147 B1 KR 102179147B1 KR 1020180071772 A KR1020180071772 A KR 1020180071772A KR 20180071772 A KR20180071772 A KR 20180071772A KR 102179147 B1 KR102179147 B1 KR 102179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hanger
elastic member
vibration
low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026A (ko
Inventor
송미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산
Priority to KR1020180071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147B1/ko
Publication of KR20200000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2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 F16L3/20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having supporting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2009/186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arrangements for damping vib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설비용 행거의 내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탄성부재(100)와, 상기 탄성부재(100)의 상부를 지지하며 행거볼트(30)에 고정되는 상부지지부재(110)와, 상기 탄성부재(100)의 하부에서 탄성부재(100)를 지지하며, 행거(20)의 고정부(200)에 고정되는 하부지지부재(120)가 결합된 상태로 제공되어 상부지지부재(110)의 가압부(114)가 탄성부재(100)의 하부를 지지하게 되고, 하부지지부재(120)의 가압부(124)는 탄성부재(100)의 상부를 지지하게 됨으로써 행거(20)와 행거볼트(30)에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을 완화시켜줄 수 있게 되어 행거구조물과 천장패널과 같은 설치 구조물의 안전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설비용 행거의 내진 장치{Seismic equipment of hanger for building equipment}
본 발명은 하나의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상부에서 탄성부재를 지지하며 행거볼트에 고정되는 상부지지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하부에서 탄성부재를 지지하며, 행거의 고정부에 고정되는 하부지지부재가 결합된 상태로 제공되는 건축설비용 행거의 내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지지부재와 하부지지부재로 이루어지는 결합체가 행거의 고정부 상부에 설치되어 탄성부재를 선택적으로 압축시키거나 동시에 압축시키면서 진동과 충격을 감쇠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건물의 천장 슬래브에 천장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행거, 또는, 건물의 내외부에 설치되는 배관이나 여러 다발의 전선 등을 일정한 위치에 설치하기 위한 행거가 지진이나 내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나사 결합부의 풀림현상을 방지하여 설치된 시설물의 변형과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내진 기능을 복수의 행거에서 균일하게 발휘할 수 있는 건축설비용 행거의 내진 장치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건물을 시공하는데 있어 천장 슬래브의 실내측을 마감하는 천장패널은 천장 슬래브에 매설되는 앵커(anker)에 앵커볼트가 체결되고, 상기 앵커볼트에는 천장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엠바와 캐링 등과 같을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행거(hanger)가 너트와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생활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배관의 파이프는 건물의 벽체 내부에 설치되는데, 벽체 내부로 유도되는 과정이나 벽체 내부에서 인출되는 파이프는 통상 행거(hanger)'라는 지지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있다.
또한, 여러 가닥의 다발로 뭉쳐지는 전선(electric cables)의 경우에도 행거에 의해 전원장치나 부하측까지 안내된다.
이러한 행거는 지진에 대비한 내진 설계가 고려되지 아니할 경우 작은 진동에도 충격이 흡수 완충되지 않고 가스나 보일러 등의 배관에 그대로 전달되면서 앵커볼트와 너트가 미세 진동에 의해 풀리는 현상이 발생하면서 행거 구조물이 변형되거나 파손될 위험성이 높다.
그리고 앵커구조물과 함께 천장패널이나 배관 파이프, 또는 전선이 낙하하면서 더큰 재산상의 피해를 입히고 인명에 피해를 주는 위험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천장패널, 배관 파이프, 또는 전선 등을 설치하기 위한 앵커구조물은 내진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앵커구조물을 진동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내진 장치의 일례는 대한민국 특허 제10-0858665호 원터치 핀 체결장치가 제안되었다.
상기 장치는 행거의 슬라이드홀에 삽입되는 승강작동관이 앵커볼트와 체결되면서, 상기 승강작동관의 외주에는 앵커의 상부면에 탄성부재가 안치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승강작동관의 상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를 리벳팅 방식으로 승강작동관에 고정하여서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천장 슬래브에 매립된 앵커에 고정되는 앵커볼트에 공중 작업을 통하여 행거의 위치를 조절하며 작업해야하기 때문에 승강작동관의 상단부를 리벳팅하는 방식으로 너트를 고정하는 작업이 실제로는 불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행거 구조물의 설치 작업은 높은 위치에 행거를 매달아야 하는 작업이므로, 작업이 최대한 효율적이고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업의 핵심적 요소인 행거가 사용하기 편리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요구된다.
다른 구조의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2288호 내진 및 방진용 배관 행거가 제안되었다.
이 장치는 체결부재 끝단부에 나사산을 구비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볼트머리에 얹히는 와셔와, 상기 볼트에 끼워져 와셔에 얹히는 방진스프링과, 상기 방진스프링을 위에서 지지하기 위한 와셔를 구비하며, 상기 볼트는 지지 브래킷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지지 브래킷과 분리된 너트에 의해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볼트에 너트가 체결된 상태에서 행거가 상부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진동과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없게 되는 것이다.
KR 10-0858665 B1 (2008. 09. 09.) KR 10-2010-0022881 A (2010. 03. 03.) KR 10-1102908 B1 (2011. 12. 29.) KR 10-2017-0025887 A (2017. 03. 08.) KR 10-2018-0028724 A (2018. 03. 19.)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내진행거에서 발견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행거에서 탄성부재가 일정한 탄성력을 가지게 됨으로써, 복수의 행거에서 균일한 내진 기능을 발휘하게 되어 안전한 내진설계를 할 수 있는 건축설비용 행거의 내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행거부재에서 상하로 작용하는 진동과 충격을 모두 완화시켜줄 수 있게 되어 행거 구조물을 지진이나 기타의 외력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건축설비용 행거의 내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천장 슬래브에 매립된 앵커에 고정되는 앵커볼트에 공중 작업을 통하여 행거의 위치를 조절하며 이루어지는 앵커 및 내진 장치의 설치 작업을 효율적이고 쉽게 할 수 있는 건축설비용 행거의 내진 장치 및 그 설치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 및 그 기술적 과제는 앞서 기재한 기술적 과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건축설비용 행거의 내진 장치의 기술적인 특징은 행거(20)의 고정부(200)와 앵커볼트(30)에 고정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충격과 진동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되는 건축용 행거의 내진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탄성부재(100)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는 앵커볼트(30)에 고정되어 상기 탄성부재(100)의 상부를 가압하는 상부지지부재(110)와, 행거(20)의 고정부(200)에 고정되어 상기 탄성부재(100)의 하부를 가압하는 하부지지부재(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지지부재(110)와 하부지지부재(120)는 대향하는 지지부재를 향하여 연장되며 단부에 탄성부재(100)를 지지하는 가압부(114, 124)가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지지대(113, 123)가 구비되어, 상부지지부재(110)의 가압부(114)는 탄성부재(100)의 하부에 지지되고, 하부지지부재(120)의 가압부(124)는 탄성부재(100)의 상부에 지지되며, 상부지지부재(110)는 앵커볼트(30)에 고정설치되고, 하부지지부재(120)는 앵커(20)의 고정부(210)에 고정설치되어 상부지지부재(110)와 하부지지부재(120)가 탄성부재(100)를 가압하며 충격과 진동을 완화시켜주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상부지지부재(110)의 가압부(114)는 하부지지부재(120)에 접촉하며 탄성부재(100)의 하부에 지지되고, 상기 하부지지부재(120)의 가압부(124)는 상부지지부재(110)에 접촉하며 탄성부재(100)의 상부에 지지되어 충격과 진동을 완화시켜주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상부지지부재(110)의 가압부(114)는 상기 가압부(114)와 하부지지부재(120) 사이에 개재되는 하부방진고무(114)에 지지되고, 상기 하부지지부재(120)의 가압부(124)는 상기 가압부(124)와 상부지지부재(110) 사이에 개재되는 상부방진고무(130)에 지지되어 충격과 진동을 완화시켜주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부지지부재와 하부지지부재의 가압부가 탄성부재의 양쪽을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 있게 되면서 상부지지부재와 하부지지부재 및 탄성부재가 일체로 결합된 결합체를 이루게 되며, 상부지지부재와 하부지지부재가 탄성부재를 압축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부지지부재와 하부지지부재 및 탄성부재가 결합된 결합체가 행거볼트와 행거에 고정되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행거에서 일정한 탄성력을 나타내게 되며, 상하로 작용하는 진동과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시켜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건축설비용 행거의 내진 장치에 의하면, 서로 결합되는 상부지지부재와 하부지지부재에 의해 탄성부재가 일정한 탄성력을 보유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너트가 앵커볼트에 완전히 체결되었을 때, 복수의 결합체에서 탄성부재가 일정한 탄성력을 가지게 됨으로써, 복수의 행거에서 균일한 내진 기능을 발휘하게 되므로 행거의 안전한 내진설계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부재가 상부지지부재와 하부지지부재에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유통 및 시공현장에 공급되어, 시공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게 됨에 따라 유통 및 공급과정에서 행거 방진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들의 취급과 운반이 용이하며, 공중 작업을 통하여 행거의 위치를 조절하며 이루어지는 앵커 및 내진 장치의 설치작업을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행거의 고정부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상부지지부재와 하부지지부재가 상부탄성부재와 하부탄성부재에 의해 각각 탄력설치되어 상하로 작용하는 진동과 충격을 모두 완화시켜줄 수 있게 되어 행거 구조물을 지진이나 기타의 외력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실시예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이 상세하게 설명된 것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응용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 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의 방향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실시예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며,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하여야만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설명과 도면에 도시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이다.
다음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이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건축설비용 행거의 내진 장치(10)는 하나의 탄성부재(100), 상부지지부재(110) 및 하부지지부재(120)가 결합되는 결합체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예에서 건축설비용 행거(20)는 천장패널을 설치하는 주지된 구조의 행거로서 통상 앵커볼트(30)가 고정되는 수평상의 고정부(200)와, 상기 고정부(200)의 한편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절곡되는 수직부(210)와, 상기 수직부(210)의 하단부로부터 수평상으로 절곡된 다음 상부를 향하여 절곡되어 캐링(40)이 설치되는 받침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에는(200)에는 통상 앵커볼트(30)를 너트(도시되지 아니함)로 체결하여 고정하기 위해 앵커볼트(30)가 관통되는 통공(201)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200)의 통공(201)은 통상적으로 앵커볼트(30)가 관통하여 너트와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앵커볼트(30)가 고정될 수 있게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고정볼트(50)에 의해 내진 장치(10)가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행거(20)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천장패널 설치용 행거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앵커볼트(30)에 설치될 수 있는 다른 구조의 행거가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앵커볼트(30)는 통상적으로 벽체, 또는 천장 슬래브에 매설되는 앵커(도시되지 아니함)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100)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상부지지부재(110) 하부지지부재(120)사이에 설치되어, 앵커볼트(30)가 아래쪽으로 작용하는 충격과 진동, 그리고 행거(20)가 위쪽으로 작용하는 충격과 진동을 완화시켜줄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지지부재(110) 원판부(111), 나사체결공(112), 지지대(131) 및 가압부(114)로 구성된다.
상기 원판부(111)는 둥근 판상으로 형성되면서 중앙에는 원판부(111)가 형성된다.
상기 원판부(111)의 중앙에는 앵커볼트(30)가 체결되는 나사체결공(112)이 형성되며, 바깥쪽에는 하부를 향하여 세 개의 지지대(131)가 형성되어 탄성부재(10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31)의 단부에는 상기 지지대(13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수용되는 탄성부재(100)의 하부를 받쳐줄 수 있도록 안쪽을 향하여 절곡되는 가압부(114)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지지부재(120)는 원판부(121), 나사체결공(122), 지지대(123) 및 가압부(124)로 구성된다.
상기 원판부(121)는 둥근 판상으로 형성되면서 중앙에는 원판부(121)가 형성된다.
상기 원판부(121)의 중앙에는 앵커볼트(30)가 체결되는 나사체결공(122)이 형성되며, 바깥쪽에는 상부를 향하여 세 개의 지지대(123)가 형성되어 탄성부재(10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23)의 단부에는 상기 지지대(12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수용되는 탄성부재(100)의 상부를 짖할 수 있도록 있도록 안쪽을 향하여 절곡되는 가압부(124)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탄성부재(100)의 상부와 상부지지부재(110)의 원판부(111) 사이에는 상부방진고무(130)가 개재되고, 탄성부재(100)의 하부와 하부지지부재(120)의 원판부(121) 사이에는 상부방진고무(140)가 개재된다.
상기 상부방진고무(130)는 행거볼트(3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중앙에 통공(131)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방진고무(140)는 고정볼트(5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중앙에 통공(141)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방진고무(130)와 하부방진고무(140)는 천연고무, 뷰틸(butyl)고무, 또는 합성 고무로 제작되는 것일 수 있으며, 고무를 압축 또는 전단(剪斷) 방향으로 변형시키는 탄력을 이용하여 충격, 진동을 흡수시키는 작용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탄성부재(100)가 상부지지부재(110) 및 하부지지부재(120)와 결합된 상태로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탄성부재(100)의 상부와 상부지지부재(110)의 원판부(111) 사이에는 상부방진고무(130)가 개재되고, 탄성부재(100)의 하부와 하부지지부재(120)의 원판부(121) 사이에는 상부방진고무(140)가 개재되는 상태로 탄성부재(100)가 상부지지부재(110) 및 하부지지부재(120)와 결합된 상태로 제공된다.
이렇게 결합체로 제공되는 내진장치(10)는 유통 및 운반과정에서 취급이 용이하고, 시공현장에서 행거(20)와 행거볼트(30에 직접 결합 고정됨으로써 설치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100)는 상부지지부재(110)에 형성된 지지대(131)의 탄성 복귀력을 이용하여 지지대(131)를 바깥쪽으로 벌려준 다음 세 개의 지지대(131)가 이루는 내부공간으로 투입된다.
또한, 하부지지부재(120)의 지지대(123)의 탄성 복귀력을 이용하여 지지대(123)를 바깥쪽으로 벌려준 다음 세 개의 지지대(123)가 이루는 내부공간으로 투입됨으로써 상부지지부재(110)의 가압부(114)가 탄성부재(100)의 하부를 지지하게 되고, 상부지지부재(120)의 가압부(124)는 탄성부재(100)의 상부를 지지하며 탄성부재(100)와 상부지지부재(110) 및 하부지지부재(120)가 결합되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내진장치(10)는 콘크리트 슬래브(S)에 매설되는 앵커(A)에 고정되는 엥커볼트(30)에 상부지지부재(110)의 나사 체결공(220)이 체결되어 고정설치되고, 하부지지부재(120)는 행거(20)의 고정부(200) 위에 놓여져서 고정부(200) 하부를 통해 나사체결공(122)에 체결되는 고정볼트(50)에 의해 행거(20)에 고정설치된다.
도 6은 위와 같이 설치되는 내진장치(10)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상부지지부재(110)의 가압부(114)는 탄성부재(100)의 하부를 지지하게 되고, 하부지지부재(120)의 가압부(124)는 탄성부재(100)의 상부를 지지하게 됨으로써 행거(20)와 행거볼트(30)에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을 완화시켜줄 수 있게 되어 행거구조물과 천장패널과 같은 설치 구조물의 안전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10: 내진장치 20: 행거
30: 행거볼트 40: 캐링
50: 고정볼트 100: 탄성부재
110: 상부지지부재 111: 원판부
112: 나사체결공 113: 지지대
114: 가압부 120: 하부지지부재
121: 원판부 122: 나사체결공
123: 지지대 124: 가압부
130: 상부방진고무 131: 통공
140: 하부방진고무 141: 통공
200: 고정부 201: 통공
210: 수직부 220: 지지부

Claims (4)

  1. 행거(20)의 고정부(200)와 앵커볼트(30)에 고정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충격과 진동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되는 건축용 행거의 내진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탄성부재(100)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는,
    앵커볼트(30)에 고정되어 상기 탄성부재(100)의 상부를 가압하는 상부지지부재(110)와,
    행거(20)의 고정부(200)에 고정되어 상기 탄성부재(100)의 하부를 가압하는 하부지지부재(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지지부재(110)와 하부지지부재(120)는 대향하는 지지부재를 향하여 연장되며 단부에 탄성부재(100)를 지지하는 가압부(114, 124)가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지지대(113, 123)가 구비되어,
    상부지지부재(110)의 가압부(114)는 탄성부재(100)의 하부에 지지되고,
    하부지지부재(120)의 가압부(124)는 탄성부재(100)의 상부에 지지되며,
    상부지지부재(110)는 앵커볼트(30)에 고정설치되고,
    하부지지부재(120)는 앵커(20)의 고정부(210)에 고정설치되어 상부지지부재(110)와 하부지지부재(120)가 탄성부재(100)를 가압하며 충격과 진동을 완화시켜주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비용 행거의 내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부재(110)의 가압부(114)는 하부지지부재(120)에 접촉하며 탄성부재(100)의 하부에 지지되고,
    상기 하부지지부재(120)의 가압부(124)는 상부지지부재(110)에 접촉하며 탄성부재(100)의 상부에 지지되어 충격과 진동을 완화시켜주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비용 행거의 내진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부재(110)의 가압부(114)는 상기 가압부(114)와 하부지지부재(120) 사이에 개재되는 하부방진고무(114)에 지지되고,
    상기 하부지지부재(120)의 가압부(124)는 상기 가압부(124)와 상부지지부재(110) 사이에 개재되는 상부방진고무(130)에 지지되어 충격과 진동을 완화시켜주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비용 행거의 내진 장치.
KR1020180071772A 2018-06-22 2018-06-22 건축설비용 행거의 내진 장치 KR102179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772A KR102179147B1 (ko) 2018-06-22 2018-06-22 건축설비용 행거의 내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772A KR102179147B1 (ko) 2018-06-22 2018-06-22 건축설비용 행거의 내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026A KR20200000026A (ko) 2020-01-02
KR102179147B1 true KR102179147B1 (ko) 2020-11-16

Family

ID=69155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772A KR102179147B1 (ko) 2018-06-22 2018-06-22 건축설비용 행거의 내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1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938B1 (ko) * 2020-09-09 2021-07-05 정웅섭 볼트 체결형 내진행거 및 그의 조립방법
KR102555760B1 (ko) * 2022-08-25 2023-07-14 제이엔티 주식회사 고성능 천장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7655A (ja) 2001-07-19 2003-01-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天井吊り金具
JP3149450U (ja) 2009-01-15 2009-03-26 株式会社サワタ建材社 天井下地用吊りボルト
JP2010223368A (ja) 2009-03-24 2010-10-07 Tokkyokiki Corp 天井吊下型防振具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665B1 (ko) 2006-12-07 2008-09-18 김남영 원터치 핀 체결 행거
KR20100022881A (ko) 2008-08-20 2010-03-03 김성구 내진 및 방진용 배관 행거
KR101102908B1 (ko) 2011-06-23 2012-01-10 김성구 내진 스프링 안전 행거
KR101802385B1 (ko) 2015-08-31 2017-11-28 금강이앤씨(주) 내진용 배관 파이프 행거
KR101870212B1 (ko) 2016-09-09 2018-06-22 최낙준 내진 및 방진용 배관 홀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7655A (ja) 2001-07-19 2003-01-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天井吊り金具
JP3149450U (ja) 2009-01-15 2009-03-26 株式会社サワタ建材社 天井下地用吊りボルト
JP2010223368A (ja) 2009-03-24 2010-10-07 Tokkyokiki Corp 天井吊下型防振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026A (ko) 2020-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232B1 (ko) 방진용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와 헹거
KR101774285B1 (ko) 구면와셔와 압축스프링과 면진블록을 이용한 수배전반용 면진장치
KR102179147B1 (ko) 건축설비용 행거의 내진 장치
KR102252231B1 (ko) 볼트 일체형 내진행거 및 그의 조립방법
KR20110052076A (ko) 선박 배관의 진동저감장치
SG182046A1 (en) Hanging type vibration isolator
KR102091576B1 (ko) 텐션조절 기능이 있는 이중스프링을 겸비한 내진 배전반의 완충베이스
KR102072484B1 (ko) 천장패널용 행거 내진 장치의 설치 방법
KR102198672B1 (ko) 내진기능이 부가된 배전반
CN210083866U (zh) 一种便于安全阀运输的固定装置
KR20200000024A (ko) 건축설비용 행거의 내진 장치와 그 설치 방법
KR102362437B1 (ko) 내진 케이블 트레이용 행거 연결장치
JP4592609B2 (ja) 通信ケーブル固定具
KR102003597B1 (ko) 기계설비배관의 내진 및 방진지지장치
JP5968688B2 (ja) 減震構造体
KR102357824B1 (ko) 건축용 내진 행거
KR200491645Y1 (ko) 분할 완충구가 구비된 배관용 방진행거
KR101499690B1 (ko) 내구성과 작업성이 향상된 케이블 지지용 채널 결합체
JP2013167293A (ja) 防振吊り減震構造体
KR102422314B1 (ko) 건축 설비용 행거의 내진 장치
KR101941366B1 (ko) 설치대상물의 하부를 고정하는 구조를 구비한 이중마루
KR101001898B1 (ko) 방진 및 내진용 인서트 플레이트
KR102591557B1 (ko) 내진용 트레이 지지장치
CN211344420U (zh) 一种抗震支吊架
CN110397839A (zh) 一种粘弹性组合减震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