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7001B1 - 천장패널용 스트레치 시트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천장패널용 스트레치 시트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7001B1
KR100597001B1 KR1020030100384A KR20030100384A KR100597001B1 KR 100597001 B1 KR100597001 B1 KR 100597001B1 KR 1020030100384 A KR1020030100384 A KR 1020030100384A KR 20030100384 A KR20030100384 A KR 20030100384A KR 100597001 B1 KR100597001 B1 KR 100597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eiling
frame
sheet
stretch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0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8679A (ko
Inventor
고충훈
Original Assignee
고충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충훈 filed Critical 고충훈
Priority to KR1020030100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7001B1/ko
Publication of KR20050068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8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7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7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패널용 스트레치 시트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이미 설치되어 천장을 장식/마감하는 천장패널에 스트레치 시트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한 다양한 구조를 제공하여 보다 화려하고 고급스런 실내 인테리어를 제공하고, 스트레치 시트를 지지하는 부재를 불연자재로 채택함과 동시에 채택된 자재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천장패널의 구조를 제공하여 화재시의 피해 최소화 및 스트레치 시트의 설치가 보다 빠르고 경제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건축물의 천장을 마감하기 위해 다수의 패널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천장 마감구조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저면에 결합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저면에서 사방으로 신장되어 패널을 은폐시키며 결합되는 시트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외주 끝단부에 하향돌출되어 결합된 시트의 높은 평활도를 제공하기 위한 돌출단부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패널용 스트레치 시트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불연자재인 금속, 또는 비철금속으로 형성되고, 패널과 함께 프레스 가공 등의 과정에 의해 패널과 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시트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천장, 패널, 마감, 스트레치 시트

Description

천장패널용 스트레치 시트 설치구조{Stretch sheet establish construction for the ceiling panel}
도 1은 종래 스트레치 시트에 의해 천장이 시공된 예시도.
도 2는 도 1과 다른 방식으로 스트레치 시트에 의해 천장이 시공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트레치 시트 설치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구조가 결합되고 천장패널에 결합된 사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1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스트레치 시트 설치구조의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2 단면도.
도 7b는 도 7a의 다른 실시예에서 형태가 변형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3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30: 패널 20, 40: 프레임
21, 41: 돌출단부 22, 23: 경사면
50: 절단홈
본 발명은 천장패널용 스트레치 시트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이미 설치되어 천장을 장식/마감하는 천장패널에 스트레치 시트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한 다양한 구조를 제공하여 보다 화려하고 고급스런 실내 인테리어를 제공하고, 스트레치 시트를 지지하는 부재를 불연자재로 채택함과 동시에 채택된 자재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천장패널의 구조를 제공하여 화재시의 피해 최소화 및 스트레치 시트의 설치가 보다 빠르고 경제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스트레치 시트는 실내 인테리어에서 주로 천장의 마감재로 사용되어지며, 특히, 대형 서적, 전시장, 백화점 등지에서 관람자나 소비자에게 화려한 심미감을 제공하기 주로 사용되어진다.
이와 같은 스트레치 시트는 신축성과 복원성이 우수한 폴리 염화비닐(PVC) 재질의 시트이고, 그 설치방법은 시트를 열풍기로 가열하며 사방에서 잡아늘여 천장에 설치하는데, 이와 같이 설치된 스트레치 시트는 설치 전의 원 재료 선택에 따라, 다양한 색체, 고광택 효과 등의 세련되고 고급스런 실내미관을 제공하게 됨은 주지된 것과 같다.
또한, 이 외에도 상기 스트레치 시트로 된 천장 마감재는 단열성, 비부식성, 방염성, 방수성, 항습성 등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우수하고, 재활용이 가능하여 환경친화적이기 때문에, 최근들어 기존의 천장 인테리어에 비해 진보된 기술로 대단히 각광받고 있다.
도 1은 상기된 스트레치 시트가 설치된 종래 천장의 예시도이다.
도 1의 종래 천장시공은 천장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부재(1, 일예로 앵커 등)를 설치하고, 각 고정부재(1)에는 하단부에 거치대(2)가 장착된 연결대(3)를 결합하여 하향 설치한 후, 거치대(2) 상에 스트레치 시트(4, 이하, 시트)가 장착된 틀체(5)를 얹어 천장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천장시공은 전체적으로 시트(4)의 다양한 색체와 고광택에 의해 전술된 세련되고 고급화된 실내미관을 제공하기는 하나, 거치대(2)가 천장의 하측에서 노출되어 시트(4)와 다른 이물감에 의해 보다 이상적인 실내미관을 제공하기 어려으며, 또한, 스트레치 시트의 신장율이 낮기 때문에 시트 표면의 고광택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구조와 다른 구조의 스트레치 시트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의 종래 천장시공은 천장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부재(1)을 설치하고, 각 고정부재(1)의 하단부에 지지부재(9)가 장착된 연결대(7)를 고정부재(1)에 결합하여 하향 설치하게 된다.
그 후, 상호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구비된 지지부재(9)의 하단부에 시트(4)의 끝단부를 각각 접착하여 천장을 마감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대(7)는 일 구간에 조절구(8)(판형태의 "컨넥팅 스프링"이라 통칭되는)가 장착되어 조절구(8)를 조작함에 의해 각각의 연결대(7)에 결합된 지지부재(9) 높이를 일치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1의 천장시공시 문제점으로 대두된 거치대의 노출이 해소되어 깔끔한 마무리를 구현한 이상적인 실내미관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반하여 등기구등의 설치에 있어서 지지부재(9)에 등기구를 설치할 수 있게 별도의 등기구 지지대를 상기 지지부재(9)에 용접하여 미리 준비해야 하는 등의 등 기구류의 설치에 많은 제약이 따르는 결점도 갖게 된다.
상기된 종래의 스트레치 시트의 설치구조에 의한 천장시공은 기본적으로 기존의 천장패널이 형성되지 않은 신규 건축물에 적용되며, 기존의 건축물에서는 기존의 천장패널을 모두 제거하고 신규의 시공을 시행하여야 된다.
따라서, 기존의 천장이 형성된 건축물에 상기된 스트레치 시트 설치구조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스트레치 시트를 설치하기 위한 공사비용과 더불어 기존의 천장패널을 제거해야하는 공사비용을 모두 부담하게 되어 소비자의 경제적 지출이 과다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기존 천장패널 에 간단하게 부착하여 스트레치 시트를 설치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구현하도록 한 스트레치 시트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트레치 시트를 지지하는 부재를 불연자재로 채택하고, 채택된 자재에 의해 형성된 천장패널로 구현되는 스트레치 시트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건축물의 천장을 마감하기 위해 천장 마감구조에 결합되는 종래의 패널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저면에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저면에서 사방으로 신장되어 패널을 은폐시키며 부착되는 시트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외주 끝단부에 하향돌출되어 결합된 시트의 높은 평활도를 제공하기 위한 돌출단부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일측 변이나 모서리 측으로 돌출된 끝단을 갖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시트의 부착 후, 천장의 입체적인 조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은 불연자재인 금속, 또는 비철금속으로 형성되고, 패널과 함께 프레스 가공 등의 과정에 의해 패널과 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 특징이 적용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트레치 시트 설치구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스트레치 시트 설치구조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스트레치 시트 설치구조는 패널(10)에 결합되는 프레임(20), 프레임(20)의 외주단부에서 돌출단부(21)가 형성되고, 이를 마감하며 패널(10)을 은폐시키는 시트(4)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20)은 패널(10)의 저면, 즉 바닥을 향하는 면에 접착제 또는 나사 등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되는데, 이와 같은 프레임(20)의 형태는 패널(10)의 형태와 대응형성된다.
상기 시트(4)는 설치작업시 하측에서 열풍을 분사하며 사방으로 대략 6 ~ 7%의 신장률로 신장시킨 후, 프레임(20)의 돌출단부(21) 하단에 접촉되어 끝단부가 패널의 측면에 접착되는데, 이 때, 상기 각 돌출단부(21)는 시트(4)를 패널에서 일정거리 이격설치되도록 하여 시트(4)의 면이 흡사, 깨끗이 닦여진 대리석 바닥과도 같이 고광택의 평활면을 갖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돌출단부(21)는 시트(4)와 접촉되는 지점이 라운드 형성되어 시트(4)의 찢김 등의 파손을 방지하게 되며, 프레임(20)은 그 제작방법은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을 몰드성형하여 일체로 형성함이 일반적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1은 패널(10)을 천장에 설치하기 위한 패널설치기구를 나타내며 이는 통상의 것과 같다.
<다른 실시예1>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1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다른 실시예1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1의 스트레치 시트 설치구조는 프레임(40)을 패널(30)과 일체로 형성하여, 최초 패널(30)을 천장에 시공하고 프레임(40)의 별도 설치없이 시트(4)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40)에는 원 실시예에서와 같이 돌출단부(41)가 형성됨은 당연하며, 이 구성에서 더 추가하여 프레임(40)과 일체로 된 패널(30)의 외측면에 본 출원인이 이미 출원하여 등록된 바 있는 실용신안등록 제 259082 호에 개시된 스트레치 시트 설치구조를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부연하여 설명하면, 패널(30) 또는 프레임(40)의 외측벽면에 스트레치 시트의 각 변에 결합된 하푼이 결합되도록 하는 끼움부를 일체 형성하여, 하푼을 끼움부에 결합하는 간단한 과정의 수행에 의해 패널(30)과 스트레치 시트(4)의 결합을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신축된 건축물에 최초로 천장을 형성할 때 적용되거나, 또는 기존의 천장을 제거하고 새로 시공할 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 때에는 패널(30)에 프레임(40)을 별도 설치하는 과정이 생략되어 보다 신속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된 구성에서 패널(30)과 프레임(40)의 일체 성형물은 불에 강한 내성을 갖는 불연자재로 금속재의 재료를 채택하여 형성하게 되는데, 대표적으로는 알루미늄 재질의 판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패널(30)과 프레임(40)을 일체형성하거나, 보다 손쉬운 작업수행을 위해 함석 등의 금속으로도 형성가능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2>
도 7a는 상기 프레임의 돌출단부가 변형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7b, 도 7c는 프레임이 변형된 상태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7a, 7b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20, 40)은 일측의 돌출단부(21, 41)를 더 길게 돌출형성하여 시트(4)에 의해 형성되는 천장면이 일측으로 기울도록 한 것으로, 이와 같은 경사면(22)을 전, 후, 좌, 우로 배치하여 입체적인 천장 조형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7c에서의 돌출단부(21, 41)는 도 7a의 돌출단부(21, 41) 경사가 일측의 변을 향하여 경사면(22)이 형성되도록 한 것에 반하여, 일측의 모서리(도면상 전방 중심의 모서리)를 향하여 경사면(23)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천장시공시 상기된 도 7a, 7b와 도 7c에서의 프레임(20, 40)을 적용하게 되면 보다 다양한 입체 조형이 구현된 천장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3>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3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3의 스트레치 시트 설치구조는 원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1, 2에서 개시된 프레임(20, 40)에 다수의 절단홈(50)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20, 40)은 도면의 표현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다른 실시예1의 패널(30)과 일체로된 프레임(40) 만을 도시하여 나타낸다.
상기 절단홈(50)은 프레임(20, 40)의 내, 외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슬릿(51)을 일렬로 배열형성하여 슬릿(51)과 슬릿(51)의 사이를 니퍼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간단히 절단하게 되면 프레임(20, 40)을 목적하는 길이로 절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절단홈(50)은 천장 시공시 일측의 벽체를 기준하여 천장 설치작업을 수행하다 타측의 벽체에서 프레임(20, 40) 또는 패널(10, 30)의 길이가 대응되지 못할 경우 프레임(20, 40) 또는 패널(10, 30)을 일정길이로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절단홈(50)은 도면 상 일렬로 배열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십자형태로 배열형성하여 벽체의 각 모서리 구간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천장패널에 시트의 설치가 가능하도록하여 공사시간, 경비등이 대폭 단축되고, 보다 화려하고 고급스러운 실내미관 구현의 보편화에 기여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본 발명은 시트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재질을 불연자재인 금속의 재질로 채택 하고, 이 재질에 기인한 프레임과 패널의 일체구성을 제공하여 화재 발생시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제품의 제작시간 단축과 더불어 천장시공의 공사시간을 더욱 단축시키는 효과를 얻게 된다.
본 발명은 천장의 입체조형이 가능하도록 하는 프레임의 다양한 구성이 제공되어, 보다 높은 심미감이 제공되는 인테리어 구현에 의한 소비자의 높은 신뢰도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건축물의 천장을 마감하기 위해 천장 마감구조에 결합되는 종래의 패널(10)에 있어서,
    상기 패널(10)의 저면에는 돌출단부(21)가 외주 끝단부에 하향 돌출된 프레임(20)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20)의 저면에서 사방으로 신장되어 패널(10)을 은폐시키면서 높은 평활도를 갖게 부착된 시트(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패널용 스트레치 시트 결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은 불연자재인 금속, 또는 비철금속으로 패널(10)과 함께 프레스 가공 등의 과정에 의해 패널(30)과 프레임(40)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시트 결합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 40)은
    일측 변이나 모서리 측으로 돌출된 끝단을 갖는 경사면(22, 23)을 형성하여 시트(4)를 부착하므로서 천장에 입체적인 조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시트 결합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 40)은
    천장의 끝단 벽체와의 거리에 대응되기 위해 일방향 또는 일방향과 그 수직방향으로 프레임(20, 40)을 절단 수 있도록 한 절단홈(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시트 결합구조.
KR1020030100384A 2003-12-30 2003-12-30 천장패널용 스트레치 시트 설치구조 KR100597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0384A KR100597001B1 (ko) 2003-12-30 2003-12-30 천장패널용 스트레치 시트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0384A KR100597001B1 (ko) 2003-12-30 2003-12-30 천장패널용 스트레치 시트 설치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40699U Division KR200347265Y1 (ko) 2003-12-30 2003-12-30 천장패널용 스트레치 시트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8679A KR20050068679A (ko) 2005-07-05
KR100597001B1 true KR100597001B1 (ko) 2006-07-07

Family

ID=37259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0384A KR100597001B1 (ko) 2003-12-30 2003-12-30 천장패널용 스트레치 시트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70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144B1 (ko) * 2011-08-22 2014-04-24 박현용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8679A (ko) 2005-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557972U (zh) 一种拆装式转角吊顶层
CN204898991U (zh) 一种拆装式转角吊顶层
US6918212B1 (en) Seamed/seamless fabric wall panel system
CN201486077U (zh) 一种吊顶结构
KR101596027B1 (ko) 입체감 구현이 가능한 천장마감시스템
US6755000B2 (en) Plaster molding system
KR200415298Y1 (ko) 경사진 간접조명이 내장된 천정마감 몰딩
KR100597001B1 (ko) 천장패널용 스트레치 시트 설치구조
KR200347265Y1 (ko) 천장패널용 스트레치 시트 설치구조
KR200391694Y1 (ko) 그림걸이 및 간접조명이 내장된 천장마감 몰딩
KR100471664B1 (ko) 실내 장식용 패널 부착장치
KR200393007Y1 (ko) 건축물의 스트레치 시트 설치구
CN204960197U (zh) 一种装饰护墙板
KR101627068B1 (ko) 바리솔 조명용 라이트 박스
KR20140108013A (ko) 벽체
KR200487421Y1 (ko) 스트레칭 시트 조명 시스템용 프로파일
CN106320664A (zh) 一种木塑室内灯槽板
KR20090010130A (ko) 실내 장식용 조립식 타일
CN208486478U (zh) 墙体装饰系统
CN201013072Y (zh) 踢脚线
KR100982437B1 (ko) 걸레받이
KR200357096Y1 (ko) 건축용 마감재
JP4698060B2 (ja) 天井膜材の取付構造
KR20100002171U (ko) 욕실용 천장패널
CN215167085U (zh) 一种吊顶天花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