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538Y1 - 상자용 모서리 결속구 - Google Patents

상자용 모서리 결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538Y1
KR200272538Y1 KR2020010029619U KR20010029619U KR200272538Y1 KR 200272538 Y1 KR200272538 Y1 KR 200272538Y1 KR 2020010029619 U KR2020010029619 U KR 2020010029619U KR 20010029619 U KR20010029619 U KR 20010029619U KR 200272538 Y1 KR200272538 Y1 KR 2002725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
binding
box
frame member
orna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96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성운
Original Assignee
백성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성운 filed Critical 백성운
Priority to KR20200100296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5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5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538Y1/ko

Link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자용 모서리 결속구에 관한 것으로, 결속구에 모서리 장식구를 일체로 형성하여 틀체의 조립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완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틀부재와, 상기 틀부재를 상호 결속시켜 상자체가 형성되게 하는 모서리 결속구와, 상기 모서리 결속구에 의하여 형성된 상자체에 결합되는 판체로 이루어진 상자에 있어서, 세방향으로 틀부재(30)와 끼워 결속되는 결속돌기(11)를 돌출 형성한 모서리 결속구(10)의 외측에 모서리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모서리 장식구(20)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모서리 결속구에 모서리 장식구를 일체로 형성하므로 상자체의 조립과정에 있어 접착제를 이용한 모서리 장식구의 접합공정이 삭제되어 생산성과 생산원가가 절감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상자용 모서리 결속구{Corner connector for a box}
본 고안은 상자용 모서리 결속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결속구에 모서리 장식구를 일체로 형성하여 틀체의 조립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완료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상자와 같이 내부에 장식품이 수납되는 상자는 틀체의 각면에 투명 또는 불투명 판재를 결합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각 모서리에는 틀체를 형성하는 틀부재와 틀부재의 결속을 위한 결속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결속구에는 장식성을 높이기 위한 모서리 장식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결속구에는 세 방향에 틀부재와 결속되는 결속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틀체를 형성하는 틀부재는 네 개의 면 중 두개의 면에 판재가 끼워 결합되는 결속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상자는 결속구를 이용하여 틀부재를 결속하여서 상자체를 형성한 후 각 모서리에 별도의 장식구를 접합하여야 하므로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접합과정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틀체가 접착제에 의하여 훼손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모서리 결속구에 모서리 장식구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측 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도 5 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모서리 결속구
11 : 결속돌기 12 : 결속홈 13 : 틀부재 지지구
20 : 모서리 장식구
30 : 틀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상자체의 신속하고 용이하게 완성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틀부재(30)와, 상기 틀부재(30)를 상호 결속시켜 상자체가 형성되게 하는 모서리 결속구(10)와, 상기 모서리 결속구(10)에 의하여 형성된 상자체에 결합되는 판체로 이루어진 종래의 상자에 있어서, 세방향으로 틀부재(30)와 끼워 결속되는 결속돌기(11)를 돌출 형성한 모서리 결속구(10)의 외측에 모서리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모서리 장식구(20)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모서리 장식구(20)의 장식면과 결속돌기(11) 사이에 틀부재(30)의 결합을 위한 결속홈(12)을 형성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 있어서, 결속돌기(11)와 결합되는 틀부재(30)에 있어서 상기 결속돌기(11)와 결합되지 않는 틀부재(30)의 결합면을 지지할 수 있게 세 개의 결속돌기(11)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측 모서리에 틀부재 지지구(13)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모서리 결속구(10)의 외측에 모서리 장식구(20)를 일체로 형성한 본 고안은 제작하고자 하는 상자의 크기에 따라 틀부재(30)를 재단 형성한 후 상기 틀부재(30)를 모서리 결속구(10)의 결속돌기에 끼워 결합한다.
이때, 상기 결속돌기(11)에 끼워 결합되는 틀부재(30)는 모서리 장식구(20)와 결속돌기(11) 사이에 형성되는 결속홈(12)으로 요입되어 결합상태가 노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속돌기(11)와 결합되지 않은 틀부재(30)의 결합면은 모서리 결속구(10)의 내측에 구비된 틀부재 지지구(13)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그 결속상태가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모서리 결속구에 모서리 장식구를 일체로 형성하므로 상자체의 조립과정에 있어 접착제를 이용한 모서리 장식구의 접합공정이 삭제되어 생산성과 생산원가가 절감되는 것이다.
또한, 모서리 결속구의 내측 모서리에 결속돌기와 결합되지 않는 틀부재의 내측을 지지하는 지지구를 구비하므로서 상자체에 가해지는 비틀림에 대한 상자체의 지지강성이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2)

  1. 틀부재와, 상기 틀부재를 상호 결속시켜 상자체가 형성되게 하는 모서리 결속구와, 상기 모서리 결속구에 의하여 형성된 상자체에 결합되는 판체로 이루어진 종래의 상자에 있어서,
    세방향으로 틀부재(30)와 끼워 결속되는 결속돌기(11)를 돌출 형성한 모서리 결속구(10)의 외측에 모서리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모서리 장식구(20)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모서리 장식구(20)의 장식면과 결속돌기(11) 사이에 틀부재(30)의 결합을 위한 결속홈(1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용 모서리 결속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결속구(10)의 결속돌기(11)와 결합되지 않는 틀부재(30)의 결합면을 지지할 수 있게 세 개의 결속돌기(11)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측 모서리에 틀부재 지지구(1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용 모서리 결속구.
KR2020010029619U 2001-09-26 2001-09-26 상자용 모서리 결속구 KR2002725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619U KR200272538Y1 (ko) 2001-09-26 2001-09-26 상자용 모서리 결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619U KR200272538Y1 (ko) 2001-09-26 2001-09-26 상자용 모서리 결속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538Y1 true KR200272538Y1 (ko) 2002-04-20

Family

ID=73109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619U KR200272538Y1 (ko) 2001-09-26 2001-09-26 상자용 모서리 결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53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18511U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フレーム構造
US20060196129A1 (en) Stair tread structure
TWI722584B (zh) 背光模組
KR200403927Y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 구조
JP2006283487A (ja) 建具
KR200272538Y1 (ko) 상자용 모서리 결속구
KR200301544Y1 (ko) 박스용 조립구
CN210122239U (zh) 一种翻盖盒
JP2008002147A (ja) フラッシュ構造ドア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88113A (ko) 스테인드 글래스 장식유리
KR200301549Y1 (ko) 박스용 조립구
KR200397760Y1 (ko) 액자
JP2001258703A (ja) 額 縁
KR200319385Y1 (ko) 크리스탈 장식용 부재
JP3356874B2 (ja) 板状固定部材
TWM601093U (zh) 棺材
CN215444652U (zh) 一种转角连接件和家具转角连接结构
KR200261172Y1 (ko) 앨범
JP2006009375A (ja) 採光パネル構造。
KR100423901B1 (ko) 앨범 및 그 제조 방법
JPS62109604A (ja) 建築用飾り枠体の製造法
KR100253764B1 (ko) 문짝 제조방법
KR200204537Y1 (ko) 액자
JP2001253428A (ja) 紙製の箱体
KR920000980Y1 (ko) 조립식 거울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