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0549Y1 - 방화문의 장식장치 - Google Patents

방화문의 장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0549Y1
KR200340549Y1 KR20-2003-0031493U KR20030031493U KR200340549Y1 KR 200340549 Y1 KR200340549 Y1 KR 200340549Y1 KR 20030031493 U KR20030031493 U KR 20030031493U KR 200340549 Y1 KR200340549 Y1 KR 2003405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re door
fixing
fixed
bl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14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규병
Original Assignee
변규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규병 filed Critical 변규병
Priority to KR20-2003-00314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05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05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05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01Coverings therefor; Door leaves imitating traditional raised panel doors, e.g. engraved or embossed surfaces, with trim strips applied to the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82Flush doors, i.e. with completely flat surface
    • E06B3/827Flush doors, i.e. with completely flat surface of metal without an internal frame, e.g. with exterior panels substantially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 방화문의 앞,뒷면에 방화문과 다른 재질의 장식판을 입체감 있게 몰드로 결합 고정시킴으로서 방화문의 앞,뒤에서 미적인 아름다움을 주는 방화문의 장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방화문의 앞판과 뒷판에 각각 사각 형태의 결합공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의 내측으로 받침판을 고정시켜 결합공을 막아주고, 상기 받침판의 배면에 보강대를 결합시켜 앞판과 뒷판을 결합킨 후 받침판의 전면에 흑경판을 접착제로 고정시키고 흑경판의 외측과 결합공의 외측에 몰드를 끼워 고정시킴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방화문의 전면에 사각 형태의 흑경판이 함몰되어 배치되고 몰드가 돌출 되어 배치되는 등 입체적인 아름다움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방화문의 전면과 배면에 동일한 아름다움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방화문의 장식장치{Plaque device of fire door}
본 고안은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 방화문의 앞,뒷면에 방화문과 다른 재질의흑경판을 입체감 있게 몰드로 결합 고정시킴으로서 방화문의 앞,뒤에서 미적인 아름다움을 주는 방화문의 장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에서 화재 발생 시 불길을 차단하기 위하여 철재로 된 방화문이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상기 방화문은 강판을 원하는 형상으로 절곡하여 앞판과 뒷판을 만들고 뒷판의 전면에 보강재를 용접 고정시킨 후 보강재의 상부와 뒷판의 측면을 이용하여 앞판을 고정시킴으로서 구성된다.
이러한 방화문은 철재의 딱딱한 미감을 부드럽고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표면에 다양한 무늬가 형성된 장식판을 부착하여 아름다움을 주고 있으나, 기존의 무늬가 형성된 장식판을 단순 접착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상기 된 방식은 장식판의 분리가 쉽게 일어날 수 있음은 물론 방화문에 입체적인 무늬나 모양을 형성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특히 기존의 방화문은 표면에 무늬를 형성한다 하여도 대부분 방화문의 전면에만 무늬를 형성하고 뒷면은 그대로 놓아두게 되므로, 양면에서의 아름다움은 제공할 수 없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방화문의 전면과 뒷면에 방화문의 내측으로 함몰된 상태의 흑경판을 끼워주고 상기 흑경판은 몰드로 고정시키도록 하므로서 방화문의 양면에 입체적인 무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방화문의 앞판과 뒷판에 각각 사각 형태의 결합공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의 내측으로 받침판을 고정시켜 결합공을 막아주고, 상기 받침판의 배면에 보강대를 결합시켜 앞판과 뒷판을 결합킨 후 받침판의 전면에 흑경판을 접착제로 고정시키고 흑경판의 외측과 결합공의 외측에 몰드를 끼워 고정시킴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방화문의 전면에 사각 형태의 흑경판이 함몰되어 배치되고 몰드가 돌출 되어 배치되는 등 입체적인 아름다움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방화문의 전면과 배면에 동일한 아름다움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몰드와 흑경판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받침판 고정 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흑경판이 부착되는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몰드가 부착되는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조립상태 평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조립상태 요부 측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의 흑경판 고정부위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방화문 2 : 앞판 3 : 뒷판
7 : 마감판 10,11 : 받침판 12 : 보강대
15,16 : 흑경판 17,18 : 흑경판
본 고안은 방화문(1)의 앞판(2)과 뒷판(3)에 수 개의 장식용 흑경판(15)(16)을 함몰되게 부착하여 아름답게 보이도록 하는 한편 흑경판(15)(16)이 방화문(1)에서 분리되지 않게 단단히 잡아주도록 하며, 특히 방화문의 앞판(2)과 뒷판(3)에 모두 무늬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방화문(1)은 앞판(2)과 뒷판(3)에 사각형의 결합공(4)(5)을 수 개 형성시키되 상기 앞판(2)과 뒷판(3)의 결합시 결합공(4)(5)이 서로 일치되도록 앞판(2)과 뒷판(3)에 결합공(4)(5)을 형성시킨다.
상기 앞판(2)과 뒷판(3)에 형성된 결합공(4)(5)의 배면에는 받침판(10)(11)을 고정시키되 상기 받침판(10)(11)의 양측으로 고정돌기(10a)(11a)를 형성시켜 고정돌기(10a)(11a)를 앞판(2)과 뒷판(3)의 배면에 스폿 용접하여 고정시키도록 하고, 하나의 받침판(10) 배면에 보강대(12)를 대고 상기 보강대(12)의 배면에 다른 받침판(11)의 배면이 닿도록 하여 앞판(2)과 뒷판(3)을 붙여주되 상기 앞판(2)과 뒷판(3)의 결합공(4)(5)이 서로 마주보게 한 상태로 앞판(2)과 뒷판(3)의 측면을마감판(7)으로 고정시키도록 한다.
상기 받침판(10)(11)과 보강대(12)가 위치하지 않는 곳의 앞판(2)과 뒷판(3) 사이는 단열재(6)를 넣어 채워주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앞판(2)과 뒷판(3)에 결합공(4)(5)을 형성시키되 상기 결합공(4)(5)에 함몰된 형태의 받침판(10)(11)을 결합 고정시키고, 상기 받침판(10)(11)의 전면에 실리콘 등의 접착제를 도포 한 후 흑경판(15)(16)을 대고 접착시킨다.
여기서 흑경판(15)(16)은 앞판(2)과 뒷판(3)을 구성하는 재질과는 다른 재질의 장식판으로서 거울처럼 비추는 재질이거나 스테인레스 또는 목재로 구성되어도 무관한 것으로, 방화문(1)과 다른 재질로 구성되어 아름다움을 연출할 수 있으면 된다.
상기 흑경판(15)(16)이 끼워진 결합공(4)(5)에는 사각테 형태로 제작된 몰드(17)(18)를 외측에서 억지 끼움 방식으로 끼워서 고정하되 상기 몰드(17)(18)는 단면이 ㄱ자 형태를 갖도록 하여 몰드(17)(18)가 흑경판(15)(16)의 외측을 상부에서 눌러주도록 하는 한편 결합공(4)(5)의 외측에 걸쳐지도록 하며, 상기 몰드(17)(18)는 접착제 등을 발라 끼워주도록 하여 결합력을 높이도록 한다.
여기서 몰드(17)(18)는 나무, MDF, 알루미늄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앞판(2)과 뒷판(3)은 그 표면에 다양한 무늬를 갖는 시트지를 접착하여 방화문(1)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거나, 도료를 도포하여 제작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다양한 무늬의 표현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몰드(17)(18)는 필요한 경우 몰드(17)(18)의 상부에서 스크류 등의 결합부재를 끼워 앞판(2)이나 뒷판(3)에 고정시키도록 하여 고정력을 높일 수 있으며, 이때 결합부재를 사용하는 경우는 결합부재가 노출되어 아름다움이 떨어지지 않도록 결합부재의 상부를 시트지 등으로 덮어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 방화문(1)을 제작하는 과정에 따라 살펴본다.
먼저 앞판(2)과 뒷판(3)에 수 개의 결합공(4)(5)을 형성시키되 상기 결합공(4)(5)은 앞판(2)과 뒷판(3)의 위치가 같도록 하여 앞판(2)과 뒷판(3)이 겹쳐졌을 때 동일 위치가 되도록 한다.
결합공(5)이 형성된 뒷판(3)을 바닥에 놓고 결합공(5)에 받침판(11)을 대고 고정시키되 받침판(11)에 형성된 고정돌기(11a)가 뒷판(3)의 배면에 닿게 한 후 스폿 용접하여 고정시키도록 하고, 상기 받침판(11)의 상부에 고정대(12)를 대고 마찬가지로 스폿 용접하여 고정시키도록 한다.
뒷판(3)과 같이 앞판(2)의 배면에도 결합공(4)에 맞추어 받침판(10)의 고정돌기(10a)를 고정시키고, 상기 앞판(2)에 고정된 받침판(10)의 배면이 뒷판(3)의 받침판(11)에 고정된 보강대(12)의 상부에 맞닿게 하여 앞판(2)을 뒷판(3)의 상부에 올려준 후 앞판(2)과 뒷판(3)의 측면에 마감판(7)을 대고 용접 고정하여 앞판(2)과 뒷판(3)을 고정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앞판(2)과 뒷판(3)은 그 위치를 바르게 하여 앞판(2)과 뒷판(3)의 결합공(4)(5)이 서로 일치되도록 하여야 한다.
앞판(2)의 뒷판(3)의 결합공(4)(5)에서 노출되는 받침판(10)(11)에는 실리콘등의 접착제를 도포 한 후 결합공(4)(5)과 같은 크기로 재단된 흑경판(15)(16)을 결합공(4)(5)에서 받침판(10)(11)에 접착시켜 외측에서 볼 때 결합공(4)(5)에서 흑경판(15)(16)이 보이도록 한다.
여기서 흑경판(15)(16)은 앞판(2)과 뒷판(3)을 구성하는 재질과는 다른 재질을 사용하여 방화문(1)이 아름답게 보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재질이나 색상 등은 방화문(1)을 아름답게 보일 수 있으면 되고, 상기 흑경판(15)(16)이 부착되는 깊이는 받침판(10)(11)의 함몰 깊이에 따라 결정되어 진다.
위와 같이 흑경판(15)(16)이 고정되면 결합공(4)(5)의 직경에 맞는 크기의 몰드(17)(18)를 준비하여 결합공(4)(5)에 끼워주도록 하되 몰드(17)(18)는 단면이 ㄱ자 형태를 갖도록 하여 몰드(17)(18)의 하단부가 흑경판(15)(16)의 상부 외측을 눌러 주도록 하는 한편 결합공(4)(5)의 외측을 눌러 주면서 결합공(4)(5)에 끼워지도록 하므로서 흑경판(15)(16)이 분리되지 않도록 단단히 잡아주게 된다.
여기서 몰드(17)(18)는 나무, MDF,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제작하되 결합공(4)(5)에 억지로 끼워 넣을 수 있을 정도로 하고, 몰드(17)(18)의 하부에 실리콘 등의 접착제를 도포하여 끼워주도록 하므로서 몰드(17)(18)가 결합공(4)(5)에 끼워져 단단히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몰드(17)(18)는 결합공(4)(5)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끼워지게 되고 몰드(17)(18)의 하부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끼워지게 되므로 몰드(17)(18)는 결합공(4)(5)에 끼워진 채로 단단히 결합되어 분리나 이탈이 일어나지 않음은 물론 흑경판(15)(16)을 단단히 잡아주도록 한다.
이와 같이 방화문(1)의 표면에 함몰된 형태로 흑경판(15)(16)이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흑경판(15)(16)을 외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몰드(17)(18)를 고정시키되 상기 몰드(17)(18)는 앞판(2)이나 뒷판(3)에서 돌출되어 고정되게 하므로서 방화문(1)의 일반적인 형상이 아닌 독특한 아름다움을 줄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은 방화문(1)의 앞면과 뒷면에서 모두 흑경판(15)(16)을 설치하여 앞뒤로 아름다움을 추구할 수 있어 방화문(1)이 고급스럽게 보이는 한편 방화문(1)으로서의 역할과 기능도 저하되지 않아 고품질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방화문의 전면과 배면에 함몰되게 흑경판 등의 장식판을 설치하고 상기 장식판은 앞판과 뒷판에서 돌출되는 몰드로 고정시킴으로서 방화문에 입체적인 무늬 및 모양을 형성할 수 있는 한편 아름다움을 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방화문의 양면에 흑경판의 장식판을 설치하여 양쪽으로 아름다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방화문(1)을 구성하는 앞판(2)과 뒷판(3)에 결합공(4)(5)을 형성하고,
    상기 앞판(2)과 뒷판(3)에 형성된 결합공(4)(5)의 내측으로 받침판(10)(11)을 함몰되게 용접 고정하며,
    상기 받침판(11)의 배면에 보강대(12)를 고정시키되 상기 보강대(12)의 배면에 받침판(10)이 맞닿게 한 후 앞판(2)과 뒷판(3)의 측면을 마감판(7)으로 고정하고,
    상기 받침판(10)(11)의 내측에 흑경판(15)(16)을 접착제로 고정하며,
    상기 흑경판(15)(16)의 외측과 결합공(4)(5)의 외측을 눌러주는 몰드(17)(18)를 상기 결합공(4)(5)에 끼워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의 장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앞판(2)과 뒷판(3)의 결합공(4)(5)은 서로 마주보게 형성하여 앞판(2)과 뒷판(3)의 전면에 함몰된 흑경판(15)(16)이 같은 위치에 설치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의 장식장치.
KR20-2003-0031493U 2003-10-07 2003-10-07 방화문의 장식장치 KR2003405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493U KR200340549Y1 (ko) 2003-10-07 2003-10-07 방화문의 장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493U KR200340549Y1 (ko) 2003-10-07 2003-10-07 방화문의 장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0549Y1 true KR200340549Y1 (ko) 2004-02-11

Family

ID=49423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1493U KR200340549Y1 (ko) 2003-10-07 2003-10-07 방화문의 장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054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40549Y1 (ko) 방화문의 장식장치
KR200193633Y1 (ko) 방화문
KR100352824B1 (ko) 날개부착형 방음 방화문
KR200340548Y1 (ko) 방화문의 장식장치
KR200196625Y1 (ko) 장식판이 부착된 방화문
KR200438710Y1 (ko) 가구용 문짝 부재
KR200236285Y1 (ko) 문짝판
JP5682199B2 (ja) 軽量ドア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3977068B2 (ja) テーブル用天板
KR200279153Y1 (ko) 문짝판
JP3955244B2 (ja) 戸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24255Y1 (ko) 방화문의 장식판 조립장치
KR200358172Y1 (ko) 액자용 프레임
KR200168260Y1 (ko) 실내방화문의 목재장식물 고정구조
KR100519095B1 (ko) 방화문의 장식판 결합구조
JPH09203276A (ja) 化粧扉パネル
KR200192796Y1 (ko) 주방용 싱크대 도어
JPH0636231Y2 (ja) 構造材の結合構造
KR920000980Y1 (ko) 조립식 거울프레임
KR200335033Y1 (ko) 데코시트판을 이용한 접합식 상다리
JP3659749B2 (ja) 開口枠用枠材及びこれを用いた開口枠
KR200254816Y1 (ko) 장식판이 부착된 방화문
KR200340551Y1 (ko) 방화문의 장식장치
JP3023666B2 (ja) 鏡板及びモールの取り付け構造
JPH10238237A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