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6794Y1 - 이중 프레임 구조의 장식용 액자 - Google Patents

이중 프레임 구조의 장식용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6794Y1
KR200346794Y1 KR20-2003-0039201U KR20030039201U KR200346794Y1 KR 200346794 Y1 KR200346794 Y1 KR 200346794Y1 KR 20030039201 U KR20030039201 U KR 20030039201U KR 200346794 Y1 KR200346794 Y1 KR 2003467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ecorative
double
connecting pla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92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도연
Original Assignee
유도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도연 filed Critical 유도연
Priority to KR20-2003-00392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67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67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67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면 등에 부착하여 사용되는 이중 프레임 구조의 장식용 액자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액자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이 나란히 이중으로 형성되어 그 사이의 연결판에 의해 두개의 프레임이 별개로 설치된 것과 같은 효과를 주는 이중 프레임 구조의 장식용 액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프레임의 내측공간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장식물을 끼워 후면판으로 고정하는 장식용 액자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내측프레임과 외측프레임의 이중 구조를 가지되, 내측프레임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장식물과 후면판이 고정되고, 내측프레임의 외곽에 일정 간격을 두고 외측프레임이 연결판에 의해 내측프레임과 연결되는 이중 프레임 구조의 장식용 액자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이중 프레임 구조의 장식용 액자{A decoration frame with dual frame structure}
본 고안은 벽면 등에 부착하여 사용되는 이중 프레임 구조의 장식용 액자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액자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이 나란히 이중으로 형성되어 그 사이의 연결판에 의해 두개의 프레임이 별개로 설치된 것과 같은 효과를 주는 이중 프레임 구조의 장식용 액자에 관한 것이다.
각종 그림이나 사진 등의 장식물을 끼워 벽면에 설치하는 장식용 액자는 사각형틀의 프레임과 이에 장식물을 끼워 고정하는 후면판으로 구성된다. 즉, 사각의 프레임이 형성하는 내측 공간부의 걸림턱에 장식물과 후면판을 끼우고, 이에 핀 등의 고정구로써 후면판을 고정하여 장식물을 액자에 끼우고, 이를 벽면에 설치하여 장식의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액자는 하나의 프레임이 하나의 사각틀을 형성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고, 사각 프레임의 표면에 각종 장식문양을 조각하거나 채식하여 장식미를 더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단순 사각형틀의 프레임으로 된 액자는 그림이나 사진 등과 같이 액자에 끼워지는 장식물에 의한 장식 효과만을 기대하게 되고, 이에 더하여 장식하고자 하는 경우는 사각프레임의 표면에 장식문양이나 채색에 의한 장식만 가능하였다. 이는 사각 프레임만이 장식을 하는 공간부를 제공하므로 장식의 효과를 줄 수 있는 공간이 프레임 외에는 없었기 때문에, 종래의 경우는 장식의 효과에 큰 제한이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액자가 가지는 장식 공간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효과적인 장식이 가능하도록, 크기가 다른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을 연결판을 사이에 두고 이중으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각각의 내외측프레임이 개별적으로 설치된 효과는 물론이고 연결판에 다양한 장식을 겸할 수 있는 이중 프레임 구조의 장식용 액자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절개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의 내측프레임과 외측프레임의 결합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 6과 도 7은 본 고안의 내측프레임과 외측프레임의 표면을 장식한 다양한 실시예의 요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걸림턱 2 : 장식물
3 : 후면판 4 : 내측프레임
5 : 외측프레임 6 : 연결판
7 : 장식문양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이중 프레임 구조의 장식용 액자는 프레임의 내측공간부에 형성된 걸림턱(1)에 장식물(2)을 끼워 후면판(3)으로 고정하는 장식용 액자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내측프레임(4)과 외측프레임(5)의 이중 구조를 가지되, 내측프레임(4)에 걸림턱(1)이 형성되어 장식물(2)과 후면판(3)이 고정되고, 내측프레임(4)의 외곽에 일정 간격을 두고 외측프레임(5)이 연결판(6)에 의해 내측프레임(4)과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내측프레임(4)과 외측프레임(5) 및 연결판(6) 중의 둘 이상은 서로 일체로 형성되게 실시할 수도 있고, 내측프레임(4)과 외측프레임(5)의 표면에 장식문양(7)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도 1에 전체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 내지 도 6에 본 고안의 특징인 내측프레임(4)과 외측프레임(5)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프레임(4)과 외측프레임(5)의 두개의 프레임이 일정 공간부 즉 연결판(6)을 두고 이중으로 설치되어 다양한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우선, 그림이나 사진 등의 장식물(2)은 내측프레임(4)에 형성된 걸림턱(1)에 삽입되어 재치된 후 후면판(3)과 핀 등의 고정구로서 고정되어, 벽면 등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보면, 가운데 장식물(2)의 외측으로 내측프레임(4)이 위치하고, 연결판(6)만큼 거리를 두고 다시 외측프레임(5)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중의 프레임에 의해 내측프레임(4)과 외측프레임(5)을 각각 별개의 프레임으로써 두개가 설치된 것과 같은 장식의 효과를 주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의 연결판(6)은 내측프레임(4)과 외측프레임(5)을 연결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액자가 설치되는 벽면 등의 표면과 같은 벽지나 색상 등으로 장식할 경우는 완벽한 두개의 프레임이 별도로 설치된 효과를 나타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연결판(6)에는 다양한 채색과 무늬 및 조각 등을 구현할 수도 있어 장식의 범위가 매우 넓어지는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도 7과 같이 외측프레임(5)과 내측프레임(4)의 표면에 각종 장식문양(7)을 형성시켜 실시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는 더욱 더 장식을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에 비하여 종래의 경우는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어 장식의 효과를 주고자 할 경우에는 프레임의 표면만을 채색하거나 장식하는 정도에 그쳤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기에서와 같이 두개의 프레임에 채색과 장식을 할 수가 있고, 더우기 연결판(6)에 각종 장식을 하거나 벽면 등의 색상과 같은 채색을 할 수 있어 장식물(2)을 중심으로 내측프레임(4)과 외측프레임(5)이 각각 별도로 설치된 것과 같은 독특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프레임(4)과 외측프레임(5) 및 연결판(6)의 다양한 결합구조를 가질 수가 있는데, 이는 제작상의 문제나 각각의 부분을 다른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한 후 결할 할 때 적합하도록 함이고, 내측프레임(4)과 연결판(6) 또는 외측프레임(5)과 연결판(6)이 일체로 되거나, 내측프레임(4)과 연결판(6) 및 외측프레임(5) 전체가 하나의 일체형으로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이중으로 된 내측프레임(4)과 외측프레임(5)에 의해 풍부한 장식의 효과를 나타낼 수가 있고, 연결판(6)을 어떻게 장식하느냐에 따라서 내측프레임(4)과 외측프레임(5)이 하나의 액자에 의해 연결된 일체형이 아니라 각각 독립적으로 장식물(2)의 둘레에 설치된 것과 같은 독특한 장식의 효과를 나타낼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내측프레임(4)과 외측프레임(5) 및 연결판(6)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은 사각형틀 뿐만 아니라 원형, 타원형, 삼각형, 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실시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크기가 다른 외측프레임(5)과 내측프레임(4)이 연결판(6)에 의해 이격되게 이중으로 설치되어, 내측프레임(4)과 외측프레임(5)이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된 효과는 물론이고, 연결판(6)에 다양한 장식을 겸할 수 있어 풍부한 장식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프레임의 내측공간부에 형성된 걸림턱(1)에 장식물(2)을 끼워 후면판(3)으로 고정하는 장식용 액자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내측프레임(4)과 외측프레임(5)의 이중 구조를 가지되, 내측프레임(4)에 걸림턱(1)이 형성되어 장식물(2)과 후면판(3)이 고정되고, 내측프레임(4)의 외곽에 일정 간격을 두고 외측프레임(5)이 연결판(6)에 의해 내측프레임(4)과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프레임 구조의 장식용 액자.
  2. 제 1항에 있어서, 내측프레임(4)과 외측프레임(5) 및 연결판(6) 중의 둘 이상은 서로 일체로 형성된 이중 프레임 구조의 장식용 액자.
  3. 제 1항에 있어서, 내측프레임(4)과 외측프레임(5)의 표면에 장식문양(7)이 형성된 이중 프레임 구조의 장식용 액자.
KR20-2003-0039201U 2003-12-16 2003-12-16 이중 프레임 구조의 장식용 액자 KR2003467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201U KR200346794Y1 (ko) 2003-12-16 2003-12-16 이중 프레임 구조의 장식용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201U KR200346794Y1 (ko) 2003-12-16 2003-12-16 이중 프레임 구조의 장식용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6794Y1 true KR200346794Y1 (ko) 2004-04-06

Family

ID=49427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201U KR200346794Y1 (ko) 2003-12-16 2003-12-16 이중 프레임 구조의 장식용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679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945Y1 (ko) * 2014-10-06 2015-08-12 주식회사 토이앤퍼즐 퍼즐 전용 액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945Y1 (ko) * 2014-10-06 2015-08-12 주식회사 토이앤퍼즐 퍼즐 전용 액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46794Y1 (ko) 이중 프레임 구조의 장식용 액자
US8367185B1 (en) Sticky mosaic art kit
KR200374797Y1 (ko) 액자
KR200177497Y1 (ko) 행어(hanger)
KR200344653Y1 (ko) 램프용 장식 덮개
KR200293689Y1 (ko) 장식 유리
KR200435479Y1 (ko) 장식판
JPH07246286A (ja) 装飾パネル
KR200195205Y1 (ko) 장식액자
KR200317254Y1 (ko) 얼룩말무늬를 갖는 틀재로 조립된 액자
KR200302070Y1 (ko) 천정등받이용 모서리 장식구
KR200336698Y1 (ko) 다기능 장식액자
KR200199993Y1 (ko) 자개에 색상이 도입된 장식용 유리판
KR200404238Y1 (ko) 볼 체인
KR200285725Y1 (ko) 조명등
KR200350641Y1 (ko) 자석식 퍼즐
KR20040102678A (ko) 다기능 장식액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261508Y1 (ko) 사진틀
KR100338387B1 (ko) 단추를 이용한 장신구 및 그 이용방법
KR200345474Y1 (ko) 장식용 액자
KR200236444Y1 (ko) 조명장식품
KR200425492Y1 (ko) 에폭시 조형물
KR200291609Y1 (ko) 테두리 장식 및 조명부를 갖는 액자
KR200377107Y1 (ko) 조립식 다기능 액자
KR200294156Y1 (ko) 사진 등을 결착할 수 있는 액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