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9153Y1 - 문짝판 - Google Patents

문짝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9153Y1
KR200279153Y1 KR2020020006554U KR20020006554U KR200279153Y1 KR 200279153 Y1 KR200279153 Y1 KR 200279153Y1 KR 2020020006554 U KR2020020006554 U KR 2020020006554U KR 20020006554 U KR20020006554 U KR 20020006554U KR 200279153 Y1 KR200279153 Y1 KR 2002791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oor
groove
fixed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65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강진
Original Assignee
대동철강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철강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철강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065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91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91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9153Y1/ko

Links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문짝판에 관한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주로 방화문등의 현관문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스틸용 문의 표면 또는 양면에 일정면적의 홈을 형성하여 합판, 즉 MDF 또는 HDF등의 인조목재판을 용이하게 부착함으로서 방화문으로의 고유 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다양한 목질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조립 부착되는 부품을 규격화하여 작업성 및 그에 따른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견고하고 용이하게 부착하여 그 사용 수명을 장구히 유지시킬수 있게 한 문짝판에 관한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본 고안은 일정 두께를 갖는 철판을 절곡 및 용접하여 내부에 중공부(1b)를 갖고 표면에는 일정 깊이를 갖는 홈(1a)이 형성된 일정 면적의 스틸도어(1)에 있어서,
상기 홈(1a)의 내부에는 다수의 알판(2)이 일정간격으로 접착고정 되는것에 의해 그 상부에 일정 간극을 유지하는 구획선(4)을 갖는 일정 면적의 밑판(3)이 홈(1a)의 면적과 일치하도록 접착고정되되;
상기 밑판(3)에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접착고정된 알판(2)은 밑판(3)의 저면부를 통해 고정부재(5)에 의해 고정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문짝판{DOOR PANEL}
본 고안은 문짝판에 관한것으로, 본 출원인에 의해 기출원되어 등록(실용신안등록 제 236285호, 이하 선등록이라 함)된 바 있는 문짝판에 대한 개량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주로 방화문등의 현관문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스틸용 문의 표면 또는 양면에 일정면적의 홈을 형성하여 합판, 즉 MDF 또는 HDF등의 인조목재판을 용이하게 부착함으로서 방화문으로의 고유 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다양한 목질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조립 부착되는 부품을 규격화하여 작업성 및 그에 따른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견고하고 용이하게 부착하여 그 사용 수명을 장구히 유지시킬수 있게 한 문짝판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문용 문짝판은 일정 두께를 갖는 스틸판을 내부에 중공부를 이격 구성하여 흡음재 또는 방음재등을 충진하고 표면 도색하는 단순 형태로 제작되어 왔기 때문에 문짝판의 외관이 단조롭고 차가운 느낌을 준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짝판의 외표면에 코팅처리를 하거나, 목질감을 얻을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나무무늬결이 인쇄된 모양지등을 접착 한 것이 공개되고 있다.
그러나 위와같은 종래의 것은 단조롭고 저급하여 고품위를 유지 할 수 없고, 또한 시간이 경과하면 변색되거나 쉽게 탈리 되어버려 미관을 해칠뿐 아니라 그로인해 폐기를 해야하거나 교체 또는 표면보수가 이루어져야만 함으로서 결과적으로 사용수명이 단축되는등의 문제를 안고있다.
또한 종래 문짝판은 그 제조과정이 철판을 절곡하여 구획선을 형성한후 그 표면에 코팅지를 부착하는 형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구획선이 명확하지 않고 한가지 이상 다양한 색상을 표출할수가 없었으며, 그로인해 메지홈의 색상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없게됨으로서 결국 문짝판이 단조로움을 벗어날 수 없게되어 상품성 또한 저하되는 등의 문제를 안고있다.
상기와 같은 방화문 문짝판이 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정 두께를 갖는 철판을 절곡 및 용접하여 내부에는 중공부를 갖고 표면에는 일정 깊이를 갖는 홈이 형성된 스틸도어에 있어서, 상기 홈의 내부에는 다수의 알판이 끼워 고정 되는것에 의해 그 상부에 일정 간극을 유지하는 구획선을 갖는 일정 면적의 밑판이 홈의 내면과 일정 간극을 유지하여 구획선을 형성한채로 고정되되, 상기 밑판에는 다수의 끼움홈이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관통 형성되고, 상기 알판은 상기 끼움홈과 일치되는 끼움부를 하부에 형성한채로 각각 끼워져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스틸도어의 문짝판을 제공한바 있으나, 이는 방화문으로서의 고유 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다양한 목질감을 얻을 수 있어 상품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수명을 장구히 유지시킬수 있지만 작업공정이 번거로워 작업성 및 생산성 저하시키는 문제를 안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주 목적은 스틸문의 표면에 목질감을 얻을 수 있는 인조목재판을 견고하고 용이하게 조립 부착하여 스틸문의 고유 기능인 방화문으로서의 고유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문짝의 고급화를 기하고, 부품을 규격화하여 그 조립작업을 간단 용이하게 수행케 함으로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켜 제조 단가를 낮춤으로서 염가 제공이 가능한 문짝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인조 목재로되는 밑판에 소정의 사각형상의 알판을 다수개 구성하여 부착한다음 밑판의 하부에서 고정부재(스텝플러의 심재)로 고정하여 스틸문에 형성된 홈에 설치함으로서 직각의 명확한 구획선을 형성하고 또한 메지홈의 색상을 다양하게 구성하여 그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할 수 있게 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알판의 표면에 레자 또는 각종 코팅재를 표면처리를 행함으로서 다양한 색상 또는 무늬모양등을 구성하여 더욱 고급화시키고 더욱 미려하게 하려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문짝판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문짝판을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 - A선에 의한 단면도,
도 4a, 4b, 4c는 본 고안에 따른 문짝판 알판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각각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스틸도어 1a:홈
1b:중공부 2:알판
3:밑판 4:구획선
5:고정부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하여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일정 두께를 갖는 철판을 절곡 및 용접하여 내부에 중공부(1b)를 갖고 표면에는 일정 깊이를 갖는 홈(1a)이 형성된 일정 면적의 스틸도어(1)에 있어서,
상기 홈(1a)의 내부에는 다수의 알판(2)이 일정간격으로 접착고정 되는것에 의해 그 상부에 일정 간극을 유지하여 구획선(4)을 갖는 일정 면적의 밑판(3)이 홈(1a)의 면적과 일치하도록 접착고정되되;
상기 밑판(3)에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접착고정된 알판(2)은 밑판(3)의 저면부를 통해 고정부재(5)에 의해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알판(2)의 표면에는 밑판(3)과 접착 및 고정부재(5)로 고정하기전에 그 표면에 다양한 색상 또는 무늬를 갖는 레자 또는 코팅재(미도시하였음)를 부착하여 표면처리를 행한후 상기와 같은 조립고정방법에 의해 고정하여 문짝판을 더욱 고급스럽고 다양한 외관을 갖도록 구성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밑판(3)과 알판(2) 및 밑판(3)과 스틸도어(1)를 고정하는 고정 수단은 작업공정상 접착 및 고정부재로 고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 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을 이루는 알판(2)과 밑판(3)및 스틸도어(1)는 각 제작 공정에 따라 긴밀하게 각각 제작하여 각 부품을 규격화한다.
이와같이 제작공정에 의해 완성된 부품은 조립라인으로 이동시켜 밑판(3)의 상단부에 접착제를 도포한다음 알판(2)을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시켜 밑판(3)의 상부에 부착시키고 밑판의 저면부로 부터 별도의 스텝플러(도면에는 표기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밑판(3)과 알판(2)을 고정부재(5)로 고정한다.
상기의 공정에서 접착 완료된 밑판(3)은 스틸도어(1)에 형성되어 있는 홈(1a)의 면적과 일치하도록 접착 또는 피스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하여 준다.
상기의 조립공정이 완료되면 구획선(4)이 직각으로 선명하고, 알판(2)의 표면을 다양한 색상을 갖도록 형성 할 수 있게 됨으로서 다양하고 미려하면서 고급화된 문짝을 제공할 수 있게된다.
상기와 같은 공정에 의해 완성된 문짝판은 미도시 하였으나 일측의 상·하부에 힌지부를 설치하고 일측 중앙부에는 손잡이를 부착하는등의 통상적인 작업과정을 거쳐 유통되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면 도 4a, 4b, 4c는 본 고안의 알판 배열을 다르게 보여주는 것으로 알판(2)의 배치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모양을 표출하여 좀더 미려화고 고급화된 스틸도어(1)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스틸도어(1)에 형성되는 홈(1a)을 양측면, 즉 전·후방에 형성하여 알판(2)이 끼워진 밑판(3)을 스틸도어(1)의 전·후방 양측에 고정하여 실내·외에 다양하고 고급스러운 외관을 표출시킬수 있는 일례를 보여준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로서, 두께를 가지면 일정면적으로 이루어진 알판(2)에 있어서, 알판(2)의 중앙부로는 요홈부(2a)가 관통되어 형성되고, 알판(2)의 저면부는 끼움홈(2b)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알판의 끼움홈(2b)에는 끼움홈(2b)의 면적과 일치되는 밑판(3)이 삽입 접착및 밑판의 하부로부터 고정부재(5)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스틸도어의 홈(1a)에 일치되도록 접착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밑판의 표면은 다양한 색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알판(2)의 요홈부(2a)를 통하여 밑판의 다양한 색상을 표출할 수 있도록 하여 미려하면서 고급화된 문짝을 제공할 수 있게된다.
또한 첨부된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거나 아닌것에 관계없이 스틸도어(1')의 전·후측면에 목재 또는 인조목재판(3')을 접착고정하고 그 양측면에는 'ㄷ'형 스틸 마감재(7)를 접착고정하여 이루되, 상기 목재판(3')의 선단에는 다양한 색상 또는 모양을 갖는 알판(2)을 접착하여 상기 목재판(3') 하부로 부터 고정부재(5)로 하여금 고정하는 일례를 보여준다.
이때에도 물론, 첨부된 도면 도 7 에서와 같이 각 목재판(3')의 상부면에 홈(33')을 형성하고 그 홈(33')내에는 알판(2)이 접착된 밑판(3)을 각각 끼워 고정하여 이룰수도 있다.
상기에서의 실시예는 스틸도어(1')의 전·후면에 인조목재판(3')또는 알판(2)과 밑판(3)이 결합된 인조목재판(3')을 접착하고 그 양측을 스틸마감재(7)로 몰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본 고안과 그 작용 및 효과가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스틸문의 표면에 목질감을 얻을 수 있는 인조목재판 또는 다양하게 표면 처리가 된 알판을 밑판에 접착및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시켜줌으로서 스틸문의 고유 기능인 방화문으로서의 고유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문짝의 고급화를 기하고, 부품을 규격화하여 그 조립작업을 간단 용이하게 수행케 함으로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뿐만아니라 양산에 따른 제조 단가를 낮춤으로서 염가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고, 메지홈을 직각으로 명확하게 하고 색상을 다양하게 구성하여 문짝의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할 수 있고, 알판의 표면에레자 또는 각종 코팅재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를 행함으로서 다양한 색상 또는 무늬모양등을 다양하게 형성하여 문짝판을 더욱 고급화시키고 더욱 미려하게 하는등의 여러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일정 두께를 갖는 철판을 절곡 및 용접하여 내부에 중공부(1b)를 갖고 표면에는 일정 깊이를 갖는 홈(1a)이 형성된 일정 면적의 스틸도어(1)에 있어서,
    상기 홈(1a)의 내부에는 다수의 알판(2)이 일정간격으로 접착고정 되는것에 의해 그 상부에 일정 간극을 유지하는 구획선(4)을 갖는 일정 면적의 밑판(3)이 홈(1a)의 내면과 일정 간극을 유지하여 구획선(4)을 형성한채로 고정되되;
    상기 밑판(3)에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접착고정된 알판(2)은 밑판(3)의 저면부를 통해 고정부재(5)에 의해 고정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문짝판.
KR2020020006554U 2002-03-06 2002-03-06 문짝판 KR2002791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554U KR200279153Y1 (ko) 2002-03-06 2002-03-06 문짝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554U KR200279153Y1 (ko) 2002-03-06 2002-03-06 문짝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9153Y1 true KR200279153Y1 (ko) 2002-06-21

Family

ID=73118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554U KR200279153Y1 (ko) 2002-03-06 2002-03-06 문짝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91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095B1 (ko) * 2002-05-13 2005-10-06 한국도어 주식회사 방화문의 장식판 결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095B1 (ko) * 2002-05-13 2005-10-06 한국도어 주식회사 방화문의 장식판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79153Y1 (ko) 문짝판
KR100497131B1 (ko) 문짝표면의 무늬 형성방법 및 그 문짝구조
KR200236285Y1 (ko) 문짝판
KR200190571Y1 (ko) 장식판이 형성된 방화문
KR100519095B1 (ko) 방화문의 장식판 결합구조
KR200357096Y1 (ko) 건축용 마감재
KR20050093754A (ko) 가구용 장식도어
CN1057038C (zh) 表面成形有彩色立体图案的木板制品
KR200300264Y1 (ko) 방화문용 장식판의 개량구조
CN218541149U (zh) 一种室内装饰结构
KR200335571Y1 (ko) 목재도어
KR200310918Y1 (ko) 장식판이 부착된 방화문
KR200255501Y1 (ko) 책상용 명패
CN211623104U (zh) 一种隐形门结构
CN211229769U (zh) 一种新型围墙结构
KR200340549Y1 (ko) 방화문의 장식장치
KR200430173Y1 (ko) 패브릭원단이 구비된 합성수지 패널
KR200426030Y1 (ko) 금속재 화장실용 조립 패널
JP3126839U (ja) 異なる樹種を組み合わせた色彩的装飾合板。
KR100522315B1 (ko) 화장실 도어의 제조방법
JPH0248608Y2 (ko)
KR200420951Y1 (ko) 측면 알상감이 부착된 교자상
CN2152885Y (zh) 钢结构室内装饰门
JP2010084496A (ja) 採光扉の製造方法
KR200254816Y1 (ko) 장식판이 부착된 방화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