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7096Y1 - 건축용 마감재 - Google Patents

건축용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7096Y1
KR200357096Y1 KR20-2004-0011578U KR20040011578U KR200357096Y1 KR 200357096 Y1 KR200357096 Y1 KR 200357096Y1 KR 20040011578 U KR20040011578 U KR 20040011578U KR 200357096 Y1 KR200357096 Y1 KR 2003570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uilding
decorative member
finishing material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15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우
Original Assignee
이원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우 filed Critical 이원우
Priority to KR20-2004-00115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70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70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70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a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identical or not, e.g. carried by a common web, support plate or gri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실내 벽이나 천장에 적용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임의로 장식부재의 위치를 옮겨 배치하거나, 전후 뒤집어 배치하거나 또는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사용성을 갖는 마감재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건축용 마감재(1)를 상하측에 형성되는 레일부(2a)와 이 레일부(2a)와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부(2b)로 구성된 단면이 "┫"형인 고정부재(2)와, 고정부재(2) 끼움 결합되는 요홈(3a)이 사방으로 형성된 사각 형상의 장식부재(3)로 구성되며, 고정부재(2)의 지지부(2b)에는 소정 간격으로 고정구멍(2c)을 천공하고 이 고정구멍(2c)으로는 못 또는 피스와 같은 고정수단(4)을 내입하여 건물의 실내 벽면 또는 천장에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시공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시공된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장식부재(3)의 교환 및 재배치(뒤집어서 사용) 등을 극히 용이하게 할 수 있어 개인 취향에 맞춰서 사용이 가능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가정 등에서 실내를 장식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마감재{A finishing goods for architectural use}
본 고안은 건축용 마감재(일명 "아트 윌"이라 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실내 벽이나 천장에 적용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임의로 장식부재의 위치를 옮겨 배치하거나, 전후 뒤집어 배치하거나 또는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사용성과 시공성을 두루 갖는 마감재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내부 벽면 및 천장에는 벽지 등을 이용하여 마감처리하고 있으며, 근자에는 고정된 액자형상의 내측으로 각종 문양 등이 각인된 장식물을 벽면 등에 고정하여 실내 인테리어를 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상기한 장식물의 경우 벽면에 고정 설치된 형틀 내측으로 장식부재를 배열 고정한 것으로 최초에는 충분한 장식미를 제공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취향 등에 따라서 장식부재를 교환하기는 불가능한 구조이므로 유지 보수가 어려웠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장식부재를 이용하여 실내 마감을 한 경우 마음에 들지 않을 경우 철거, 또는 보수해야 하는데, 철거 및 보수를 행하고자 할 시는 경제적인 부담이 따르는 바, 대부분 최초 설치된 형태를 유지한 상태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자는 상기한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장식물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코자 본 고안을 안출한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는 벽체 등에 극히 간단한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는 시공성과,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설치되어 있는 장식부재의 위치를 옮기거나, 전후 뒤집어서 사용하거나 또는 장식부재 전체를 교환할 수 있는 사용성을 제공하여 누구나 쉽게 실내 장식을 취향에 맞게 꾸밀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장식부재에 결합되는 장식물을 숯과 같은 재료로 사용하여 이들에서 제공하는 기능성도 일상에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적용한 결합상태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장식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을 벽면에 액자형태로 설치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건축용) 마감재 2:고정부재
2a:레일부 2b:지지부
2c:고정구멍 3:장식부재
3a:요홈 3b:결합공
4:고정수단 5:커버
6:장식물 6a:내장재
6b:무늬목 6c:망사형 돗자리
7:격벽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 등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건축용 마감재(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형으로 형성된 고정부재(2)와, 고정부재(2)에 끼움 결합되는 요홈(3a)이 사방으로 형성된 사각 형상의 장식부재(3)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2)는 내구성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제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압출 성형하고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하측에 형성되는 레일부(2a)와 이 레일부(2a)와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부(2b)로 구성되는데, 지지부(2b)에는 소정 간격으로 고정구멍(2c)을 천공하고 이 고정구멍(2c)으로는 못, 피스 등과 같은 고정수단(4)을 내입하여 건물의 벽면 또는 천장 등에 고정할 수 있게 하고, 커버(5)로 고정구멍(2c)을 밀폐토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고정부재(2)의 다른 실시예를 적용한 결합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2a)가 하나인 "┛"형으로 고정부재(2)를 형성하여 다수의 장식부재(3)를 배열할 때 가장자리측에 위치하는 장식부재(3)의 요홈(3a)에 고정되게 한다.
그리고 요홈(3a)이 사방으로 형성된 장식부재(3)는 목재, 합성수지, 금속제 등 다양한 소재로 구성되며, 장식부재(3)의 경우 다양한 장식물(6)을 결합한다.
상기 장식물(6)의 결합은 장식부재(3)에 결합공(3b)을 형성하고, 결합공(3b)에 황토판, 다양한 형상이 각인된 패널, 액자, 숯 패널, 사진 등과 같은 다양한 장식물(6)을 선택적으로 결합한다.
즉, 도 4와 같이 결합공(3b)을 전후 관통되게 형성하고, 이 결합공(3b)에 단일품(황토판 등)으로 장식물(6)을 내입 고정하거나, 도 5와 같이 결합공(3b)에 내입되는 장식물(6)로는 함습, 탈취 등의 다양한 기능성을 제공하는 숯과 같은 기능성 재료로 구성된 내장재(6a)를 내입 고정하고, 내장재(6a)의 전후측에는 각각 무늬목(6b)과 대나무 등으로 제작된 망사형 돗자리(6c)를 고정하여 계절에 따라 전후 뒤집어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도 6과 같이 결합공(3b)을 격벽(7)에 의해 전후 분리되게 구성할 경우, 전후측 결합공(3b)에 서로 다른 장식물(6)을 결합하여 양면 사용이 가능하게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8은 건물의 벽면(또는 천장)을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건축용 마감재(1)는 건물의 실내 벽면(8)이나 천장의 전체 또는 일부에 고정 설치하여 장식성 및 마감재 기능을 제공토록 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건축용 마감재(1)를 벽면(8)에 액자 형태로 설치하는 예를 들어 이하에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고안의 건축용 마감재(1)를 도 7과 같이 벽면(8)에 액자형태로 설치코자 할 시에는;
1)건물의 바닥과 수평방향으로 "┛"형 고정부재(2)의 레일부(2a)가 상향되게 고정수단(4)으로 벽면(8)에 고정하고, 이 고정부재(2)의 일측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형 고정부재(2)의 레일부(2a)가 내향되게 고정수단(4)으로 고정한다.
2)상기 고정부재(2)를 기준으로 해서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장식부재(3)가 결합될 수 있는 폭으로 다수의 "┫"형 고정부재(2)를 고정수단(4)으로 벽면(8)에 고정한다.
3)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배열 고정된 고정부재(2)의 레일부(2a)에 장식부재(3)의 요홈(3a)을 끼워 밀어 넣는 방법으로 장식부재(3)를 결합한다.
이때 각 장식부재(3) 사이에는 이웃하는 고정부재(2) 사이에 끼움되도록 토막으로 절단된 고정부재(2)를 끼움한다.
4)상기와 같이 장식부재(3)들을 고정부재(2)의 레일부(2a)에 끼움한 상태에서 개방된 측에 "┛"형 고정부재(2)의 레일부(2a)가 장식부재(3)의 요홈(3a)측에 끼움되게 한 상태에서 고정수단(4)으로 고정하고, 각 고정부재(2)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구멍(2c)을 커버(5)로 밀폐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설치되는 본 고안은 사용 중 사용자가 장식부재(3)의 위치를 임의로 간편하게 재배치 또는 뒤집거나 교환 할 수 있는 것으로 장식부재(3)를 재배치 또는 뒤집거나 교환코자 할 시에는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는 고정부재(2)와 직각 방향에 위치하는 고정부재(2)를 분해한 후 이웃하는 고정부재(2)의 레일부(2a)에 끼움 결합되어 있는 장식부재(3) 및 토막 절단된 고정부재(2)를 분리하고 이들을 소망하는 구성으로 재배열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장식부재(3)의 경우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공(3b)에 다양한 형태의 장식물(6)이 결합 구성되므로 이를 활용할 경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장식부재(3)를 선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을 도 5내지 도 6과 같이 장식부재의 전후면에 서로 다른 장식물(6)을 결합할 경우 계절 등에 따라 장식부재(3)를 뒤집어서 사용함으로 해서 하절기에는 시원한 분위기를 동절기에는 따뜻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5의 구성으로 장식부재(3)를 구성할 경우 동절기에는 무늬목(6b) 쪽을 하절기에는 망사형 돗자리(6c)를 전면으로 활용하면 되는데, 이때 결합공(3b)에 내장되어 있는 내장재(6a)에 의해 습도 조절, 항균작용, 다량의 음이온 방출 등의 기능성도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 및 작용되는 본 고안의 건축용 마감재(1)는 요홈(3a)이 사방으로 형성된 사각형의 장식부재(3)를 레일부(2a)와 지지부(2b)로 구성된 "┫"형 또는 "┛"형 고정부재(2)로 벽면(8) 등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하면 시공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시공된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장식부재(3)의 교환 및 재배치(뒤집어서 배치) 등을 극히 용이하게 할 수 있어 개인 취향이나 계절감에 맞춰서 사용이 가능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가정 등에서 실내장식을 행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실용성 있는 고안이다.

Claims (4)

  1. 건축용 마감재(1)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1)는 상하측에 형성되는 레일부(2a)와 이 레일부(2a)와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부(2b)로 구성된 단면이 "┫"형인 고정부재(2)와, 고정부재(2) 끼움 결합되는 요홈(3a)이 사방으로 형성된 사각 형상의 장식부재(3)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재(2)의 지지부(2b)에는 소정 간격으로 고정구멍(2c)을 천공하고 이 고정구멍(2c)으로는 못 또는 피스와 같은 고정수단(4)을 내입하여 건물의 벽면 또는 천장에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마감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는 레일부(2a)가 하나인 "┛"형으로 형성하여 다수의 장식부재(3)를 배열할 때 가장자리측에 활용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마감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2)는 내측에 결합공(3b)을 형성하고 이에 장식물(6)을 결합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마감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3)의 결합공(3b)은 격벽(7)에 의해 전후측이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마감재.
KR20-2004-0011578U 2004-04-26 2004-04-26 건축용 마감재 KR2003570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578U KR200357096Y1 (ko) 2004-04-26 2004-04-26 건축용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578U KR200357096Y1 (ko) 2004-04-26 2004-04-26 건축용 마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7096Y1 true KR200357096Y1 (ko) 2004-07-21

Family

ID=49348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1578U KR200357096Y1 (ko) 2004-04-26 2004-04-26 건축용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709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556B1 (ko) 2007-07-05 2008-01-17 (주)종합건축사사무소 라인건축 건축물 내부 벽체구조
KR100886766B1 (ko) * 2007-10-17 2009-03-04 이영구 건축용 판넬과 이의 설치구조
KR100993538B1 (ko) 2008-04-11 2010-11-12 주식회사 그린이엠씨 건축물의 내외장용 석재패널 시공구조
WO2012043967A1 (ko) * 2010-09-29 2012-04-05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오픈 조인트시스템에 있어 내ㆍ외장재와 정형 단열재의 일체형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오픈 조인트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556B1 (ko) 2007-07-05 2008-01-17 (주)종합건축사사무소 라인건축 건축물 내부 벽체구조
KR100886766B1 (ko) * 2007-10-17 2009-03-04 이영구 건축용 판넬과 이의 설치구조
KR100993538B1 (ko) 2008-04-11 2010-11-12 주식회사 그린이엠씨 건축물의 내외장용 석재패널 시공구조
WO2012043967A1 (ko) * 2010-09-29 2012-04-05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오픈 조인트시스템에 있어 내ㆍ외장재와 정형 단열재의 일체형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오픈 조인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9870B1 (en) Decorative molding/casing
US20040237420A1 (en) Insert type removable built model
KR200357096Y1 (ko) 건축용 마감재
US20020127368A1 (en) Decoration of conservatories
KR101210446B1 (ko) 장식무늬판 및 조형물이 구비된 복층유리
KR200420763Y1 (ko) 조립식 건축용 패널
CN218541149U (zh) 一种室内装饰结构
KR20140108013A (ko) 벽체
KR200274992Y1 (ko) 벽면 마감부재
JPH0454023B2 (ko)
KR102569942B1 (ko) 건축용 패널
JP3115651U (ja) 押入れ中棚構築キット
US20020139058A1 (en) Small-room structure for indoor installation
KR200190571Y1 (ko) 장식판이 형성된 방화문
CN216405804U (zh) 一种绿化幕墙
JP4914645B2 (ja) 引き戸の取付構造
WO2010001359A1 (en) A modular system for partition or cladding
KR200236285Y1 (ko) 문짝판
KR100687766B1 (ko) 천정 모서리 장식구의 제조방법
KR100436520B1 (ko) 도어
KR200321747Y1 (ko) 장식용 프레임
KR940003897Y1 (ko) 장식용 벽돌
KR200423774Y1 (ko) 탈부착용 벽면 장식 패널 구조
KR200279153Y1 (ko) 문짝판
KR200279173Y1 (ko)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