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3006A - 장식용 프레임 가변 가구 - Google Patents

장식용 프레임 가변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3006A
KR20080063006A KR1020070026347A KR20070026347A KR20080063006A KR 20080063006 A KR20080063006 A KR 20080063006A KR 1020070026347 A KR1020070026347 A KR 1020070026347A KR 20070026347 A KR20070026347 A KR 20070026347A KR 20080063006 A KR20080063006 A KR 20080063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decorative frame
frame
fastening
decor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6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환
Original Assignee
조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환 filed Critical 조정환
Publication of KR20080063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30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4Keyplates; Orname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12Uniting ornamental elements to structures, e.g. mosaic plates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롱, 협탁, 장식장 등 일반가구의 전면 가장자리부에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프레임을 임의로 교체 체결하여 장식 및 인테리어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프레임 가변 가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상의 가구에 있어서, 상기 가구의 전면 가장자리부에 체결수단에 의하여 탈부착 되는 장식용 프레임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가구에 상기 장식용 프레임이 고정 지지되게 고정볼트로 고정 지지되는 "L"자 형상의 고정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장식용 프레임, 가변, 가구, 장롱, 협탁, 장식장, 침대

Description

장식용 프레임 가변 가구{A frame variable furniture for decor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프레임 가변 가구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프레임 가변 가구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프레임 가변 가구를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프레임 가변 가구를 보인 요부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체결수단을 보인 다른 실시예의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체결수단을 보인 또 다른 실시예의 확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체결수단을 보인 또 다른 실시예의 확대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체결수단을 보인 또 다른 실시예의 확대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장식용 프레임이 다른 가구에 적용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 협탁에 적용된 상태의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장식용 프레임이 다른 가구에 적용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 장식장에 적용된 상태의 도면.
내지 11은 본 발명의 장식용 프레임이 다른 가구에 적용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 침대에 적용된 상태의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가구 110 : 장식용 프레임
120, 130, 140, 150, 160 : 체결수단
122 : 고정부재 124 : 관통공
126 : 고정볼트 132, 134 : 제1,2 체결공
136 : 체결부재 142 : 장홈
144, 154, 164 : 고정돌기 152,162 : 제1,2안착홈
200 : 협탁 300 : 장식장
400 : 침대
본 발명은 프레임 가변 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롱, 협탁, 장식장 등 일반가구의 전면 가장자리부에 사용자가 원하는 액자형태의 다양한 프레임을 임의로 교체 체결하여 장식 및 인테리어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프레임 가변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실이나 침실 등 각종 가구는 단순한 기능적 목적 외에 생활의 한 부분으로서 이를 통한 심미감이 표출되도록 제공되고 있다.
여기서, 가구라 함은 장롱, 장식장, 협탁, 드레스장, 침대 등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가구의 상판은 원목이나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합판, 집성재 등의 인조목이 사용되며, 미감을 일으키는 실내 장식적인 요소가 부가되어 내부에 이불과 같은 각종 생활용품 등을 수납 보관하게 된다.
이러한 가구들에 실내 장식적인 요소를 부가시키는 방법으로 가구판넬의 전면에 입체적인 디자인을 넣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방법은 판넬면에 직접 가공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제작과정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제작단가가 상승하게 되고, 그리고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별도로 제작된 프레임을 부착시키는 방법이 있는데, 이는 별도로 제작된 프레임을 가구에 설치할 때 접착제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부착하여 장식 효과를 갖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가구를 제작할 때 프레임을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가구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가구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프레임을 견고하게 부착 고정시킨 상태에서 일반 소비자에게 공급되므로 소비자는 가구를 수납용으로 주로 사용하는 것이되고 부가적으로 인테리어 효과를 연출하고 있다.
그러나, 가구에 부착되어 있는 프레임은 접착제 등으로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어 이를 다시 탈부착할 수가 없어 항상 동일한 프레임을 부착하는 상태로 사용하여야 하므로,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가구 디자인에 대한 실증을 느끼게 되는 문제 점이 있었다.
한편, 가구에 부착되어 있는 장식용 프레임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일반 가정에서는 작업이 불가능하여 전문 업체에 의뢰하여 장식용 프레임을 교체하여야 하므로 경제적인 면에서 비용이 많이 지출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장롱, 협탁, 장식장 등 다양한 가구의 전면 가장자리부에 사용자가 원하는 액자형태의 다양한 장식용 프레임을 전문 업체를 통하지 않고 일반 가정에서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장식 및 인테리어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가구에 장식용 프레임을 고정부재로 연결하여 이를 볼트로 고정시킴으로서, 다양한 장식용 프레임을 간편하고 쉽게 교체할 수 있어 다양한 형상과 모양의 변화를 연출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환경변화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고, 제작공정이 간단하여 비용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상의 가구에 있어서, 상기 가구의 전면 가장자리부에 체결수단에 의하여 탈부착 되는 장식용 프레임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장식용 프레임은 액자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가구에 상기 장식용 프레임이 고정 지지되게 고정볼트로 고정 지지되는 "L"자 형상의 고정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가구의 전면 가장자리부에 다수개의 제1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식용 프레임에 상기 가구의 제1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2체결공에 각각 억지 끼움되는 체결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가구의 전면 가장자리부에 장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식용 프레임에 상기 가구의 장홈에 결합 고정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구의 전면 가장자리부에 상기 장식용 프레임이 안착 고정되는 제1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장식용 프레임의 배면부에는 상기 가구에 안착되도록 제2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장식용 프레임 가변 가구는 모든 가구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프레임 가변 가구의 장식용 프레임이 적용되는 장롱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프레임 가변 가구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프레임 가변 가구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프레임 가변 가구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프레임 가변 가구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프레임 가변 가구를 보인 요부 확대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통상의 가구에 있어서, 상기 가구(100)의 전면 가장자리부에 체결수단(120)에 의하여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 고정되는 장식용 프레임(11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장식용 프레임(110)을 상기 가구(1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 고정시키는 체결수단(120)은 상기 가구(100)의 전면 가장자리부에 상기 장식용 프레임(110)을 고정 지지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22)가 구비되되, 상기 고정부재(122)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고정부재(122)를 관통하여 상기 가구(100)와 상기 장식용 프레임(110)에 각각 고정볼트(126)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볼트(126)가 관통되는 관통공(12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구(100)와 장식용 프레임(110)에 각각 상기 고정볼트(126)가 체결되는 소정의 위치에 너트(미도시)를 삽입 설치하여 삽입설치된 너트에 고정볼트(126)를 결합시켜 상기 가구(100)에 장식용 프레임(110)을 결합 고정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122)의 관통공(124)을 관통하여 상기 가구(100)에 고정부재(122)를 결합 고정시키고, 이 상태에서 상기 장식용 프레임(110)을 고정볼 트(126)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부재(122)에 고정시키게 되면 상기 가구(100)의 전면 가장지리부에 장식용 프레임(110)이 고정되어 인테리어 효과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구(100)에 장식용 프레임(110)을 결합 고정시키고 있는 고정볼트(126)를 풀게 되면 장식용 프레임(110)은 상기 가구(100)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가 되어 사용자가 교체하고자 원하는 다른 디자인의 장식용 프레임(110)을 고정볼트(126)를 이용하여 상기 가구(100)에 결합 고정시킴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게 원하는 장식용 프레임(110)으로 교체할 수 있게 되어 하나의 가구(100)로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구(100)를 먼저 제작한 후에 별도로 제작된 장식용 프레임(110)을 가구에 직접 입체적으로 결합 고정하게 되는 종래의 방법에 비하여 제작공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제작단가가 저렴하고, 작업 능률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상기 가구(100)에 장식용 프레임(110)을 체결수단(120)을 이용하여 결합 고정시킬 때 다양하게 연출하여 결합 고정시킬 수도 있다.
즉, 상기 가구(100)의 배치 상황에 따라 상기 장식용 프레임(110)을 가구(100)의 양측을 제외한 상, 하부에만 설치할 수도 있고, 상부에만 설치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양측면에만 설치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체결수단을 보인 다른 실시예의 확대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구에 장식용 프레임(110)을 결합 고정시키는 체결수단(130)은 상기 가구(100)의 전면 가장자리부에 다수개의 제1체결공(132)이 형성되고, 상기 장식용 프레임(110)에 상기 가구(100)의 제1체결공(132)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체결공(134)이 형성되며, 상기 제1,2체결공(132)(134)에 각각 억지 끼움되어 상기 가구(100)에 장식용 프레임(110)을 결합 고정시키는 체결부재(136)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가구(100)의 가장자리부에 각각 가로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다수개가 형성된 제1체결공(132)에 상기 체결부재(136)를 억지끼움시킨 상태에서 상기 장식용 프레임(110)의 제2체결공(134)이 상기 체결부재(136)에 억지끼움시키게 되면 상기 가구(100)에 장식용 프레임(110)이 결합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제작된 가구(100)에 장식용 프레임(110)을 체결부재(136)를 이용하여 결합 고정시키게 되므로, 종래의 방식에 비하여 제작 공정이 간편하고, 제작 원가가 절감되며, 간편하게 장식용 프레임(110)을 교체할 수 있어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체결수단을 보인 또 다른 실시예의 확대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구(100)에 장식용 프레임(110)을 결합 고정시키는 체결수단(140)은 상기 가구(100)의 전면 가장자리부에 장홈(142)이 형성되고, 상기 장식용 프레임(110)의 배면에 상기 가구(100)의 장홈(142)에 결합 고 정되는 체결돌기(144)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가구(100)의 가장자리부에 각각 가로 세로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형성한 장홈(142)에 상기 장식용 프레임(110)의 체결돌기(144)를 억지 끼움시킴으로써 상기 가구(100)에 장식용 프레임(110)이 견고하게 결합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제작된 가구(100)의 장홈(142)에 장식용 프레임(110)의 체결돌기(144)를 억지끼움 하여 결합 고정시키게 되므로, 종래에 비하여 제작 공정이 간편하고, 제작 원가가 절감되며, 간편하게 장식용 프레임(110)을 교체할 수 있어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체결수단을 보인 또 다른 실시예의 확대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구(100)에 장식용 프레임(110)을 결합 고정시키는 체결수단(150)은 상기 가구(100)의 전면 가장자리부에 상기 장식용 프레임(110)이 안착 고정되는 제1안착홈(15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가구(100)의 전면에 제1안착홈(152)을 형성하여 상기 장식용 프레임(110)이 결합 고정될 때 상기 가구(100)의 제1안착홈(152)으로 장식용 프레임(110)이 안착되면서 결합 고정되어 유동 없이 안전하게 장식용 프레임(110)이 결합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구(100)의 가장자리부에 체결공(156)을 더 형성하고, 장식용 프레임(110)에 고정돌기(154)를 더 형성하여 더욱 견고하게 장식용 프레임(110)을 결합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제1안착홈(152)에 장식용 프레임(110)을 안착시키고 더욱 견고하게 장식용 프레임(110)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고정부재(122)을 이용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고, 이 이외에도 전자의 구성을 적용하여 상기 가구(100)에 장식용 프레임(110)을 견고하게 결합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체결수단을 보인 또 다른 실시예의 확대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구(100)에 장식용 프레임(110)을 결합 고정시키는 체결수단(160)은 장식용 프레임(110)의 배면부에 상기 가구(100)에 안착되도록 제2안착홈(16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장식용 프레임(110)의 배면부에 제2안착홈(162)을 형성하여 상기 가구(100)에 결합 고정될 때 상기 장식용 프레임(110)의 제2안착홈(162)이 상기 가구(100)의 가장자리부에 안착되면서 결합 고정되어 유동 없이 안전하고 견고하게 장식용 프레임(110)을 결합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구(100)의 가장자리부에 체결공(166)을 더 형성하고, 상기 장식용 프레임(110)에 고정돌기(164)를 더 형성하여 더욱 견고하게 장식용 프레임(110)을 결합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제2안착홈(162)이 형성된 장식용 프레임(110)을 상기 가구(100)의 가장자리부에 안착시키고 더욱 견고하게 장식용 프레임(110)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고정부재(122)을 이용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고, 이 이외에도 전자의 구 성을 적용하여 상기 가구(100)에 장식용 프레임(110)을 견고하게 결합할 수도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장식용 프레임이 다른 가구에 적용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9는 협탁에 적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10은 장식장에 적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11은 침대에 적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9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식용 프레임(110)을 상기 협탁(200)의 전면부 가장자리부에 전자의 체결수단(120)(130)(140)(150)(160)들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 고정시킴으로써, 장식용 프레임(110)을 견고하게 고정시킴과 동시에 분리가 가능하여 다른 장식용 프레임(110)으로 교체가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협탁(200)을 주변환경 또는 다른 가구와 잘 어울릴 수 있도록 상기 장식용 프레임(110)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 효과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식용 프레임(110)을 상기 장식장(300)의 전면 가장자리부에 전자와 동일한 방법으로 체결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장식장(300)에 장식용 프레임(110)을 견고하게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기 장식장(300)의 분리가 가능하여 또 다른 장식용 프레임(110)으로 교체가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장식장(300)을 주변환경 또는 다른 가구와 잘 어울릴 수 있도록 상기 장식용 프레임(110)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 효 과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장식장(300)은 문짝이 없는 것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문짝이 부착된 장식장 또는 책장 등에도 적용된다.
도 11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식용 프레임(110)을 상기 침대(400)의 헤드보드(402)와 저면보드(404)의 전면 가장자리부에 체결수단(120)(130)(140)(150)(160)을 이용하여 전자와 동일한 방법으로 결합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침대(400)의 헤드보드(402)와 전면보드(404)에 견고하게 장식용 프레임(110)을 결합 고정시킴과 동시에 장식용 프레임(110)을 분리 가능하여 또 다른 장식용 프레임(110)으로 교체가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침대(400)를 주변환경 또는 다른 가구와 잘 어울릴 수 있도록 상기 장식용 프레임(110)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 효과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프레임 가변 가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제작된 가구의 전면 가장자리부에 체결수단은 결합 분해가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액자형태의 장식용 프레임을 수시로 교체하여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작완성된 가구에 별도로 제작된 액자형태의 장식용 프레임을 결합 고정시키므로서, 종래의 가구 표면에 조각하여 디자인 효과를 갖도록 하는 방식과는 제작 원가가 절감되고, 작업공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통상의 가구에 있어서,
    상기 가구의 전면 가장자리부에 체결수단에 의하여 탈부착 되는 장식용 프레임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프레임 가변 가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용 프레임은 액자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프레임 가변 가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가구에 상기 장식용 프레임이 고정 지지되게 고정볼트로 고정 지지되는 "L"자 형상의 고정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프레임 가변 가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가구의 전면 가장자리부에 다수개의 제1체결공이 형성 되고, 상기 장식용 프레임에 상기 가구의 제1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2체결공에 각각 억지 끼움되는 체결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프레임 가변 가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가구의 전면 가장자리부에 장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식용 프레임에 상기 가구의 장홈에 결합 고정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프레임 가변 가구.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구의 전면 가장자리부에 상기 장식용 프레임이 안착 고정되는 제1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프레임 가변 가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용 프레임의 배면부에는 상기 가구에 안착되도록 제2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프레임 가변 가구.
KR1020070026347A 2006-12-29 2007-03-16 장식용 프레임 가변 가구 KR200800630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37619 2006-12-29
KR1020060137619 2006-12-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006A true KR20080063006A (ko) 2008-07-03

Family

ID=39815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6347A KR20080063006A (ko) 2006-12-29 2007-03-16 장식용 프레임 가변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300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699B1 (ko) * 2009-09-24 2013-03-07 강원 정면부 교체식 장롱구조
KR200473903Y1 (ko) * 2013-03-05 2014-09-23 주식회사 라비채 수납장
KR200474517Y1 (ko) * 2012-03-14 2014-09-30 유현수 한자모양 가구
CN107951238A (zh) * 2016-10-15 2018-04-24 广州诗尼曼家居股份有限公司 一种家具安装结构件及其使用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699B1 (ko) * 2009-09-24 2013-03-07 강원 정면부 교체식 장롱구조
KR200474517Y1 (ko) * 2012-03-14 2014-09-30 유현수 한자모양 가구
KR200473903Y1 (ko) * 2013-03-05 2014-09-23 주식회사 라비채 수납장
CN107951238A (zh) * 2016-10-15 2018-04-24 广州诗尼曼家居股份有限公司 一种家具安装结构件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8328B2 (ja) 組み立て要素、多層ボード、および当該組み立て要素を作るためのパネル形要素
KR20080063006A (ko) 장식용 프레임 가변 가구
KR20170017085A (ko) 휘어짐 방지구조를 갖는 싱크대 및 가구용 도어
JP5016466B2 (ja) キッチンカウンター
KR20080091935A (ko)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 및 그 제작방법
EP1617744A1 (en) Modular cupboard structure
KR200470686Y1 (ko) 가구용 프레임
KR101649160B1 (ko) 평면부재를 이용한 입체형 엔틱 콘솔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50093754A (ko) 가구용 장식도어
KR20080004610U (ko)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
KR200335952Y1 (ko) 디자인 가변형 소파
KR100650564B1 (ko) 스틸 표면에 인쇄처리된 가구용 철재 상판 제조방법 및가구용 철재 상판
JP3046802U (ja) 什器類の覆体
KR20090011062U (ko) 가구용 패널의 코너 마감부재
KR200406555Y1 (ko) 주방가구용 도어
CN210152173U (zh) 一种推拉式电视背景墙
KR20090078176A (ko) 철제가구용 판재 조립구조
CN2803125Y (zh) 一种藤木沙发
KR200397072Y1 (ko) 무늬지를 합성하여 구성한 가구용 문짝
KR200244477Y1 (ko) 장농의 외곽장식 프레임의 구조
KR200314961Y1 (ko) 장식천을 포함하는 가구
KR200417326Y1 (ko) 가구용 곡면 장식 판넬
KR200252513Y1 (ko) 장롱
KR200179288Y1 (ko) 인테리어 테이블의 상판
KR101630263B1 (ko) 선반용 시스템 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