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468U - 장식용 접합 유리 - Google Patents

장식용 접합 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468U
KR20150003468U KR2020140001943U KR20140001943U KR20150003468U KR 20150003468 U KR20150003468 U KR 20150003468U KR 2020140001943 U KR2020140001943 U KR 2020140001943U KR 20140001943 U KR20140001943 U KR 20140001943U KR 20150003468 U KR20150003468 U KR 201500034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glass
glass plates
pattern
decorati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19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수
Original Assignee
김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수 filed Critical 김인수
Priority to KR20201400019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3468U/ko
Publication of KR201500034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46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4Joining glass to metal by means of an interlayer
    • C03C27/042Joining glass to metal by means of an interlayer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materials selected from glass, glass-ceramic or ceramic material with metals, metal oxides or metal salts

Abstract

본 고안은 장식용 접합 유리에 관한 것으로, 2개의 유리판 사이에 별도의 장식 부재를 삽입하여 접합 필름과 함께 2개의 유리판 사이에 압착 접합함으로써, 장식 부재가 2개의 유리판 사이에서 외부로 투시되어 장식 효과가 부여되고, 장식 부재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더욱 다채롭고 화려한 장식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2개의 유리판 또는 접합 필름에 별도의 인쇄 문양을 형성하고 장식 부재와 함께 하나의 통일된 장식 문양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장식 효과를 부여할 수 있고, 다양한 장식 문양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제작상의 어려움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식용 접합 유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장식용 접합 유리{Laminated Glass for Decoration}
본 고안은 장식용 접합 유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2개의 유리판 사이에 별도의 장식 부재를 삽입하여 접합 필름과 함께 2개의 유리판 사이에 압착 접합함으로써, 장식 부재가 2개의 유리판 사이에서 외부로 투시되어 장식 효과가 부여되고, 장식 부재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더욱 다채롭고 화려한 장식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2개의 유리판 또는 접합 필름에 별도의 인쇄 문양을 형성하고 장식 부재와 함께 하나의 통일된 장식 문양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장식 효과를 부여할 수 있고, 다양한 장식 문양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제작상의 어려움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식용 접합 유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는 건물의 내외장재나 인테리어 용품 등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데, 종래 내외장재 등으로 사용되는 유리는 그 강도를 위해 주로 강화유리가 사용되었으나, 강화유리는 고가(高價)라는 문제가 있어서 최근에는 유리판을 접합하여 강도를 높인 접합 유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접합 유리는 유리판 사이에 중간층으로 합성수지필름을 개재시킴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한 유리의 파손시 충격물의 통과를 저지시키고 이로 인한 파편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으로 가정용, 공업용, 광학기기용 등 그 용도가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접합 유리는 2개의 평면 유리 사이에 접합 필름이 개재되어 접합되는데, 접합 필름으로는 일반적으로 PVB(Polyvinylbutyral)필름 또는 EVA(Ethyene Vinyl Acetate) 필름이 사용된다. 제작 방식은 2개의 평면 유리 사이에 접합 필름을 배치하고, 이 상태로 약 3시간 동안 고온, 고압을 가해 접합 필름을 유화시킴으로써 2개의 평면 유리들을 접착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와 같이 제작되는 접합 유리는 최근 안전성 중시 경향에 따라 실생활에 밀접한 공간에도 널리 사용되는 등 그 사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실내 공간 등에 대한 미감 향상을 위해 다양한 장식 효과가 부여된 장식용 접합 유리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접합 유리는 안전성만이 중시된 나머지 일반적으로 장식성이 가미되지 않았으며, 접합 필름에 색상을 염색하는 방식 등을 통해 접합 유리에 색상을 부여하는 정도의 장식성을 가미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199900호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2개의 유리판 사이에 별도의 장식 부재를 삽입하여 접합 필름과 함께 2개의 유리판 사이에 압착 접합함으로써, 장식 부재가 2개의 유리판 사이에서 외부로 투시되어 장식 효과가 부여되고, 장식 부재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더욱 다채롭고 화려한 장식성을 갖는 장식용 접합 유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2개의 유리판 또는 접합 필름에 별도의 인쇄 문양을 형성하고 장식 부재와 함께 하나의 통일된 장식 문양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장식 효과를 부여할 수 있고, 다양한 장식 문양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제작상의 어려움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식용 접합 유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2개의 유리판이 상기 2개의 유리판 사이에 배치된 접합 필름과 함께 상호 압착 접합되는 장식용 접합 유리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유리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접합 필름 사이에는 별도의 장식 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2개의 유리판 사이에 압착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접합 유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2개의 유리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리판의 내측면에는 별도의 인쇄 문양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식 부재는 상기 인쇄 문양과 함께 하나의 통일된 장식 문양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 필름에는 별도의 인쇄 문양이 형성되고, 상기 장식 부재는 상기 인쇄 문양과 함께 하나의 통일된 장식 문양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식 부재는 압화가 적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2개의 유리판 사이에 별도의 장식 부재를 삽입하여 접합 필름과 함께 2개의 유리판 사이에 압착 접합함으로써, 장식 부재가 2개의 유리판 사이에서 외부로 투시되어 장식 효과가 부여되고, 장식 부재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더욱 다채롭고 화려한 장식성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2개의 유리판 또는 접합 필름에 별도의 인쇄 문양을 형성하고 장식 부재와 함께 하나의 통일된 장식 문양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장식 효과를 부여할 수 있고, 다양한 장식 문양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제작상의 어려움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접합 유리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접합 유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접합 유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접합 유리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접합 유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접합 유리는 배경 기술에서 설명한 일반적인 접합 유리와 마찬가지로 2개의 유리판(100,200) 사이에 접합 필름(300)을 배치하고, 이 상태로 일정 시간 동안 고온, 고압을 가해 접합 필름(300)을 유화시킴으로써 2개의 유리판(100,200)을 압착 접착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때, 2개의 유리판(100,200) 사이에는 별도의 장식 부재(420)가 삽입되어 접합 필름(300)과 함께 2개의 유리판(100,200) 사이에 압착 접합되도록 구성된다.
즉, 2개의 유리판(100,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합 필름(300) 사이에 별도의 장식 부재(420)가 삽입되고, 이 상태로 고온, 고압을 가해 접합 필름(300)을 유화시켜 장식 부재(420)가 삽입된 상태로 2개의 유리판(100,200)을 압착 접합시키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투명한 2개의 유리판(100,200) 사이에 별도의 장식 부재(420)가 삽입된 상태로 2개의 유리판(100,200)이 압착 접합되므로, 접합 유리의 외부에서 장식 부재(420)가 육안 관찰되므로 장식 부재(420)를 통해 접합 유리에 장식성이 가미된다.
이러한 장식 부재(42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는데, 2개의 유리판(100,200)을 압착 접합하는 과정에서 2개의 유리판(100,200) 사이 공간에 기포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꽃잎을 압착하여 건조시킨 압화(押花)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압화는 인쇄 등의 방법으로 인위적으로 제작된 것이 아니라 자연 그대로의 꽃잎을 그대로 사용한 것으로 그 장식 효과가 매우 우수하며, 매우 얇게 형성되므로 2개의 유리판(100,200) 사이에서 그 두께로 인한 제작 불량이나 어려움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접합 유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유리판(100,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리판(200)의 내측면에 별도의 인쇄 문양(41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 2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 유리판(100)과 하측 유리판(200) 중 하측 유리판(200)의 내측면, 즉 상측 유리판(100)에 대향하는 면에 인쇄 문양(410)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와 달리 상측 유리판(100)의 내측면에 인쇄 문양(410)이 형성될 수도 있고, 상측 유리판(100)과 하측 유리판(200) 각각의 내측면에 모두 인쇄 문양(410)이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측 유리판(100)의 외측면 또는 하측 유리판(200)의 외측면에 인쇄 문양(410)이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인쇄 문양(410)이 접합 유리의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쇄 문양(410)이 훼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인쇄 문양(410)은 상측 유리판(100) 또는 하측 유리판(20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인쇄 문양(410)은 장식 부재(420)와 함께 하나의 통일된 장식 문양(400)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 부재(420)가 압화로 적용되고, 인쇄 문양(410)은 압화의 줄기를 이루는 꽃잎의 줄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인쇄 문양(410)은 꽃잎이 생략된 형태의 줄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장식 부재(420)로 적용된 압화는 이러한 줄기 형상의 인쇄 문양(410)에 꽃잎을 이루는 형태로 배치되어 2개의 유리판(100,200) 사이에 압착 접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인쇄 문양(410)과 장식 부재(420)를 통해 하나의 통일된 장식 문양(400)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접합 유리에 대한 장식 효과를 더욱 상승시킬 수 있다. 특히, 꽃잎과는 달리 줄기의 경우에는 그 두께로 인해 실제 자연 그대로의 줄기를 2개의 유리판(100,200) 사이에 삽입시키는 것이 매우 어려우므로, 꽃잎 장식의 경우에는 압화를 이용한 장식 부재(420)를 사용하고 줄기의 경우에는 인쇄 문양(410)을 사용함으로써, 제작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고, 그 장식 효과 또한 우수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장식 부재(420)는 유리판(200)에 인쇄 문양(410)이 형성된 상태에서 인쇄 문양(410)과의 위치를 고려하여 특정 위치에 안착되고, 이 상태로 접합 필름(300)과 함께 압착 접합된다.
이때, 장식 부재(4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문양(410)이 형성된 유리판(200)과 접합 필름(30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장식 부재(420)는 상측 유리판(100)과 접합 필름(30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외부에서 바라보는 경우 접합 필름(300) 두께로 인해 장식 부재(420)와 인쇄 문양(410)과의 어울림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인쇄 문양(410)이 형성된 하측 유리판(200)과 접합 필름(30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인쇄 문양(410)이 형성된 하측 유리판(200)의 내측면 특정 위치에 장식 부재(420)를 안착시키고, 이 상태에서 접합 필름(300)과 상측 유리판(100)을 적층시킨 후, 고온 고압을 가해 2개의 유리판(100,200)을 압착 접합함으로써, 장식 부재(420)가 2개의 유리판(100,200) 사이의 특정 위치에 삽입 접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접합 유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서는 인쇄 문양(410)이 2개의 유리판(100,20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인쇄 문양(410)은 접합 필름(30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문양(410)이 접합 필름(3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장식 부재(420)는 접합 필름(300)과 상측 유리판(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접합 필름(300)에 인쇄 문양(410)이 형성되는 경우, 접합 필름(300)의 두께가 매우 얇기 때문에, 인쇄 문양(410)은 상면 또는 하면 어느 면에 형성되어도 그 두께로 인한 장식 효과의 저하 현상은 크게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 필름(300)의 상면에 인쇄 문양(410)이 형성된 경우, 장식 부재(420)가 접합 필름(300)과 하측 유리판(200) 사이에 배치되더라도 외부에서 바라볼 때 그 장식 효과의 저하는 매우 미미할 것이다.
따라서, 인쇄 문양(410)이 접합 필름(300)에 형성된 경우에는 장식 부재(420)가 인쇄 문양(410)이 형성된 면에 접촉하거나 그 반대면에 접촉하거나 크게 상관없이 배치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유리판 300: 접합 필름
400: 장식 문양 410: 인쇄 문양
420: 장식 부재

Claims (5)

  1. 2개의 유리판이 상기 2개의 유리판 사이에 배치된 접합 필름과 함께 상호 압착 접합되는 장식용 접합 유리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유리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접합 필름 사이에는 별도의 장식 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2개의 유리판 사이에 압착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접합 유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유리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리판의 내측면에는 별도의 인쇄 문양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접합 유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 부재는 상기 인쇄 문양과 함께 하나의 통일된 장식 문양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접합 유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필름에는 별도의 인쇄 문양이 형성되고,
    상기 장식 부재는 상기 인쇄 문양과 함께 하나의 통일된 장식 문양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접합 유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 부재는 압화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접합 유리.

KR2020140001943U 2014-03-11 2014-03-11 장식용 접합 유리 KR2015000346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943U KR20150003468U (ko) 2014-03-11 2014-03-11 장식용 접합 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943U KR20150003468U (ko) 2014-03-11 2014-03-11 장식용 접합 유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468U true KR20150003468U (ko) 2015-09-21

Family

ID=54341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1943U KR20150003468U (ko) 2014-03-11 2014-03-11 장식용 접합 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346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780B1 (ko) * 2016-06-24 2017-03-24 현대안전유리공업(주) 접합유리 제조방법
KR20180003676U (ko) * 2017-06-20 2018-12-28 최미희 조립형 유리창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0556A (ko) * 2006-11-07 2006-11-27 김형준 복층 접합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100767013B1 (ko) * 2006-12-21 2007-10-15 백승필 천연장식물을 이용한 장식용 복층유리
KR20080003814U (ko) * 2007-03-05 2008-09-10 (주)웹토스 장식물을 내장한 유리를 갖는 수족관
KR20100104989A (ko) * 2009-03-20 2010-09-29 이용권 입체장식물이 고정된 장식 복층 유리
KR20130001878U (ko) * 2011-09-09 2013-03-19 최미희 페어 글라스 창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0556A (ko) * 2006-11-07 2006-11-27 김형준 복층 접합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100767013B1 (ko) * 2006-12-21 2007-10-15 백승필 천연장식물을 이용한 장식용 복층유리
KR20080003814U (ko) * 2007-03-05 2008-09-10 (주)웹토스 장식물을 내장한 유리를 갖는 수족관
KR20100104989A (ko) * 2009-03-20 2010-09-29 이용권 입체장식물이 고정된 장식 복층 유리
KR20130001878U (ko) * 2011-09-09 2013-03-19 최미희 페어 글라스 창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780B1 (ko) * 2016-06-24 2017-03-24 현대안전유리공업(주) 접합유리 제조방법
KR20180003676U (ko) * 2017-06-20 2018-12-28 최미희 조립형 유리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76973A (zh) 一种玻璃装饰画
KR20150003468U (ko) 장식용 접합 유리
KR101584282B1 (ko) 정교한 디자인 표현이 가능한 장식 복층유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63692Y1 (ko) 페어 글라스 창문
KR19990060551A (ko) 패션 글라스 및 그의 제조방법
EP1864794A3 (en) Decorative sheet, formed product and transportation apparatus
CN204510691U (zh) 一种彩色装饰板
KR101189813B1 (ko) 조립형 장식무늬판이 구비된 복층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05343A (ko) 장식용 복층유리
KR101518705B1 (ko) 배치가 자유로운 장식무늬판에 표면가공 문양이 접목된 장식유리
KR101647667B1 (ko) 입체 장식물을 갖는 장식용 복층 유리
KR101518704B1 (ko) 다양한 소재의 장식물 배치가 자유로운 장식유리
CN103073199A (zh) 装饰夹层玻璃
JP7084635B2 (ja) ステンドグラス様構造体の製造方法
CN2615240Y (zh) 嵌贴玻璃
JP3146062U (ja) 脚付容器
WO2017046877A1 (ja) 装飾具
KR101297502B1 (ko) 수전금구의 자개문양 가공방법
CN207243744U (zh) 内雕涂层玻璃
KR101008469B1 (ko) 착색 자개 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3195168U (ja) 装飾板
KR100834527B1 (ko) 쥬얼리 벽지 및 그 제조방법
CN207350759U (zh) 一种具有立体效果的空调弧形面板
CN202923279U (zh) 工艺装饰品
KR200319385Y1 (ko) 크리스탈 장식용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