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1780A - 입체무늬 한지장식판 - Google Patents

입체무늬 한지장식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1780A
KR20100081780A KR1020090001179A KR20090001179A KR20100081780A KR 20100081780 A KR20100081780 A KR 20100081780A KR 1020090001179 A KR1020090001179 A KR 1020090001179A KR 20090001179 A KR20090001179 A KR 20090001179A KR 20100081780 A KR20100081780 A KR 20100081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imensional
pattern
decorative
hanj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1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형근
Original Assignee
정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형근 filed Critical 정형근
Priority to KR1020090001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1780A/ko
Publication of KR20100081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17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B44C3/025Superimposing layers to produce ornamental relief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38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stone element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공예품의 표면 적소에 부착되어 입체적인 장식무늬를 형성하는 입체무늬 한지장식판에 있어서,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평판의 형상으로, 계획된 문양대로 무늬공을 형성하고, 무늬공을 제외한 잔여부분이 장식무늬를 표출하는 장식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입체판과, 상기 입체판의 상단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입체판의 입체감을 표현하기 위해 무늬공과 장식부를 따라 밀착하여 이루어진 한지로 구성된 입체무늬 한지장식판에 관한 것으로, 뚜렷하고 고급스러운 전통의 입체무늬를 간편한 방법으로 손쉽게 공예품에 표현할 수 있고, 입체판의 재질을 다양한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어, 크기과 용도에 따라 적절한 입체판을 형성할 수 있으며, 입체판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작업을 간소화하여 생산이 용이하고, 다수의 입체판을 여러 형태로 조합하여 다양한 입체무늬의 제공할 수 있으며, 입체무늬 한지장식판과 공예품의 연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상 미려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입체무늬, 한지 장식, 공예, 지점토, 하드보드지, 연질수지, 색지

Description

입체무늬 한지장식판{Korean paper decoration panel with solid pattern}
본 발명은 입체무늬 한지장식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소재로 입체무늬를 형성하여 구성된 입체판을 다수 조합하고, 사기 입체판의 입체무늬가 또렷히 표현될 수 있도록 한지를 밀착시켜 구성하며, 이를 간편한 방법으로 손쉽게 공예품에 부착하여 입체무늬를 형성토록 하는 입체무늬 한지장식판에 관한 것이다.
한지는 한국 고유의 기법으로 뜬 독특한 종이를 일컫는 말로, 닥나무를 비롯하여 뽕나무, 삼지닥나무, 산닥나무 등의 껍질로부터 얻은 인피섬유를 이용하여 전통적인 수록지 초지방법으로 생산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 특유의 무늬는 우리나라 전통의 멋을 잘 나타냄에 따라 각종 장식 및 마감용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과거에는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여러 가지 기능성을 가지는 종이를 쉽게 얻을 수 있게 되면서 한지는 서예가, 동양화가, 미술공예가와 같은 예술가들이 주요 소비층으로 한정되고 있어 시장성이 점차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었으나, 최근 들어서는 우리나라 특유의 고전적인 아름다움과 파스텔톤의 따뜻한 느낌을 주는 한지 장식이 여타 일반 장식에 비하여 그 사용량이 점점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한지는 매우 부드러운 질감이 표현되고 색상을 입혔을 때 여타 종이에서는 느낄 수 없는 색다른 느낌을 주는 효과가 있어, 각종 공예품의 마감용 소재로 널리 쓰이고 있으며, 그 방법이 매우 정교하고 고도의 기술이 요구되어 전문가들의 분야로 한정되었던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한지공예가 전문가들의 분야를 벗어나 일반인들이 취미생활로 선택되고 있으며, 종래에 대비하여 쉽고 간편하게 한지공예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방법이 제시된 바 있으며, 이에 따라 한지가 입체판에 견고히 밀착하여 무엇보다 뚜렷하고 고급스러운 입체무늬를 표현할 수 있고, 간편한 방법으로 손쉽게 공예품과 같은 장식할 표면에 이를 부착할 수 있으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그 형상이 유지될 수 있어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고, 한지의 이음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장식수단의 제공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 입체무늬 한지장식판은 무엇보다 뚜렷하고 고급스러운 전통의 입체무늬를 간편한 방법으로 손쉽게 공예품에 표현할 수 있고, 입체판의 재질을 다양한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어, 크기과 용도에 따라 적절한 입체판을 형성할 수 있으며, 입체판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작업을 간소화하여 생산이 용이하고, 다수의 입체판을 여러 형태로 조합하여 다양한 입체무늬의 제공할 수 있으며, 입체무늬 한지장식판과 공예품의 연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상 미려한 입체무늬 한지장식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종 공예품의 표면 적소에 부착되어 입체적인 장식무늬를 형성하는 입체무늬 한지장식판에 있어서,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평판의 형상으로, 계획된 문양대로 무늬공을 형성하고, 무늬공을 제외한 잔여부분이 장식무늬를 표출하는 장식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입체판과, 상기 입체판의 상단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입체판의 입체감을 표현하기 위해 무늬공과 장식부를 따라 밀착하여 이루어진 한지로 구성된 입체무늬 한지장식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 입체무늬 한지장식판에 따르면, 뚜렷하고 고급스러운 전통의 입체무늬를 간편한 방법으로 손쉽게 공예품에 표현할 수 있고, 입체판의 재질을 다양한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어, 크기과 용도에 따라 적절한 입체판을 형성할 수 있으며, 입체판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작업을 간소화하여 생산이 용이하고, 다수의 입체판을 여러 형태로 조합하여 다양한 입체무늬의 제공할 수 있으며, 입체무늬 한지장식판과 공예품의 연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상 미려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 입체무늬 한지장식판의 기술적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a는 본 발명 입체무늬 한지장식판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 입체무늬 한지장식판의 사용상태도로서, 본 발명 입체무늬 한지장식판은 각종 공예품의 표면 적소에 부착되어 입체적인 장식무늬를 형성하는 입체무늬 한지장식판에 있어서,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평판의 형상으로, 계획된 문양대로 무늬공(110)을 형성하고, 무늬공(110)을 제외한 잔여부분이 장식무늬를 표출하는 장식부(120)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입체판(100);
상기 입체판(100)의 상단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입체판(100)의 입체감을 표현하기 위해 무늬공(110)과 장식부(120)를 따라 밀착하여 이루어진 한지(200)로 이루어진 것을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체판(10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평판의 형상으로, 계획된 문양대로 무늬공(110)을 형성하고, 무늬공(110)을 제외한 잔여부분이 장식무늬를 표출하는 장식부(120)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구성으로, 성형이 용이하고, 적당한 강도를 유지 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그 중에서도 특히 자극이 적고 종이재질인 지점토를 이용하여 입체판(100)을 구성할 수 있다. 물과 혼합된 지점토는 성형이 용이하므로 성형판으로 찍어내거나, 손으로 소정의 입체형상을 만드는 방식 등으로 성형하여 입체무늬를 형성하되 곳곳에 무늬공(110) 및 장식부(120)를 형성하고, 이를 건조하여 적당한 강도를 같는 딱딱한 입체판(100)으로 형성한다. 또한, 지점토는 수분을 공급하면 깨지지 않고 휘어지는 성질이 있어, 평면 뿐 아니라, 곡면에도 입체무늬 한지장식판(10)을 휘어지도록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체판(100)은 하드보드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드보드지를 소정의 형태로 절단하고, 입체감을 나타내도록 문양에 따라 천공하여 천공된 부분이 무늬공(110)이 되고 천공되지 않은 부분은 장식부(120)가 되어 입체무늬를 형성한다. 하드보드지는 적정 강도를 구비하면서도, 어느 정도의 휘어짐이 가능하고, 그 재질이 종이로 구성되므로 중량이 가벼워 입체판(100)으로 사용하기 매우 적절하다.
또한, 상기 입체판(100)은 연질수지로 구비될 수 있다. 연질수지의 경우 입체무늬의 형상에 맞추어 프레스작업 및 펀칭작업으로 입체판(100)을 찍어내어 무늬공(110) 및 장식부(120)를 형성하는 것이며, 그 형상이 견고하게 유지됨과 동시에 매우 유연하여 절곡할 수 있어 요철이 심한 표면이나, 곡선형으로 이루어진 공예품(20)에 입체판(100)을 견밀히 부착하여 입체무늬를 보다 입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한 내용에 의하면 입체판(100)이 직사각형 뿐 아니라, 도 10 내지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그 재질은 지점토, 하드보드지, 연질수지로 구성된다고 명시하였으나. 상기한 소재 뿐 아니라, 금속재를 비롯하여 목재, 직물과 같은 다양한 소재로 입체판(100)을 형성할 수 있음을 분명히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입체판(100)은 무늬공(110)과 장식부(120)가 연결되도록 다수의 조각판(500)을 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판형의 평면 소재에 양각의 입체무늬를 형성하는 방식으로는 레이저 및 톰슨기게를 이용한 가공방법이 있으며, 톰슨방식을 통한 무늬형성방법은 목형의 내구성이 저하되어 반복작업이 어렵고, 넓은면을 한번에 가공하기 어려우며, 섬세하고 예리한 각의 표현을 기대할 수 없는 단점이 있고, 레이저를 이용한 무늬형성방법의 경우 무늬공(110)을 타공하기 위한 가공시간이 오래 걸려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어, 큰 크기의 입체판(100)을 제작할 경우, 톰슨방식 및 레이저방식을 적절히 사용하여 작은크기의 조각판(500)을 다수개 가공하여 입체판(100)을 형성하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큰 사이즈의 입체판(100)은 한번에 작업하기가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조각판(500)이 상호 조합될 경우 입체판(100)을 형성하여 무늬공(110)과 장식부(120)가 연정될 수 있도록 작은 사이즈의 조각판(500)을 작업하고, 조각판(500)을 무늬공(110)과 장식부(120)가 상호 연결하도록 조합하여 입체판(100)을 형성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무늬공(110) 및 장식부(120)로 구성된 입체판(100)의 입체무늬는 도 1a 내지 14에 도시된 다양한 실시예를 비롯하여 태극무늬, 격자형무늬, 꽃무늬와 같이 공지된 다양한무늬 및 개인의 취향에 따른 무늬 구비될 수 있다.
한지(200)는 상기 입체판(100)의 상단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도 6a 및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체판(100)의 입체감을 표현하기 위해 무늬공(110) 및 장식부(120)를 따라 밀착하여 이루어진 구성으로, 상기 한지(200)는 입체판(100)의 상단에 구비되어 입체판(100)과 밀착하여 감싸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참고로, 상기 입체판(100)은 지점토로 구성될 경우 자체적으로 소정의 접착력을 구비하므로, 한지(200)와 입체판(100)에 수분을 공급하여 건조되면거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입체판(100)이 하드보드지 및 연질수지와 같은 소재로 구성될 경우에는 자체적인 접착력이 없으므로 한지(200)와 입체판(100)의 접착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그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접착층을 형성하여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지(200)는 입체판(100)보다 크게 구비되며, 입체판(100)에 접하고 남은 테두리(210) 부분은 이를 공예품(20)에 부착할 경우보다 테두리(210)부분이 동시에 부착되므로 입체무늬 한지장식판(10)의 부착력이 향상되고, 또한 이음부위가 보다 자연스럽게 연출될 수 있으며, 지점토의 경우 보관 또는 작업 중 그 형태가 손상되더라도 한지(200)로 둘러싸인 지점토는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어 수분을 공급하여 복원하는 등의 방식을 통해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한지(200)는 공지된 다양한 한지 외에도 특히 장섬유를 함유하는 한지로 구비되도록 하며, 그 테두리(210) 부분을 가위나 칼 등으로 자르지 않고, 손으로 찢어서 장섬유를 외부로 노출시켜, 공예품(20) 적소에 한지(200)의 테두리(210)가 은은하게 연결되어 마치 일체로 형성된듯한 효과를 나타내어 자연스럽게 부착되도록 한다.
상기 장섬유는 섬유의 길이가 일반섬유보다 긴 섬유로서, 닥나무, 삼지닥나무, 산닥나무, 뽕나무, 양마, 황마, 대마, 아마, 모시풀, 어저귀, 신서란, 마닐라삼, 뉴질랜드삼, 사이잘삼, 부용 등의 천연 식물에서 추출된 길이가 길다란 식물성 섬유를 일컬으며, 장섬유가 함유된 한지는 섬유질이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게 노출되어 외관상 미려하고, 자연스러우며,재질잠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지(200)는 표면에 수분을 공급하여 한지(200)가 인장되면서 입체판(100)의 무늬공(110) 및 장식부(120)에 밀착되어 입체적인 표현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다.
한지(200)는 섬유질로 구성되어 인장력이 뛰어나므로, 수분을 공급하고 지긋히 눌러주거나 바람만 가해주어도 쉽게 인장하게 된다.
따라서, 입체판(100)의 무늬공(110) 및 장식부(120) 상단에 한지(200)를 올려놓고, 수분을 공급한 후, 소정의 시간동안 서서히 스펀지와 같은 쿠션력을 갖는 쿠션재를 이용하여 누르거나 두드려줄 경우 한지(200)는 서서히 인장됨과 동시에 무늬공(110)으로 끼워지면서 입체무늬의 표면과 접하게 되고, 공급된 수분이 증발하면서, 한지(200)와 입체판(100)은 견고하게 밀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입체판(100)은 서로 다른 무늬로 형성된 다수의 입체판(100a, 100b, 100c)이 적층되어 구성된다.
도 2a 및 2b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입체판(100a, 100b, 100c)이 서로 다른 무늬와 다른크기로 각각 구비되어 적층될 경우, 보다 입체적이고 미려하면서도 독창적인 입체무늬를 형성할 수 있게 되며, 입체판(100a, 100b, 100c)끼리 서로 부착한 후, 이를 한지(200)로 감싸 외부로 보여질 경우 마치 일체인것처럼 보이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체판(100)은 서로 다른 무늬로 형성된 다수의 입체판(100d, 100e, 100f)으로 이루어지되, 비교적 큰 크기의 입체판(100d, 100e)에는 작은크기의 입체판(100e, 100f)이 끼워질 수 있도록 타공된 형태의 조립공(130)을 형성하여, 작은크기의 입체판(100e, 100f)이 조립공(130)에 끼워 조립되는 것을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상기와 같이 조립공(130)이 형성되어 입체판(100d, 100e)과 입체판(100e, 100f)이 마치 평면인듯 조합될 경우, 복잡한 무늬를 연출할 수 있고, 이 때, 도 4a 및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체판(100d, 100e, 100f)의 두께를 각각 다르게 형성하여 계단형식이나 요철되도록 입체판(10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7a 및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입체판(100)의 하단에는 상단과 마찬가지로 한지(200')가 부착될 수 있으며, 도 8a 및 8b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입체판(100)의 하단에는 평평한 판재(300)가 부착될 수 있으며, 도 9a 및 9b에 의하면, 상기 판재(300)의 하단에도 역시 한지(200')가 별도로 부착되는 것을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입체판(100)의 하단에 판재(300)가 부착될 경우 입체판(100)의 강도가 향상됨과 동시에 공예품(20)과의 접착면적이 넓어져 더욱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한지(200)의 상단에는 장식부(120)의 형태로 구비된 색지(400)를 장식부(120)와 대응하도록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체판(100)이 지점토, 하드보드지 및 연질수지로 구성될 경우, 장식부(120)는 평면의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며, 소정의 면적을 구비하므로 이 부분에 색지(400)를 부착할 수 있다. 먼저, 입체판(100)을 한지(200)로 감싸고, 그 상단에 한지(200)의 색상과는 다른 다양한 색상의 색지(400)를 돌출부(112)의 형상으로 절단하고 돌출부(112)에 맞추어 색지(400)를 부착한다. 상기 색지(400)의 구성으로 입체무늬 한지장식판(10)은 일괄된 색상이 아니라 다양한 색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입체무늬 한지장식판(10)의 입체감을 더욱 두드러지게 표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입체무늬 한지장식판에 따르면, 뚜렷하고 고급스러운 전통의 입체무늬를 간편한 방법으로 손쉽게 공예품에 표현할 수 있고, 입체판의 재질을 다양한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어, 크기과 용도에 따라 적절한 입체판을 형성할 수 있으며, 입체판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작업을 간소화하여 생산이 용이하고, 다수의 입체판을 여러 형태로 조합하여 다양한 입체무늬의 제공할 수 있으며, 입체무늬 한지장식판과 공예품의 연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상 미려한 장점이 있다.
도 1a는 본 발명 입체무늬 한지장식판의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 입체무늬 한지장식판의 사용상태도,
도 2a는 입체판이 다수 적층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A-A'선 단면도,
도 3a는 다수의 입체판이 평면으로 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B-B'선 단면도,
도 4a는 입체판의 두께가 다양하게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C-C'선 단면도,
도 5는 입체판이 조각판의 조합으로 구성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6a는 입체판의 상단에 한지가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6b는 도 6a의 D-D'선 단면도,
도 7a는 입체판의 상단과 하단에 한지가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E-E'선 단면도,
도 8a는 입체판의 하단에 판재가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8b는 도 8a의 F-F'선 단면도,
도 9a는 입체판의 하단에 판재와 한지가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9b는 도 9a의 G-G'선 단면도,
도 10은 입체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1은 입체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입체판과 한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3은 입체판에 한지가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공예품에 입체무늬 한지장식판이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입체무늬 한지장식판에 색지가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입체무늬 한지장식판
20 : 공예품
100 : 입체판
110 : 무늬공
120 : 장식부
130 : 조립공
200, 200' : 한지
210 : 테두리
300 : 판재
400 : 색지
500 : 조각판

Claims (10)

  1. 각종 공예품의 표면 적소에 부착되어 입체적인 장식무늬를 형성하는 입체무늬 한지장식판에 있어서,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평판의 형상으로, 계획된 문양대로 무늬공(110)을 형성하고, 무늬공(110)을 제외한 잔여부분이 장식무늬를 표출하는 장식부(120)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입체판(100);
    상기 입체판(100)의 상단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입체판(100)의 입체감을 표현하기 위해 무늬공(110)과 장식부(120)를 따라 밀착하여 이루어진 한지(200); 로 구성되는 것을 입체무늬 한지장식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판(100)은 서로 다른 무늬로 형성된 다수의 입체판(100a, 100b, 100c)이 적층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무늬 한지장식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판(100)은 서로 다른 무늬로 형성된 다수의 입체판(100d, 100e, 100f)으로 이루어지되, 비교적 큰 크기의 입체판(100d, 100e)에는 작은크기의 입체판(100e, 100f)이 끼워질 수 있도록 타공된 형태의 조립공(130)을 형성하여, 작은크기의 입체판(100e, 100f)이 조립공(130)에 끼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무늬 한지장식판.
  4.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판(100)의 하단에는 상단과 마찬가지로 한지(200')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무늬 한지장식판.
  5.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판(100)의 하단에는 평평한 판재(300)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무늬 한지장식판.
  6.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판(100)의 하단에는 평평한 판재(300)가 부착되고, 판재(300)의 하단에는 한지(200')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무늬 한지장식판.
  7.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판(100)은 지점토를 무늬공(110)과 장식부(120)를 형성하도록 성형하고, 건조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입체무늬 한지장식판.
  8.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판(100)은 하드보드지에 무늬공(110)을 타공하고, 타공되지 않은 부분이 장식부(120)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입체무늬 한지장식판.
  9.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한지(200)의 상단에는 장식부(120)의 형 태로 구비된 색지(400)를 장식부(120)와 대응하도록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무늬 한지장식판.
  10.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판(100)은 무늬공(110)과 장식부(120)가 연결되도록 다수의 조각판(500)을 조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무늬 한지장식판.
KR1020090001179A 2009-01-07 2009-01-07 입체무늬 한지장식판 KR201000817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179A KR20100081780A (ko) 2009-01-07 2009-01-07 입체무늬 한지장식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179A KR20100081780A (ko) 2009-01-07 2009-01-07 입체무늬 한지장식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780A true KR20100081780A (ko) 2010-07-15

Family

ID=42642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1179A KR20100081780A (ko) 2009-01-07 2009-01-07 입체무늬 한지장식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178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316B1 (ko) * 2011-04-12 2013-07-22 김윤선 한지 공예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23437B1 (ko) * 2013-12-18 2014-07-25 김현주 한지를 이용한 공예품 및 그 제작방법
KR101653123B1 (ko) * 2016-02-05 2016-08-31 김현주 한지를 이용한 조명갓과 노트커버 및 그 제작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316B1 (ko) * 2011-04-12 2013-07-22 김윤선 한지 공예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23437B1 (ko) * 2013-12-18 2014-07-25 김현주 한지를 이용한 공예품 및 그 제작방법
KR101653123B1 (ko) * 2016-02-05 2016-08-31 김현주 한지를 이용한 조명갓과 노트커버 및 그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02717A (zh) 仿凹凸雕刻实木门造型的模压门皮制作工艺
KR20100081780A (ko) 입체무늬 한지장식판
KR20100005187U (ko) 입체무늬 한지장식판
KR20100104989A (ko) 입체장식물이 고정된 장식 복층 유리
KR101653123B1 (ko) 한지를 이용한 조명갓과 노트커버 및 그 제작방법
KR101287316B1 (ko) 한지 공예품 및 이의 제조 방법
JP4758126B2 (ja) 物品収納具の製造方法
KR20110111757A (ko) 한지 공예품
KR100830597B1 (ko) 가죽패드를 구비한 키홀더의 장식부 형성방법
KR100711565B1 (ko) 직물치장 입체무늬 화장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293092B1 (ko) 상감무늬가 형성된 단위부재의 제조방법
KR100798643B1 (ko) 양파 및 옥수수 껍질을 이용한 압화작품 및 그 제조방법
KR100850003B1 (ko) 가죽 지갑용 장식부의 형성방법
CN1810525B (zh) 镶嵌式面材装饰制品及其制造工艺
CN109822693B (zh) 一种可拉丝的重组装饰木制造方法
KR100484225B1 (ko) 입체문양이 형성된 한지 및 그 제조방법
CN201056127Y (zh) 削木镶嵌画
KR100561916B1 (ko) 한지를 이용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JP3075060U (ja) 枯葉に和紙を貼って作る器や小物
CN209194888U (zh) 一种装饰用防火墙壁挂板
JP3106239U (ja)
CN2284144Y (zh) 竹材层积薄竹刨切单板
KR200373534Y1 (ko) 종이 액세서리
CN2882389Y (zh) 组合式雕花棋墩
CN204876473U (zh) 三层竹木复合木面地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