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1316A -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및 천장 마감방법 - Google Patents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및 천장 마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1316A
KR20130021316A KR1020120028345A KR20120028345A KR20130021316A KR 20130021316 A KR20130021316 A KR 20130021316A KR 1020120028345 A KR1020120028345 A KR 1020120028345A KR 20120028345 A KR20120028345 A KR 20120028345A KR 20130021316 A KR20130021316 A KR 20130021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nel
standardized
sheet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9144B1 (ko
Inventor
박현용
Original Assignee
박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용 filed Critical 박현용
Publication of KR20130021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409Sound-absorbing elements sheet-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1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04B9/26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by means of snap action of elastically deformable elements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3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edge details of the ceiling; e.g. securing to an adjacent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0Self-supporting slabs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floors ceilings, or roofs, e.g. able to be load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57Solid slabs or blocks
    • E04B2001/8476Solid slabs or blocks with acoustical cavitie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 E04B2001/848Solid slabs or blocks with acoustical cavitie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the cavities opening onto the face of the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는,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에 있어서, 설치대상면에 적어도 일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프레임;과, 수용공간이 형성된 틀체와, 상기 틀체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이용해 각 테두리를 틀체에 고정하여 수용공간의 하부를 마감하는 마감시트와, 상기 틀체의 상단부 양측에 마련되어 고정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연결부재가 형성된 시트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시트패널은 복수 마련되어 고정프레임의 사이공간을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및 천장 마감방법 {The ceiling closing equipment using a standardize sheet panel, ceiling closing install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천장마감용 시트패널을 규격화하여 제공하고, 이러한 시트패널을 이용해 설치대상면을 간편하게 마감할 수 있는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및 천장 마감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장마감판은 건축물의 내부 천장에 설치되어 설치 공간내에 장식적 미감을 가져오는 이외에도 위생 및 보온 등의 측면에서도 건축물에 대해 부가적 효과를 제공하는 건축 소재이다.
따라서, 근래의 건축에 있어서 천장마감판의 설치는 거의 필수적이며, 이러한 천장마감판을 설치하기 위해 천장마감판과 건물 슬라브 천장면 사이에는 복잡한 여러 가지 구조물들이 설치되고 있는데, 도 1에는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물들의 한 종류 형태가 개략적인 일부 사시도로서 도시되었다.
즉,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경량철골 천장마감판 설치용 구조도로서 건물 슬라브 천장면에는 행거볼트(Hanger Bolt, 42)에 의해 행거클립(Hanger Clip, 40)이 고정되고, 다수의 행거클립(40)에 의해 다수의 캐링채널(Carring Channel, 30)이 현수되며, 상기 캐링채널(30)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클립바(Clip Bar, 20)는 와이어클립(Wire Clip, 60)에 의해 캐링채널(30)에 결합 유지된다.
이때, 와이어클립(60)은 클립바(20)와 캐링채널(30)의 매 교차지점마다 각각 체결시키거나, 또는 클립바(20) 및 천장마감판(50)의 현수에 필요한 최소한의 체결력 이상을 유지할 수 있는 수의 와이어클립(60)들이 소정의 교차점들에서 클립바(20)들과 캐링캐널(30)들을 서로 체결시킬 수 있다.
상기 클립바(20)의 구성은 클립바 상판(22)으로부터 하향 내측으로 경사지게 서로 수렴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경사판(24)이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경사판(24) 하단부에는 아치형 굴곡부(26)가 형성되며, 상기 두 개의 아치형 굴곡부(26) 사이에는 갈라진 원통 형상의 수납 홈(27)이 형성된다.
그리고, 천장마감판(50)의 천장마감판 측벽(52)에는 다수의 돌출부(54)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출부(54)들은 수납 홈(27)내에 삽입 체결되고, 이와 같은 캐링채널(30)과 행거클립(40), 클립바(20)와 캐링채널(30), 그리고 수납 홈(27)과 돌출부(54) 사이의 체결 결합에 의해 천장마감판(50)은 건물 슬라브 천장면에 현수 유지되는 것이다.
여기서, 클립바(20)와 캐링채널(30) 사이의 체결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와이어클립(60)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와이어클립(60)은 와이어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정클립(60)을 먼저 캐링채널(30)의 상부에 걸친 후에 고정클립(60)의 양단을 절곡하여 클립바 상판(22)의 양측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고정클립(60)이 클립바(20)와 캐링채널(30)을 서로 체결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천장마감판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천장마감면에 조명을 설치하기 어렵고, 마감면에 다양한 장식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스트레치 시트를 팽팽하게 잡아당겨 천장면 전체를 마감하는 구조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42172호를 통해 제안되었다. 이러한 스트레치 시트를 이용한 마감 구조는 시공 대상면의 테두리에 고정레일을 각각 설치하고, 대상면에 따라 맞춤 재단된 시트를 가열한 상태로 잡아당긴 상태에서 시트의 단부를 고정레일에 고정하여 팽팽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인데, 현장에 따라 각각 맞춤 시공을 해야 하므로, 시공인력의 전문화가 요구되며, 규격화된 시공에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97001호에는 기존의 경량철골구조의 천장마감판에 스트레치 시트를 적용하여 시공을 간편하게 하기 위한 시트패널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시트패널은 유지보수를 위해 경량철골로부터 시트패널을 분리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분리하는 과정에서 팽팽하게 당겨진 시트가 찢어지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03120호 선행기술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42172호 선행기술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97001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설치대상면에 간편하게 설치하거나, 유지보수 할 수 있는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시트 패널을 설치대상면에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부착 과정에서 마감시트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규격화된 시트패널로 마감할 수 없는 자투리영역용 자투리패널을 현장에서 간편하게 제작하여 설치할 수 있는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에 있어서, 설치대상면에 적어도 일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프레임;과, 수용공간이 형성된 틀체와, 상기 틀체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이용해 각 테두리를 틀체에 고정하여 수용공간의 하부를 마감하는 마감시트와, 상기 틀체의 상단부 양측에 마련되어 고정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연결부재가 형성된 시트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시트패널은 복수 마련되어 고정프레임의 사이공간을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판과, 상기 상판의 양측 하부에서 적어도 하나가 경사배치되어 내부에 결합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지지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은 지지편의 양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날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프레임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보강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프레임은 고정프레임의 상측면에 지지되는 마감부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고정날개의 양단부 외측면을 감싸 고정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판의 일단부에서 절곡 또는 나란하게 연장되어 고정대상물에 고정되는 연장편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에 마련되는 한 쌍의 지지편 중 측벽에 인접 배치되는 지지편은 측벽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고정프레임의 결합홈으로 삽입 체결되는 결합부와, 결합부의 상단부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고정프레임의 결합홈 내에 삽입 지지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결합부가 결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편의 하단부에 접촉하도록 결합부의 하단부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틀체의 상측면에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체결홈으로 삽입 고정되는 체결편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결합부의 하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틀체의 상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밀착부를 관통하여 틀체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틀체에 위치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틀체의 외측면에는, 틀체를 연결부재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분리용 도구의 후크와 맞물리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틀체의 걸림부 상측에는 상기 후크의 삽입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틀체의 수용공간 내에는 마감시트의 장력을 지지하기 위한 바 형태의 보강부재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수용공간내에 수직 교차되도록 배치되고, 보강부재의 교차부위는 보강부재의 교차부위를 감싸는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구의 저면부에는 상기 보강부재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외측면 하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플랜지가 확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틀체의 내측면 상부와 하부 중 적어도 하부에는 고정편이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틀체의 개구영역 내에 설치되어 흡음 또는 불연 또는 난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제공하는 내장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내장재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편이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트패널은 틀체의 수용공간 상측을 마감하는 마감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감시트의 판면에는 미세한 흡음용 통공이 다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방법에 있어서, 설치대상면을 규격화된 시트패널에 의해 마감되는 메인영역과, 규격화된 시트패널로 마감할 수 없는 자투리영역으로 구획하고, 각 영역의 적어도 양측에 고정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와,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메인영역의 고정프레임에 설치하여 메인영역을 마감하는 단계;와,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하여 자투리영역에 대응하는 자투리패널을 제작하는 단계;와, 자투리패널을 고정프레임에 설치하여 자투리영역을 마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자투리패널 제작단계는, 규격화된 시트패널의 틀체로부터 고정부재를 고정해제하여 마감시트를 분리하는 단계와, 자투리영역의 폭에 따라 시트패널의 틀체를 절단한 다음 재조립하여 자투리패널용 틀체를 제작하는 단계와, 자투리영역의 폭에 따라 마감시트를 절단한 다음, 고정부재를 이용해 마감시트의 각 테두리를 자투리패널용 틀체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투리영역용 틀체를 재조립하는 단계는, 시트패널의 틀체를 자투리영역의 폭에 따라 절단하여 일측이 개구된 제1틀체와, 제1틀체로부터 분리된 제2틀체로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제2틀체를 분해하고, 분해된 요소 중 제1틀체의 개구영역에 대응하는 요소를 제1틀체의 개구영역에 재조립하여 자투리패널용 틀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투리패널의 마감시트는 절단부위에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고정부재를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천장면의 경량철골 구조물에 간편하게 설치하거나, 유지보수를 위해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시트 패널을 설치대상면에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부착 과정에서 마감시트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고정프레임을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하여 탄성지지력을 증대시켜 시트패널의 임의이탈을 방지하는 것과 동시에, 탄성변형을 방지하여 시트패널을 반복적으로 착탈하더라도 결합력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며, 합성수지 재질의 고정프레임에 금속 재질의 보강프레임을 덧대 고정프레임의 직선도를 확보하여 고정프레임이 설치과정에서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시트패널의 내부에 보강부재를 배치하여 시트패널의 틀체가 마감시트의 장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시트패널의 내부에 불연, 난연, 내열, 내화, 흡음, 방음 등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는 내장재를 배치하여 실내공간의 소리 울림현상을 방지하고, 화재발생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규격화된 시트패널로 마감할 수 없는 자투리영역에 대하여, 현장에서 자투리영역에 대응하는 자투리패널을 간편하게 제작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대상면의 사이즈에 따라 별도의 시트패널을 주문제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경량철골 천장마감판 설치용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에 따른 고정프레임과 시트패널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에 따른 시트패널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2의 "A"부분 확대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B"부분 확대단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의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에 따른 고정프레임의 다양한 변형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에 따른 시트패널의 변형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대상면의 시트패널 설치구획도이고,
도 14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자투리패널의 제작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규격화된 시트패널(200)의 설치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2는 본 발명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에 따른 고정프레임과 시트패널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에 따른 시트패널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는, 천장면과 같은 설치대상면의 적어도 양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프레임(110)과, 상기 고정프레임(110)에 결합되어 설치대상면을 마감하는 시트패널(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10)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판(111)과, 상기 상판(111)의 양측 하부에서 경사배치되어 내부에 결합홈(112)을 형성하는 한 쌍의 지지편(113)과, 상기 상판(111)의 양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날개(114)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고정프레임(110)의 상측에는 금속재질의 보강프레임(120)이 길이방향으로 덧대어져 고정프레임(110)이 횡방향으로 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금속재질의 보강프레임(120)은 상판(111)의 상측면에 밀착 지지되는 마감부(121)와, 상기 고정날개(114)의 양단부 외측면을 감싸 고정하는 파지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고정프레임(110)은 와이어 클립(wire clip, 50)에 의해 설치대상면에 미리 설치된 경량철골구조물의 캐링채널(carrying channel, 3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양측 고정날개(114)를 관통하는 스크류에 의해 설치대상면에 직접 설치되거나 설치대상면에 미리 설치된 별도의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시트패널(200)은 수용공간을 갖는 틀체(210)와, 틀체(210)의 수용공간 하부를 마감하는 마감시트(220)와, 틀체(210)의 상측면에 배치되어 고정프레임(110)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연결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600*1800, 900*900, 900*1200, 900*1800, 1200*1200, 1200*1800 등과 같이 미리 정해진 규격으로 공장에서 제작되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틀체(210)는 각 단부가 45도로 절단된 네 개의 각재가 조립되어 중앙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각재는, 외측면에 형성되어 분리용 도구(T)의 후크(T1)가 결합하는 걸림부(213)와, 상기 걸림부(213)의 하부에 형성되어 시트의 고정부재(221)가 결합하는 고정홈(211)과, 상기 걸림부(213)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분리용 도구(T)의 후크(T1)가 걸림부(213)로 삽입되는 공간을 확보하는 돌기(214)와, 상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연결부재(230)의 체결편(233)이 결합되는 체결홈(212)과, 내측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후술할 보강부재(240) 및 내장재(260)의 단부를 지지하는 고정편(2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감시트(220)는 연신 또는 비연신 재질의 시트로 이루어지며, 팽팽하게 잡아당겨진 상태에서 각 테두리에 고정된 고정부재(221)가 상기 틀체(210)의 고정홈(211)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를 마감한다. 한편, 상기 마감시트(220)의 상측에 광원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마감시트(220)가 광을 확산 및 투과시키는 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30)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고정프레임(110)의 결합홈(112)으로 삽입 고정되는 결합부(231)와, 상기 결합부(231)의 하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틀체(210)의 상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232)와, 상기 밀착부(232)의 하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체결홈(212)으로 삽입 고정되는 체결편(23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231)의 상단부에는 고정프레임(110)의 결합홈(112) 내에 삽입지지되는 걸림돌기(234)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234)의 하부에는 결합부(231)가 결합홈(1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편(113)의 하단부에 접촉하여 결합부(231)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235)가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 결합부(231)의 길이는 시트패널(200)의 종류에 따라 틀체(210)의 높이가 달라지는 경우에도 마감시트(220)의 마감면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틀체(210)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가 마감시트(220)로 마감된 틀체(210) 내부의 수용공간에는 마감시트(220)의 장력을 지지하는 보강부재(240)와, 불연(不然), 난연(難燃), 내열(耐熱), 내화(耐火), 흡음(吸音), 방음(防音) 등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는 내장재(2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부재(240)가 교차되는 경우 보강부재(240)의 교차부위에는 보강부재(240)를 고정하는 고정구(250)가 설치된다.
상기 보강부재(240)는 바(bar) 형태로 이루어지며, 틀체(210)와 접하는 단부가 틀체(210)의 내측면에 형성된 상부와 하부의 고정편(215) 사이에 삽입 지지되며, 상부 고정편(215)을 관통하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틀체(210) 측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구(250)는 저면에 보강부재(240)의 교차부위가 수용되는 수용홈(251)이 형성되고, 외측면에 형성되는 오목한 모서리부분의 하단부에는 상기 보강부재(240)의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플랜지(252)가 수평방향으로 확장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재(240)의 교차부위는 상기 고정구(250)의 수용홈(251)에 수용된 상태에서, 고정구(250)의 상면을 관통하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구(250)측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수용홈(251)은 보강부재(240)의 교차부위의 형태에 따라 "十"자 또는 "ㅜ"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내장재(260)는 알루미늄 망사판(262), 흡음 및 불연 패드(261), 알루미늄 시트(263)가 적층되고, 이러한 적층 구조물의 테두리에는 "ㄷ"자 형태의 알루미늄 프레임(264)이 적층 구조물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내장재(260)는 틀체(210)의 내측면에 접하는 단부가 틀체(210)의 내측면에 형성된 상부와 하부의 고정편(215) 사이에 삽입 지지되고, 고정구(250)에 접하는 모서리부분은 고정구(250)의 플랜지(252)에 지지되어 위치고정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내장재(260)가 알루미늄 망사판(262), 흡음 및 불연 패드(261), 알루미늄 시트(263)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설치 장소의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규격화된 시트패널(200)의 설치구조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5는 도 2의 "A"부분 확대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B"부분 확대단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의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의 설치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클립바의 형태로 이루어진 고정프레임(110)이 천장과 같은 설치대상면에 미리 설치된 경량철골구조물에 결합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러한 경량철골구조물은 천장면에 직하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행거볼트(42)와, 행거볼트(42)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행거클립(40)과, 상기 행거클립(40)에 지지되어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캐링채널(3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프레임(110)은 시트패널(200)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배치되어 와이어클립(60)에 의해 캐링채널(30)의 하부에 캐링채널(30)과 수직교차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된다.
특히, 상기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고정프레임(110)의 상판(111) 상측에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보강프레임(120)의 마감부(121)가 밀착되는 것과 동시에, 마감부(121)의 양측에 형성된 파지부(122)가 보강프레임(120)의 상판(111) 양단부에 형성된 고정날개(114)를 감싸면서 결합된다.
따라서, 합성수지 재질의 고정프레임(110)에 금속 재질의 보강프레임(120)이 결합되면서 합성수지 재질의 고정프레임(110)이 설치과정에서 길이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이 방지되며, 이로 인해 양측 고정프레임(11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시트패널(200)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프레임(110)이 와이어클립(60)에 의해 캐링채널(30)에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고정날개(114)를 관통하는 스크류가 설치대상면에 미리 설치된 구조물이나 설치대상면에 직접 고정되도록 하여 고정프레임(110)을 설치대상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설치대상면에 설치된 고정프레임(110)에는 시트패널(20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대상면을 마감하게 되는데, 상기 고정프레임(110)이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높은 수준의 탄성지지력을 제공하므로 반복 착탈시에도 탄성변형을 일으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시트패널(200)이 고정프레임(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프레임(110)에 조립되는 시트패널(200)은 네 개의 각재를 이용해 사각 형태의 틀체(210)를 구성하고, 틀체(210)의 외측면에 형성된 고정홈(211)에 마감시트(220)의 단부에 고정된 고정부재(221)를 결합하여 틀체(210)의 수용공간 하부를 마감시트(220)가 팽팽하게 잡아당겨진 상태로 마감한다.
또한, 틀체(210)의 수용공간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보강부재(240)의 단부가 틀체(210)의 내측면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고정편(215) 사이에 삽입되도록 하여 위치고정되도록 하고, 필요시 상부 고정편(215)을 관통하는 스크류를 통해 보강부재(240)의 단부가 틀체(210) 측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마감시트(220)의 장력에 의해 틀체(21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240)가 수용공간 내에 교차배치되는 경우에는, 보강부재(240)의 교차부위가 고정구(250)의 수용홈(251)에 수용되도록 한 상태에서,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고정구(250)의 상면을 관통하여 보강부재(240)에 고정되도록 하여 보강부재(240)의 교차부위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어서 틀체(210)의 수용공간 내부에 불연, 난연, 내열, 내화, 흡음, 방음 등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는 내장재(260)를 배치하여 시트패널(200)이 다양한 환경에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내장재(260)는 알루미늄 망사판(262)과, 흡음 및 불연 패드(261)와, 알루미늄 시트(263)를 순서대로 적층하고, 이러한 적층 구조물의 테두리를 "ㄷ"자 형태의 알루미늄 프레임(264)으로 감싸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틀체(210)의 내측면과 접하는 내장재(260)의 단부는 틀체(210)의 내측면에 상,하로 이격 배치된 고정편(215)의 사이로 삽입하여 위치고정시키고, 고정구(250)에 접하는 내장재(260)의 모서리는 고정구(250)의 외측면 하부에 형성된 플랜지(252)에 지지되도록 하여 내장재(260)를 틀체(210)의 수용공간 내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틀체(210)의 상부 양측에는 고정프레임(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230)가 설치된다.
이러한 연결부재(230)는 밀착부(232)가 틀체(210)의 상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밀착부(232)의 저면에 형성된 체결편(233)이 틀체(2100의 체결홈(212)에 삽입되어 결합위치가 안내되며,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가 밀착부(232)를 관통하여 틀체(210)에 고정되면서 틀체(210)측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틀체(210)의 상부 양측에 연결부재(230)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밀착부(232)의 일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결합부(231)가 설치대상면에 미리 설치된 양측 고정프레임(110)의 결합홈(112)으로 각각 결합되면서, 고정프레임(110)의 사이공간이 시트패널(200)에 의해 마감된다.
이때, 연결부재(230)의 결합부(231)에 형성된 걸림돌기(234)가 고정프레임(110)의 결합홈(112) 양측에 형성된 지지편(113)의 사이공간으로 삽입되면, 지지편(113)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상태가 유지되므로 시트패널(200)이 고정프레임(110)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연결부재(230)의 결합부(231)가 고정프레임(110)의 결합홈(112)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걸림돌기(234)의 하부에 형성된 스토퍼(235)가 고정프레임(110)의 지지편(113) 하단부에 접촉하여 결합부(231)의 삽입깊이를 제한하게 되며, 이로 인해 연결부재(230)의 삽입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복수의 시트패널(200)의 마감시트(220)의 마감면에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시트패널(200)이 설치대상면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시트패널(200)과 접하는 공간 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마감시트(220)를 대부분 통과하더라도 마감시트(220)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흡음 및 불연 패드(261)에 흡수되므로 공간의 소리 울림현상이 방지되는 것은 물론, 화재발생시에도 화재의 확산이 방지된다.
또한, 흡음 및 불연 패드(261)가 알루미늄 망사판(262) 및 알루미늄 시트(263)에 의해 보호되고, 알루미늄 프레임(264)에 의해 둘러싸인 상태로 틀체(210)의 수용공간 내에 위치고정되므로, 내장재(260)가 수용공간 내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고정프레임(110)에 시트패널(2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시트패널(200)을 분리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과 같이 분리용 도구(T)를 시트패널(200)의 틀체(210) 외측에 마련된 공간으로 집어넣은 다음, 분리용 도구(T)의 선단부에 마련된 후크(T1)가 틀체(210)의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부(213)에 걸리도록 한다.
이때, 상기 틀체(210)의 걸림부(213) 상측에서 돌출 형성된 돌기(214)가 인접 배치되는 시트패널(200)의 돌기(214)와 서로 맞닿은 상태가 되므로, 시트패널(200)의 외측면에는 분리용 도구(T)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분리용 도구(T)를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분리용 도구(T)의 후크(T1)가 시트패널(200)의 걸림부(213)에 r걸린 상태에서, 도 8과 같이 분리용 도구를 시트패널(200)의 분리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연결부재(230)의 결합부(231)가 고정프레임(110)의 결합홈(112)으로부터 이탈하면서 고정프레임(110)으로부터 시트패널(200)이 분리된다.
즉, 시트패널(200)을 고정프레임(110)에 결합할 때에는 연결부재(230)의 결합부(231)가 결합홈(112)으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밀어넣으면 지지편(113)의 탄성력에 의해 시트패널(200)이 고정프레임(110)측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며, 시트패널(200)을 고정프레임(110)으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분리용 도구를 이용해 시트패널(200)을 잡아당기면 연결부재(230)의 결합부(231)가 고정프레임(110)의 결합홈(112)으로부터 이탈되므로, 시트패널(200)의 설치 및 분리가 간편하다.
또한, 시트패널(200)의 측면에 분리용 도구(T)가 삽입되는 공간을 별도로 마련하고 있으므로, 분리용 도구(T)를 이용한 시트패널(200)의 분리과정에서 마감시트(220)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첨부도면 중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에 따른 고정프레임(110)의 다양한 변형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변형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110a)은 측벽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판(111)과, 상판(111)의 양측 하부에 결합홈(112)을 형성하도록 상판(111)의 양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편(113)과, 상판(111)의 일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고정대상물에 고정되는 연장편(115a)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지지편(113) 중 측벽에 인접 배치되는 지지편(113)은 측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제1변형실시예의 고정프레임(110a)은 측벽에 밀착되는 연장편(115a)을 관통하는 스크류에 의해 측벽에 직접 고정설치되며, 측벽과 접하는 지지편(113)이 측벽으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있으므로, 시트패널(200)을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용 도구(T)의 삽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트패널(200)을 설치하거나 분리하는 과정에서 시트패널(200)의 하단부 모서리가 측벽에 접촉하여 마감시트(2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변형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110b)은 측벽에 고정된 구조물의 저면부나, 상측의 천장구조물의 저면부 또는 천장면에 직접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장부(115b)가 상판(111)의 일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점에서 제1변형실시예와 차이를 갖는다.
제2변형실시예의 고정프레임(110b)은 상판(111)의 일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연장편(115b)이 설치대상면 또는 설치대상면에 미리 설치된 각재와 같은 구조물의 저면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연장편(115b)을 관통하는 스크류에 의해 설치대상면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제2변형실시예의 고정프레임(110b)은 측벽에 각재와 같은 구조물을 고정한 상태에서, 고정프레임(110b)을 각재의 저면에 고정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측벽의 평탄도가 불량한 경우에도 고정프레임(110)의 직선도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제3변형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110c)은,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실시예의 고정프레임(110)과 외관은 동일하게 형성되나, 합성수지 재질의 상판(111)에 금속 재질의 보강프레임(120')이 일체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차이를 갖는다.
즉, 금속재질의 보강프레임(120')을 인서트사출과 같은 성형방법으로 상판(111)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고정프레임(110c)의 직선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고정프레임(110c)과 보강프레임(120')을 조립하기 위한 별도의 과정이 불필요하므로 시공편의성이 증대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보강프레임(120')이 상판(111)의 내부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설치환경에 따라 고정날개(114)의 내부까지 연장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제3변형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110c)의 설치방법은 제1실시예의 고정프레임(11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중 도 12는 본 발명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에 따른 시트패널의 변형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변형실시예에 따른 시트패널(200')은 도 1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패널(200')을 구성하는 틀체(210)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고정홈(211)이 형성되고, 광을 확산 및 투과하는 재질의 마감시트(220,220')가 틀체(210)의 수용공간 상부와 하부를 각각 마감하여 복층의 시트마감구조를 제공하는 점에서 상술한 실시예들과 차이를 갖는다.
즉, 시트패널(200')의 상측에 조명을 설치한 상태에서, 광을 확산 및 투과하는 재질의 마감시트(220)가 적용된 시트패널(200')을 설치하는 경우 면조명과 같은 조명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마감시트(220,220')가 복층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측의 마감시트(220')에 날벌레와 같은 이물이 위치하게 되더라도 하측의 마감시트(220)가 상측의 마감시트(220')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물에 의한 그림자가 주변광에 의해 산란되어 하측의 마감시트(220)에는 깨끗한 조명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마감시트(220)의 판면에 미세한 흡음용 통공을 다수 형성하여 실내공간의 소음이 마감시트(220)의 흡음용 통공에 의해 흡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첨부도면 중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대상면의 시트패널 설치구획도이고, 도 14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자투리패널의 제작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방법은, 설치대상면을 메인영역(A1)과 자투리영역(A2)으로 구획하는 단계(S10)와, 메인영역(A1)과 자투리영역(A2)에 고정프레임(110)을 설치하는 단계(S20)와, 규격화된 시트패널(200)을 이용해 메인영역(A1)을 마감하는 단계(S30)와, 규격화된 시트패널(200)을 이용해 자투리영역(A2)에 대응하는 자투리패널(200a)을 제작하는 단계(S40)와, 자투리패널(200a)을 이용해 자투리영역(A2)을 마감하는 단계(S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도 13과 같이 설치대상면을 600*1800, 900*900, 900*1200, 900*1800, 1200*1200, 1200*1800 등과 같이 미리 정해진 규격으로 공장에서 제작되어 제공되는 시트패널(200)을 이용해 마감할 수 있는 메인영역(A1)과, 설치대상면 중에서 시트패널(200)로 마감할 수 없는 메인영역(A1)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자투리영역(A2)으로 구획(S10)하고, 메인영역(A1)에는 시트패널(200)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시트패널(20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프레임(110)을 설치하고, 자투리영역(A2)에는 양측에 자투리패널(200a)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프레임(110)을 설치(S20)한다.
여기서, 설치대상면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10)은, 메인영역 내에서 인접 배치되는 한 쌍의 시트패널(200)이 고정되는 곳에는 제1실시예 또는 제3변형실시예의 고정프레임(110,110c)을 설치하고, 설치대상면의 테두리부분과, 메인영역(A1)과 자투리영역(A2)의 경계부분 중 하나의 연결부재(230)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제1변형실시예 또는 제2변형실시예의 고정프레임(110a,110b)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메인영역(A1)과 자투리영역(A2)에 고정프레임(110)이 설치된 이후에는, 규격화된 시트패널(200)을 이용해 메인영역(A1)의 고정프레임(110)에 모자이크방식으로 결합하여 메인영역(A1)을 마감(S30)한다.
이어서, 자투리영역(A2)의 폭(D)은 규격화된 시트패널(200)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시공 현장에서 규격화된 시트패널(200)을 이용하여 자투리패널(200a)을 제작(S40)한다.
이러한 자투리패널(200a)의 제작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4와 같이 시트패널(200)의 틀체(210)로부터 마감시트(220)를 분리(S41)하고, 도 15와 같이 자투리영역(A2)의 폭(D)에 맞게 시트패널(200)의 틀체(210)를 절단하여, 자투리영역(A2)의 폭(D)에 대응하는 일측이 개구된 형태의 제1틀체(210b)와, 제1틀체(210b)로부터 분리된 나머지부분인 제2틀체(210c)로 분할(S42)한 다음, 도 16과 같이 상기 제2틀체(210c)를 분해하고, 분해된 요소 중 제1틀체(210b)의 개구영역에 대응하는 요소를 제1틀체(210b)의 개구영역에 재조립하여 자투리패널(200a)용 틀체(210a)를 제작(S43)한다.
한편, 상기 시트패널(200)의 틀체(210)를 절단하는 과정에서는, 틀체(210)의 절단부위를 45도 각도로 절단하여 제2틀체(210c)로부터 분리되는 요소의 단부와 맞물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어서, 도 17과 같이 자투리영역(A2)의 폭(D)에 맞게 마감시트(220)의 틀체(210)를 절단(S44)하고, 도 18과 같이 마감시트(220)의 절단부위에 양면테이프(222)를 이용하여 고정부재(221)를 고정(S45)한 다음, 도 19와 같이 마감시트(220)를 자투리패널(200a)용 틀체(210a)에 결합(S46)하여 자투리패널(200a)을 완성한다.
상기와 같이 자투리패널(200a)의 제작이 완료된 이후에는, 자투리패널(200a)을 자투리영역(A2)의 양측에 설치된 고정프레임(110)에 설치하여 자투리영역(A2)을 마감(S50)한다.
상기와 같은 천장마감 방법에 따르면, 규격화된 시트패널(200)을 이용해 천장과 같은 설치대상면을 쉽고 간편하게 마감하는 것이 가능하며, 시트패널(200)을 이용한 자투리패널(200a)의 현장제작이 용이하므로, 설치대상면의 사이즈에 따라 별도의 시트패널(200)을 주문제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110,110a,110b,110c:고정프레임, 111:상판, 112:결합홈,
113:지지편, 114:고정날개, 115a,115b:연장편, 120:보강프레임,
121:마감부, 122:파지부, 200,200':시트패널, 200a:자투리패널,
210,210':틀체, 210a:자투리패널용 틀체, 210b:제1틀체, 210c:제2틀체,
211:고정홈, 212:체결홈, 213:걸림부, 214:돌기, 215:고정편,
220,220':마감시트, 220a:자투리패널용 마감시트, 221:고정부재,
222:양면테이프, 230:연결부재, 231:결합부, 232:밀착부, 233:체결편,
234:걸림돌기, 235:스토퍼, 240:보강부재, 250:고정구, 251:수용홈,
252:플랜지, 260:내장재, 261:패드, 262:알루미늄 망사판,
263:알루미늄 시트, 264:알루미늄 프레임

Claims (27)

  1.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에 있어서,
    설치대상면에 적어도 일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프레임;
    수용공간이 형성된 틀체와, 상기 틀체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이용해 각 테두리를 틀체에 고정하여 수용공간의 하부를 마감하는 마감시트와, 상기 틀체의 상단부 양측에 마련되어 고정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연결부재가 형성된 시트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시트패널은 복수 마련되어 고정프레임의 사이공간을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판과, 상기 상판의 양측 하부에서 적어도 하나가 경사배치되어 내부에 결합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지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지지편의 양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날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프레임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보강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프레임은 고정프레임의 상측면에 지지되는 마감부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고정날개의 양단부 외측면을 감싸 고정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판의 일단부에서 절곡 또는 나란하게 연장되어 고정대상물에 고정되는 연장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에 마련되는 한 쌍의 지지편 중 측벽에 인접 배치되는 지지편은 측벽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고정프레임의 결합홈으로 삽입 체결되는 결합부와, 결합부의 상단부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고정프레임의 결합홈 내에 삽입 지지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결합부가 결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편의 하단부에 접촉하도록 결합부의 하단부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의 상측면에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체결홈으로 삽입 고정되는 체결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결합부의 하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틀체의 상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밀착부를 관통하여 틀체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틀체에 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의 외측면에는, 틀체를 연결부재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분리용 도구의 후크와 맞물리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의 걸림부 상측에는 상기 후크의 삽입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16.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의 수용공간 내에는 마감시트의 장력을 지지하기 위한 바 형태의 보강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수용공간내에 수직 교차되도록 배치되고, 보강부재의 교차부위는 보강부재의 교차부위를 감싸는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의 저면부에는 상기 보강부재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외측면 하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플랜지가 확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의 내측면 상부와 하부 중 적어도 하부에는 고정편이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20.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의 개구영역 내에 설치되어 흡음 또는 불연 또는 난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제공하는 내장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내장재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편이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22.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패널은 틀체의 수용공간 상측을 마감하는 마감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23.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시트의 판면에는 미세한 흡음용 통공이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24.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방법에 있어서,
    설치대상면을 규격화된 시트패널에 의해 마감되는 메인영역과, 규격화된 시트패널로 마감할 수 없는 자투리영역으로 구획하고, 각 영역의 적어도 양측에 고정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메인영역의 고정프레임에 설치하여 메인영역을 마감하는 단계;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하여 자투리영역에 대응하는 자투리패널을 제작하는 단계;
    자투리패널을 고정프레임에 설치하여 자투리영역을 마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자투리패널 제작단계는,
    규격화된 시트패널의 틀체로부터 고정부재를 고정해제하여 마감시트를 분리하는 단계와,
    자투리영역의 폭에 따라 시트패널의 틀체를 절단한 다음 재조립하여 자투리패널용 틀체를 제작하는 단계와,
    자투리영역의 폭에 따라 마감시트를 절단한 다음, 고정부재를 이용해 마감시트의 각 테두리를 자투리패널용 틀체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자투리영역용 틀체를 재조립하는 단계는,
    시트패널의 틀체를 자투리영역의 폭에 따라 절단하여 일측이 개구된 제1틀체와, 제1틀체로부터 분리된 제2틀체로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제2틀체를 분해하고, 분해된 요소 중 제1틀체의 개구영역에 대응하는 요소를 제1틀체의 개구영역에 재조립하여 자투리패널용 틀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시트는 절단부위에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고정부재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방법.
KR1020120028345A 2011-08-22 2012-03-20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KR1013891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470 2011-08-22
KR20110083470 2011-08-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316A true KR20130021316A (ko) 2013-03-05
KR101389144B1 KR101389144B1 (ko) 2014-04-24

Family

ID=48174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345A KR101389144B1 (ko) 2011-08-22 2012-03-20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1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760B1 (ko) 2022-08-25 2023-07-14 제이엔티 주식회사 고성능 천장 시스템
KR20240055409A (ko) 2022-10-20 2024-04-29 제이엔티 주식회사 친환경 내진 및 흡음패널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283B1 (ko) * 2016-05-04 2017-02-09 주식회사 용금 마감재 프레임 및 이를 갖는 마감재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5106B1 (ko) * 1997-02-14 1999-06-15 박현룡 시스템 천정 타일
KR100597001B1 (ko) * 2003-12-30 2006-07-07 고충훈 천장패널용 스트레치 시트 설치구조
KR20100036654A (ko) * 2008-09-30 2010-04-08 박종남 방음 및 흡음 기능을 겸비한 천장재
JP2011174324A (ja) * 2010-02-25 2011-09-08 Sekisui House Ltd 脱落防止用クリップ及び外壁目地の防水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760B1 (ko) 2022-08-25 2023-07-14 제이엔티 주식회사 고성능 천장 시스템
KR20240055409A (ko) 2022-10-20 2024-04-29 제이엔티 주식회사 친환경 내진 및 흡음패널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9144B1 (ko) 2014-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8905B1 (ko) 이탈방지를 강화한 금속천장재 고정장치
US10196816B2 (en) Ceiling system
EP1904695B1 (en) Suspension systems
JP2013076235A (ja) カプセルベッド
KR20130021316A (ko)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및 천장 마감방법
JP5782983B2 (ja) 膜天井構造、膜天井張設部材及び膜天井の施工方法
KR20150092982A (ko) 조립식 방음 판넬장치
EP2910702B1 (en) Building panel for ceilings or walls
JP2018087424A (ja) パネル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カーテンウォール
JP6749178B2 (ja) 垂壁パネル及び防煙垂壁
KR101473753B1 (ko) 텐션클립을 이용한 패널
JP2002213167A (ja) 開閉装置のガイドレール構造
KR101907464B1 (ko) 조립식 칸막이
RU218142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подвесного потолка
JP7022961B2 (ja) 天井構造および天井板取付部材
KR20180002740U (ko) 경량의 조립식패널
KR101922216B1 (ko)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
JP4811113B2 (ja) 透明パネル装置
KR100790010B1 (ko) 가설 방음벽의 구조
KR101140266B1 (ko) 천장의 경량틀 조립체
JP2009052253A (ja) 間仕切パネル
KR101493285B1 (ko) 유지보수 패널형 방음판 설치구조
JP6645812B2 (ja) 防煙垂れ幕及び該防煙垂れ幕の製造方法
JP7421675B1 (ja) ルーバー材及びシステム天井
JP2018123508A (ja) 透光壁パネ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