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610U -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 - Google Patents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610U
KR20080004610U KR2020070005867U KR20070005867U KR20080004610U KR 20080004610 U KR20080004610 U KR 20080004610U KR 2020070005867 U KR2020070005867 U KR 2020070005867U KR 20070005867 U KR20070005867 U KR 20070005867U KR 20080004610 U KR20080004610 U KR 2008000461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tchen
decorative frame
interior
interior doors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58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시원시앤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원시앤에프 filed Critical (주)시원시앤에프
Priority to KR20200700058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4610U/ko
Publication of KR200800046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61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4Keyplates; Ornaments or the like
    • A47B95/043Protecting rims, buff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1Edge features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방 및 각종 인테리어 도어의 테두리를 마감하기 위해 구비되는 장식테를 주방 및 각종 인테리어 도어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주방 및 각종 인테리어 도어의 테두리를 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주방 및 각종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에 관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ㅗ' 자형의 단면을 구비하여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의 테두리를 마감하는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에 있어서,돌출된 형태로 외면에 다수개의 고정돌기를 형성하는 결착편, 상기 결착편과 수직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결착편을 기준으로 양측 하단에 요입된 형태로 구비되는 한쌍의 압입홈과, 상기 한쌍의 압입홈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상기 결착편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턱과, 결착편과 수직방향으로 걸림턱의 반대편에 한쌍의 압입홈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턱을 구비하는 지지편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며, 주방가구용 또는 각종 인테리어에 사용되는 도어에 장식테의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설치 공정이 복잡하지 아니하며, 상기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를 구성하는 각종 도어용 판재를 마감하는 장식테가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 않고 단순히 도어용 판재만으로 구성된것처럼 보이도록 하여 주방가구용 도어를 비롯하여 각종 인테리어 도어의 다양하고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주방가구, 인테리어, 도어, 테두리, 장식테

Description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 {border finishing materials of door}
도 1은 본 고안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의 다른 일실시에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의 또 다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어용 판재 11 : 결착홈
20 : 모서리 부재 21 : 압입돌기
22 : 충진부 100 : 결착편
110 : 고정돌기 111 : 경사면
120 : 절삭면 200 : 지지편
210 : 압입홈 220 : 걸림턱
230 : 지지턱
본 고안은 주방에 설치되는 주방용 가구 또는 싱크대 및 각종 인테리어의 도어 테두리에 부착되는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방 및 각종 인테리어 도어의 테두리를 마감하기 위해 구비되는 장식테를 주방 및 각종 인테리어 도어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주방 및 각종 인테리어 도어의 테두리를 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주방 및 각종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인테리어에 사용되는 가구 특히 주방에서 사용하는 주방용품 및 기타물건을 보관하고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주방의 상부에는 찬장을 설치하고, 하부에는 보관함에 갖추어진 주방가구는 그 구성이 매우 다양하게 이루어져 있고, 상기와 같은 주방가구는 최근 현대인의 식생활이 개선되면서 주방을 단순히 식사를 준비하고 식사만을 위한 공간의 개념이 아닌 하나의 생활 공간 개념으로 인식이 바뀌어 가면서, 주방에 주방가구를 잘 배치하여 이용에 편리하고 잘 정돈된 새로운 공간으로 꾸미게 되었다.
한편, 주방의 싱크대나 붙박이장 등에 설치되는 주방가구용 도어는 통상 목재로 가공형성되어 있으며, 장식미를 부각시키기 위해 목재 고유의 나무결무늬를 그대로 노출시키거나 또는 표면에 다양한 색상으로 칠을 한다거나 또는 표면에 코팅을 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목재를 이용함에 있어서 나무결무늬를 그대로 노출시키는 경우에는 비교적 고급재질의 나무를 이용하여 제조하게 되고, 고급재질의 나무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합판이나 저급재질의 목재로 도어를 제작한 뒤 표면에 각종 색상의 칠을 하거나 코팅을 하여 보급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목재를 주로 이용한 종래의 주방가구용 도어는 고급화에 한계가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사용 과정에서 표면에 흠이 쉽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주방가구용 도어는 주방 분위기를 아름답게 조화시키는 장식기능이 결여되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주방의 분위기를 아름답게 연출시킬 수 없어 주방 인테리어의 효과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종래에는 상기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의 테두리에 장식테를 압입하거나 부착하여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의 테두리를 마모로부터 보호하고 장식하도록 하고 있으며, 장식테 본체를 경질 수지로 압출 성형함에 있어서, 상면에는 요홈부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게하여 이에 상기 본체와는 다른 색상의 연질 수지로 되는 장식띠를 일체로 매입되게 성형하며 전면 하부의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질수지로 되는 방수편을 연설하는 주방가구 도어용 장식테를 비롯하여, 중간에 결착편이 돌출되게 본체를 경질 합성수지로 성형함에 있어서, 그 양측에는 적정폭으로 만곡되게 연질 합성수지로 탄성리브를 일체로 연결되게 동시에 성형하여서 된 주방기구 도어용 장식테와 같이, 상하좌우에 고정홈이 형성된 목재패널의 고정홈에 압입되는 고정편 및 목재패널을 지지하는 지지편을 구비하여 목재패널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하는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가 제공된 바 있지만, 상기와 같은 주방 가구용 도어용 장식테는 상기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를 마감하는 장식테가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주방가구용 도어를 비롯하여 각종 인테리어 도어의 다양하고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표현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는 주방가구용 또는 각종 인테리어에 사용되는 도어에 장식테의 설치가 간편하고, 설치 공정이 복잡하지 아니하며, 상기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를 구성하는 각종 도어용 판재를 마감하는 장식테가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 않고 단순히 도어용 판재만으로 구성된 것처럼 보이도록 하여 주방가구용 도어를 비롯하여 각종 인테리어 도어의 다양하고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체적으로 'ㅗ' 자형의 단면을 구비하여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의 테두리를 마감하는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에 있어서,돌출된 형태로 외면에 다수개의 고정돌기를 형성하는 결착편, 상기 결착편과 수직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결착편을 기준으로 양측 하단에 요입된 형태로 구비되는 한쌍의 압입홈과, 상기 한쌍의 압입홈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상기 결착편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턱과, 결착편과 수직방향으로 걸림턱의 반대편에 한쌍의 압입홈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턱을 구비하는 지지편으로 이루어지는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편의 한쌍의 압입홈이 형성되지 않은 일측면에 다수개의 요입된 형태의 돌기부를 구비하는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의 다른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의 또 다른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는 전체적으로 'ㅗ' 자형의 단면을 구비하여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의 테두리를 마감하는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에 있어서, 돌출된 형태로 외면에 다수개의 고정돌기(110)를 형성하는 결착편(100)과, 상기 결착편(100)과 수직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결착편(100)을 기준으로 양측 하단에 요입된 형태로 구비되는 한쌍의 압입홈(210)과, 상기 한쌍의 압입홈(210)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상기 결착편(100)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턱(220)과, 결착편(100)과 수직방향으로 걸림턱(220)의 반대편에 한쌍의 압입홈(210)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턱(230)을 구비하는 지지편(200)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결착편(100)은 돌출된 형태로 외면에 다수개의 고정돌기(110)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결착편(100)의 구성으로 본 고안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는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판재(10)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고정돌기(110)는 양측에 경사면(111)이 형성되어 상기 결착편(100)이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판재(10)에 형성된 결착홈(11)에 압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경 사면(111)의 구성으로 결착편(100)이 결착홈(11)으로 압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도 4에 본 고안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와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판재(10)의 연결상태를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결착편(10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절삭면(120)을 구비하여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판재(10)의 상하좌우테두리에 본 고안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를 압입하였을 때, 상기 절삭면(120)의 구성으로 상하좌우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가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판재(10)의 테두리에 견고히 결착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편(200)은 상기 결착편(100)과 수직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결착편(100)을 기준으로 양측 하단에 요입된 형태로 구비되는 한쌍의 압입홈(210)과, 상기 한쌍의 압입홈(210)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상기 결착편(100)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턱(220)과, 결착편(100)과 수직방향으로 걸림턱(220)의 반대편에 한쌍의 압입홈(210)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턱(230)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상기 지지편(200)은 상기 결착편(100)이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판재(10)에 압입되어 고정되면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판재(10) 테두리에 노출되어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를 장식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쌍의 압입홈(210)은 상기 결착편(100)을 기준으로 양측 하단에 요입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한쌍의 압입홈(210)은 상기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판재(10)의 상하좌우 테두리에 압입된 본 고안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와 장식테 사이에 발생하는 모서리의 공간부에 상기 공간부를 매끄럽게 보이도록 구비되는 모서리 부재(20)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모서리 부재(2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한쌍의 압입홈(210)에 끼워질 수 있는 한쌍의 압입돌기(21)를 구비하는 것으로, 본 고안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와 장식테 사이에 형성된 모서리의 공간부 형상에 맞도록 충진부(22)를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압입돌기(21)는 상기 충진부(22)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턱(220)은 상기 한쌍의 압입홈(210)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상기 결착편(100)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판재(10)의 일측면이 상기 걸림턱(22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며 상기 걸림턱(220)의 구성으로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판재(10)와 본 고안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가 안정된 형상으로 결착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턱(230)은 결착편(100)과 수직방향으로 걸림턱(220)의 반대편에 한쌍의 압입홈(210)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턱(230)은 박판의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지지턱(230)에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판재(10)가 수용되었을 때, 상기 지지턱(230)이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판재(10)를 마모로부터 보호하되 지지턱(230)은 형성되지 않은 것처럼 보이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는 단면의 형상이 일정하므로 압출공정에 의해 성형할 수 있으며, 압출공정 외에 기존의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음을 분명히 밝혀두고, 한편 필요에 따라서는 길이재인 본 고안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는 임의의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는 주방가구용 또는 각종 인테리어에 사용되는 도어에 장식테의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설치 공정이 복잡하지 아니하며, 상기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를 구성하는 각종 도어용 판재를 마감하는 장식테가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 않고 단순히 도어용 판재만으로 구성된 것처럼 보이도록 하여 주방가구용 도어를 비롯하여 각종 인테리어 도어의 다양하고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전체적으로 'ㅗ' 자형의 단면을 구비하여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의 테두리를 마감하는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에 있어서,
    돌출된 형태로 외면에 다수개의 고정돌기(110)를 형성하는 결착편(100);
    상기 결착편(100)과 수직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결착편(100)을 기준으로 양측 하단에 요입된 형태로 구비되는 한쌍의 압입홈(210)과, 상기 한쌍의 압입홈(210)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상기 결착편(100)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턱(220)과, 결착편(100)과 수직방향으로 걸림턱(220)의 반대편에 한쌍의 압입홈(210)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턱(230)을 구비하는 지지편(200);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편(100)은 양측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절삭면(1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
KR2020070005867U 2007-04-10 2007-04-10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 KR2008000461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867U KR20080004610U (ko) 2007-04-10 2007-04-10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867U KR20080004610U (ko) 2007-04-10 2007-04-10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610U true KR20080004610U (ko) 2008-10-15

Family

ID=41502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5867U KR20080004610U (ko) 2007-04-10 2007-04-10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461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172U (ko) * 2015-07-03 2017-01-11 임우창 가구용 문 조립체
KR20170000878U (ko) 2015-08-31 2017-03-08 박성용 가구의 도어 테두리 보호용 장식테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172U (ko) * 2015-07-03 2017-01-11 임우창 가구용 문 조립체
KR20170000878U (ko) 2015-08-31 2017-03-08 박성용 가구의 도어 테두리 보호용 장식테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5450B1 (ko) 휘어짐 방지구조를 갖는 싱크대 및 가구용 도어
KR20080004610U (ko)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
KR20080091935A (ko)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 및 그 제작방법
JP4670407B2 (ja) 化粧部材
KR20080063006A (ko) 장식용 프레임 가변 가구
KR20180099100A (ko) 가구의 모서리 마감부재
KR200382764Y1 (ko) 조립식 화장실의 커버 연결장치
KR200346384Y1 (ko) 가구용 손잡이
US20070296319A1 (en) Applied molding for texturizing exterior surfaces of furniture
KR200406555Y1 (ko) 주방가구용 도어
KR20050093754A (ko) 가구용 장식도어
KR20110095683A (ko) 가구용 판넬
KR20170000994U (ko) 주방 선반
CN215738138U (zh) 一种设有装饰条的木制层板
KR200422701Y1 (ko) 허니콤을 이용한 석재 장식판재
KR200357096Y1 (ko) 건축용 마감재
JP4539379B2 (ja) 化粧部材
KR200439806Y1 (ko) 가구용 패널 마감부재 및 그를 구비한 가구용 패널
KR200497927Y1 (ko) 수납장 도어
KR200479793Y1 (ko) 집성목이 구비된 싱크대용 도어
JP4696604B2 (ja) 化粧部材
US20060073286A1 (en) Skirting board structure
KR200382765Y1 (ko) 조립식 화장실의 커버 연결장치
KR20090011062U (ko) 가구용 패널의 코너 마감부재
KR101188222B1 (ko) 가구 상판의 측면 마감 구조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813

Effective date: 2010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