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8699B1 - 정면부 교체식 장롱구조 - Google Patents

정면부 교체식 장롱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8699B1
KR101238699B1 KR1020090090740A KR20090090740A KR101238699B1 KR 101238699 B1 KR101238699 B1 KR 101238699B1 KR 1020090090740 A KR1020090090740 A KR 1020090090740A KR 20090090740 A KR20090090740 A KR 20090090740A KR 101238699 B1 KR101238699 B1 KR 101238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abinet
coupled
support fram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2962A (ko
Inventor
강원
Original Assignee
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 filed Critical 강원
Priority to KR1020090090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8699B1/ko
Publication of KR20110032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2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 A47B2230/0085Mutually slotted furniture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가 설치되는 정면부와 수납공간이 형성된 몸체부로 구성된 장롱구조에 있어서, 장롱의 정면부를 몸체부에 결합하여 설치함에 있어 자석체를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체결나사에 의한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교체를 위한 탈부착이 간편, 용이하고 내구성을 향상시켜 외부 충격에 의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정면부 교체식 장롱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장롱을 이루는 정면부를 몸체부에 결합함에 있어, 상호 간에 맞대어지는 부위에 해당되는 프레임과 지지프레임에는 다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삽입홈에는 자석체가 결합되어 자력에 의해 정면부와 몸체부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정면부의 프레임과 몸체부의 지지프레임에 형성된 삽입홈에 결합되는 자석체에는 체결공이 관통되고, 체결공을 통해 체결나사가 결합되어 구성된 것이다.
장롱, 정면부, 몸체부, 프레임, 자석체

Description

정면부 교체식 장롱구조{wardrobe structure of front change form}
본 발명은 정면부 교체식 장롱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폐를 위한 도어가 설치되는 정면부와 수납공간이 형성된 몸체부로 구성된 장롱구조에 있어서, 장롱의 정면부를 몸체부에 결합하여 설치함에 있어 자석체를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체결나사에 의한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교체를 위한 탈부착이 간편, 용이하고 내구성을 향상시켜 외부 충격에 의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정면부 교체식 장롱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롱은 각종 의복류나 이불 등의 생활용품을 넣어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서,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와 위치 또는, 설치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설치를 위한 이동이 가능한 이동식 장롱과, 지정된 위치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식 장롱, 즉 붙박이장으로 구분되며, 최근에는 이동식 장롱의 운반 및 설치에 따른 번거로움과 난해함으로 인해 붙박이장을 선호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붙박이장은 건물을 축조하는 과정에서 지정된 위치에 고정된 상 태로 설치되므로 사용자가 장롱을 직접 설치하거나 운반,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없는 장점을 갖고 있으나, 설치된 장롱이 훼손되거나 분위기 및 실내 인테리어 리모델링, 장롱 사용에 대한 지루함을 해소하기 위한 교체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붙박이장 전체를 철거해야 하므로, 철거에 따른 난해함과 과다한 비용이 소모되는 등의 효율적이지 못하고 불필요한 자원 낭비 등의 비경제적인 폐단이 발생하였다.
현재, 종래의 장롱에 대한 폐단을 해소하기 위한 장롱으로는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 제139848호, 실용신안등록 제291078호에 의해 등록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장롱을 구성함에 있어, 수납공간이 형성된 몸체부와 도어가 설치되는 정면부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자석체와 체결나사를 이용하여 분해 결합이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하여 장롱의 교체가 요구되는 경우에, 장롱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자석체와 체결나사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정면부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롱 교체에 따른 편리함과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자원을 절약할 수 있으며, 특히, 장롱 교체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새로운 디자인으로 제작된 장롱의 정면부를 간편, 용이하게 교체함에 따른 전체적인 장롱의 미려한 외관을 연출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정면부 교체식 장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개폐를 위한 도어가 프레임에 결합된 정면부와, 내부에 소정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지지프레임과 측판으로 구성된 몸체부로 이루어진 장롱에 있어서, 상기 정면부를 몸체부에 결합함에 있어, 상호간에 맞대어지는 부위에 해당되는 프레임과 지지프레임에는 다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삽입홈에는 자석체가 결합되어 자력에 의해 정면부와 몸체부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정면부의 프레임과 몸체부의 지지프레임에 형성된 삽입홈에 결합되는 자석체에는 체결공이 관통되고, 체결공을 통해 체결나사가 결합되어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부의 지지프레임 정면 하단부에는 보조틀이 결합되어 자력에 의해 탈부착되는 정면부의 하방에 대한 지지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정면부의 프레임과 몸체부의 지지프레임에는 요철(凹凸)형태의 결합부가 형성되어 자석체에 의한 자력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력과 유동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면부 교체식 장롱을 이용함에 따라, 장롱을 구성함에 있어, 수납공간이 형성된 몸체부와 도어가 설치되는 정면부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자석체와 체결나사를 이용하여 분해 결합 즉, 교체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게 되므로, 장롱의 교체가 요구되는 경우에, 장롱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일부, 즉 정면부 만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장롱 교체에 따른 편리함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자원을 절약할 수 있으며, 특히, 장롱 교체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새로운 디자인으로 제작된 장롱의 정면부를 간편, 용이하게 교체함에 따른 전체적인 장롱의 미려한 외관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정면부 교체식 장롱(1)은 개폐를 위한 도어(12)가 결합되는 프레임(13)으로 구성된 정면부(10)를 몸체부(20)의 지지프레임(21)에 결합하되, 프레임(13)과 지지프레임(21)의 상호간에 맞대어지는 부위에 해당되는 면에는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삽입홈(14, 24)이 형성되고, 각각의 삽입홈(14, 24)에는 자석체(30)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자석체(30)에 의한 자력에 의해 정면부(10)와 몸체부(20)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정면부(10)의 프레임(13)과 몸체부(20)의 지지프레임(21)에 형성된 삽입홈(14, 24)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자석체(30)에는 중앙에 체결공(31)이 관통되고, 체결공(31)을 통해 체결나사(32)가 결합되어 삽입홈(14, 24)에 결합된 자석체(30)를 각각의 프레임(13)과 지지프레임(21)에 견고하게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자석체(30)는 상호간에 자력에 의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서로 다른 극성(N극, S극)을 이루며, 또는, 프레임(13)이나 지지프레임(21) 중 어느 한쪽에 해당되는 자석체(30)는 자력을 갖고 다른 한쪽의 자석체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정면부(10)의 프레임(13)이 맞대어져 결합되는 몸체부(20)의 지지프레임(21) 하단부에는 보조틀(22)이 결합되어 자석체(30)에 의해 탈부착이 이루어지는 정면부(10)의 하중에 의한 하방에 대한 지지력을 부여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면부 교체식 장롱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면부 교체식 장롱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면부 교체식 장롱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사각틀형태의 프레임(13)에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도어(12)가 경첩에 의해 결합되어 정면부(10)가 구성되고, 육면체 형태로 정면이 개방된 형태로 지지프레임(21)과 측판(23)에 의해 몸체부(20)가 형성되며, 몸체부(20)의 정면에 정면부(10)가 결합되어 장롱(1)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정면부(10)와 몸체부(20)는 각각의 프레임(13)과 지지프레임(21)에 삽입홈(14, 24)이 형성되어 자석체(30)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삽입홈(14, 24)에 끼워져 결합된 자석체(30)는 중앙에 체결공(31)이 관통되어 체결나사(32)가 결합된다.
상기 프레임(13)과 지지프레임(21)이 자석체(30)에 의해 상호간에 맞대어져 결합되는 과정에서, 몸체부(20)의 지지프레임(21) 하단부에는 보조틀(22)이 결합되어 구성되고, 보조틀(22)에 의해 정면부(10)의 하방으로의 지지력을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정면부(10)에는 개폐를 위한 도어(12) 뿐만 아니라, 수납방식의 다수개의 서랍 구성을 위한 개구부가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면부 교체식 장롱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로서, 정면부(10)와 몸체부(20)의 프레임(13)과 지지프레임(21)에 삽입홈(14, 24)을 형성하여 자석체(30)를 끼워 고정하고, 자석체(30)에 의한 자력에 의해 정면부(10)와 몸체부(20)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됨에 있어, 상기 프레임(13)과 지지프레임(21)에는 상호 간에 맞대어지는 부위에 대응되는 위치에 요철(凹凸)형태의 결합부(40)가 형성되어 결합부(40)에 의한 2차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요철(凹凸)형태의 결합부(40)는 프레임(13)과 지지프레임(21) 가공시 함께 가공되며, 프레임(13)에 요(凹)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철(凸)부를 형성하더라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면부 교체식 장롱구조는 목재를 이용하여 장롱을 구성함에 있어, 정면부(10)와 몸체부(20)를 분리가능하도록 구성하고, 각각의 정면부(10)와 몸체부(20)의 프레임(13)과 지지프레임(21)에는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삽입홈(14, 24)을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13)과 지지프레임(21)에 삽입홈(14, 24)이 형성되면, 자력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는 자석체(30)를 삽입홈(14, 24)에 끼워 결합한 다음, 자석체(30)에 관통된 체결공(31)에 체결나사(32)를 결합하여 자석체(30)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정면부(10)를 몸체부(20)의 정면에 위치시켜 밀착시키게 되면, 각각에 결합된 자석체(30)에 의해 정면부(10)의 프레임(13)이 몸체부(20)의 지지프레임(21)에 밀착된 상태로 자력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정면부 교체식 장롱구조는 정면부(10)와 몸체부(20)가 자석체(30)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장롱(1)을 설치한 상태에서, 장롱(1)의 교체가 요구되면, 기존의 장롱에서와 같이 장롱 전체를 교체 하지 않고, 자석체(30)에 의해 몸체부(20)에 결합된 정면부(10) 만을 분리하여 교체하게 되면, 전혀 새로운 외관과 미려함을 갖는 장롱을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장롱구조는 일반 이동식 장롱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물의 벽체에 고정식으로 구성된 붙박이장의 경우에 더욱더 효율적인 장롱의 교체가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면부 교체식 장롱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면부 교체식 장롱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면부 교체식 장롱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면부 교체식 장롱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장롱 10:정면부
12:도어 13:프레임
14, 24:삽입홈 20:몸체부
21:지지프레임 22:보조틀
23:측판 30:자석체
31:체결공 32:체결나사
40:결합부

Claims (4)

  1. 개폐를 위한 도어가 프레임에 결합된 정면부와, 내부에 소정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지지프레임과 측판으로 구성된 몸체부로 이루어진 장롱에 있어서,
    상기 정면부를 몸체부에 결합함에 있어, 상호간에 맞대어지는 부위에 해당되는 프레임과 지지프레임에는 다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삽입홈에는 자석체가 결합되어 자력에 의해 정면부와 몸체부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정면부의 프레임과 몸체부의 지지프레임에 형성된 삽입홈에 결합되는 자석체에는 체결공이 관통되고, 체결공을 통해 체결나사가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면부 교체식 장롱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지지프레임 정면 하단부에는 보조틀이 결합되어 자력에 의해 탈부착되는 정면부의 하방에 대한 지지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면부 교체식 장롱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부의 프레임과 몸체부의 지지프레임에는 요철(凹凸)형태의 결합부가 형성되어 자석체에 의한 자력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력과 유동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면부 교체식 장롱구조.
KR1020090090740A 2009-09-24 2009-09-24 정면부 교체식 장롱구조 KR101238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740A KR101238699B1 (ko) 2009-09-24 2009-09-24 정면부 교체식 장롱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740A KR101238699B1 (ko) 2009-09-24 2009-09-24 정면부 교체식 장롱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962A KR20110032962A (ko) 2011-03-30
KR101238699B1 true KR101238699B1 (ko) 2013-03-07

Family

ID=43937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740A KR101238699B1 (ko) 2009-09-24 2009-09-24 정면부 교체식 장롱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86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000024415A1 (it) * 2020-10-16 2022-04-16 Arte Brotto Mobili Srl Articolo di arredo, preferibilmente articolo di mobilia, del tipo rapidamente e agevolmente modificabile nella propria apparenza estetica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543Y1 (ko) 2005-02-21 2005-05-16 우승현 입체성형물의 탈,부착이 가능한 가구
KR20060019017A (ko) * 2004-08-26 2006-03-03 이동국 가구의 장식판 부착구조
KR20080063006A (ko) * 2006-12-29 2008-07-03 조정환 장식용 프레임 가변 가구
KR20100007464U (ko) * 2009-01-14 2010-07-22 오연곤 이중탈부착기능가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9017A (ko) * 2004-08-26 2006-03-03 이동국 가구의 장식판 부착구조
KR200384543Y1 (ko) 2005-02-21 2005-05-16 우승현 입체성형물의 탈,부착이 가능한 가구
KR20080063006A (ko) * 2006-12-29 2008-07-03 조정환 장식용 프레임 가변 가구
KR20100007464U (ko) * 2009-01-14 2010-07-22 오연곤 이중탈부착기능가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000024415A1 (it) * 2020-10-16 2022-04-16 Arte Brotto Mobili Srl Articolo di arredo, preferibilmente articolo di mobilia, del tipo rapidamente e agevolmente modificabile nella propria apparenza estetic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962A (ko) 201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60592A1 (en) Combination cabinet
CA125614S (en) Wall mountable hook assembly
CN106955049B (zh) 一种淋浴门框架及淋浴门
CA115631S (en) Lunch purse
KR101238699B1 (ko) 정면부 교체식 장롱구조
CA128307S (en) Lockbox
WO2019024829A1 (zh) 一种加固的床架
KR101225540B1 (ko) 친환경 다기능 4면 여닫이칠판
KR101615710B1 (ko) 여닫이 붙박이장 구조물
CN211748155U (zh) 一种用于放置洗瓶机清洗剂的抽屉结构
KR102165605B1 (ko) 서랍이 구비된 침대
CN207700852U (zh) 一种组合把手
CN207814203U (zh) 一种吸盘装置
KR20100004051U (ko) 통합 기능 도어 손잡이와 잠금 고리의 긴 옷장 체결구조
CN201398913Y (zh) 肥皂盒
RU2007104963A (ru) Комплект для крепления подвесного потолка (варианты)
CN202284407U (zh) 一种新型的玻璃门把手
CN215304104U (zh) 一种磁吸式自动关门的壁柜
KR200415681Y1 (ko) 매립형 사물함 손잡이
CN211408234U (zh) 一种石英石橱柜安装组件
JP3152841U (ja) 仏壇
KR200219430Y1 (ko) 코너설치용 조립식 수납정리대
CN201509895U (zh) 组装拉篮
CN202504834U (zh) 一种左右双面式壁镜架
CN207960399U (zh) 一种智能柜的柜门单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