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0446B1 - 장식무늬판 및 조형물이 구비된 복층유리 - Google Patents

장식무늬판 및 조형물이 구비된 복층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0446B1
KR101210446B1 KR1020100079752A KR20100079752A KR101210446B1 KR 101210446 B1 KR101210446 B1 KR 101210446B1 KR 1020100079752 A KR1020100079752 A KR 1020100079752A KR 20100079752 A KR20100079752 A KR 20100079752A KR 101210446 B1 KR101210446 B1 KR 101210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decorative pattern
plate
pattern plate
sculp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9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7202A (ko
Inventor
최선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쓰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쓰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쓰리
Priority to KR1020100079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0446B1/ko
Publication of KR20120017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7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04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omprising false glazing bars or similar decorations between the p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05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compris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07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glass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42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characterised by their sealed connection to the p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7Connectors therefor
    • E06B3/6675Connectors therefor for connection between the spacing elements and false glazing bars

Abstract

본 발명은 디자인 구성의 자유도가 높고, 제조공정이 단순화되며, 향상된 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복층유리를 개시한다. 이를 위하여 제 1 판유리와 제 2 판유리 사이에 위치하며 각 판유리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테두리틀 및 상기 테두리틀의 내부 공간을 면구분하기 위해 직선이나 곡선 형태로 배치되는 구획부재로 이루어진 장식무늬판과, 상기 장식무늬판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조형물, 및 상기 조형물을 장식무늬판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조형물과 장식무늬판 사이에 구비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장식무늬판 및 조형물이 구비된 복층유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생화나 조화 등의 조형물을 복층유리의 하단부터가 아닌 중간부분이나 상단부분에 자유롭게 간단한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식무늬판을 꽃과 어울리게 배치하면 꽃과 더불어 더욱 향상된 미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장식무늬판 및 조형물이 구비된 복층유리{PAIR GLASS WITH DECORATION PANEL AND MOLDING}
본 발명은 판유리와 판유리 사이에 장식문양이 배치된 복층유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자인 구성의 자유도가 높고, 제조공정이 단순화되며, 향상된 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복층유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층유리는 두개 판유리 사이의 상하 좌우 가장자리에 지지봉을 개제시켜 두판의 유리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복층유리는 한 장의 투명 유리처럼 보이면서도 중간에 공간을 형성하고 있어서 방음, 방열 또는 방한효과가 탁월하고, 자외선을 차단하는 효과도 있으며, 서로간의 지지력에 의하여 여간한 충격에도 파손될 우려가 적다.
이러한 효과 때문에 복층유리는 대형 건축물의 창유리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필요시에는 건축물 내외벽에 부착 설치하여 전술한 효과에 더하여 유리 특유의 정결함과 장식효과를 얻기도 하였다.
특히, 최근에는 복층유리의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층유리 사이의 공간에 다양한 형태의 장식무늬판을 설치하는 기술들이 개발되었다.
도 1은 종래의 복층유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복층유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복층유리는 한 쌍의 판유리(10, 10')의 내부에 장식판(20)이 밀착되게 끼워져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판유리(10, 10')의 테두리를 따라 한 쌍의 판유리(10, 10')의 내부 공간에 밀봉재(30)가 구비되어 한 쌍의 판유리(10, 10')의 내부 공간을 밀봉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술한 종래의 복층유리는 장식판이 표면을 기계 가공한 MDF, PB, 합판 또는 석고보드 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표면에 다양한 칼라나 무늬를 형성하는 PVC시트를 코팅, 접착 제조하거나 도료를 직접 도포 또는 인쇄된 종이 시트를 부착하는 방법만이 가능하며, 장식판의 모양을 변화시켜 입체적으로 미감을 향상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복층유리는 장식판의 양 측면에 판유리가 접착되어 있어 장식판의 빈 공간에 있는 습기가 원활하게 이동하지 못하므로, 판유리의 표면에 얼룩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 밖에도 최근에는 복층유리에 자연적인 미감을 부가하기 위해 복층유리 사이의 공간에 생화나 조화 등을 구비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일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093372호(2007년09월18일 공개)에는 격리문의 전면 및 후면에 대응하여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된 한 쌍의 투명창, 및 상기 투명창을 지지하는 마감캡을 포함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장식틀, 상기 장식틀 내부공간에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하여 설치하는 조형물, 및 상기 장식틀이 수용되어 결합되는 장식틀 수용홀을 포함하는 문틀을 포함하는 내부에 조형물이 설치된 교체형 장식틀을 가지는 격리문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은 투명창 사이에 생화나 조화를 구비할 수 있어 복층유리에 자연적인 미감을 부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조형물 고정부재가 장식틀의 하부에 코르크나 스티로폼 등의 조형물 고정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재에 생화나 조화를 체결하는 방식이므로, 주로 창의 하단부에만 생화 등의 조형물이 집중되며, 투명창의 상단부는 텅빈 모습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단부가 비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단부까지 꽃을 나타나게 하려면, 하단부에 위치한 조형물 고정부재에서 상단부로 연장되어야 하기 때문에, 꽃의 줄기가 약한 경우 휘어져 의도한 모양이 나오지 못하거나, 불필요한 줄기 모양이 하단부에 형성되는 문제를 가진다.
아울러, 상기 기술은 상단부나 중간부에만 꽃 무늬 등을 형성하기 어렵고, 특정 위치에 꽃 무늬 등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야 하지만, 이러한 길이의 줄기를 가지는 꽃의 종류가 매우 한정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줄기가 길지 않은 꽃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연장을 위한 봉 등을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원하는 미감을 제대로 나타낼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판유리와 판유리 사이에 다양한 미감을 용이하게 나타낼 수 있고, 원하는 장식문양을 가지는 조형물을 하부에만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중부나 상부에 설치할 수 있으며, 판유리 사이의 공간부에 생화나 조화 등의 조형물과 조형물의 배경으로 다양한 모양을 입체적으로 표현한 장식문양을 배치하여 사용자에게 향상된 미감을 제공하는 복층유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 1 판유리와 제 2 판유리 사이에 구성된 공간부에 장식문양이 배치된 복층유리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유리와 제 2 판유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판유리와 제2 판유리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테두리틀과, 상기 테두리틀의 내부 공간을 미감을 부여하고 공간을 구분하기 위해 직선이나 곡선 형태로 배치되는 구획부재로 이루어진 장식무늬판; 및 상기 장식무늬판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조형물을 포함하는 장식무늬판 및 조형물이 구비된 복층유리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 1 판유리와 제 2 판유리 사이에 구성된 공간부에 장식문양이 배치된 복층유리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유리와 제 2 판유리 사이에 위치하며 각 판유리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테두리틀과, 상기 테두리틀의 내부 공간을 미감을 부여하고 공간을 구분하기 위해 직선이나 곡선 형태로 배치되며 표면에 삽입홈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구획부재로 이루어진 장식무늬판; 상기 장식무늬판의 삽입홀에 일단부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조형물; 및 상기 조형물을 구획부재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에 구비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장식무늬판 및 조형물이 구비된 복층유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생화나 조화 등의 조형물을 복층유리의 하단에서 고정시키는 방식이 아니므로, 중간부분이나 상단부분에 간단한 방법으로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하단의 지지대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하단으로부터의 별도의 연장선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디자인 구성의 자유도가 높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장식무늬판을 꽃과 어울리게 또는 꽃의 배경이 될 있도록 배치하거나 채택하면 꽃과 더불어 미감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판유리와 장식무늬판 사이의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판유리의 표면에 습기에 의한 얼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층유리는 사용기간이 경과되어도 미감이 저하되지 않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자체만으로도 독립적인 장식체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에 설치된 다른 장식부재 사이에 간단하게 결속시켜 주변 장식체와 함께 자연스럽게 장식미를 살릴 수 있다. 나아가, 복층유리를 장식패널로 제품화해 가구 및 다양한 건축자재로 쉽고 다양하면서 폭넓게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종래의 복층유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복층유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무늬판 및 조형물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장식무늬판 및 조형물이 구비된 복층유리(이하, '복층유리'라고 한다.)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층유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층유리는 제 1 판유리(10)와, 상기 제 1 판유리(10)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제 2 판유리(10')와, 상기 제 1 판유리(10)와 제 2 판유리(10') 사이에 구비되는 장식무늬판(20)과, 상기 장식무늬판(20)에 부착되는 조형물(30)을 포함한다.
상기 조형물(30)은 상기 장식무늬판(20)에 일체로 부착된 형태로 제작된 것일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로서, 상기 조형물(30)은 상기 장식무늬판(20)에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4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복층유리는 건물의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층유리는 건물 실내외의 창문이나 고정창, 출입문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 1 판유리(10) 및 제 2 판유리(10')를 강화유리로 제작할 경우에는 강화유리문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층유리는 제 1 판유리(10) 및 제 2 판유리(1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판유리(10) 및 제 2 판유리(10')는 투명하거나 채색되고, 평평하거나 굽은 강화유리 또는 이온교환 강화유리 두 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판유리는 주로 실리카(SiO2)로 이루어지며, 제조 시 녹는점을 낮추기 위해 소다(Na2O)나 석회(CaO)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제 1 판유리(10) 및 제 2 판유리(10')는 두 장 모두 또는 두 장 중 한 장이 용도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수지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는 장식무늬판(20)을 포함한다.
상기 장식무늬판(20)은 복층유리의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 1 판유리(10)와 제 2 판유리(10')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테두리틀(22)과 구획부재(24)로 이루어진다. 이때, 장식무늬판(20)은 구성소재를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합성수지판이나, 압축합판(MDF), 알루미늄판 등 절단가공이 용이한 판상의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두리틀(22)은 제 1 판유리(10)와 제 2 판유리(10') 사이에 위치하여 각 판유리(10, 1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장식무늬판(20)의 문양이 불규칙한 블록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도록 외측에서 지지하는 틀(프레임)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구획부재(24)는 예를 들면, 직선 또는 곡선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테두리틀(22)의 내부 공간을 미감을 부여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구획부재(24)는 다양한 미감을 나타낼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필요에 따라, 구획부재(24)는 조형물(30)의 일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체결될 수 있도록 표면에 하나 이상의 삽입홈(26)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획부재(24)는 단일의 무늬조각으로 구성되거나 다수의 무늬조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무늬조각은 테두리를 따라 다수개의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테두리틀(22)은 내주면을 따라 상기 돌기에 대응하여 끼움결합되는 다수개의 삽입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구획부재(24)는 돌기를 통해 테두리틀(22)에 연결설치될 수 있다.
이때, 돌기는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테두리틀(22)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삽입홀은 돌기가 측면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테두리틀(22)이 분리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삽입홀은 돌기가 수직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테두리틀(22)과 구획부재(2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장식무늬판(20)의 재단은 목공용 가공톱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나, 제품의 양산이나 생산성을 고려하면 레이저 가공기 또는 CNC 선반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장식무늬판(20)을 구성하는 테두리틀(22)의 모양이 평판형으로 형성되면, 테두리틀(22)은 후술하는 간봉(50)과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그 테두리를 따라 다수개의 돌출구(2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돌출구(23)는 직육면체형이나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장식무늬판(20)을 구성하는 테두리틀(22)의 모양이 평판형으로 형성되지 않으면, 테두리틀(22)은 그 모서리 부분에 철(凸 : 미도시)부가 형성되고, 상기 철(凸)부에 접촉되는 간봉(50)의 표면에는 요(凹 : 미도시)부가 형성된다. 다시 말해, 테두리틀(22)의 철(凸)부가 간봉(50)의 요(凹)부에 삽입됨으로써 장식무늬판(20)은 간봉(50)에 의해 고정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층유리는 조형물(30)을 포함한다.
상기 조형물(30)은 장식무늬판(20)에 추가적인 미감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테두리틀(22)이나 구획부재(24)에 부착된다. 특히, 구획부재(24)에 삽입홈(26)이 형성된 경우에는 조형물(30)의 일단부가 상기 삽입홈(26)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조형물(30)로는 전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 생화, 말린 생화, 조화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필요에 따라, 생화 및 조화는 꽃봉오리와 꽃봉오리에 연결된 줄기로 구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줄기의 말단을 삽입홈(26)에 삽입시켜 조형물(30)을 장식무늬판(20)에 부착시키기 위함이다. 이러한 경우, 생화 및 조화는 그 줄기가 삽입홈(26)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두께가 1㎝ 이하인 줄기를 가지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조형물(30)은 서로 다른 위치의 장식무늬판(20)에 각각 하나의 조형물(30)이 부착될 수 있지만, 복수의 조형물(30)이 특정 위치의 장식무늬판(20)에 묶음 형태로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장식무늬판(20)의 삽입홈(26)에는 하나의 조형물(30)이 삽입되거나, 복수의 조형물(30)이 한꺼번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상기 조형물(30)이 상기 테두리틀(22)이나 구획부재(24) 상에 얹혀지는(접촉하여 지지되는) 형태로 고정될 수도 있으나, 추가적으로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고정수단(4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층유리는 고정수단(4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수단(40)은 조형물(30)이 장식무늬판(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조형물(30)과 장식무늬판(20)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접착제, 테이프, 끈, 철사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바람직하다. 여기서, 조형물(30)이 고정되는 장식무늬판(20)은 구획부재(24)이거나 구획부재(24)와 테두리틀(22) 모두가 될 수 있다.
한편, 구획부재(24)에 삽입홈(26)이 형성된 경우에는 고정수단(40)이 삽입홈(26)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고정수단(40)으로는 접착제나 탄성력 제공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력 제공수단으로는 고무나 라텍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착제는 삽입홈(26)의 내부에 충진되거나, 장식무늬판(20)에 부착되는 조형물(30)의 표면에 직접 도포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탄성력 제공수단은 조형물(30)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홈, 바람직하게는 가운데 부분이 잘록한 호로병 형태의 홈을 갖도록 형성하여 상기 조형물(30)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탄성력 제공수단은 접착제와 달리 조형물(30)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작용하며, 호로병 형태의 홈을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탈부착에 대한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테이프나 끈 또는 철사는 조형물(30)과 장식무늬판(20), 예컨대 구획부재(24)의 일부분을 묶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층유리는 간봉(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봉(50)은 제 1 판유리(10)와 제 2 판유리(10')가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제 1 판유리(10)와 제 2 판유리(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간봉(50)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간봉의 소재라면 어떠한 소재로 형성되어도 무방하지만,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간봉(50)의 너비는 장식무늬판(20)을 구성하는 테두리틀(22)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장식무늬판(20)의 빈 공간에 구비된 공기가 테두리틀(22)과 각 판유리(10, 1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간봉(50)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필요에 따라, 상기 간봉(50)의 내부 공간에는 제습제(6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습제(60)는 복층유리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제습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습제(60)를 내부 공간에 구비한 상태로 복층유리 내부 공간의 습기를 원활하게 순환시키기 위해서 상기 간봉(50)은 다양한 형태를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중공이 형성된 직육면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표면에는 다수개의 관통홈(5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홈(52)은 돌출구(23)와 접촉하는 방향에 위치한 간봉(50)의 표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간봉(50)은 내부 공간에 구비된 제습제(60)의 쏠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을 분리하는 격벽(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습제(60)는 간봉(5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간봉(50)의 표면에 형성된 관통홈(5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다면체, 바람직하게는 구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판유리(10) 및 장식무늬판(20)의 간격과 장식무늬판(20) 및 제 2 판유리(10')의 간격은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될 수 있도록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복층유리의 전체적인 너비가 두꺼울수록 장식성은 떨어지므로, 각 판유리(10, 10')와 장식무늬판(20)의 간격은 3 내지 5㎜, 바람직하게는 3㎜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하여 간봉(50)은 장식무늬판(20)보다 6 내지 10㎜ 정도로 두꺼운 너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층유리는 밀봉제(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봉제(70)는 제 1 판유리(10) 및 제 2 판유리(10') 사이에 구비된 장식무늬판(20)이 부식되거나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복층유리의 내부 공간을 밀봉시키는 것으로서, 제 1 판유리(10) 및 제 2 판유리(10')의 테두리를 따라 제 1 판유리(10)와 제 2 판유리(10')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밀봉제(70)로는 어떠한 밀봉제를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실리콘 수지, 폴리비닐 부티릴 수지,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및 메틸 아크릴 레이트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할 수 있으며, 실리콘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밀봉제(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봉(50)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간봉(50)의 외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층유리는 최종적으로 밀봉제(70)가 제 1 판유리(10) 및 제 2 판유리(10')와 장식무늬판(20) 간의 틈새공간을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충진 몰딩되면서 그 내부가 밀폐된 상태로 압착결합될 수 있도록, 별도의 가열과정을 거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장식무늬판(20)의 사측 테두리에 밀봉제(70)가 몰딩처리 된 제 1 판유리(10) 및 제 2 판유리(10')의 외측으로는 별도의 보호틀(미도시)을 추가적으로 설치 결합시켜 단독 제품으로서 구성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제품은 자체 독립된 복층유리로서 자유롭게 설치하여 활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층유리는 밀봉제(70) 대신 마감캡(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감캡은 제 1 판유리(10) 및 제 2 판유리(10')의 상단 및 하단에 구비되며, 한 쌍의 판유리(10, 10') 사이에 끼워진다. 또한, 마감캡은 고무 등의 합성수지 재질이나 코르크 등의 재질을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조형물의 교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복층유리는 한 쌍의 판유리(10, 10') 사이에 구비된 장식무늬판(20)을 통해 별도의 장식기능을 부가하여 미려한 외관의 제품을 제공한다는 점에 있어서는 종래와 다를 바 없으나, 본 발명에서는 선택에 따라 장식무늬판(20)의 특정 위치에 생화 등의 조형물(30)을 추가로 설치하여 다양한 미감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조형물(30)로 꽃을 사용하고 상기 꽃에 어울리는 문양을 가지는 장식무늬판(20)을 배치하면, 꽃의 미감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장식무늬판(20)을 판유리로부터 이격시킴으로서 한 쌍의 판유리(10, 10')와 장식무늬판(20) 사이에 공기층(80)을 형성하여 장식무늬판(20)의 빈 공간에 잔존하는 습기 및 생화로부터 발생된 습기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습제(60)를 구비하여도 습기가 원활하게 이동하지 못하여 판유리의 내부에 얼룩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밀봉제(70)를 통해 판유리 사이의 공기층(80)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제 1 판유리 10' : 제 2 판유리
20 : 장식무늬판 22 : 테두리틀
24 : 구획부재 26 : 삽입홈
30 : 조형물 40 : 고정수단
50 : 간봉 52 : 관통홈
60 : 제습제 70 : 밀봉제
80 : 공기층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판유리와 제 2 판유리 사이에 구성된 공간부에 장식문양이 배치된 복층유리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유리와 제 2 판유리 사이에 위치하며 각 판유리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테두리틀과, 상기 테두리틀의 내부 공간을 미감을 부여하고 공간을 구분하기 위해 직선이나 곡선 형태로 배치되며 표면에 삽입홈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구획부재로 이루어진 장식무늬판;
    상기 장식무늬판의 삽입홈에 일단부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조형물; 및
    상기 조형물을 구획부재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에 구비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삽입홈의 내부에 구비되며, 호로병 형태의 홈을 가지는 탄성력 제공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무늬판 및 조형물이 구비된 복층유리.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력 제공수단은 고무 또는 라텍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무늬판 및 조형물이 구비된 복층유리.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유리 및 제 2 판유리를 이격시키기 위하여 상기 장식무늬판의 테두리틀을 따라 설치되는 간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무늬판 및 조형물이 구비된 복층유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간봉이 중공이 형성된 직육면체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에는 다수개의 관통홈이 형성되며, 내부에 제습제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무늬판 및 조형물이 구비된 복층유리.
KR1020100079752A 2010-08-18 2010-08-18 장식무늬판 및 조형물이 구비된 복층유리 KR101210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752A KR101210446B1 (ko) 2010-08-18 2010-08-18 장식무늬판 및 조형물이 구비된 복층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752A KR101210446B1 (ko) 2010-08-18 2010-08-18 장식무늬판 및 조형물이 구비된 복층유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202A KR20120017202A (ko) 2012-02-28
KR101210446B1 true KR101210446B1 (ko) 2012-12-10

Family

ID=45839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9752A KR101210446B1 (ko) 2010-08-18 2010-08-18 장식무늬판 및 조형물이 구비된 복층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04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287B1 (ko) 2019-04-16 2020-02-04 이태원 조명 및 온도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복층유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7550B1 (ko) * 2016-04-19 2022-01-28 윤지원 접합유리 제조방법 및 접합유리
KR200483425Y1 (ko) * 2016-10-25 2017-05-15 신상군 지진에 내구성을 가지는 복층유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713Y1 (ko) * 2004-05-19 2005-03-11 강윤근 복층유리용 문살대의 3중 결합구조
KR100647241B1 (ko) * 2005-08-08 2006-11-23 홍기봉 장식용 복층유리
KR100907022B1 (ko) 2009-02-25 2009-07-08 권영옥 장식무늬판의 수장실에 충진물이 채워진 이중접합유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713Y1 (ko) * 2004-05-19 2005-03-11 강윤근 복층유리용 문살대의 3중 결합구조
KR100647241B1 (ko) * 2005-08-08 2006-11-23 홍기봉 장식용 복층유리
KR100907022B1 (ko) 2009-02-25 2009-07-08 권영옥 장식무늬판의 수장실에 충진물이 채워진 이중접합유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287B1 (ko) 2019-04-16 2020-02-04 이태원 조명 및 온도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복층유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202A (ko) 201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8433A (en) Insulated glass unit window assembly including decorative thermoplastic sheet and method for forming
KR101210446B1 (ko) 장식무늬판 및 조형물이 구비된 복층유리
US6305132B1 (en) Molded interior window frame assembly
KR101163541B1 (ko) 다양한 소재의 장식물 배치가 자유로운 장식 복층유리
KR101204271B1 (ko) 패턴을 형성하는 장식조각이 구비된 창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00118B1 (ko) 입체감을 갖는 장식 복층유리의 제조방법
KR101189813B1 (ko) 조립형 장식무늬판이 구비된 복층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84282B1 (ko) 정교한 디자인 표현이 가능한 장식 복층유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38741B1 (ko) 판유리와 장식무늬판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된 복층유리
KR100907022B1 (ko) 장식무늬판의 수장실에 충진물이 채워진 이중접합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582638B1 (ko) 마감캡이 포함된 금속도어
KR200357096Y1 (ko) 건축용 마감재
KR101281140B1 (ko) 반투명 장식 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CA2382607A1 (en) Bevelite look alike glass
KR100647241B1 (ko) 장식용 복층유리
KR101518340B1 (ko) 인테리어 유리판재
KR101518705B1 (ko) 배치가 자유로운 장식무늬판에 표면가공 문양이 접목된 장식유리
CN203412241U (zh) 墙面安装结构
JP2008025203A (ja) 採光扉
KR101680860B1 (ko) 창호용 페어 글래스 및 이의 제작 방법
WO2012136949A1 (en) Apparatus comprising sheet material and decoration,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apparatus
KR101598616B1 (ko) 문양을 갖는 이중유리 창호
US20070284064A1 (en) Slat Base for Window Blinds
JP2018144231A (ja) 柔軟性に優れた装飾材
KR200359057Y1 (ko)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삽입된 건축용 마감 장식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