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3774Y1 - 탈부착용 벽면 장식 패널 구조 - Google Patents

탈부착용 벽면 장식 패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774Y1
KR200423774Y1 KR2020060014030U KR20060014030U KR200423774Y1 KR 200423774 Y1 KR200423774 Y1 KR 200423774Y1 KR 2020060014030 U KR2020060014030 U KR 2020060014030U KR 20060014030 U KR20060014030 U KR 20060014030U KR 200423774 Y1 KR200423774 Y1 KR 2004237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panel
wall surface
interior wall
fixing memb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40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갑중
Original Assignee
김갑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갑중 filed Critical 김갑중
Priority to KR20200600140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7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7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7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양한 형상을 갖는 장식패널의 전면측으로 전사필름층이 형성되고, 배면측으로 일측면이 접착 고정되는 접착부를 이루고, 상기 접착부와 일체로 되며 연장 되어지되 상기 장식패널 배면측과 이격되도록 하여서 되는 삽입부를 갖는 고정부재와,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기 위한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 주연부측으로 실내벽면과 접착되기 위한 접착면을 갖는 실내벽면고정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실내벽면고정부재와 결합되는 다수의 장식패널을 일정 면적 구획하기 위한 테두리부재와, 상기 테두리부재를 마감하기 위해 배면 양측방으로 각각 직교되는 상기 테두리부재 단부측이 삽입 가능한 삽입홈이 형성되는 마감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벽면 장식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탈부착용 벽면 장식 패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장식패널, 고정부재, 실내벽면고정부재, 테두리부재

Description

탈부착용 벽면 장식 패널 구조{Separaition and combination type the surface of a wall panel structure}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서의 메인 패널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메인 패널 외곽으로 테두리를 형성하기 위한 테두리부재 및 마감부재의 분리 배면 사시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해 벽면에 부착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해 벽면에 설치된 상태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실내벽면
100; 장식패널 110; 고정부재
111; 접착부 111a; 단턱
112; 삽입부 120; 실내벽면고정부재
121; 접착면 122; 요홈
130; 전사필름층 200; 테두리부재
210; 마감부재 211; 삽입홈
본 고안은, 실내 벽면을 이용하여 장식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벽면 장식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탈부착이 가능한 벽면 장식 패널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벽면 장식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탈부착용 벽면 장식 패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실내의 인테리어 등 데코레이션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장식패널은 주로, 실내 벽면체에 고정 부착되어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다양한 선택이 불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장식패널의 부착 위치나 구조 등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 장식패널을 전부 제거한 후 재시공하여야 하며, 기 사용된 장식패널의 재활용이 불가능하므로 폐기처분하여야 하는 등 불편함이 뒤따른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장식패널을 이용하여, 실내 벽면에 장식 효과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장식패 널의 실내 벽면으로부터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실내 벽면 장식 효과 부여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양한 형상을 갖는 장식패널(100)의 전면측으로 전사필름층(130)이 형성되고, 배면측으로 일측면이 접착 고정되는 접착부(111)를 이루고, 상기 접착부(111)와 일체로 되며 연장 되어지되 상기 장식패널(100) 배면측과 이격되도록 하여서 되는 삽입부(112)를 갖는 고정부재(110)와,
상기 삽입부(112)가 삽입되기 위한 요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122) 주연부측으로 실내벽면(10)과 접착되기 위한 접착면(121)을 갖는 실내벽면고정부재(120)로 구성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내벽면고정부재(120)와 결합되는 다수의 장식패널(100)을 일정 면적 구획하기 위한 테두리부재(200)와, 상기 테두리부재(200)를 마감하기 위해 배면 양측방으로 각각 직교되는 상기 테두리부재(200) 단부측이 삽입 가능한 삽입홈(211)이 형성되는 마감부재(210)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실내벽면(10)의 공간을 활용하여 실내장식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장식패널(100)을 제공하되, 상기 장식패널(100)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여서 되는 장식패널(100)과, 상기 장식패널(100)을 거치하기 위한 실내벽면고정부재(120)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탈부착이 가능한 장식패널(100)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컨데, 나무모양이나 동식물 모양 또는 기하학적 모양으로 형상화 되는 다양한 모양으로 재단 처리되는 장식패널(100)을 형성하고, 상기 장식패널(100) 전면측으로 다양한 색상 등이 표현되는 전사지등이 부착되는 전사필름층(130)을 형성하거나, 또는 이와 치환될 수 있는 무늬목 등이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장식패널(100) 배면측으로는 고정부재(110)가 접착 고정되도록 하는데, 상기 고정부재(110)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식패널(100)의 배면 중앙측에 접착되도록 하기 위한 접착부(111)을 이루어 상기 장식패널(100) 배면측과 접착 가능하도록 접착필름이나 또는 접착제 등을 도포 처리한다.
이때, 상기 장식패널(100) 배면측으로 상기 고정부재(110)의 접착부(111)로부터 연장되는 삽입부(112)를 일체로 형성하는바, 상기 접착부(111)와 장식패널(100) 배면간 접착되어졌을 경우, 상기 장식패널(100) 배면과 상기 고정부재(110)간 유격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접착부(111)의 전체적 두께보 다 상기 삽입부(112)의 전체적 두께가 얇도록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고정부재(110) 배면측은 접착부(111)로부터 단턱(111a)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되는 삽입부(112)가 후술하게 되는 실내벽면고정부재(120) 배면측으로 이루어지는 요홈(122)으로 삽입 거치,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내벽면고정부재(1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장식패널(100) 배면측으로 접착 고정되는 고정부재(110)의 삽입부(112)와 체결 되도록 하되, 실내벽면(10)에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면측으로 접착면(121)을 이루어 실내벽면(10)과 접착 가능하도록 통상의 접착테이프나 점착층 등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재(110)의 삽입부(112)가 위치될 수 있도록 요홈(122)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같은 실내벽면고정부재(120)를 실내벽면(10) 적정 위치에 접착시키게 되면, 실내벽면(10)과 요홈(122)간 이격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요홈(122)측으로 장식패널(100) 배면측에 접착 되어 있는 고정부재(110)의 삽입부(112)를 삽입, 거치하게 되면 상기 소망 위치상의 실내벽면(10)에 장식패널(100)이 고정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다양한 형상이나 모양으로 되는 장식패널(100)을 상술한 실내벽면고정부재(120)를 이용하여 장식한 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실내벽면(10)을 구획하여, 장식패널(100)로 이루어진 다양한 장식을 하나의 화폭과 같은 시각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 길이로 구성되는 테두리부재(200)와 마감부재(210)로 구성하여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재(200)는 도면에서 편의상 일직선상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이루고 있으나, 원형이나 타원형 등 다양한 도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같은 테두리부재(200)를 상호 연결 하기 위한 구성을 제공되는 마감부재(210)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배면측으로 상기 테두리부재(20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211)을 형성하고 그 외의 배면측으로는 실내벽면(10)과 접하며 접착되도록 하기 위한 점착층 또는 접착필름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을 이용하여, 실내벽면(10)을 장식하고자 할 경우, 먼저 장식패널(100)을 부착하고자 하는 실내벽면(10)의 소망 위치상으로 실내벽면고정부재(120)를 그 배면측에 구성되는 도시하지 않은 점착제 또는 접착필름 등을 박리하여 상기 실내벽면고정부재(120)의 요홈(122)이 상방으로 위치되도록 하는 상태에서 접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실내벽면고정부재(120)는 실내 장식을 위한 사용자의 연출에 따라 다양하게 배열 배치되며, 실내벽면(10) 적정 개소에 다수 부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소망 위치상으로 다수개의 실내벽면고정부재(120)의 접착 작업을 완료한 후, 고정부재(110)의 접착부(111)를 장식패널(100) 배면 중앙지점에 접착시킨 다음, 상기 고정부재(110)의 삽입부(112)를 상기한 실내벽면고정부재(120)의 요 홈(122)에 삽입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112)가 실내벽면(10)에 접착되어 있는 상태의 실내벽면고정부재(120)의 요홈(122)과 암수결합에 의해 고정 거치 된다.
한편, 상술한 작업의 반복에 의해 실내벽면(10)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면적내에 다양한 모양이나 무늬, 형상 등을 갖는 장식패널(100)의 거치 작업이 완료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도 3 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장식된 다수의 장식패널(100)을 감싸는 테두리부를 이루기 위해 외곽으로 테두리부재(200)를 실내벽면(10)에 부착한다.
상기 테두리부재(200)를 이용한 실내벽면(10) 부착은 공지의 수단 등을 이용하게 되는바, 예컨데 상술한 바와 같이 테두리부재(200) 배면측으로 점착층을 형성하거나 또는 양면테이프 등의 접착필름을 이용하여 접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테두리부재(200)를 이용하여 다수 장식패널(100)의 테두리를 형성하되, 그 테두리부재(200)와 테두리부재(200)가 접하는 지점에는 상기한 테두리부재(200)를 마감처리하기 위한 마감부재(210)를 실내벽면(10)에 부착하게 되는데, 도 5에서 보듯이 마감부재(210) 배면측으로 직교되며 형성되는 삽입홈(211)으로 각각 상기한 테두리부재(200)의 단부측을 삽입, 마감처리하여 실내벽면(10)의 장식 연출 작업을 마무리하게 된다.
아울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기설치된 장식패널(100) 재배치하거나 또는 실내벽면(10)의 타 위치로 장식패널(100)을 이동하여 구성할 경우, 상기한 작업수순과 반대로 테두리부재(200) 및 장식패널(100) 등을 분리, 탈거한 후 소망 위치상 으로 재배치하는 등 간단한 작업에 의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실내벽면(10)을 장식 할 수 있게 되며, 원하는 실내 분위기로 연출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부착 및 탈거가 용이한 장식패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지정된 실내벽면의 일정 구역을 사용자의 취향 및 연출 분위기에 적합하게 비교적 손쉬운 작업에 의해 작업 가능하게 되고, 아울러 다른 분위기를 연출하거나 또는 새롭게 재구성하고자 할 경우 실내벽면으로부터 장식패널의 탈거 및 재부착이 용이하게 되므로, 실내 분위기 및 실내 인테리어의 구성 및 재구성에 따른 작업의 간편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전문인력이 아니더라도 직접 일반 주부 등이 자신의 실내 거주 공간을 자유롭게 배치, 연출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어린이의 경우 본 고안의 장식패널을 이용하여 자신의 방을 직접 인테리어 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어, 지각공간력 및 창작력을 최대한 발휘, 향상 시킬 수 있는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

  1. 다양한 형상을 갖는 장식패널(100)의 전면측으로 전사필름층(130)이 형성되고, 배면측으로 일측면이 접착 고정되는 접착부(111)를 이루고, 상기 접착부(111)와 일체로 되며 연장 되어지되 상기 장식패널(100) 배면측과 이격되도록 하여서 되는 삽입부(112)를 갖는 고정부재(110)와,
    상기 삽입부(112)가 삽입되기 위한 요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122) 주연부측으로 실내벽면(10)과 접착되기 위한 접착면(121)을 갖는 실내벽면고정부재(120)로 구성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용 벽면 장식 패널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벽면고정부재(120)와 결합되는 다수의 장식패널(100)을 일정 면적 구획하기 위한 테두리부재(200)와, 상기 테두리부재(200)를 마감하기 위해 배면 양측방으로 각각 직교되는 상기 테두리부재(200) 단부측이 삽입 가능한 삽입홈(211)이 형성되는 마감부재(210)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탈부착용 벽면 장식 패널 구조.
KR2020060014030U 2006-05-25 2006-05-25 탈부착용 벽면 장식 패널 구조 KR2004237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030U KR200423774Y1 (ko) 2006-05-25 2006-05-25 탈부착용 벽면 장식 패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030U KR200423774Y1 (ko) 2006-05-25 2006-05-25 탈부착용 벽면 장식 패널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774Y1 true KR200423774Y1 (ko) 2006-08-10

Family

ID=41772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4030U KR200423774Y1 (ko) 2006-05-25 2006-05-25 탈부착용 벽면 장식 패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77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49323S1 (en) Cushion
US5523129A (en) Removable scene-scapes bordered by an interchangeable window frame for decorating the walls of children's rooms
USD574697S1 (en) Truss anchor
US6367218B2 (en) Removable tile wall covering
USD559565S1 (en) Office partition panel
USD636292S1 (en) Set of snaps and colored backings
USD551551S1 (en) Product display
US5413870A (en) Decorative bathroom panel including embedded fabric
USD952533S1 (en) Display screen for automobile
USD556560S1 (en) Fixture for installing a siding panel
KR102081322B1 (ko) 자유롭게 교체 변경 가능한 인테리어 보드
JP2022000576A (ja) タイルユニットの軟質樹脂目地材
USD502222S1 (en) Color display kiosk
USD597782S1 (en) Decorative brewer
KR200423774Y1 (ko) 탈부착용 벽면 장식 패널 구조
USD521657S1 (en) Trim systems component for building structures
USD578165S1 (en) Paint color sampling display
USD512594S1 (en) Decorative blind
JP6975496B1 (ja) ドア及びドア枠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CN216076866U (zh) 一种带有薄板的门板结构
TWM532239U (zh) 塔位裝飾模組
JP4767662B2 (ja) 鑑賞用版木
KR200396335Y1 (ko) 조립식 도어패널
DK200800943A (en) A modular system for partition or decoration
JP2017166260A (ja) 被覆シート付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