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5760B1 - 고성능 천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성능 천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5760B1
KR102555760B1 KR1020220106773A KR20220106773A KR102555760B1 KR 102555760 B1 KR102555760 B1 KR 102555760B1 KR 1020220106773 A KR1020220106773 A KR 1020220106773A KR 20220106773 A KR20220106773 A KR 20220106773A KR 102555760 B1 KR102555760 B1 KR 102555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system
sound absorbing
bar
main ba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6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관
Original Assignee
제이엔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엔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엔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6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7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1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35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connection means at the 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78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of the tray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04B9/26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by means of snap action of elastically deformable elements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 천장에 형성되는 고성능 천장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천장에 위치되는 흡음패널; 상기 흡음패널은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단부에서 상향 절곡되는 측면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판에는 흡음부;가 형성되되, 상기 흡음부는 관통형성되는 펀칭슬릿부; 및 상기 펀칭슬릿부 주위에서 펀칭슬릿부를 지지하는 컬럼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고성능 천장 시스템 {High Performance Ceiling System}
본 발명은 구조물 천장에 형성되는 고성능 천장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특허발명 001은 천장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티바에 설치된 천장용 패널의 일측을 지지하여, 상기 천장용 패널이 외력에 의해 티바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한 지지클립이 구비된 천장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천장의 슬래브에 설치된 복수의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된 고정부와, 이 고정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후, 양측으로 분기된 플랜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티바(T-bar); 상기 티바의 플랜지에 걸려 지지된 결합부를 포함하며, 천장을 마감하는 천장용 패널;일단부는 어느 하나의 티바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천장용 패널의 일측 결합부를 지지하는 지지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된 천장틀 구조를 제공한다.
특허발명 002는 실내 대합실이나 전철의 통로 등의 천장 마감을 위한 천장판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측끝단에는 걸림절곡부를 형성하고 타측끝단부에는 수직단부를 형성하여 된 천장판을 구비하여, 상기 걸림절곡부는 나란하게 배치되는 티바에 걸쳐지도록 하고, 서로 이웃하는 천장판의 사이에는 상기 티바에 걸쳐진크로스바가 위치하도록 하되, 천장판의 상부에는 제1쿠션부재를 부착 형성하여 티바로부터 천장판이 하향 가압되게 하고, 크로스바의 끝단에는 제2쿠션부재를 부착 형성하여 티바로부터 크로스바가 하향 가압되게 구성함으로써, 티바와 크로스바를 이용하여 반복하여 설치되는 천장판 중 원하는 위치의 천장판을 실내측으로 개별 분리시킬 수 있어 천장 내부의 배관이나 배선에 대한 점검 및 수리를 요하는 경우 해당 위치의 천장판에 대한 개별적인 분리 및 제거에 의해 상기의 점검 및 수리가 매우 빠르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실내측으로부터 작업자의 인위적인 힘만으로도 천장판의 용이한 분리와 장착이 가능하므로 초보자라 할지라도 어려움 없이 천장판에 대한 분리와 장착이 가능한 것이며, 천장판에 대한 파손이나 훼손이 발생한 경우에도 빠르고 편리하게 해당의 천장판만을 교체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은 물론 천장 내부의 시설 및 설비를 유지 및 관리하는데에도 매우 이로운 것이다.
특허발명 003은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는,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에 있어서, 설치대상면에 적어도 일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프레임;과, 수용공간이 형성된 틀체와, 상기 틀체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이용해 각 테두리를 틀체에 고정하여 수용공간의 하부를 마감하는 마감시트와, 상기 틀체의 상단부 양측에 마련되어 고정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연결부재가 형성된 시트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시트패널은 복수 마련되어 고정프레임의 사이공간을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발명 004는 천장 마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에 지지되고,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서포트바와; 상기 서포트바들 사이에서 양단이 각각 상기 서포트바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서포트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서포트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가 배열되는 마감패널과; 상기 마감패널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마감패널들을 상기 서포트바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시키는 크로스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는 설치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면서, 마감패널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는 마감패널들 사이에 크로스바를 설치하여 마감패널들 사이의 틈을 없애 마감패널들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크로스바에 설치되는 장식패널을 통해 다양한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KR 20-2009-0003854 A (공개일자 2009년04월27일) KR 10-2013-0021316 A (공개일자 2013년03월05일) KR 10-2013-0084137 A (공개일자 2013년07월24일) KR 10-2015-0146022 A (공개일자 2015년12월31일)
본 발명은 구조물 천장에 형성되는 고성능 천장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성능 천장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구체적으로 천장에 위치되는 흡음패널; 상기 흡음패널은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단부에서 상향 절곡되는 측면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판에는 흡음부;가 형성되되, 상기 흡음부는 관통형성되는 펀칭슬릿부; 및 상기 펀칭슬릿부 주위에서 펀칭슬릿부를 지지하는 컬럼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고성능 천장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에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고성능 천장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는 상기 단차부 내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고성능 천장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펀칭슬릿부는 벤딩형성되는 아치구조인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고성능 천장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음패널은 은나노 코팅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고성능 천장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성능 천장 시스템은 상기 흡음패널을 지지하는 패널지지바; 상기 패널지지바의 상부에서 직교형성되는 메인바; 상기 메인바의 상부에 안착되어 메인바와 패널지지바를 동시에 결속하는 면진클립부;와 상기 메인바가 안착되는 감쇄행거클립; 및 상기 감쇄행거클립을 지지하는 행거볼트;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고성능 천장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바는 티형바; 또는 엠형바;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고성능 천장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면진클립부는 상기 메인바의 상부에 지지되는 상면커버부;와 상기 상면커버부의 양측에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메인바의 측면을 감싸는 측면커버부;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고성능 천장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면진클립부의 내측에 결속되고 상기 메인바의 외면에 접촉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고성능 천장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인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고성능 천장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감쇄행거클립은 상기 행거볼트에 연결되는 탄성지지부;와 상기 메인바를 지지하는 탄성행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고성능 천장 시스템 구성은 단차부가 형성된 흡음패널의 흡음부를 통해 전달된 소음이 실내로 반사되는 것 및 천장시스템 내부로 유입된 먼지의 유출을 방지하고, 은나노, 구리나노 코팅을 실시함으로써 세균증식을 억제할 수 있으며, 면진클립부의 슬라이더를 통해 설치 시 작업자의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진동에 따른 전방향 수평변위를 수용할 수 있으며, 감쇄행거클립으로 수직진동에 따른 변위수용 및 감쇄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성능 천장 시스템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흡음패널 단면 및 흡음원리 도식화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엠형바가 적용된 고성능 천장 시스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티형바가 적용된 고성능 천장 시스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면진클립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패널지지바에 흡음패널이 체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메인바에 결합된 면진클립부의 이동을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면진클립부 내 다양한 슬라이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행거볼트에 감쇄행거클립이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의 인용관계는 기술적 이해를 돕고자 제시한 번호에 불과 할 뿐이며, 기타 인용하지 않은 다른 실시 예를 인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 예에 명시되지 않은 구성이어도 유사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으로 치환 가능하다. 이하 실시 예에 명시하지 않은 하위개념 구성이어도 명시된 것으로 간주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고성능 천장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구체적으로, 천장에 위치되는 흡음패널(100); 상기 흡음패널은 베이스판(110);과 상기 베이스판의 단부에서 상향 절곡되는 측면판(120);으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판(110)에는 흡음부(130);가 형성되되, 상기 흡음부는 관통형성되는 펀칭슬릿부(131); 및 상기 펀칭슬릿부 주위에서 펀칭슬릿부를 지지하는 컬럼부(13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구조물의 천장(Ceiling)에 위치하여 구조물 천장에 위치한 각종 배관등의 설비공간과 생활공간을 분리하는 천장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및 빌딩 등 사람의 주거, 생산등의 활동을 위한 건축물에는 상하수도 시설, 전기시설 등의 설비구조물이 구비되게 된다. 이러한 설비구조물은 사람의 동선 및 공간활용에 제약되지 않게 천장(Ceiling)에 인접하게 설치하게 된다. 천장 시스템은 그 기본적인 기능으로 상부구조로부터의 소음을 저감시키거나 아래층 소음이 상부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키고, 실내 먼지를 흡입하거나 공기를 유동시키는 역할 또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천장패널은 소음의 제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지 못하거나, 천장 내 먼지가 다시 실내로 유입되고, 천장 내부에 위치한 흡음재료로 인해 화재 시 유독가스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어왔다. 또한, 강결된 결합의 설치구조물로서 공용 중 구조물 진동 등 외력에 의한 거동 시 천장구조물의 이탈, 일부 탈락 등이 발생되고, 태풍, 지진 등 자연 재해 발생 시 구조물 탈락에 의해 인명피해를 주는 사례도 종종 발생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고성능 천장 시스템을 구축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고성능 천장 시스템은 베이스판(110)과 베이스판 단부에서 상향 절곡되는 측면판(120)으로 구성된 흡음패널(100)을 구비한다. 상기 흡음패널의 베이스판(110)에는 흡음부(130)가 형성되는데, 상기 흡음부(130)는 상기 베이스판(110)을 펀칭하여 슬릿형상으로 형성되는 펀칭슬릿부(131)가 구비되고, 상기 펀칭슬릿부(131) 주위에는 상기 펀칭슬릿부를 지지하는 컬럼부(13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펀칭슬릿부(131)는 인접한 복수의 펀칭슬릿부(131)와 함께 군(Group)을 이루어 원형 또는 다각형의 펀칭슬릿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상기 펀칭슬릿부 사이에는 상기 펀칭슬릿부(131)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컬럼부(132)가 구성된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고성능 천장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110)에는 단차부(140);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은 고성능 천장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140)는 상기 베이스판(110)에서 상향 또는 하향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은 고성능 천장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140)는 독립된 원형 또는 다각형인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은 고성능 천장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140)는 복수의 단차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2-1 내지 2-4)은 흡음패널(100)을 구성하는 단차부(140)를 구체화한다. 상기 베이스판(110)은 흡음패널(100)의 흡음성능 및 미관상 디자인 향상을 동시에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형상의 단차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단차부(140)는 상기 베이스판(110)에서 상향 또는 하향 형성되어 산 및 골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차부(140)는 독립된 원형 또는 다각형상일 수 있고, 복수의 형상으로 반복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차부(140)는 복수의 단차 즉, 다단(Step)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110)에 다양한 형상의 단차를 둠으로서 전달되는 소음을 분산 또는 집중시켜 흡음 성능을 극대화 하고, 형상에 의한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고성능 천장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130)는 상기 단차부(140) 내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은 고성능 천장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130)는 상기 단차부(140) 내에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은 고성능 천장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130)는 단차부(140) 내에 복수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3-1 내지 3-3)은 흡음패널을 구성하는 흡음부(130)를 구체화한다. 상기 흡음부(130)는 상기 베이스판(110)에 형성된 단차부(14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부(140)는 실내 소음 또는 부유먼지가 상기 펀칭슬릿부(131) 내부로 흡음, 흡입되기 전 포집하는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흡음부(130)는 상기 단차부(140) 내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흡음부(130)는 복수의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어 전달되는 소음의 크기, 영역에 따라 흡음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고성능 천장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펀칭슬릿부(131)는 벤딩형성되는 아치구조인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4-1)은 흡음부(130)를 구성하는 펀칭슬릿부(131)를 구체화한다. 상기 흡음부(130)의 펀칭슬릿부는 소음이 천장 내부로 흡음되고 다시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펀칭슬릿부(131)는 흡음패널(100) 상부로 벤딩형성되는 상향 아치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형상한정을 통해 펀칭슬릿부(131)는 실내에서 전달되는 소음을 흡음패널(100) 내부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며, 천장 시스템 내부로 흡음된 소음은 천장 내부와 흡음패널의 베이스판(110) 사이에서 대부분 상쇄될 수 있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고성능 천장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흡음패널(100)은 은나노 코팅된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은 고성능 천장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흡음패널(100)은 구리나노 코팅된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은 고성능 천장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흡음패널(100)의 상면은 양전하 코팅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5-1 내지 5-3)은 흡음패널(100)의 코팅구성을 구체화한다. 상기 흡음패널(100)에는 항균성능을 위해 은나노(Silver, Ag) 입자를 이용한 코팅제가 도포되거나, 구리 나노 입자가 도포될 수 있다. 은은 일반 유기계 항균제에 비해 인체에 독성이 낮고, 항균력이 우수한 특징이 있고, 구리(Copper, Cu) 나노입자는 항균성 및 도전성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어 천장 내부의 환경에 따른 세균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은나노 및 구리나노 코팅은 필름형식으로 부착될 수 있고, 최종 경화되는 겔 형태로 분산 도포될 수 있으며, 혼합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흡음패널(100)의 내부에는 천장에서부터 탈락되는 먼지와 실내 공기가 유입되면서 함께 유입되는 먼지가 존재하는데, 이러한 먼지는 공기의 유동에 따라 다시 실내로 유입되어 사람의 호흡기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흡음패널(100) 내에 먼지를 흡착하여 유동을 저감시키기 위해 흡음패널(100)의 상면은 양(+)전하로 대전된 물질을 포함한 코팅이 실시될 수 있다. 양전하 코팅은 미세먼지, 바이러스 등이 음(-)전하를 띄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흡음패널(100) 내벽에 양전하로 대전된 물질을 도포하면 실내 공기 유동 시 흡음패널 내로 이동된 먼지가 양전하가 도포된 흡음패널(100) 내벽에 흡착되어 머물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고성능 천장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고성능 천장 시스템은 상기 흡음패널(100)을 지지하는 패널지지바(200); 상기 패널지지바의 상부에서 직교형성되는 메인바(300); 상기 메인바의 상부에 안착되어 메인바(300)와 패널지지바(200)를 동시에 결속하는 면진클립부(400);와 상기 메인바(300)가 안착되는 감쇄행거클립(500); 및 상기 감쇄행거클립을 지지하는 행거볼트(700);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 6-2] 본 발명은 고성능 천장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패널지지바(200)는 티형바(210); 또는 엠형바(220);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6-1 내지 6-2)은 흡음패널(100)을 지지하는 지지구조를 구체화한다. 상기 흡음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로 패널지지바(200)가 구비된다. 상기 패널지지바는 티형바(210)(‘T’type bar) 또는 엠형바(220)(‘M’type bar)의 형상으로 적용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흡음패널(100)의 설치형태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패널지지바(200)의 상부에는 상기 패널지지바에 직교(Cross)되며, 패널지지바(200)를 지지하는 메인바(300)가 형성된다. 상기 메인바(300)에는 상기 패널지지바를 지지하기 위해 면진(免震)클립부가 형성되어 메인바(300)와 패널지지바(200)를 동시에 결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메인바(300)를 천장에 고정시키기 위해 감쇄(減殺)행거클립이 구비되고 감쇄행거클립(500) 상단에 결합되는 행거볼트(700)를 통해 구조물의 천장에 고정되게 된다.
[실시예 7-1] 본 발명은 고성능 천장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면진클립부(400)는 상기 메인바(300)의 상부에 지지되는 상면커버부(410);와 상기 상면커버부의 양측에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메인바(300)의 측면을 감싸는 측면커버부(420);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7-1)은 흡음패널(100) 지지구조의 면진클립부(400)를 구체화한다. 상기 면진클립부(400)는 상기 메인바(300)와 상기 패널지지바(200)를 동시에 결속하기 위해 메인바(300)의 상부에 지지되는 상면커버부(410)와 상면커버부 양측에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메인바(300)의 측면을 감싸는 측면 커버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면진클립부(400)는 상단에 메인바(300)를 내재하고, 하단에 상기 패널지지바(200)를 결속하기 위해 홈, 돌기 등 다양한 형상으로 한정될 수 있다.
[실시예 8-1] 본 발명은 고성능 천장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면진클립부(400)의 내측에 결속되고 상기 메인바(300)의 외면에 접촉되는 슬라이더(600);를 포함한다.
[실시예 8-2] 본 발명은 고성능 천장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600)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인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8-3] 본 발명은 고성능 천장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600)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인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8-4] 본 발명은 고성능 천장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600)는 상기 면진클립부(400)의 상면하단에 지지되는 수평가이드부;와 상기 수평부 양측으로 하방 연장되어 면진클립부(400)의 측면커버부(420) 내에 형성되는 수직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실시예 8-5] 본 발명은 고성능 천장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8-4에 있어서, 상기 수평가이드부에는 상기 메인바(300)의 상면에 선접촉되는 상면가이드레일;이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8-6] 본 발명은 고성능 천장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8-4에 있어서, 상기 수직가이드부에는 상기 메인바(300)의 외면에 선접촉되는 측면가이드레일;이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8-7] 본 발명은 고성능 천장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8-4에 있어서, 상기 수직가이드부 양단에는 상기 면진클립부(400)의 측면커버부(420)에 끼움되는 결속부;가 돌출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8-8] 본 발명은 고성능 천장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8-4에 있어서, 상기 수직가이드부는 상기 메인바(300) 외면을 가압탄성지지하기 위해 곡률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8-1 내지 8-8)은 면진클립부(400)에 결속되는 슬라이더(600)를 구체화한다. 상기 면진클립부(400)에는 상기 메인바(300)에 설치 시 위치이동의 편의를 위해 슬라이더(600)(Slider)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천장 시스템 설치 시 작업자가 메인바(300)에 면진클립부(400) 삽입 및 위치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공용중 구조물 거동에 따라 발생되는 전방행 수평 변위를 일부 수용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슬라이더(600)는 저마찰재료(Low Friction Material)로 제작될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일 수 있고, 상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폴리아미드(PA : Polyamide) 또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 Ethylene)일 수 있고, 경도는 쇼어기준(Shore D) 85D이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600)의 저마찰특성을 극대화 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더(600)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Tefron)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은 자기윤활특성을 포함하여 마찰계수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600)는 상기 면진클립부(400) 내에 형성되어 면진클립부의 상면하단에 지지되는 수평가이드부와 면진클립부(400) 측면커버부(420) 내에 형성되는 수직가이드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메인바(300)에 슬라이드 되는 면진클립부가 메인바(300)의 상면 및 측면 또는 어느 일측면을 지지하더라도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슬라이더(600)에는 상기 면진클립부(400) 이동의 성능을 극대화 하기 위해 상기 수평가이드부 및 상기 수직가이드부 내부에 각각 상기 메인바(300)에 선접촉되는 상면가이드레일 및 측면가이드레일을 하나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메인바(300)와 상기 슬라이더(600) 사이에 접촉을 줄임으로서 마찰 저항을 줄이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600)는 상기 면진클립부에 결합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직가이드부 양단에 상기 면진클립부(400)의 측면커버부(420)에 끼움되는 결속부가 돌출형성될 수 있고, 상기 면진클립부 내에 형성된 상기 슬라이더(600)의 메인바(300)의 지지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슬라이더(600)의 상기 수직가이드부를 곡률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메인바(300)를 가압탄성지지할 수 있다.
[실시예 9-1] 본 발명은 고성능 천장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감쇄행거클립(500)은 상기 행거볼트(700)에 연결되는 탄성지지부(510);와 상기 메인바(300)를 지지하는 탄성행거부(520);를 포함한다.
[실시예 9-2] 본 발명은 고성능 천장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9-1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510)는 코일스프링, 판스프링인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9-3] 본 발명은 고성능 천장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9-1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510)는 고무, 우레탄인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9-4] 본 발명은 고성능 천장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9-1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510)는 고감쇄 고무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9-1 내지 9-4)은 감쇄행거클립(500)의 지지구성을 구체화한다. 상기 감쇄행거클립은 고효율 천장마감시스템의 수직진동을 수용하고, 제어하기 위한 탄성지지부(510)와 메인바(300)를 지지하기 위한 탄성행거부(520)로 형성된다. 상기 감쇄행거클립(500)은 구조물 진동 시 상기 고효율 천장마감시스템의 파손을 방지하고 수직거동을 허용하기 위해 탄성지지부(510)가 구비되는데 이를 구현하기 위해 코일스프링, 판스프링의 금속재 탄성지지부(510)가 형성될 수 있고, 고무 또는 우레탄 등 고분자 소재를 활용하여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효과로 상시 풍하중 등에 의한 구조물 진동을 감쇄시키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감쇄 고무(High Damping Rubber)로 제작될 수 있다.
100 : 흡음패널 110 : 베이스판
120 : 측면판 130 : 흡음부
131 : 펀칭슬릿부 132 : 컬럼부
140 : 단차부 200 : 패널지지바
210 : 티형바 220 : 엠형바
300 : 메인바 400 : 면진클립부
410 : 상면커버부 420 : 측면커버부
500 : 감쇄행거클립 510 : 탄성지지부
520 : 탄성행거부 600 : 슬라이더
700 : 행거볼트

Claims (11)

  1. 고성능 천장 시스템에 있어서,
    천장에 위치되는 흡음패널(100);
    상기 흡음패널(100)을 지지하는 패널지지바(200);
    상기 패널지지바(200)의 상부에서 직교형성되는 메인바(300);
    상기 메인바(300)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메인바(300)와 패널지지바(200)를 동시에 결속하는 면진클립부(400);와
    상기 메인바(300)가 안착되는 감쇄행거클립(500);
    상기 면진클립부(400)의 내측에 결속되고 상기 메인바(300)의 외면에 접촉되는 슬라이더(600); 및
    상기 감쇄행거클립(500)을 지지하는 행거볼트(700);를 포함하고,
    상기 흡음패널(100)은 베이스판(110);과 상기 베이스판(110)의 단부에서 상향 절곡되는 측면판(120);으로 구성하며,
    상기 베이스판(110)에는 흡음부(130);가 형성되되, 상기 흡음부(130)는 관통형성되는 펀칭슬릿부(131); 및 상기 펀칭슬릿부(131) 주위에서 펀칭 슬릿부를 지지하는 컬럼부(132);를 포함하고,
    상기 면진클립부(400)는 상기 메인바(300)의 상부에 지지되는 상면커버부(410);와 상기 상면커버부(410)의 양측에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메인바(300)의 측면을 감싸는 측면커버부(420);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더(600)는 상기 면진클립부(400)의 상면 하단에 지지되는 수평가이드부;와 상기 수평가이드부 양측으로 하방 연장되어 면진클립부(400)의 측면커버부(420) 내에 형성되는 수직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가이드부에는 상기 메인바(300)의 외면에 선접촉되는 측면가이드 레일;이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고성능 천장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에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고성능 천장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는 상기 단차부 내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고성능 천장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펀칭슬릿부는 벤딩형성되는 아치구조인 것;을 포함하는 고성능 천장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음패널은 은나노 코팅된 것;을 포함하는 고성능 천장 시스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바는 티형바; 또는 엠형바;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고성능 천장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인 것;을 포함하는 고성능 천장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쇄행거클립은 상기 행거볼트에 연결되는 탄성지지부;와 상기 메인바를 지지하는 탄성행거부;를 포함하는 고성능 천장 시스템.
KR1020220106773A 2022-08-25 2022-08-25 고성능 천장 시스템 KR102555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773A KR102555760B1 (ko) 2022-08-25 2022-08-25 고성능 천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773A KR102555760B1 (ko) 2022-08-25 2022-08-25 고성능 천장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5760B1 true KR102555760B1 (ko) 2023-07-14

Family

ID=87155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6773A KR102555760B1 (ko) 2022-08-25 2022-08-25 고성능 천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576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854U (ko) 2007-10-22 2009-04-27 주식회사 유 창 천장 구조
KR20120010032A (ko) * 2010-07-23 2012-02-02 서경통상(주) 조립식 광폭 천정 판넬과 그 제조 장치와 제조 방법
KR20130021316A (ko) 2011-08-22 2013-03-05 박현용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및 천장 마감방법
KR20130084137A (ko) 2012-01-16 2013-07-24 광건티앤씨(주) 개별 탈착이 가능하도록 한 천장판의 설치구조
KR20150146022A (ko) 2014-06-20 2015-12-31 주식회사 조은데코 천장 마감장치
KR102022856B1 (ko) * 2019-02-01 2019-09-19 이재학 천장 마감용 조립 어셈블리
KR20200000026A (ko) * 2018-06-22 2020-01-02 주식회사 호산 건축설비용 행거의 내진 장치
KR102284791B1 (ko) * 2020-11-02 2021-08-02 주식회사 조은데코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854U (ko) 2007-10-22 2009-04-27 주식회사 유 창 천장 구조
KR20120010032A (ko) * 2010-07-23 2012-02-02 서경통상(주) 조립식 광폭 천정 판넬과 그 제조 장치와 제조 방법
KR20130021316A (ko) 2011-08-22 2013-03-05 박현용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및 천장 마감방법
KR20130084137A (ko) 2012-01-16 2013-07-24 광건티앤씨(주) 개별 탈착이 가능하도록 한 천장판의 설치구조
KR20150146022A (ko) 2014-06-20 2015-12-31 주식회사 조은데코 천장 마감장치
KR20200000026A (ko) * 2018-06-22 2020-01-02 주식회사 호산 건축설비용 행거의 내진 장치
KR102022856B1 (ko) * 2019-02-01 2019-09-19 이재학 천장 마감용 조립 어셈블리
KR102284791B1 (ko) * 2020-11-02 2021-08-02 주식회사 조은데코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3045B2 (en) Ceiling system
RU2570208C2 (ru) Крепеж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и крепеж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вертикальных панелей
US20230212851A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dynamic acoustic locking ceiling system and methods thereof
US11773591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dynamic acoustic ceiling system and methods thereof
AU2014289969B2 (en) Seismic ceiling system
US6834467B2 (en) Free form ceiling
US7614195B2 (en) Suspended ceiling grid network utilizing seismic separation joint clips
AU2009201211B2 (en) Suspended ceiling cloud with flexible panel
US20150226451A1 (en) Support apparatus
RU2010112691A (ru) Ударопрочный подвесной потолок и его крепежный элемент
WO2006022889A2 (en) Curved ceiling panel
WO2015161342A1 (en) A suspended ceiling clip
CA2097897A1 (en) Ceiling track mounting apparatus
US8397451B2 (en) Ceiling wiring access point device
US9140277B2 (en) Quick-attaching ceiling leak diverter devices
KR102555760B1 (ko) 고성능 천장 시스템
EP2725161A1 (en) Sound absorbing module and a suspended ceiling comprising the same
CA2967366A1 (en) Ceiling system
TW200844302A (en) Acoustical mounting bracket for attaching ceiling suspension to floor joists
CN110273502B (zh) 一种天花板的安装结构
KR101093635B1 (ko) 평면 가변형 이동식 칸막이
JP2000282707A (ja) 免震室
KR20240055409A (ko) 친환경 내진 및 흡음패널 시스템
EP1070894A3 (en) Cable support and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JP6805695B2 (ja) 空調設備の線状開口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