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7550B1 - 접합유리 제조방법 및 접합유리 - Google Patents

접합유리 제조방법 및 접합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7550B1
KR102357550B1 KR1020170159986A KR20170159986A KR102357550B1 KR 102357550 B1 KR102357550 B1 KR 102357550B1 KR 1020170159986 A KR1020170159986 A KR 1020170159986A KR 20170159986 A KR20170159986 A KR 20170159986A KR 102357550 B1 KR102357550 B1 KR 102357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lass
woven
glass
threa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3308A (ko
Inventor
윤지원
Original Assignee
윤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4740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805025B1/ko
Application filed by 윤지원 filed Critical 윤지원
Priority to KR1020170159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7550B1/ko
Publication of KR20170133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247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ontaining decorations or patterns for aesthetic rea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247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ontaining decorations or patterns for aesthetic reasons
    • B32B17/10256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ontaining decorations or patterns for aesthetic reasons created by printing techniques
    • B32B17/10266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ontaining decorations or patterns for aesthetic reasons created by printing techniques on glass p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05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compris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07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glass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판유리 사이에 다양한 문양의 장식층이 개입되어 미감을 제공하는 접합유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방법은, 직조 프레임에 실을 직선형으로 직조하여 선형 또는 격자형의 문양을 형성하는 단계; 직조된 실이 판유리의 일면에 접하면서 상기 판유리가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직조 프레임을 판유리 측부에 배치하는 단계; 직조된 실이 판유리에 고정 접합되도록 상기 판유리의 가장자리를 따라 투명 접착부재를 부착하는 단계; 직조된 실이 판유리에 고정된 후, 판유리와 직조 프레임 사이에 연결된 실을 절단하여 판유리와 직조 프레임을 분리하는 단계; 및 직조된 실이 고정된 판유리와 다른 판유리를 접합필름을 이용하여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접합유리 제조방법 및 접합유리{Manufactoring method of pair glass and pair glass}
본 발명은 접합유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판유리 사이에 다양한 문양의 장식층이 개입되어 미감을 제공하는 접합유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는 충격이 가해지면 쉽게 파손되는데, 유리의 파편은 날카롭기 때문에 유리의 파편으로 인한 사고가 많이 발생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근래에는 유리 파손 시 파편의 비산을 방지하는 접합유리가 개시되었으며, 접합유리는 두 장의 유리 사이에 접합필름이 삽입되어 구성된다.
한편, 이와 같은 복층의 접합유리는 파편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리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창문으로만 사용되던 용도를 벗어나 건축물의 외장재나 내장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용도가 확장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접합유리의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한 쌍의 판유리 사이에 다양한 형태의 장식 무늬를 개입시킨 접합유리가 개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접합유리의 일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접합유리를 제조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접합유리는 상호 대향하는 상부 및 하부의 판유리(1,2) 사이에 상부 및/또는 하부 접합필름(3,4)이 개입되고, 각 접합필름(3,4) 사이에 소정의 무늬가 인쇄된 장식용 필름(5)이 개입된다. 상기와 같이 적층되는 접합유리의 각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지그(미도시)에 놓여진 상태에서 상하부 가압부재(6,7)에 의하여 진공 압착되고, 이와 동시에 상부에 위치하는 가열부재(8)에 의하여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다.
상하부 판유리(1,2)에 가해지는 온도와 압력에 의하여 그 사이에 개입된 접합필름(2,3)이 용융되고, 용융된 필름(3,4)은 판유리(1,2) 사이의 공간을 밀봉하면서 상하부 판유리(1,2)를 접합시키며, 접합된 판유리(1,2)는 상온으로 냉각되면서 접합필름(3,4)이 경화되어 접합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 이때, 접합유리는 상하부 판유리(1,2) 사이에 배치된 장식용 필름(5)의 무늬가 투명 재질의 판유리(1,2)를 통하여 외부로 시인되면서 장식 무늬층을 갖게 된다. 상하부 판유리(1,2) 사이에 개입된 장식 무늬층은 용융된 접합필름(3,4)에 의하여 밀봉되고 판유리(1,2)에 의하여 보호되므로, 외부 환경에 의한 변형 또는 변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판유리의 양면을 통하여 외부로 시인되어 양 방향성의 장식 무늬를 제공한다.
한편, 판유리 사이에 개입되는 장식 무늬층은 위와 같이 폴리에틸렌계 합성수지 필름에 무늬, 문자, 그림 등 소정의 패턴이 인쇄된 장식용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천, 직물, 종이, 한지, 건조화, 생화 등을 일정한 형태의 평면 문양으로 형성하여 판유리 사이에 직접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장식 무늬층은 금속 소재, MDF 또는 판재를 가공한 단조와 그 사이에 보석을 배치한 3차원의 입체 장식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특정 문양의 장식 무늬층은 하부 판유리 또는 접합필름에 직접 놓여지고 그 상부에 상부 판유리 또는 접합필름이 덮여진 상태에서 접합이 쉽게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와 같은 종류의 장식 무늬층이 판유리에 놓인 상태에서도 그 형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접합유리에서는 장식 무늬층의 문양이 그 형태를 유지하는 재질 또는 재료에 대해서만 적용되는 한계가 있다. 즉,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접합유리에서는 실(絲, yarn)과 같이 그 형태가 특정되지 않고 쉽게 변형되는 재료는 장식 무늬층의 재료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탄성과 같이 실이 갖는 재질에 따른 고유의 특성에 의하여 특정 형태로 판유리 상에 놓인 후 그 형태가 쉽게 변하기 때문이다. 만약, 실이 판유리에 놓여진 상태에서도 일직선 형태가 그대로 유지된다면 그 배치 방향에 따라 선형, 격자형 무늬 등 다양한 문양으로 장식될 수 있으며, 다른 장식 문양과 혼합되어 더욱 다양한 무늬를 나타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실은 위와 같은 특성으로 인하여 아직까지는 실을 이용한 선형 무늬, 격자형 무늬 등의 장식 문양을 갖는 접합유리는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접합유리는 금속 또는 천을 메쉬(mesh) 형태로 미리 제조하여 장식 무늬층으로 이용하는 방식이 제안된 적이 있다. 이미 제조된 메쉬 형태의 재료를 이용하는 경우 작업자(제조자)가 메쉬의 간격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금속을 이용한 메쉬는 고가의 재료를 사용함에 따라 제조 비용이 상승하게 되고, 천을 이용한 메쉬도 그 형태가 쉽게 변하여 완전한 직선 형태의 선형 또는 격자형의 장식 문양을 구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메쉬 형상의 금속 또는 천을 이용한 장식 무늬층은 입체감을 나타내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06-0120556(2006.11.27.출원공개, 복층 접합유리 및 그 제조방법) 한국공개특허 10-2010-0104989(2010.09.29.출원공개, 입체장식물이 고정된 장식 복층 유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형태가 특정되지 않는 실을 장식 문양을 형성하는 재료로 이용하는 접합유리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이 한 쌍의 판유리 사이를 직접 횡단하면서 선형 또는 격자형의 다양한 장식 문양을 나타내도록 하는 접합유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방법은, 직조 프레임에 실을 직선형으로 직조하여 선형 또는 격자형의 문양을 형성하는 단계; 직조된 실이 판유리의 일면에 접하면서 상기 판유리가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직조 프레임을 판유리 측부에 배치하는 단계; 직조된 실이 판유리에 고정 접합되도록 상기 판유리의 가장자리를 따라 투명 접착부재를 부착하는 단계; 직조된 실이 판유리에 고정된 후, 판유리와 직조 프레임 사이에 연결된 실을 절단하여 판유리와 직조 프레임을 분리하는 단계; 및 직조된 실이 고정된 판유리와 다른 판유리를 접합필름을 이용하여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방법은, 직조 프레임에 실을 직선형으로 직조하여 선형 또는 격자형의 문양을 형성하는 단계; 판유리의 측면을 따라 보조 프레임을 밀착 배치하는 단계; 직조된 실이 판유리 및 보조 프레임의 일면에 접하면서 상기 판유리와 보조 프레임이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직조 프레임을 보조 프레임 측부에 배치하는 단계; 직조된 실이 보조 프레임에 고정 접합되도록 상기 보조 프레임의 일면을 따라 투명 접착부재를 부착하는 단계; 직조된 실이 보조 프레임에 고정된 후, 상기 보조 프레임과 직조 프레임 사이에 연결된 실을 절단하여 보조 프레임과 직조 프레임을 분리하는 단계; 직조된 실이 고정된 판유리와 다른 판유리를 접합필름을 이용하여 접합하는 단계; 및 한 쌍의 판유리가 접합된 후, 접합유리와 보조 프레임 사이에 연결된 실을 절단하여 접합유리로부터 보조 프레임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는 제1판유리; 상기 제1판유리의 일면에 실이 상기 제1판유리의 일면을 횡단하면서 하나 이 상의 직선 문양을 형성하는 제1문양층; 상기 제1문양층이 형성된 면에서 상기 제1판유리에 합지되는 제2판유리; 및 상기 제1문양층의 실을 밀봉하면서 상기 제1판유리와 제2판유리를 접합시키는 접합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을 이용하여 접합유리의 장식 무늬층을 형성함으로써, 다양하고 독특한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합유리의 장식 문양으로 이용되는 실이 유리판에서 팽팽한 직선으로 구현됨으로써, 선형 또는 격자형의 다양한 문양을 갖는 접합유리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을 이용한 선형 또는 격자형의 문양과 2차원의 다른 문양을 조화시킴으로써, 더욱 다양한 장식 문양을 갖는 접합유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판유리 사이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실을 이용한 선형 또는 격자형으로 삽입하여, 입체감을 갖는 장식 문양을 제공할 수 있으며, 판유리의 양 측면에서 시인이 가능한 장식 문양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복합유리의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복합유리를 제조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a 내지 도 4e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a 내지 도 6e는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접합유리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접합유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와 같은 설명은 도면을 기준으로 이해를 돕고자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며, 그 명칭에 의하여 구성이 특정되지 않는다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는 직조 프레임에 실(絲)을 이용하여 선형 또는 격자형의 제1문양을 직조하는 문양 직조 단계(S11), 제1문양이 직조된 프레임을 판유리 상부에 적층하는 판유리 합지 단계(S12), 판유리에 직조된 실을 고정하는 실 고정 단계(S13), 직조된 실이 판유리에 고정된 상태에서 직조 프레임을 판유리로부터 분리하는 직조 프레임 분리 단계(S14) 및 직조 실이 고정된 판유리를 다른 판유리와 합지하는 판유리 접합 단계(S15)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문양 직조 단계(S11)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을 갖는 직조 프레임(500)의 내부 공간으로 실(y)을 횡단시켜 연결하면서 소정의 제1문양(30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직조 프레임(500)은 판유리(100)의 폭보다 충분히 큰 내경을 가지며, 상면 또는 내면을 따라 실(y)이 걸려 고정될 수 있는 걸림구(510)가 소정 간격을 이루면서 다수개 형성된다. 직조용 실(y)을 상기 걸림구(510)에 고정시키면서 직조 프레임(500)을 반복 횡단하여 선형 또는 격자형의 제1문양을 형성한다. 이때, 이웃하는 실(y) 사이의 간격이나 실(y)의 방향 등은 나타내고자 하는 장식 문양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구(510)에 의하여 실은 직선형의 텐션을 유지한다.
상기 판유리 합지 단계와 실 고정 단계(S12,S13)는 도 4b 및 4c와 같이 실이 직조된 직조 프레임(500)을 한 장의 판유리(100, 하부 파유리)에 적층시킨 후 실(y)을 판유리(100) 상면에 고정 접합시키는 단계이다. 지그에 판유리(100)가 놓여진 상태에서 판유리(100) 상면에 직조된 실이 접하도록 직조 프레임(500)을 배치하고, 판유리(10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투명 테이프와 같은 투명 접착부재(520)를 이용하여 실(y)을 판유리(100)에 접착 고정시킨다. 이때, 투명 접착부재(520)는 대략 5mm 이내의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판유리(100)의 최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판유리(100) 상면에 접착되면서 실(y)을 고정시킨다. 완성된 접합유리 시공시 접합유리의 최외곽 가장자리는 창틀 프레임 내부에 삽입되어 가려지므로, 투명 접착부재(520)도 창틀 프레임에 가려질 수 있도록 가능한 좁은 폭을 가지며 판유리의 최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판유리에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 분리 단계(S14)는 직조된 실(y)이 판유리(100)에 접착 고정된 상태에서 직조 프레임(500)을 판유리(100)로부터 분리하는 단계이다. 판유리(100)의 외곽으로 노출된 실(y)을 판유리(100) 측면을 따라 절단하여 직조 프레임(500)을 판유리(100)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때, 직조된 실(y)은 투명 접착부재(520)에 의하여 판유리(1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직조 프레임(500)이 분리되더라도 판유리(100) 상에는 직조된 실의 문양이 그대로 유지된다.
상기 판유리 접합 단계(S15)는 한 쌍의 판유리를 접합하여 최종적으로 접합유리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도 4d와 같이 직조된 실(y)이 고정된 판유리를 하부 판유리(100d)로 하여 하측에 위치시키고 다른 투명의 판유리를 상부 판유리(100u)로 하여 상부에 위치시키며, 하부 판유리(100d)와 상부 판유리(100u) 사이에는 접합필름(200)을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적층된 한 쌍의 판유리(100)를 접합장치(710,720,800)에 투입시킨 후 도 4e와 같이 진공압착 가열로 접합필름을 용융시켜 한 쌍의 판유리를 접합시킨다. 접합필름(200)은 대략 80℃의 온도에서 용융이 이루어지기 시작하며, 용융되는 접합필름(200)은 상하부 판유리(100) 사이의 공기를 밀어내면서 실을 이용한 제1문양(300)을 밀봉시킴과 동시에 판유리를 접합시키게 된다. 판유리의 접합이 이루어진 후, 접합된 한 쌍의 판유리(100)를 상온에서 냉각시키면 용융된 접합필름(200)이 경화되어 접합이 유지되며, 실을 이용한 제1문양(300)이 판유리 양측으로 시인되어 접합유리의 장식층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공정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접합유리는 실을 이용한 문양 형성이 가능하며, 특히, 실이 직선 형태를 이루면서 판유리를 횡단하여 선형 또는 격자형으로 다양하게 형상화될 수 있다.
한편, 판유리 접합과정에서 실을 이용한 제1문양이 형성된 하부 판유리와 상부 판유리 사이에는 제2문양이 형성된 장식필름이 더 개입시켜 접합유리가 실을 이용한 제1문양과 장식필름을 이용한 제2문양을 동시에 나타내도록 제조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6a 내지 도 6e는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는 직조된 실을 판유리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달리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유리 제조는 직조 프레임에 실(絲)을 이용하여 선형 또는 격자형의 제1문양을 직조하는 문양 직조단계(S21), 제1문양이 직조된 직조 프레임을 판유리 상부에 적층하는 판유리 합지단계(S22), 직조된 실을 보조 프레임에 고정하는 실 고정단계(S23), 직조된 실이 보조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에서 직조 프레임을 판유리로부터 분리하는 직조 프레임 분리단계(S24) 및 직조 실이 고정된 판유리를 다른 판유리와 합지하는 판유리 접합단계(S25) 및 보조 프레임을 판유리로부터 분리하는 보조 프레임 분리단계(S26)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문양 직조단계(S21)는 실을 이용하여 사각 형상을 갖는 직조 프레임(500)에 제1문양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도 4a와 동일한 공정으로 진행된다.
상기 판유리 합지단계와 실 고정단계(S22,S23)는 직조된 실을 판유리(100)에 접촉시킨 후 그 형태가 유지되도록 고정시키는 단계이며,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 프레임(600)을 이용하여 실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도 6a 및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유리(100)의 네 측부에 보조 프레임(600)을 위치시키고, 판유리(100)과 보조 프레임(600) 상면에 직조된 실(y)이 접촉되도록 직조 프레임(500)을 배치한다. 이때, 상기 보조 프레임(600)은 판유리(100)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판유리(100)의 네 측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조된 실이 판유리(100)와 보조 프레임(600) 상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투명 접착부재(520)를 이용하여 실(y)을 보조 프레임(600) 상면에 접착 고정시킨다. 투명 접착부재(520)가 판유리(100)에 직접 접착되는 경우 투명 접착부재(520)도 판유리(100) 사이에 개입되어 투명 접착부재(520)가 시각적으로 인식될 우려가 있으나, 보조 프레임(600)에 접착되는 경우 투명 접착부재(520)는 이후 보조 프레임(600)과 함께 제거되어 시각적으로 인식되지 않는다. 상기 보조 프레임(600)은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거나 판유리와 동일한 유리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직조 프레임 분리단계(S24)는 직조된 실(y)이 판유리(100)에 접착되면서 보조 프레임(6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직조 프레임(500)을 판유리(100)와 보조 프레임(600)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이다. 보조 프레임(600)의 외곽으로 노출된 실(y)을 보조 프레임(600) 측면을 따라 절단하여 직조 프레임(500)을 분리시킨다. 이때,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조된 실은 투명 접착부재(520)에 의하여 보조 프레임(6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직조 프레임(500)이 분리되더라도 판유리(100) 상에는 직조된 실의 문양이 그대로 유지된다.
상기 판유리 접합단계(S25)는 직조된 실의 문양이 형성된 상기 판유리(100) 상면에 다른 한 장의 판유리를 접합하는 단계이다. 직조된 실(y)이 보조 프레임(600)에 의하여 그 문양을 유지하고 있는 판유리를 하부 판유리(100d)로 하여 하측에 위치시키고 다른 투명의 판유리를 상부 판유리(100u)로 하여 하부 판유리(100d) 상부에 위치시키며, 하부 판유리(100d)와 상부 판유리(100u) 사이에는 접합필름(200)을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적층된 한 쌍의 판유리(100)를 접합장치(710,720,800)에 투입시킨 후 도 6d와 같이 진공압착 가열로 접합필름을 용융시켜 한 쌍의 판유리를 접합시킨다. 이때, 제1문양을 형성하는 실은 한 쌍의 판유리(100) 내면에서 접합필름에 의하여 밀봉 고정되면서 제1문양(300)을 형성함과 동시에 접합유리 측면에서 보조 프레임(600)에도 고정되어 있다.
상기 보조 프레임 분리단계(S26)는 실을 매개로 판유리 측면에 부착된 보조 프레임(600)을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접합유리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하부 판유리(100d)와 상부 판유리(100u)가 접합된 상태에서도 보조 프레임(600)은 하부 판유리(100d) 측면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하부 판유리(100d)와 보조 프레임(600)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하는 실을 절단하여 투명 접착부재(520)와 함께 보조 프레임(600)을 하부 판유리(100d)로부터 분리시켜 한 쌍의 판유리가 합지된 접합유리를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적조된 실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보조 프레임(600)을 이용하는 경우 실을 고정시키는 투명 접착부재(520)가 보조 프레임(600)과 함께 분리되어 투명 접착부재(520)에 의한 제1문양(300)의 장식미가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접합유리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접합유리는 직조 프레임을 이용하여 실의 양 단부를 잡아당겨 판유리 상에서 텐션을 갖는 직선형으로 구현함으로써, 다양한 문양을 갖는 접합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실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므로 한 쌍의 판유리 내부에서 입체감을 갖는 문양을 형성할 수 있으며, 금사(金絲), 은사(銀絲) 등과 같은 다양한 색상의 실로 구성되거나, 반짝이 등의 기능을 갖는 실로 구성되어, 더욱 다양한 미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접합유리는 서로 마주보면서 대향되는 상부 판유리(100u)와 하부 판유리(100d)가 접합필름(200)에 의하여 일체로 접합되며, 한 쌍의 판유리 사이에는 제1문양(300)이 개입되어 접합유리를 장식한다.
상기 제1문양(300)은 한 쌍의 판유리(100) 사이에 개입되어 한 쌍의 판유리(100)에 의하여 보호되고 접합필름(200)에 의하여 밀봉되므로, 공기나 빛과 같은 외부 환경에 의한 변형이 쉽게 발생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의 제1문양(300)은 실(y)을 이용한 선형 또는 격자형의 무늬를 형성한다. 제1문양(300)을 형성하는 실(y)은 팽팽한 직선 형태를 이루며, 경화된 접합필름(200)에 의하여 밀봉되면서 한 쌍의 판유리 사이에서 직선 형태가 그대로 유지된다.
실이 형성하는 제1문양(3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실이 서로 교차 배치되어 격자 형상(사각 또는 마름모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실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직선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실은 소정의 각을 갖는 대각선 방향등 다양한 사선 방향의 직선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문양(300)은 직선 형태를 유지하는 실을 이용하여 다양한 무늬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합유리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형태의 실을 이용한 제1문양(300)과 함께 다른 재료를 이용한 제2문양(400)을 더 가질 수 있다. 제2문양(400)은 합성수지 필름에 무늬, 문자, 그림 등 소정의 패턴이 인쇄된 장식용 필름으로 구성되거나, 천, 종이, 건조화, 생화 등이 일정한 형태의 평면 문양으로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의 이미지가 판유리 일면에 프린팅 등으로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접합유리에서 직선으로 표현되는 문양은 판유리 표면에 인쇄, 식각 등의 방법으로 직접 표현되거나, 별도의 필름에 표현되어 판유리 사이에 개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직선 문양은 2차원 평면으로 표현되므로 외부에서 시인되는 미감이 단순해지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실을 이용하여 직선을 표현하는 경우 외부에서 3차원의 입체적 형상으로 시인되므로 더욱 화려한 미감을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 판유리 200 : 접합필름
300 : 제1문양 400 : 제2문양
500 : 직조 프레임 600 : 보조 프레임
520 : 투명 접착부재
y : 실

Claims (7)

  1. 삭제
  2. 비정형의 실을 한 쌍의 판유리 내부에 삽입하여 직선형의 문양을 형성하는 접합유리 제조방법에 있어서,
    비정형의 실이 직선형을 유지하도록 판유리보다 큰 직경의 직조 프레임 상에 직조하여 선형 또는 격자형의 문양을 형성하는 단계;
    판유리의 측면을 따라 보조 프레임을 밀착 배치하는 단계;
    직조된 실이 상기 판유리 및 상기 보조 프레임의 일면에 접하도록 상기 직조 프레임을 상기 보조 프레임 측부를 따라 배치하는 단계;
    직조된 실이 상기 판유리 일면에서 선형 또는 격자형의 문양을 유지하도록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직조된 실을 상기 보조 프레임의 표면에 고정하는 단계;
    직조된 실이 상기 보조 프레임에 고정된 후, 상기 보조 프레임과 상기 직조 프레임 사이에 연결된 실을 절단하여 상기 보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직조 프레임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보조 프레임을 매개로 직조된 실이 선형 또는 격자형의 문양을 형성하고 있는 상기 판유리와 다른 판유리 사이에 접합필름과 장식필름을 삽입하여 한 쌍의 판유리를 접합하는 단계; 및
    접합된 한 쌍의 판유리와 상기 보조 프레임 사이에 연결된 실을 절단하여 접합된 한 쌍의 판유리로부터 상기 보조 프레임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을 이용한 직선형 문양을 갖는 접합유리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159986A 2016-04-19 2017-11-28 접합유리 제조방법 및 접합유리 KR102357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986A KR102357550B1 (ko) 2016-04-19 2017-11-28 접합유리 제조방법 및 접합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407A KR101805025B1 (ko) 2016-04-19 2016-04-19 접합유리 제조방법
KR1020170159986A KR102357550B1 (ko) 2016-04-19 2017-11-28 접합유리 제조방법 및 접합유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7407A Division KR101805025B1 (ko) 2016-04-19 2016-04-19 접합유리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308A KR20170133308A (ko) 2017-12-05
KR102357550B1 true KR102357550B1 (ko) 2022-01-28

Family

ID=80051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986A KR102357550B1 (ko) 2016-04-19 2017-11-28 접합유리 제조방법 및 접합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755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4292A (ja) * 1998-07-28 2000-02-15 Nippon Sheet Glass Co Ltd ガラスパネルのスペーサ固定方法及びガラス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98983B2 (en) 2004-12-07 2007-11-20 Xerox Corporation Method for detecting lateral surface charge migration through double exposure averaging
US20100104989A1 (en) 2007-04-03 2010-04-29 Martin Assmann Burner arrangement
KR20080068518A (ko) * 2007-09-20 2008-07-23 김강득 이중유리 제조방법
KR101210446B1 (ko) * 2010-08-18 2012-12-10 주식회사 씨쓰리 장식무늬판 및 조형물이 구비된 복층유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4292A (ja) * 1998-07-28 2000-02-15 Nippon Sheet Glass Co Ltd ガラスパネルのスペーサ固定方法及びガラス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308A (ko) 201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1066B2 (en) Structured-core laminate panel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KR101660897B1 (ko) 장식 무늬층을 갖는 접합유리의 그 제조방법
US20180195216A1 (en) Mesh fabric structure and mesh fabric material
US20030148076A1 (en) Composite fabric for shoes
KR101718780B1 (ko) 접합유리 제조방법
KR102357550B1 (ko) 접합유리 제조방법 및 접합유리
KR101805025B1 (ko) 접합유리 제조방법
US8968854B2 (en) Resin panels with large decorative objects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20170013806A (ko) 장식 무늬층을 갖는 접합유리
KR20170119426A (ko) 접합유리 제조방법
KR20170119427A (ko) 접합유리 제조방법 및 접합유리
KR101965357B1 (ko) 자수문양이 내장된 판재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안경테의 제조방법
KR19990060551A (ko) 패션 글라스 및 그의 제조방법
US6984283B1 (en) Method of making image bearing laminated door/window screen with changeable images
KR20150003468U (ko) 장식용 접합 유리
KR101163541B1 (ko) 다양한 소재의 장식물 배치가 자유로운 장식 복층유리
KR20200105343A (ko) 장식용 복층유리
KR20060115985A (ko) 합성수지재 안경테의 문양형성방법
KR101547254B1 (ko) 장식패치를 갖는 장식직물 및 장식직물을 위한 장식패치의 배치방법
JPH11291409A (ja) 天然杢理が表出する化粧材とその製造法
JPH0673863A (ja) 装飾板の製造方法
KR102419422B1 (ko) 패턴이 형성된 기능성 원단
JP7084635B2 (ja) ステンドグラス様構造体の製造方法
EP0340924A2 (en) Method of forming a screen
JPH10151899A (ja) 模様入り装飾板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