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1747Y1 - 장식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장식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1747Y1
KR200321747Y1 KR20-2003-0010313U KR20030010313U KR200321747Y1 KR 200321747 Y1 KR200321747 Y1 KR 200321747Y1 KR 20030010313 U KR20030010313 U KR 20030010313U KR 200321747 Y1 KR200321747 Y1 KR 2003217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ecorative
decorative frame
fitting pie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03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형두
Original Assignee
(주)유진프레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진프레임 filed Critical (주)유진프레임
Priority to KR20-2003-00103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17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17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17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A47G1/0627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with decorative strips or layers on the frame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5Interconnected frames; Frame assemblies; Frames for two or more picture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자 또는 천정몰드 등의 장식재로 사용되는 장식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관의 미려함을 향상시키도록 형성되는 프레임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장식테를 별도로 생산하여 몸체에 슬라이드 결합하는 것에 의해 간편하게 조립이 되도록 몸체에 장식테가 끼워지는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몸체의 내측면에 걸림공이 형성된 안내홈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장식테에는 걸림부가 형성된 끼움편을 구비하여, 상기 몸체의 안내홈에 장식테의 끼움편을 상부 또는 하부에서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짐으로써 프레임 배면에 단턱부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장식테의 끼움편 대향측에는 장식매트가 연장 형성되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장식용 프레임{A frame for decoration}
본 고안은 액자 또는 천정몰드 등의 장식재로 사용되는 장식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관의 미려함을 향상시키도록 형성되는 프레임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장식테를 별도로 생산하여 몸체에 슬라이드 결합하는 것에 의해 간편하게 조립이 되도록 하므로 상기 프레임을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장식용 프레임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식용 프레임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여 건축물의 천정몰드 등과 같은 건축내장재로 사용됨은 물론, 적절한 크기로 절단한 다수의 프레임을 조합하여 액자로 사용되고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종래의 장식용 프레임의 구성은 도 5의 도시와 같이 소정의 형상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프레임몸체(10)가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몸체(10)의 일측면에는 장식테(20)가 일체로 형성되어 프레임(10)의 배면에 단턱부(30)가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장식용 프레임은 외관의 미려함을 증가 시키도록 형성됨은 물론, 액자프레임으로 사용될 시 후면에 설치되는 유리, 게재물, 지지판 등을 지지하는 단턱부가 장식테에 의해 형성되는바, 상기 장식테가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 프레임의 생산시 장식테의 표면에 무늬나 장식 등을 가공 성형하기 위한 공정과, 후면에 단턱부를 가공 성형해야하는 공정들을 각각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각 작업공정의 불폄함은 물론, 이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되어 생산공정이 복잡하게 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인건비가 상승하게 되어 결국, 제품의 생산성이 떨어지게 된다는 폐단이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프레임을 이루는 몸체와 장식테를 별도로 생산하여 서로 슬라이드 결합하는 것에 의해 조립이 되도록 하여, 제품을 생산하는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식용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무늬나 색상을 갖는 장식테를 소비자의 기호에 맞도록 교체하여 사용이 가능한 장식용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장식용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장식용 프레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부분 결합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고안의 장식용 프레임이 액자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장식용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A - 장식용프레임 1 - 몸체
11 - 안내홈 12 - 걸림공
2 - 장식테 2a - 장식부
21 - 끼움편 22 - 걸림부
23 - 장식매트 3 - 단턱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몸체에 장식테가 끼워지는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몸체의 내측면에 걸림공이 형성된 안내홈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장식테에는 걸림부가 형성된 끼움편을 구비하여, 상기 몸체의 안내홈에 장식테의 끼움편을 상부 또는 하부에서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짐으로써 프레임 배면에 단턱부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장식테의 끼움편 대향측에는 장식매트가 연장 형성되어질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장식용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장식용 프레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부분 결합 배면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장식용 프레임(A)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장식용 프레임(A)은 크게 몸체(1)와 장식테(2)로 구성된다.
상기한 몸체(1)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사각봉형태를 갖으며 일측면에는 상기 몸체(1)의 길이에 따라 안내홈(11)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11)의 내측 끝단에는 상기 안내홈(11)의 길이와 동일함은 물론, 서로 연통되도록 걸림공(12)이 형성되어 몸체(1)를 이룬다. 그리고, 그 재질은 금속, 수지 등의 여러가지 재질로 형성함이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원목이나 MDF 등의 목재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1)의 표면에는 무늬나 장식 등을 형성할 수 있으며, 다양한 색상을 갖는 별도의 시트지나 필름 등을 접착할 수 도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한 장식테(2)는 합성수지의 사출물로써, 상기 몸체(1)의 길이에 따라 절단하여 몸체(1)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것에 의해 고정되어 지는 것으로, 프레임(A)의 장식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함은 물론, 프레임(A)의 배면에 단턱부(3)가 형성되도록, 표면에는 장식부(2a)가 형성되고 일측끝단에는 몸체(1)의 걸림공(12)에 대응되는 걸림부(22)가 형성된 끼움편(21)이 구비되어 장식테(2)를 이루게 되는 것인바, 상기 몸체(1)의 걸림공(12)에 장식테(2)의 걸림부(22)를 끼워 슬라이드 결합하게 되는 것에 의해 장식테(2)의 끼움편(21)이 몸체(1)의 걸림공(12)과 연통 형성된 안내홈(11)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안내홈(11)과 걸림공(12)을 메우는 상태로 되면서 걸림공(12)에 끼워지게 되어, 별도의 고정수단없이 장식테(2)가 몸체(1)에 결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몸체(1)와 장식테(2)의 결합으로 인하여 프레임(A)의 배면측에 자연이 단턱부(3)를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후술될 액자(B)에 적용될 때 설치되는 유리(4), (사진, 그림, 글씨)등의 게재물(5), 지지판(6) 등이 삽입되어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되는 단턱부(3)를 별도의 공정없이 상기 몸체(1)와 장식테(2)를 끼워 조립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게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종래에서와 같이 일체로 형성된 프레임에 장식부와 단턱부를 각각 별도의 공정들을 거쳐 수행하던 작업들을 행할 필요없이 몸체(1)와 장식테(2)를 별도로 형성하여 상기 몸체(1) 내에 장식테(2)를 슬라이드 결합하는 것에 의해 장식용 프레임(A)이 완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장식테(2)의 일측에 형성된 끼움편(21)의 대향측에는 장식매트(23)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장식용 프레임(A)의 외관의 미려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끼움편(21)의 대향측과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장식매트(23)의 전면측 양쪽에는 각각 돌조(23a)를 형성하여 중앙에 홈조(23b)가 형성되도록 하여 입체감을 부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a는 본 고안의 장식용 프레임이 액자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4b는 도 4a의 I-I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장식용 프레임(A)은 액자(B)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하부를 45°각도로 절단한 다수의 프레임(A)을 조합하여 배면측에서유리(4),(사진, 그림, 글씨) 등의 게재물(5)과 상기 게재물(5)을 지지하는 지지판(6)을 삽입하게 되면 몸체(1)와 장식테(2)의 결합으로 인해 자연이 형성되는 단턱부(3)에 의해 지지되게 되고, 상기 지지된 유리(4),(사진, 그림, 글씨) 등의 게재물(5)과 상기 게재물(5)을 지지하는 지지판(6)을 몸체(1)의 임의위치로 적절하게 고정된 고정구(7)에 의해 고정이 되도록 하여 액자(B)를 이루게 되는 것인바, 상기와 같이 액자(B)로 사용하게 되면, 상기 액자(B) 내에 게재되는 게재물(5)의 색상이나 성격에 따라 수시로 장식테(2)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천정몰드와 같은 건축내장재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비록 상기의 실시 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의한 장식용 프레임에 의하면, 별도로 형성된 몸체와 장식테를 서로 슬라이드 결합하는 것에 의해 조립이 되도록 하여 프레임을 생산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빠른 생산량을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 몸체 내에서 장식테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무늬나 색상을 갖는 장식테를 소비자의 기호에 맞도록 교체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등의 효과가 발생되는 것이다.

Claims (2)

  1. 몸체(1)에 장식테(2)가 끼워지는 프레임(A)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A)은 몸체(1)의 내측면에 걸림공(12)이 형성된 안내홈(11)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1)에 결합되는 장식테(2)에는 걸림부(22)가 형성된 끼움편(21)을 구비하여, 상기 몸체(1)의 안내홈(11)에 장식테(2)의 끼움편(21)을 상부 또는 하부에서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짐으로써 프레임(A) 배면에 단턱부(3)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테(2)의 끼움편(21) 대향측에는 장식매트(23)가 연장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프레임.
KR20-2003-0010313U 2003-04-04 2003-04-04 장식용 프레임 KR2003217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313U KR200321747Y1 (ko) 2003-04-04 2003-04-04 장식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313U KR200321747Y1 (ko) 2003-04-04 2003-04-04 장식용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1747Y1 true KR200321747Y1 (ko) 2003-07-31

Family

ID=49411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0313U KR200321747Y1 (ko) 2003-04-04 2003-04-04 장식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174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21747Y1 (ko) 장식용 프레임
KR100515794B1 (ko) 장식용 프레임
KR200479369Y1 (ko) 방향 인테리어소품
KR200321357Y1 (ko) 장식용 프레임
KR200357096Y1 (ko) 건축용 마감재
US6725622B1 (en) Method of producing arc window frames
KR200339526Y1 (ko) 모서리용 장식물
US7278846B2 (en) Vivid three-dimensional illustrated card tool set
KR200365834Y1 (ko) 봉커튼용 커튼봉
KR200220840Y1 (ko) 동양화용 액자틀
CN211380630U (zh) 型材相框
KR100383134B1 (ko) 글라스의 성형방법 및 그 성형물
KR200220841Y1 (ko) 서양화용 액자틀
KR20170051998A (ko) 그림걸이 몰딩
KR200195205Y1 (ko) 장식액자
KR200251411Y1 (ko) 천장 장식판
KR200346794Y1 (ko) 이중 프레임 구조의 장식용 액자
KR200246601Y1 (ko) 문짝표면장식구
CN100560916C (zh) 檐板及装饰系统
CN105078035A (zh) 一种具有连接作用的家具装饰型材及其加工工艺
JP4483689B2 (ja) 框組パネル
KR200335033Y1 (ko) 데코시트판을 이용한 접합식 상다리
KR0129561Y1 (ko) 뚜껑 부분이 투명한 콤팩트 케이스
KR200294156Y1 (ko) 사진 등을 결착할 수 있는 액자
KR200334984Y1 (ko) 데코시트판을 이용한 접합식 상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