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8172Y1 - 액자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액자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8172Y1
KR200358172Y1 KR20-2004-0011375U KR20040011375U KR200358172Y1 KR 200358172 Y1 KR200358172 Y1 KR 200358172Y1 KR 20040011375 U KR20040011375 U KR 20040011375U KR 200358172 Y1 KR200358172 Y1 KR 2003581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ransparent plate
front transparent
post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13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경복
Original Assignee
문경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경복 filed Critical 문경복
Priority to KR20-2004-00113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81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81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81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10Corner clips or corner-connecting appliances for frames
    • A47G1/105Staples or the like for connecting mitred wooden frame member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보다 미려한 외관의 액자를 제조할 수 있고, 별도의 조립용 부속품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액자를 제작할 수 있는 액자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내측에 전면투명판과 게시물과 후면판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액자의 외측 사각테두리를 형성하는 액자용 프레임에 있어서, 액자용 프레임은 액자 전면을 향하는 외측면에 형성되는 장식면과 내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턱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와 장식면 일측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전면투명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외부프레임과, 외부프레임의 고정부에 결합되어 전면투명판과 게시물 및 후면판의 측면을 지지하는 내부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자용 프레임 { Picture frame }
본 고안은 게시물을 지지하여 전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액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보다 미려한 외관의 액자를 제조할 수 있고, 별도의 조립용 부속품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액자를 제작할 수 있는 액자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그림을 감상하기 위하여 또는 광고지와 같은 게시물을 전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틀을 말하며, 주로 그 내용물의 보호와 장식을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액자는 게시물을 벽면에서 독립된 공간으로 부각시켜 감상자의 시선을 집중시킴과 동시에 다른 실내장식과 연관하여 환경과 조화를 이루게 하는 기능을 지니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액자에는 목재뿐만 아니라 다양한 질감과 형상의 표현을 위하여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의 액자용 프레임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액자의 부분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금속재질의 프레임을 사용하는 예이다.
종래의 액자(100)는 그 내측에 전면투명판(3), 게시물(4), 후면판(5) 등을수용하여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액자(100)의 조립은 금속재질의 액자용 프레임(101)을 소정 길이 절단한 후, L자 형상의 결합클립(102)을 각 액자용 프레임(101)의 접합부위에 삽입하고 스크류(103)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클립(102)을 액자용 프레임(101)에 고정함으로써 사각형상을 이룬다. 따라서 액자(100)를 구성하는 액자용 프레임(101)에는 결합클립(102)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04,105)이 형성되어야 하고, 게시물(4)과 전면투명판(3) 등을 장착하기 위한 걸림턱 및 후면판(5)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용 탄성판(106)을 설치해야 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액자용 프레임(101)에는 결합클립(102)과 고정용 탄성판(106) 등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04,105,107)이 형성되어야 하므로 액자용 프레임(101)의 형태가 복잡해져 가공이 어렵고 재료비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으며, 액자용 프레임(101)을 접합하여 사각형상의 액자(100)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결합클립(102)과 체결용 스크류(103) 및 고정용 탄성판(106)과 같은 부수적인 부품 수가 많이 소요되므로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액자 제조에 공수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보다 미려한 외관을 갖는 액자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액자용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조립용 부속품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액자를 제작할 수 있는 액자용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액자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자용 프레임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자용 프레임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자용 프레임의 배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자용 프레임에 의한 액자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자용 프레임에 의한 액자의 배면 부분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자용 프레임의 측면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자용 프레임의 측면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액자 69b,79b : 지지면
3 : 전면투명판 59,79 : 제2 장식면
4 : 게시물 12,52,72 : 장식면
5 : 후면판 26,36,56,76 : 돌출결합부
6 : 액자틀 11,21,31,51,61,71 : 외부프레임
7 : 고정핀 13,23,33,43,53,63 : 고정부
8 : 후면고정핀 17,27,37,47,57,67,77 : 내부프레임
15 : 지지부 10,20,30,40,50,60,70,80 : 액자용 프레임
28,38,78 : 요홈결합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외부프레임과 내부프레임이 결합되는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간편한 작업으로 액자를 제작할 수 있는 액자용 프레임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액자용 프레임은, 내측에 전면투명판과 게시물과 후면판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액자의 외측 사각테두리를 형성하는 액자용 프레임에 있어서, 액자 전면을 향하는 외측면에 형성되는 장식면과 내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턱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와 장식면 일측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전면투명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외부프레임과, 외부프레임의 고정부에 결합되어 전면투명판과 게시물 및 후면판의 측면을 지지하는 내부프레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내측에 전면투명판과 게시물과 후면판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액자의 외측 사각테두리를 형성하는 액자용 프레임에 있어서, 액자용 프레임은 액자 전면을 향하는 외측면에 형성되는 장식면과 내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턱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외부프레임과, 전면투명판의 전면을 지지하는 지지면과 액자 전면을 향하는 외측 면에 외부프레임의 장식면과 함께 어우러져 장식미를 연출하는 제2 장식면을 포함하여 외부프레임의 고정부에 결합되어 전면투명판과 게시물 및 후면판의 측면을 지지하는 내부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내부프레임은 목재로 이루어지거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내부프레임은 외부프레임 고정부에 접착제에 의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부프레임 고정부와 내부프레임에는 서로 대향하는 접촉부위에 요철면이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프레임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결합부가 설치되고 내부프레임에는 돌출결합부에 결합되는 요홈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 들을 통하여, 본 고안에 따른 액자용 프레임의 구성과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자용 프레임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자용 프레임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자용 프레임의 배면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자용 프레임은 외부프레임(11) 및 내부프레임(1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외부프레임(11)은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등 필요에 따라 소망하는 질감 및 색채를 표현할 수 있는 재질을 선택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내부프레임(17)은 목재나 플라스틱, PVC와 같이 경도가 낮은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간편한 핀고정 작업으로 액자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프레임(11)은 장식면(12)과, 고정부(13)와, 지지부(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장식면(12)은 액자의 전면을 향하는 외부프레임(11) 외측면에 형성되어 액자의 외관을 이루며 장식미를 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고정부(13)는 외부프레임(11)의 내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턱으로 이루어져 후술하는 내부프레임(17)을 지지하는 기능을 하고, 지지부(15)는 상술한 장식면(12)의 상측에서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액자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투명판(3)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고정부(13)를 이루는 단턱은 상부단턱(14a)과 하부단턱(14b)으로 이루어진다.
외부프레임(11)의 고정부(13)에는 내부프레임(17)이 장착되어 전면투명판(3)과 게시물(4) 및 후면판(5)의 측면을 지지한다. 여기에서 내부프레임(17)와 고정부(13) 각각의 결합면에 접착제(9)를 도포하여 내부프레임(17)이 고정부(13)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부프레임(11)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결합부(16)가 설치되며 내부프레임(17)에는 돌출결합부(16)에 대응되는 요홈결합부(18)가 형성되어, 이 요홈결합부(18)와 돌출결합부(16)가 결함됨으로써 내부프레임(17)이 외부프레임(11)의 고정부(13)에 장착된다. 요홈결합부(18)와 돌출결합부(16)에는 각각 그 내측 및 외측 면에 요철면이 형성되어 보다 강한 결합력이 작용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액자용 프레임을 사용하여 제작된 액자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자용 프레임에 의한 액자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자용 프레임에 의한 액자의 배면 부분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자용 프레임(10)은 내측에 전면투명판(3)과 게시물(4)과 후면판(5)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액자(2)의 외측 사각테두리를 형성한다.
액자(2)의 외측 사각테두리에 해당되는 액자틀(6)을 조립할 때에는, 필요한 액자의 크기에 맞추어 액자용 프레임(10)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후, 접합하고자 하는 양측 액자용 프레임(10)의 절단면을 접촉시키고 고정핀(7)으로 양측 액자용 프레임(10)의 내부프레임(17)을 고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프레임(17)은 목재, 플라스틱, PVC와 같이 경도가 낮은 재질로 이루어지며, 목재조립용 타카총(Gun tacker)을 이용하여 간편한 작업에 의해 고정핀(7)으로 내부프레임(17)을 고정함으로써 액자틀(6)을 손쉽게 조립할 수 있다.
사각형상의 테두리를 이루는 액자용 프레임(10) 각각의 내부프레임(17)을 서로 연결 고정함으로써 액자틀(6)이 완성되면, 액자틀(6)에 전면투명판(3)과 게시물(4)과 후면판(5)을 삽입한다. 액자틀(6)에 삽입된 전면투명판(3)은 외부프레임(11)의 지지부(15)에 의해 그 전면이 지지되고, 전면투명판(3)과 게시물(4) 및 후면판(5)의 측면은 내부프레임(17)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에서 후면판(5)의 액자틀(6)에의 고정하는 작업은 종래 목재 액자용 프레임을 사용한 액자에 있어서 후면판을 고정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즉 액자 후면판(5)과 내부프레임(17)이 접하는 소정 위치에서 내부프레임(17)에 후면고정핀(8)을 삽입함으로써 후면판(5)을 액자틀(6)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액자용 프레임(10)을 이용하여 액자를 제작할 때에는 종래 기술에서 필요하였던 체결용 스크류, 고정용 탄성판, 결합클립과 같은 별도의 조립용 부속품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간단한 작업만으로 액자를 제작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자용 프레임의 측면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7(a)는 제2 실시예, 도 7(b)는 제3 실시예, 도 7(c)는 제4 실시예, 도 7(d)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액자용 프레임의 측면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액자용 프레임의 구성에 있어서 외부프레임 및 내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지만, 외부프레임의 고정부의 구성과 고정부와 외부프레임이 결합되는 구성이 변형된 것이므로 이하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7(a)의 제2 실시예의 액자용 프레임(20)에 따르면, 외부프레임(21)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결합부(26)가 설치되며 내부프레임(27)에는 돌출결합부(26)에 대응되는 요홈결합부(28)가 형성되어, 이 요홈결합부(28)와 돌출결합부(26)가 결함됨으로써 내부프레임(27)이 외부프레임(21)의 고정부(23)에 장착된다. 요홈결합부(28)와 돌출결합부(26)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그 내측 및 외측 면에 요철면이 형성되어 보다 강한 결합력이 작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외부프레임(21)의 상부단턱(24a) 및 하부단턱(24b)과 여기에 접하는 내부프레임(27)의 외측 면에는 요철면(27a,27b)이 형성되어, 내부프레임(27)이 외부프레임(21)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보조하는 기능을 한다.
도 7(b)의 제3 실시예의 액자용 프레임(30)에 따르면, 외부프레임(31)의 내측에 형성되는 고정부(33)는 내부프레임(37)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하부단턱(34b)과 내부프레임(37) 전면을 지지하는 전면단턱(34a)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부단턱(34b)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결합부(36)가 설치되고 내부프레임(37)에는 이에 대응하여 요홈결합부(38)가 형성되어 외부프레임(31) 및 내부프레임(37)이 결합되며, 돌출결합부(36)와 요홈결합부(38) 각각에도 요철면이 형성되어 보다 강한 결합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전면단턱(34a)의 내측면과 이에 대응되는 내부프레임(37) 전면에 각각 요철면(37a)이 형성되어 내부프레임(37)이 외부프레임(31)에 안정적으로 설치된다.
도 7(c)의 제4 실시예의 액자용 프레임(40)에 따르면, 외부프레임(31)의 고정부(43)는 내부프레임(47) 하측면을 지지하는 하부단턱(44c)과 내부프레임(47) 전면을 지지하는 전면단턱(44a)과 내부프레임(47) 후면을 지지하는 후면단턱(44b)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전면단턱(44a) 및 후면단턱(44b)의 내측면과 이에 접하는 내부프레임 외측면에 각각 요철면(47a,47b)이 형성된다.
도 7(d)의 제5 실시예의 액자용 프레임(50)에 따르면, 외부프레임(51)의 장식면(52)이 상술한 제1 내지 제4 실시예의 장식면에 비하여 그 폭이 작게 형성됨으로써 내부프레임(57)의 전면부의 일부가 액자의 전면을 향하여 노출되어 제2 장식면(59)을 형성함으로써 외부프레임(51) 및 내부프레임(57)이 함께 어우러져 장식미를 연출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외부프레임(51) 고정부(53)는 내부프레임(57)의 상부면을 지지하는 수직단턱(54a)으로 이루어지고, 수직단턱(54a)에서 하측으로 돌출하는 돌출결합부(56)가 설치된다. 또한 수직단턱(54a)과 여기에 접하는 내부프레임(57) 외측에 요철면(57a)이 형성되어 내부프레임(57)이 외부프레임(51)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보조한다.
상술한 제2 내지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범위 내에서 외부프레임 및 내부프레임 형태를 변형하여 다양한 형태의 액자용 프레임을 제작할 수 있으며, 내부프레임 및 외부프레임 고정부의 각각에 요철부와, 돌출결합부와, 요홈결합부 등을 형성함으로써 외부프레임의 고정부에 내부프레임이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액자용 프레임의 견고성 및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자용 프레임의 측면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8(a)는 제6 실시예, 도 8(b)는 제7 실시예, 도 8(c)는 제8 실시예에 따른 액자용 프레임의 측면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액자용 프레임에 있어서 외부프레임 및 내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1 내지 제 5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내부프레임에 전면투명판의 전면을 지지하는 지지면과 액자 전면을 향해 노출되는 제2 장식면이 형성되어 그 구성이 변형된 것이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8(a)의 제6 실시예의 액자용 프레임(60)에 따르면, 내부프레임(67)에는 전면투명판(3)의 전면을 지지하는 지지면(69b)이 형성되고, 외부프레임(61)의 고정부(63)는 내부프레임(67) 하측면을 지지하는 하부단턱(64b)과 외부프레임(61) 지지면(69b) 상측을 지지하는 상부단턱(64a)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부단턱(64a) 및 하부단턱(64b)의 내측면과, 이에 접촉하는 내부프레임(67)의 상하부 외측면에도 요철면(67a,67b)이 형성되어 내부프레임(67)이 외부프레임(61)의 고정부(63)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보조한다.
도 8(b)의 제7 실시예의 액자용 프레임(70)에 따르면, 내부프레임(77) 지지면(79b)의 구조는 상술한 제6 실시예와 동일하며, 외부프레임(71) 장식면(72)의 폭이 짧게 형성되고, 내부프레임(77)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형성되는 제2 장식면(79)이 외부프레임(71)의 장식면(72) 보다 길게 형성되어 외부프레임(71) 장식면(72)과 함께 어우러져 장식미를 연출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외부프레임(71)의 고정부는 내부프레임(77) 지지면(79b)의 상측면을 지지하는 상부단턱(74a)으로만 이루어지고, 상부단턱(74a)의 하면과 지지면(79b) 상측면에 각각 요철면(77a)이 형성됨과 아울러 외부프레임(71) 내측면에 돌출결합부(76)가 설치되고 이에 대응하여 내부프레임(77)에 요홈결합부(78)가 형성됨으로써 내부프레임(77)과 외부프레임(71)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도 8(b)의 제8 실시예의 액자용 프레임(80)의 구성은 상술한 제7 실시예와 유사하며, 외부프레임(81)이 내부프레임(87) 하측으로 이동 설치되도록 변형되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변형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자용 프레임은 외부프레임 장식면과 내부프레임의 제2 장식면이 함께 어우러져 액자의전면을 향해 노출되므로,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의 외부프레임 장식면과 목재 또는합성수지 재질의 내부프레임 제2 장식면을 결합함으로써 보다 세련되고 자유로운 외관 형성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및 또 다른 실시예의 액자용 프레임을 이용하여 액자를 제작하는 방법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종래 기술에서 필요하였던 체결용 스크류, 고정용 탄성판, 결합클립과 같은 별도의 조립용 부속품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간단한 작업만으로 액자를 제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액자용 프레임에 따르면, 외부프레임과 내부프레임이 결합되는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보다 미려한 외관의 액자를 제조할 수 있고, 별도의 조립용 부속품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액자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내측에 전면투명판과 게시물과 후면판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액자의 외측 사각테두리를 형성하는 액자용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액자용 프레임은
    상기 액자 전면을 향하는 외측면에 형성되는 장식면과, 내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턱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와, 상기 장식면 일측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면투명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외부프레임; 및
    상기 외부프레임의 고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투명판과 게시물 및 후면판의 측면을 지지하는 내부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용 프레임.
  2. 내측에 전면투명판과 게시물과 후면판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액자의 외측 사각테두리를 형성하는 액자용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액자용 프레임은
    상기 액자 전면을 향하는 외측면에 형성되는 장식면과, 내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턱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외부프레임; 및
    상기 전면투명판의 전면을 지지하는 지지면과, 상기 액자 전면을 향하는 외측 면에 상기 외부프레임의 장식면과 함께 어우러져 장식미를 연출하는 제2 장식면을 포함하여, 상기 외부프레임의 고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투명판과 게시물 및후면판의 측면을 지지하는 내부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용 프레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프레임은 목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용 프레임.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프레임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용 프레임.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프레임은 상기 외부프레임 고정부에 접착제에 의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용 프레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프레임 고정부와 상기 내부프레임에는 서로 대향하는 접촉부위에 요철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용 프레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프레임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결합부가 설치되고, 상기내부프레임에는 상기 돌출결합부에 결합되는 요홈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용 프레임.
KR20-2004-0011375U 2004-04-23 2004-04-23 액자용 프레임 KR2003581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375U KR200358172Y1 (ko) 2004-04-23 2004-04-23 액자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375U KR200358172Y1 (ko) 2004-04-23 2004-04-23 액자용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8172Y1 true KR200358172Y1 (ko) 2004-08-05

Family

ID=49435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1375U KR200358172Y1 (ko) 2004-04-23 2004-04-23 액자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817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814B1 (ko) * 2007-07-10 2009-02-26 송수용 액자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액자
KR200459213Y1 (ko) * 2009-11-10 2012-03-27 김형태 액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814B1 (ko) * 2007-07-10 2009-02-26 송수용 액자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액자
KR200459213Y1 (ko) * 2009-11-10 2012-03-27 김형태 액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14131A (zh) 一种铝合金门框、应用该铝合金门框的门板及其使用方法
KR200358172Y1 (ko) 액자용 프레임
US20070119084A1 (en) Picture frame assembly for mounting to a cylindrical object
US6979082B2 (en) Eyeglass assembly and coupling system
KR100919063B1 (ko)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 조립체
WO2020085276A1 (ja) パネル構造体、空間構成用構造体
CN201937753U (zh) 一种液晶电视装饰条及其安装结构
CN209331615U (zh) 一种框架及显示装置
KR200400076Y1 (ko) 모서리 마감형 금속재 문틀조립구조
JP2005117177A (ja) 電子機器のディスプレイ筐体
KR20130064343A (ko) 경량화 및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 구현이 가능한 욕실용의 거울조립체
JP3503423B2 (ja) 額縁用フレームの連結金具
CN2332875Y (zh) 三维接头
KR200306313Y1 (ko) 가구용 문짝
KR200204537Y1 (ko) 액자
JP4147268B1 (ja) 壁面装飾構造
CN213393020U (zh) 一种组合隔断
JP2013023862A (ja) 採光機能付建具
KR200272538Y1 (ko) 상자용 모서리 결속구
JP2006161349A (ja)
KR200230760Y1 (ko) 장식물을 갖춘 방화문
KR200225881Y1 (ko) 트윈액자
KR100869757B1 (ko) 블럭형 장식부를 갖는 패널 일체형 파티션
JP3086674U (ja) ガラス嵌め込みドアの組み立て構造
KR200298715Y1 (ko) 안내 표지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