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4989A - 입체장식물이 고정된 장식 복층 유리 - Google Patents

입체장식물이 고정된 장식 복층 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4989A
KR20100104989A KR1020090023761A KR20090023761A KR20100104989A KR 20100104989 A KR20100104989 A KR 20100104989A KR 1020090023761 A KR1020090023761 A KR 1020090023761A KR 20090023761 A KR20090023761 A KR 20090023761A KR 20100104989 A KR20100104989 A KR 20100104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dimensional
decoration
decorative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3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권
Original Assignee
이용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권 filed Critical 이용권
Priority to KR1020090023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4989A/ko
Publication of KR20100104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9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05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compris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04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omprising false glazing bars or similar decorations between the p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장의 유리를 복층으로 중첩하고, 유리 사이에는 일정한 장식물을 개입시킴으로써, 유리의 장식미를 높인 장식 복층 유리에 있어서, 복층 유리를 이루는 2장의 유리 사이에, 천, 종이, 건조화, 건조수목, 금속, 유리 보석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3차원으로 형성한 입체장식물을 삽입하여 장식을 하되, 상기 2장의 유리 사이에는, 상기 입체장식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용하여 입체장식물이 제자리에서 유격하거나 정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막아 줄 정도의 공간을 갖는 완전폐쇄형 포켓이나 부분 개방형 포켓이 마련된, 입체공간형성틀을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의하면, 천(면, 합성섬유, 실크, 나이론 등) 또는 종이와 같은 부드러운 소재를 활용한 조화, 리본 등의 입체장식물이나, 건조화, 건조식물 등을 이용한 천연 입체장식물이나, 유리, 금속 또는 합성수지 등을 가공하여 만든 인조 입체장식물을, 포켓에 삽입하고 상하면에 유리를 고정시키는 것만으로도, 입체장식물이 제자리에서 움직이거나 제자리로 부터 일탈하지 않으며 이음도 발생시키지 않게 되어, 입체장식물이 포함된 장식 복층 유리를 도어나 창호에 널리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유리 장식에서 입체장식물이 가지고 있는 입체감과 장식적 미감을 최대한 살릴 수 있고, 각 포켓에 삽입하는 입체장식물의 종류를 바꾸는 것만으로도 유리 장식의 형상, 모양 및 색감을 용이하게 바꿀 수 있게 되므로, 소비자의 기호와 주문에 따라 다양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복층 유리, 입체장식물

Description

입체장식물이 고정된 장식 복층 유리{DUPLEX WINDOW GLASS WITH FIXED SOLID DECORATION}
본 발명은 장식 복층 유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2장의 유리를 복층으로 중첩하고, 유리 사이에는 일정한 장식물을 개입시킴으로써, 유리의 장식미를 높인 장식 복층 유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장식 복층 유리가 다양한 방법으로 만들어져 왔다. 가장 일반적으로는 유리 사이에 평면 장식재를 개입시켜 유리의 장식미를 높이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즉, 천이나 종이를 이용하여 일정한 형태의 평면 문양을 형성하여 유리속에 삽입하거나, 천이나 종이로 조화를 만들어 납작하게 평면 형태로 눌러 유리속에 삽입하거나, 생화를 압착하여 평면 형태로 눌러 말린 압화(壓花)를 유리속에 삽입하는 방법이 종래 부터 복층 유리 장식에 사용되어 온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복층 유리 장식 방법들은 평면 장식물을 사용하게 되므로 입체적인 미감을 주지 못한다. 뿐만 아니라, 소재가 얇아야 하고, 두꺼운 소재의 경우에도 얇게 압착하여 사용하는야 하는 제약이 있다.
근래에는 얇은 유리를 삭각하여 일정한 문양을 만들고, 이 것을 복층 유리의 접합면에 부착하는 장식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유리를 조각하여 문양을 만드는 공정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유리 장식재를 접착제에 의하여 복층 유리의 접합면에 부착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생산성이 매우 떨어진다.
또한 근래에는 강철, 알루미늄 등 금속 소재를 이용하여 장식틀을 만들고, 이 장식틀을 복층 유리 사이에 삽입하여 복층 유리를 장식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장식틀은 강철이나 알루미늄 등 금속 소재의 선재나 판재를 단조하여 나무 가지나 화초 등의 형태로 얇게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금속 소재를 이용한 장식틀의 그 성형이 어려워 단순한 형태의 형상이나 무늬를 형성할 수 있지만, 복잡한 형태나 모양을 형성하기 어렵고, 단조 가공의 특성상 양산하기 어려우며, 소량 주문생산이 되다 보니 생산성이 떨어지고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다.
이러한 이러한 금속소재 단조 장식틀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장식틀이 최근에 보급되고 있는 목재 장식틀이다. 목재 장식틀은 주로 중밀도섬유판(MDF) 또는 고밀도섬유판(HDF) 등을 레이저 절단기로 일정한 평면형상을 갖도록 절단가공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목재 장식틀 역시 금속 소재 단조 장식틀과 마찬가지로, 형상 및 모양을 크게 변형시키기 어렵고, 색상이나 무늬 등을 섬세하고, 고상하게 표현하기 어려워 세련된 미감을 요구하는 다양한 소비자들의 욕구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상술한 종래 장식 복층 유리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은, 천, 종이, 생화 등을 이용하여 3차원 형태로 만든 입체장식물(리본, 조화, 건조화 등)을 평탄화하지 않고 그대로 유리 장식에 사용할 수 있는 장식 복층 유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층 유리 창호 시공자가 최종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손쉬운 방법으로 유리 장식을 변경할 수 있는 구조의 장식 복층 유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리 장식에 작은 변화를 주어 다양한 미감을 섬세하고 세련되게 살릴 수 있는 구조의 장식 복층 유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장식물이 고정된 장식 복층 유리는 복층 유리를 이루는 2장의 유리 사이에, 천, 종이, 건조화, 건조수목, 금속, 유리, 보석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3차원으로 형성한 입체장식물을 삽입하여 장 식을 하되, 상기 2장의 유리 사이에는, 상기 입체장식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용하여 입체장식물이 제자리에서 유격하거나 정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막아 줄 정도의 공간을 갖는 완전폐쇄형 포켓이나 부분 개방형 포켓이 마련된, 입체공간형성틀을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일정한 넓이 및 높이를 가진 입체공간형성틀의 포켓을 활용하면, 천(면, 합성섬유, 실크, 나이론 등) 또는 종이와 같은 부드러운 소재를 활용한 조화, 리본 등의 입체장식물이나, 건조화, 건조식물 등을 이용한 천연 입체장식물이나, 유리, 금속 또는 합성수지 등을 가공하여 만든 인조 입체장식물을, 포켓에 삽입하고 상하면에 유리를 고정시키는 것만으로도, 입체장식물이 제자리에서 움직이거나 제자리로 부터 일탈하지 않으며 이음도 발생시키지 않게 되어, 입체장식물이 포함된 장식 복층 유리를 도어나 창호에 널리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유리 장식에서 입체장식물이 가지고 있는 입체감과 장식적 미감을 최대한 살릴 수 있고, 각 포켓에 삽입하는 입체장식물의 종류를 바꾸는 것만으로도 유리 장식의 형상, 모양 및 색감을 용이하게 바꿀 수 있게 되므로, 소비자의 기호와 주문에 따라 다양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입체장식물이 고정된 장식 복층 유 리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장식 복층 유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일부만 포켓에 고정되는 입체장식물에 대한 예시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장식 복층 유리의 조립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에서는 입체장식물로 천 또는 종이로 만든 조화(5a, 5c , 5d)와, 천으로 만든 리본(9)과, 생화를 건조시켜 만든 건조화(5b)를 사용하는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입체장식물은 천, 종이, 건조화, 건조수목, 금속, 유리, 보석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3차원으로 형성한 모든 입체장식물을 포함한다. 이 가운데 특히, 신축성이 있는 소재인 천, 종이, 생화, 건조수목 등으로 형성한 입체장식물이 포켓(3a, 3b, 3c, 3d)에 고정하기 용이하고, 가벼우므로, 더 바람직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입체장식물이 고정된 장식 복층 유리는 입체공간형성틀(7a) 상하면에 적층되는 2장의 유리(1a, 1b)와, 상기 입체공간형성틀(7a)에 구비된 포켓(3a, 3b, 3d)과, 상기 포켓(3a, 3b, 3d)에 채워져 고정되는 입체장식물(5a, 5b, 5c)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상기 입체공간형성틀(7a)은 강철봉, 알루미늄봉 등의 금속봉을 단조하여 성형하거 나, 강철판, 알루미늄판 등을 프레스로 펀칭하여 성형하거나, 합성수지 판을 프레스로 펀칭하여 성형하거나, MDF 판 등 목재판을 절단기로 절단하여 성형한다. 입체공간형성틀(7a)의 높이(두께)는 전체적으로 균일한 높이(두께)를 갖도록 형성하고, 그 넓이는 상하에 고정되는 유리의 넓이와 부합되게 형성한다.
상기 포켓(3a, 3b, 3d)의 높이는 상기 입체공간형성틀(7a)의 높이와 같으나, 그 넓이 및 평면 형상은 삽입되는 입체장식물(5a, 5b, 5c)에 맞게 다양한 크기로 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된 건조화(5b)는 꽃받침(11)가 하부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건조화95b)를 위한 포켓(3b)는 건조화(5b)의 일부(11)만을 수용할 수 있는 넓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할 경우, 포켓(3b) 상면을 꽃이 덮게 되어 포켓 내부에 입체장식물이 수용될 때와는 다른 자연스런 미감을 주게 된다. 상기 포켓(3a, 3b, 3d)의 넓이는 입체장식물(5a, 5b, 5c)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용하여 입체장식물이 제자리에서 유격하거나 정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막아 줄 정도의 공간을 갖으면 충분하한다. 또한, 상기 포켓은 입체장식물이 제자리에서 유격하거나 정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막아 줄 정도면 완전폐쇄형 포켓(3a, 3b)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일부분이 개방된 부분 개방형 포켓(3d)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체장식물을 천, 종이, 생화, 건조수목 등 부피를 신축시킬 수 있는 소재로 성형할 경우, 그 높이를 상기 포켓의 높이 보다 높게 하면, 입체공간형성틀 상하에 유리를 부착할 때, 유리에 의하여 입체장식물의 높이가 포켓의 높이로 수축되므로, 포켓(3a, 3b, 3d) 내부에 입체장식물(5a, 5b, 5c)를 매우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복층 유리를 이루는 2장의 유리(1a, 1b) 사이에, 포켓(3a, 3b, 3d)이 형성된 입체공간형성틀(7a)을 개재시키고, 포켓 공간을 활용하여 면, 합성섬유, 실크 나이론 등의 천과 종이와 같은 부드러운 소재를 활용한 조화나 리본, 그리고 건조화와 같은 입체장식물들을 고정함으로써 유리 장식을 하는 데 본원 발명의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입체장식물의 두께와 넓이에 따라 입체장식물이 입체공간형성틀의 포켓 공간을 다르게 만들어주고, 입체장식물가 빠지지 않도록 포켓을 완전 폐쇄형태의 포켓(3a, 3b) 또는 테두리 일부를 약간 개방한 개방한 부분 개방형태의 포켓(3d)으로 만들어 준다. 유리 장식 작업시에는 완성된 입체공간형성틀(7a) 및 포켓(3a, 3b, 3d)에 맞는 입체장식물을 선택하여 포켓(3a, 3b, 3d)에 그 전부 또는 일부가 수용되게 하고, 유리를 복층하는 것으로 고정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입체공간형성틀(7a)의 포켓(3a, 3b, 3d)에 입체장식물(5a, 5b, 5c)를 고정함에 있어서, 탄력있고 부드러운 입체장식물의 두께는 유리를 복층하기 전에 입체공간형성틀 또는 포켓의 두께보다 약간 두꺼운 것을 사용하고, 유리를 복층할 때 유리가 누르는 압력에 의해 입체장식물의 두께가 포켓의 두께와 일치되어지면서 고정 되게 할 수 있다. 필요할 경우에는 양면테이프를 유리와 맞 닫는 입체장식물의 중심 부근에 작은 크기로 잘라 붙여 고정을 더 견고하게 할 수도 있 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복잡하고 까다로운 고정수단없이 입체장식물을 입체공간형성틀의 원하는 지점에 쉽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입체장식물을 핀이나 실, 본드 등으로 고정하지 않아도 입체장식물의 부드러움과 탄력성 때문에 일체의 소음이나 일탈이 발생하지 않는다.
특별한 고정장치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입체공간형성틀(7a)에 포켓(3a, 3b, 3d)을 다양하게 만들어 그 공간에 다양한 입체장식물들을 넣고 유리를 복층하여 만드는 이러한 방법은 생산성을 극대화시키고 소비자의 요구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포켓(3a, 3b, 3d)에 삽입되는 입체장식물(5a, 5b, 5c)의 종류, 형상, 모양 및 색상을 매우 용이하게 교체함으로써, 복층 유리 장식의 디자인을 매우 다양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장식 복층 유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장식 복층 유리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 복층 유리에 사용되는 입체공간형성틀(7b) 및 포켓(3c, 3d)이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 질 수 있음을 보여 준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본 입체장식물로 리본(9) 등 다양한 형태의 입체물이 유리 장식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장식 복층 유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일부만 포켓에 고정되는 입체장식물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장식 복층 유리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장식 복층 유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장식 복층 유리의 조립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a, 1b : 유리 3a, 3b, 3c, 3d : 포켓
5a, 5b, 5c, 5d, 9 : 입체장식물 7a, 7b : 입체공간형성틀

Claims (2)

  1. 복층 유리를 이루는 2장의 유리 사이에, 천, 종이, 건조화, 건조수목, 금속, 유리 보석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3차원으로 형성한 입체장식물을 삽입하여 장식을 하되, 상기 2장의 유리 사이에는, 상기 입체장식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용하여 입체장식물이 제자리에서 유격하거나 정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막아 줄 정도의 공간을 갖는 완전폐쇄형 포켓이나 부분 개방형 포켓이 마련된, 입체공간형성틀을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장식물이 고정된 장식 복층 유리.
  2. 제 1 항에서 상기 입체장식물은 부피를 신축시킬 수 있는 소재로 성형하고, 그 높이는 상기 포켓의 높이 보다 높게 하여, 입체공간형성틀 상하에 유리를 부착할 때, 유리에 의하여 입체장식물의 높이가 포켓의 높이로 수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장식물이 고정된 장식 복층 유리.
KR1020090023761A 2009-03-20 2009-03-20 입체장식물이 고정된 장식 복층 유리 KR201001049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761A KR20100104989A (ko) 2009-03-20 2009-03-20 입체장식물이 고정된 장식 복층 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761A KR20100104989A (ko) 2009-03-20 2009-03-20 입체장식물이 고정된 장식 복층 유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989A true KR20100104989A (ko) 2010-09-29

Family

ID=43009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3761A KR20100104989A (ko) 2009-03-20 2009-03-20 입체장식물이 고정된 장식 복층 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4989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925B1 (ko) * 2011-08-08 2012-06-22 우명수 페어 글래스를 이용한 창호용 중간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470019Y1 (ko) * 2011-12-22 2013-11-20 구현서 모빌 창호
KR20150003468U (ko) * 2014-03-11 2015-09-21 김인수 장식용 접합 유리
KR101647667B1 (ko) 2015-02-17 2016-08-11 윤지원 입체 장식물을 갖는 장식용 복층 유리
KR101660897B1 (ko) * 2015-07-28 2016-09-28 윤지원 장식 무늬층을 갖는 접합유리의 그 제조방법
KR20210087807A (ko) 2020-01-03 2021-07-13 윤철 리본 장식을 갖는 단조형 복층 유리창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925B1 (ko) * 2011-08-08 2012-06-22 우명수 페어 글래스를 이용한 창호용 중간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470019Y1 (ko) * 2011-12-22 2013-11-20 구현서 모빌 창호
KR20150003468U (ko) * 2014-03-11 2015-09-21 김인수 장식용 접합 유리
KR101647667B1 (ko) 2015-02-17 2016-08-11 윤지원 입체 장식물을 갖는 장식용 복층 유리
KR101660897B1 (ko) * 2015-07-28 2016-09-28 윤지원 장식 무늬층을 갖는 접합유리의 그 제조방법
KR20210087807A (ko) 2020-01-03 2021-07-13 윤철 리본 장식을 갖는 단조형 복층 유리창호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4989A (ko) 입체장식물이 고정된 장식 복층 유리
KR101287316B1 (ko) 한지 공예품 및 이의 제조 방법
CN204605362U (zh) 立体压凸水晶贴纸
KR100830597B1 (ko) 가죽패드를 구비한 키홀더의 장식부 형성방법
CN208310077U (zh) 一种自由拼接的条型拼花地板
KR20100081780A (ko) 입체무늬 한지장식판
CN207241273U (zh) 一种立体镶嵌玻璃
CN201300651Y (zh) 组合立体凹凸装饰面材
KR100711565B1 (ko) 직물치장 입체무늬 화장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387350Y1 (ko) 화환용 장식
KR100484908B1 (ko) 대나무편과 목재를 사용한 보관함 및 그 제조방법
CN107965115A (zh) 一种自由拼接的条型拼花地板
CN202744459U (zh) 一种装饰夹层玻璃
US20060248756A1 (en) Vivid three-dimensional illustrated card and method to fabricate the vivid three-dimensional illustrated card
CN214727833U (zh) 包含平面干燥植物的装饰结构及工艺品
CN215837459U (zh) 一种新型团扇
KR102275518B1 (ko) 시트 위에 양각부가 돌출된 장식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50003B1 (ko) 가죽 지갑용 장식부의 형성방법
KR200270586Y1 (ko) 목재 박판을 이용한 장신구
JP3115436U (ja) 草花装飾付き収納箱
KR101444755B1 (ko) 한지 악세사리 및 그 제조방법
KR200286476Y1 (ko) 알 껍질을 이용한 장신구
KR200373534Y1 (ko) 종이 액세서리
JP3201550U (ja) 押し花飾
JP6438862B2 (ja) 装飾画材、装飾画材組み込み体、ステンドガラス調装飾ボード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