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3754A - 가구용 장식도어 - Google Patents

가구용 장식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3754A
KR20050093754A KR1020050082055A KR20050082055A KR20050093754A KR 20050093754 A KR20050093754 A KR 20050093754A KR 1020050082055 A KR1020050082055 A KR 1020050082055A KR 20050082055 A KR20050082055 A KR 20050082055A KR 20050093754 A KR20050093754 A KR 20050093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urniture
decorative
ston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2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민
Original Assignee
신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민 filed Critical 신정민
Priority to KR1020050082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3754A/ko
Publication of KR20050093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375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5Composite panel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 A47B96/206Composite panel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with laminates comprising planar, continuous or separat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4Keyplates; Ornamen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4Pressing or stamping ornamental designs on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씽크대, 붙박이장, 신발장, 서랍장, 장식장 등 여닫이 또는 미닫이식 도어가 장착되는 각종 주방가구 및 생활가구류의 도어표면에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대리석, 화강암, 옥돌 등을 비롯한 각종 석재를 접목시킴으로서 장식미를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가구의 고급화를 추구할 수 있는 가구용 장식도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구성의 특징으로는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를 도어크기로 형성하되 그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베이스판넬을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판넬의 표면에 대리석이나 화강암, 옥돌 등을 비롯한 각종 석재를 얇게 형성하되, 면적이 베이스판넬보다 약간 작은 크기(즉, 테두리가 부착 고정되는 부분을 제외한 크기를 말함)로 형성하여서 된 장식판넬을 바인더로 부착고정시킨 다음, 가장자리에 알루미늄 등의 금속 또는 목재로 테두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베이스판넬과 장식판넬 사이에 쿠션재를 개재시킨 상태로 접착 고정하여서 구성한다.
이때 테두리는 장식판넬의 표면과 같도록 형성하여도 되고, 또는 테두리가 장식판넬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형성하여도 된다.
한편, 상기 석재로 형성된 장식판넬은 음각 또는 양각으로 다양한 장식문양을 더 형상하면 한차원 더 높은 장식미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 장식판넬을 형성함에 있어서 자투리석재를 타일처럼 가공형성하여 모자이크식으로 조립 형성하면 또 다른 장식미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장식도어는 장식장, 씽크대를 비롯한 각종 주방가구의 도어, 붙박이장, 장농, 서랍장, 신발장 등의 가구용 도어의 장식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도어를 고급화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등의 특징이 따른다.

Description

가구용 장식도어{a decoration door for a furniture}
본 발명은 가구용 장식도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씽크대, 장식장, 서랍장, 신발장, 붙박이 장, 장농 등을 비롯한 각종 주방가구 및 생활가구 등의 도어를 구성함에 있어서, 대리석, 화강석, 옥돌 등을 비롯한 각종 석재판넬을 접목시킴으로서 전체적으로 도어의 장식성 및 품위를 높임과 동시에 고급화를 유도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씽크대를 비롯한 주방가구, 장농, 붙박이장이나 장식장, 서랍장, 신발장을 비롯한 생활가구 등의 도어는 통상 목재로 가공형성되어 있으며, 장식미를 부각시키기 위해 목재 고유의 나무결무늬를 그대로 노출시키거나 또는 표면에 다양한 색상으로 칠을 한다거나 또는 표면에 코팅을 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목재를 이용함에 있어서 나무결무늬를 그대로 노출시키는 경우에는 비교적 고급재질의 나무를 이용하여 제조하게 되고, 고급재질의 나무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합판이나 저급재질의 목재로 도어를 제작한 뒤 표면에 각종 색상의 칠을 하거나 코팅을 하여 보급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목재를 주로 이용한 가구의 도어는 고급화에 한계가 따르게 되고, 사용과정에서 표면에 흠이 쉽게 발생되는 폐단도 따르게 된다.
특히, 상기한 각종 주방가구 및 생활가구는 벽지, 바닥재 등과 함께 그 질감과 모양, 색상 등에 따라 거실, 주방, 안방 등의 실내분위기나 품위를 결정짓게 되며 따라서 실내 인테리어를 결정짓는 상당히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되는데, 전술한 목재 또는 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된 도어는 고급화에 한계가 따를 수 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각종 주방가구나 생활가구의 도어에 각종 석재를 접목시켜 도어의 고급화 및 장식성증대를 꾀할 수 있게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씽크대를 비롯한 주방가구, 붙박이장이나 서랍장을 비롯한 생활가구 등의 도어를 구성함에 있어서,
도 1∼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목재를 얇게 가공하여 베이스판넬(1)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판넬(1)의 표면에 면적이 베이스판넬(1)보다 작고<이는 테두리(7)를 부착고정시킬 공간을 감안하여 형성함> 두께 또한 얇게 형성한 석재판넬(2)을 바인더(3)를 이용하여 부착시킨 뒤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이나 목재, 또는 합성수지로 된 테두리(7)를 접착제 또는 못이나 나사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부착 설치하여 일체화시킴으로서 도어(100)를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도3은, 베이스판넬(1)과 석재판넬(2) 사이에 알루미늄판넬(4)을 개재시켜 도어(100)의 강도를 보강시킴으로서 베이스판넬(1)에 수축, 휨 등의 변형이 작용한다하더라도 알루미늄판넬(4)에 의해 석재판넬(2)의 변형이 예방되게 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베이스판넬(1)과 석재판넬(2)사이에 발포 우레탄 등을 비롯한 쿠션재(5)를 개재시킨 것으로, 이는 석재판넬(2) 표면에 충격이 작용할 때 충격흡수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한편, 상기 쿠션재(5)는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알루미늄판넬(4)이 개재된 경우에도 석재판넬(2)과 알루미늄판넬(4)사이에도 적용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석재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자투리 석재를 가공하여 마치 다양한 형상의 타일 또는 퍼즐식으로 조립할 수 있는 석재판넬을 형성한 다음, 본 발명의 도어(100) 형성시 모자이크식으로 조립부착시켜 석재판넬(2)을 형성시킨 것으로, 이 경우에는 자투리 석재를 활용할 수 있어 자원의 낭비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 다른 장식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석재판넬(2) 표면에 다양하게 음각문양을 형성하거나 양각무늬를 형성하면 입체감이 뛰어나게 됨과 동시에 또 다른 장식미를 느낄수 있고, 더불어 한 층더 미려한 장식도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석재판넬(2)이 주방가구나 생활가구 등의 도어에 표면에 부착 설치됨으로서, 마치 전체적으로 석재로 형성된 도어와 같은 느낌을 발휘하게 되고, 또 외관이 매우 미려하여 장식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매우 고급스럽게 보이게 된다.
즉, 석재도 종류에 따라 다양한 색상과 무늬 또는 결이 형성되어 있어, 이들 석재판넬(2)의 표면가공을 매끄럽게 하면서 광택처리를 하게 되면 표면이 매우 미려하게 돋보이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다양한 문양과 색상을 가진 석재를 선택하여 베이스판넬(1)의 표면에 부착 설치함으로서 도어의 장식성을 극대화 시켰다는 것이다.
한편, 석재는 목재에 비하여 중량이 과다하게 나가기 때문에 석재자체만으로 도어를 형성할 경우는 과다한 중량으로 인하여 도어로서의 가치가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고, 또,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깨지는 등의 결함이 발생되기 때문에 석재자체로 도어를 형성한다는 것은 현실성이 없어 타당치가 않다.
따라서 중량을 가볍게 하기 위해서는 석재를 2∼15mm두께로 얇게 형성하면서도 잘깨지 않도록 구성하여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얇은 석재판넬(2)과 목재로 가공형성된 베이스판넬(1)을 바인더(3)를 이용하여 부착고정시키거나, 또는 석재판넬(2)과 베이스판넬(1)의 사이에 알루미늄 판넬(4)을 개재시키거나, 또는 석재판넬(2)과 베이스판넬(1)사이나 석재판넬(2)과 알루미늄판넬(4) 사이에 발포우레탄 등을 비롯한 쿠션재(5)를 개재시킨뒤 테두리(7)를 조립하여 도어(100)를 조립 완성함으로서, 비록 석재판넬이 얇아도 외부적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파손될 염려는 전혀 없게 된다.
특히, 석재판넬(2)과 베이스판넬(1), 또는 석재판넬(2)과 알루미늄판넬(4) 사이에 쿠션재(5)를 개재시킨 경우는 쿠션재(5)가 충격흡수를 하게 됨으로서 석재판넬이 깨지는 등의 폐단이 더욱 크게 줄게 되어 안정성과 신뢰성을 한차원 더 높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석재판넬(2)을 모자이크식으로 조립 부착시키면, 자투리석재의 활용이 극대화되어 원가절감효과가 높아지게 되고, 더불어 한장의 석재판넬로 도어를 형성하였을 경우와는 또 다른 느낌과 장식미를 부여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여러종류의 석재를 혼용할 수 있어 상품성, 신뢰성 및 고급화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종 가구류의 도어표면에 석재판넬을 부착설치하여 장식성을 높임과 동시에 가구의 고급화를 꾀할 수 있고, 또, 사용과정에서 표면에 흠이 잘 발생되지 않아 오래도록 깔끔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어의 횡단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어의 횡단면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어의 횡단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도어의 정면예시도.
도 6은 도 5의 횡단면예시도.

Claims (5)

  1. 씽크대를 비롯한 주방가구, 붙박이장이나 장농, 서랍장을 비롯한 생활가구 등의 도어를 구성함에 있어서,
    목재로 얇게 베이스판넬(1)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판넬(1)의 표면에 베이스판넬(1)보다 면적이 작고 2∼15mm의 두께로 얇게 형성한 석재판넬(2)을 바인더(3)를 이용하여 부착시킨 뒤,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이나 목재, 또는 합성수지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된 테두리(7)를 설치하여 일체화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장식도어.
  2. 제 1항에 있어서,
    베이스판넬(1)과 석재판넬(2) 사이에 알루미늄판넬(4)을 개재시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장식도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베이스판넬(1)과 석재판넬(2)사이에 발포 우레탄 등을 비롯한 쿠션재(5)를 개재시키거나, 또는 알루미늄판넬(4)과 알루미늄판넬(4)이 개재된 경우에도 석재판넬(2)과 알루미늄판넬(4)사이에 쿠션재(5)를 개재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장식도어.
  4. 제1항에 있어서,
    석재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자투리 석재를 가공하여 마치 다양한 형상의 타일 또는 퍼즐식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분할형성한 다음, 본 발명의 도어(100) 형성시 모자이크식으로 조립부착시켜 석재판넬(2)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장식도어.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석재판넬(2) 표면에 다양하게 음각문양을 형성하거나 양각무늬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장식도어.
KR1020050082055A 2005-09-01 2005-09-01 가구용 장식도어 KR200500937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055A KR20050093754A (ko) 2005-09-01 2005-09-01 가구용 장식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055A KR20050093754A (ko) 2005-09-01 2005-09-01 가구용 장식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754A true KR20050093754A (ko) 2005-09-23

Family

ID=37274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2055A KR20050093754A (ko) 2005-09-01 2005-09-01 가구용 장식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375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153B1 (ko) * 2006-04-06 2007-10-26 구광남 가구용 도어
KR20090086140A (ko) * 2008-02-06 2009-08-11 권화숙 석재 문 제조방법
KR200472823Y1 (ko) * 2013-11-08 2014-05-22 송재구 도어 장식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153B1 (ko) * 2006-04-06 2007-10-26 구광남 가구용 도어
KR20090086140A (ko) * 2008-02-06 2009-08-11 권화숙 석재 문 제조방법
KR200472823Y1 (ko) * 2013-11-08 2014-05-22 송재구 도어 장식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93754A (ko) 가구용 장식도어
KR101745450B1 (ko) 휘어짐 방지구조를 갖는 싱크대 및 가구용 도어
WO2006023977A3 (en) Grain-through flexible edgeband
KR20080091935A (ko)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 및 그 제작방법
KR20080063006A (ko) 장식용 프레임 가변 가구
JP3219050U (ja) トイレブース
JP4670407B2 (ja) 化粧部材
EP2175082A1 (en) Method for production of wall covering panels, and panel obtained with said method
KR200406555Y1 (ko) 주방가구용 도어
KR100886563B1 (ko) 인테리어용패널 및 그 제작방법
KR20080004610U (ko)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
KR200192796Y1 (ko) 주방용 싱크대 도어
KR100929124B1 (ko) 도어판넬 및 그 제조방법
CN201019267Y (zh) 一种双结构组合家具
AU2003100574A4 (en) An improved door structure for commercial and domestic installations
KR200236285Y1 (ko) 문짝판
KR200279153Y1 (ko) 문짝판
KR101253299B1 (ko) 인테리어용 패널
KR100568688B1 (ko) 피복가구 및 그 제조방법
GB2601812A (en) Reinforced Door
KR200179288Y1 (ko) 인테리어 테이블의 상판
RU22956U1 (ru) Панель декоративная
JP3027316U (ja) 家 具
WO2023233351A1 (en) Door for piece of furniture and piece of furniture with such door
WO2023233350A1 (en) Door for piece of furniture and piece of furniture with such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