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5518B1 - 시트 위에 양각부가 돌출된 장식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시트 위에 양각부가 돌출된 장식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5518B1
KR102275518B1 KR1020190009198A KR20190009198A KR102275518B1 KR 102275518 B1 KR102275518 B1 KR 102275518B1 KR 1020190009198 A KR1020190009198 A KR 1020190009198A KR 20190009198 A KR20190009198 A KR 20190009198A KR 102275518 B1 KR102275518 B1 KR 102275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plate
embossed
decoration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2083A (ko
Inventor
김관섭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90009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518B1/ko
Publication of KR20200092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B44C3/025Superimposing layers to produce ornamental relief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4Pressing or stamping ornamental designs on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장식하고자 하는 부위에 양각부가 돌출 형성된 판을 부착하고, 타공부가 형성된 시트를 순차적으로 부착함에 따라, 상기 양각부가 타공부를 관통하여 입체적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위에 양각부가 돌출된 장식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트 위에 양각부가 돌출된 장식물 및 그 제조방법 {Ornaments with protruding decoration on the sea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장식물에 관한 것으로, 장식하고자 하는 곳에 양각부가 돌출 형성된 판과, 상기 양각부와 대응되는 위치가 타공된 시트를 순차적으로 부착하여, 제작 공정이 안정화되고 생산성을 향상시킨 시트 위에 양각부가 돌출된 장식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의 외면에는 글귀 또는 패턴 등을 이용하여 장식을 하게 된다. 이러한 장식은 제품의 광고 효과 또는 심미적으로 우수한 효과를 이끌어내기 위한 것으로, 제품의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종래의 장식은 제품에 붙여지거나 인쇄되는 등 평면상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나, 현대로 접어들면서 소비자들의 안목이 상승하게 되고 좀 더 입체적인 장식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었다.
특히, 가죽 재질에 금속의 징이 박혀있는 형태의 장식은 각 소재의 질감이 대비되면서 강조되는 효과를 부여할 수 있어 심미적인 효과가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상기와 같이 가죽 재질에 금속의 징이 박혀있는 형태에 해당하는 기술로 줄난 장식물을 구비한 벨트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가죽, 합성피혁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정한 길이를 가지면서 끝부분에 록킹부가 설치되는 띠와, 상기한 띠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서 관통 설치되어 있으며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줄난 장식물과, 서로 연결되어 있는 줄난 장식물의 뒷면이 노출되어 있는 부분을 보호함과 동시에 미관상 이를 가려주기 위하여 덧붙여지는 덧붙임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장식물을 일일히 관통하여 삽입해야 하는 관계로 작업시간이 오래 걸려 대량생산에 적절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기술은 장식물이 연결부를 통해 고정되지만, 연결된 부위의 결속력이 약해지면 줄난 장식물이 개별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양각의 장식물이 이탈되지 않는 양각 금속 장식이 표면 위로 돌출된 장식물의 제작 방식의 필요성이 커지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2546(2004.09.22.공고). "줄난 장식물을 구비한 벨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각부가 돌출 형성된 판과, 상기 양각부와 대응되는 위치가 타공된 시트를 장식하고자 하는 부위에 순차적으로 부착하여, 제작 공정이 안정화되고 대량생산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킨 시트 위에 양각부가 돌출된 장식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판과 양각부는 금속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시트는 가죽으로 형성되어 심미성이 향상된 시트 위에 양각부가 돌출된 장식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장식하고자 하는 부위에 양각부가 돌출 형성된 판을 부착하고, 타공부가 형성된 시트를 순차적으로 부착함에 따라, 상기 양각부가 타공부를 관통하여 입체적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위에 양각부가 돌출된 장식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판은 금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시트는 가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과 양각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각부는 일정한 패턴, 무늬, 로고 또는 문자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각부의 높이는 시트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양각부가 돌출 형성된 판을 제조하는 판 제조 단계(S10), 상기 양각부와 대응되는 위치를 타공하여 타공부가 형성된 시트를 제조하는 시트 제조 단계(S20), 장식하고자 하는 부위에 판을 접착하는 판 접착 단계(S30), 상기 판의 양각부가 형성된 면에 시트를 접착하는 시트 접착 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위에 양각부가 돌출된 장식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판 제조 단계(S10)에서의 판 및 양각부는 주조 또는 압착기구를 이용한 가압방식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트 접착 단계(S40)에서는 판의 양각부가 시트의 타공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면서 판과 시트가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양각부가 돌출 형성된 판에 상기 양각부와 대응되는 위치가 타공된 시트를 부착하여, 제작 공정이 안정화되고, 생산성이 향상된 시트 위에 양각부가 돌출된 장식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판과 양각부는 금속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시트는 가죽으로 형성되어 심미성이 향상된 시트 위에 양각부가 돌출된 장식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위에 양각부가 돌출된 장식물의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위에 양각부가 돌출된 장식물의 분해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위에 양각부가 돌출된 장식물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장품 용기의 뚜껑에 판을 부착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판에 시트를 부착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완성된 시트 위에 양각부가 돌출된 장식물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시트 위에 양각부가 돌출된 장식물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시트 위에 양각부가 돌출된 장식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시트 위에 양각부가 돌출된 장식물은 장식하고자 하는 부위에 양각부(11)가 돌출 형성된 판(10)을 부착하고, 타공부(21)가 형성된 시트(20)를 순차적으로 부착함에 따라, 상기 양각부(11)가 타공부(21)를 관통하여 입체적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식하고자 하는 부위는 제품의 외면이 될 수 있다.
상기 제품의 외면은 화장품 용기의 외면일 수 있으며, 더 자세하게는 화장품 용기의 외부로 노출된 어느 한 면일 수 있고, 화장품 용기의 뚜껑(30)에 형성된 공간부(31)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장식하고자 하는 부위는 화장품 용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제품 외면의 장식을 할 수 있는 곳이라면, 본 발명의 시트 위에 양각부가 돌출된 장식물이 장식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장식하고자 하는 부위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장식하고자 하는 부위는 평면이 될 수도 있고, 곡면이 될 수도 있으며, 평면과 곡면이 동시에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양각부(11)는 일정한 패턴, 무늬, 로고, 문양 또는 문자가 돌출된 형태로써, 상기 양각부(11)가 시트(20) 외부로 돌출되어 심미적 효과를 줄 수 있다. 상기 양각부(11)의 높이는 시트(20)의 두께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양각부(11)가 시트(20)의 타공부(21)를 관통하면서 외곽으로 돌출되어 시각적 효과를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양각부(11)는 판(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양각부(11)는 판(10)에서 분리되지 않아, 본 발명의 시트 위에 양각부가 돌출된 장식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양각부(11)는 판(10)의 성형시 주조틀에 의해 일체로 주조되는 것일 수 있으며, 압착기구를 이용하여 판(10)을 가압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일 수도 있다. 판(10)의 성형 과정에서 양각부(11)를 일체로 주조할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 및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 양각부(11)를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제품 디자인의 변경 시 새로운 주조틀을 제작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판(10)을 가압하여 양각부(11)를 형성시에는 제품 디자인 변경 등의 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양각부(11)를 높게 형성하기 어렵고 외력에 의해 양각부(11)가 찌그러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어, 용도에 따라 적절한 방식으로 양각부(1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10)은 양각부(11)를 돌출 형성할 수 있는 경질의 재질이라면 모든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놀, 멜라민 수지 등을 포함하는 열경화성 수지, PP, ABS, EP, PVC 등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철, 알루미늄, 구리, 주석, 아연 등을 포함하는 금속 등이 판(10)의 재질로 사용될 수 있다. 이중, 금속은 빛을 반사하는 특유의 질감으로 인해 양각부(11)를 강조하는 효과가 우수하고, 또한 내구성이 우수하다. 금속으로 판(10)을 형성할 경우 힘을 가해 평면 또는 곡면의 제품 외면에 적절한 형상으로 휘어지게 하여 다양한 형상을 가진 외면에 부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석재나 목재 역시 판(10)의 재질로 사용될 수 있으나, 석재나 목재는 양각부(11)를 형성함에 있어 조각하는 방식으로 양각부(11)를 형성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일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는 내구성이 떨어지고 금속에 비해 심미감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판(10)은 금속을 이용하여 양각부(11)를 일체로 성형하도록 하는 것이 작업 효율, 경제적 효율, 내구성, 심미감의 측면에서 가장 적절할 것이다.
상기 판(10)의 형태는 평면일 수도 있고, 곡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판(10)의 형태가 평면일 경우 화장품 용기 등의 뚜껑 같은 곳에 붙이는 데 적절할 것이며, 판(10)의 형태가 곡면일 경우 화장품 용기 등의 곡면으로 휘어진 외주면과 같은 곳에 붙이는데 적절할 것이다. 즉, 판(10)은 장식하고자 하는 부위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로 제조되며, 상기 주조틀 또는 압착기구 역시 장식하고자 하는 부위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제조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물론, 상기 판(10)의 제조방법은 주조틀에 의한 주조 방법, 압착기구를 통한 압착(가압)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시트(20)는 장식물의 최외곽에 위치하며, 시트(20)에 형성된 타공부(21)를 통해 양각부(11)를 외부로 노출시키고, 양각부(11)가 형성되지 않은 판(10)의 나머지 부분을 가림으로써, 시트(20)에 양각부(11)가 박혀있는 듯한 모습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시트(20)의 재질은 타공부(21)를 형성할 수 있는 연질의 재질이라면 모두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천, 종이, 비닐, 가죽 등의 소재가 시트(20)의 재질로 사용될 수 있다. 이중, 가죽은 내구성이 우수하고 질감이 심미적으로 우수하여 가장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시트(20) 역시 장식하고자 하는 부위의 형상에 따라 평면 또는 곡면일 수 있는데, 미리 모양을 형성해야 하는 판(10)과 달리 시트(20)는 접착과정에서 판(10)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휘어지기 때문에 미리 형태를 잡아두는 등의 공정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시트(20)의 재질이 매우 단단한 가죽일 경우 무두질 (tannage, 생가죽, 실 따위를 매만져서 부드럽게 만드는 일) 등을 통하여 재질을 연하게 만들 필요성이 있다.
상기 타공부(21)는 시트(20)에 형성되며, 상기 판(10)의 양각부(1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타공부(21)는 상기 양각부(11)의 형태 및 넓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타공부(21)는 상기 양각부(11)처럼 일정한 패턴, 무늬, 로고, 문양 또는 문자의 속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타공부(21)의 형태가 양각부(11)의 형태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양각부(11)가 타공부(21)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없으며, 타공부(21)의 넓이가 양각부(11)보다 좁을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양각부(11)가 외부로 노출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타공부(21)의 넓이가 지나치게 넓을 경우, 타공부(21)를 관통한 양각부(11) 주위로 틈새가 남게 되어 미관상 좋지 않고, 이물질 등이 끼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타공부(21)는 양각부(11)의 위치, 형태, 넓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상기 타공부(21)는 수작업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타공을 형성할 수 있는 기구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생산성을 위하여 타공을 형성할 수 있는 기구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시트 위에 양각부가 돌출된 장식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시트 위에 양각부가 돌출된 장식물의 제조방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각부(11)가 돌출 형성된 판(10)을 제조하는 판 제조 단계(S10), 상기 양각부(11)와 대응되는 위치를 타공하여 타공부(21)가 형성된 시트(20)를 제조하는 시트 제조 단계(S20), 장식하고자 하는 부위에 판(10)을 접착하는 판 접착 단계(S30), 상기 판(10)의 양각부(11)가 형성된 면에 시트를 접착하는 시트 접착 단계(S40)를 포함한다.
상기 판 제조 단계(S10)에서 판(10)은 양각부(11)가 돌출 형성되도록 제조된다.
상기 판 제조 단계(S10)에서의 판(10) 및 양각부(11)는 주조 또는 압착기구를 이용한 가압방식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판 제조 단계(S10)에서의 판(10)의 제조방식은 판 형태의 주조틀에 용융된 열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 또는 금속의 원료를 주입하여 일체로 제조되는 것일 수 있으며, 내구성, 심미감을 위해 금속 재질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주조틀은 양각부(11)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또한, 상기 판 제조 단계(S10)는 열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 또는 금속으로 형성된 평면 형태의 판을 압착기구로 가압하여 양각부(11)가 돌출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판 제조 단계(S10)에서 판(10)은 장식하고자 하는 부위의 형태와 대응되도록 평면 또는 곡면으로 제작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판(10)의 형태를 곡면으로 제작할 경우, 판(10)을 성형하는 주조틀의 형태가 곡면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는, 압착기구로 가압하여 평면 형태의 판을 곡면이 되도록 구부리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시트 제조 단계(S20)에서의 시트(20)는 판(10)의 양각부(11)와 대응되는 위치를 타공하여 타공부(21)가 형성되도록 제조된다.
상기 시트 제조 단계(S20)에서의 시트(20)는 내구성 및 심미감을 위해 가죽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시트 제조 단계(S20)에서는 판(10)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시트(20)를 재단하는 과정, 판(10)의 양각부(11)와 대응되도록 시트(20)를 타공하여 타공부(21)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 제조 단계(S20)에서는 판(10)의 형태와 넓이에 대응되도록 시트(20)를 재단할 수 있다. 시트(20)의 넓이는 판(10)의 넓이보다 더 넓게 재단될 수도 있고, 좁게 재단될 수도 있지만, 판(10)의 넓이에 대응되도록 재단하는 것이 가장 적절할 것이다.
상기 시트(20)의 넓이가 판(10)의 넓이보다 넓을 경우, 외곽으로 돌출된 시트(20)의 끝 부분부터 떨어져 나가 장식물이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시트(20)의 넓이가 판(10)의 넓이보다 좁을 경우에는 판(10)의 일부가 외부로 드러나 심미적으로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시트 제조 단계(S20)에서는 시트(20)를 타공하여 타공부(21)를 형성할 수 있다. 타공부(21)를 형성할 때에는 기구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며, 양각부(11)에 대응되는 위치를 타공할 수 있도록 기구를 설정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이때, 상기 타공부(21)는 양각부(11)의 위치, 형태, 넓이를 고려하여 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 접착 단계(S30)는 장식하고자 하는 부위에 판(10)을 부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장식하고자 하는 부위는 다양한 제품의 외면일 수 있으며, 평면의 형태일 수도 있고 곡면의 형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판(10)이 화장품 용기의 뚜껑(30)에 접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에서 장식을 수행할 수 있는 위치가 화장품 용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장식물을 설치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제품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장식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판 접착 단계(S30)는 화장품용기의 뚜껑(30)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 접착 단계(S30)는 뚜껑(30)의 외부로 노출된 어느 한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판(10)을 접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때, 화장품 용기의 뚜껑(30)은 판(10)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부(3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공간부(31)는 뚜껑(30)의 상부에 움푹 패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공간부(31)의 넓이는 판(10)과 대응되고, 상기 공간부(31)의 깊이는 양각부(11)를 제외한 판(10)의 높이와 대응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상기 공간부(31)의 깊이는 양각부(11)를 제외한 판(10)의 높이와 시트(20)의 높이를 합한 높이와 대응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공간부(31)로 인해 판(10)과 시트(20)는 뚜껑(30)에 견고하게 안착되면서 접착될 수 있다.
상기 판 접착 단계(S30)의 부착방식은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나사결합, 끼움결합 등 다양한 방식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시트 접착 단계(S40)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10)의 양각부가 형성된 면에 시트(20)를 접착한다.
상기 시트 접착 단계(S40)에서는 판(10)의 양각부(11)가 시트(20)의 타공부(21)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면서 판과 시트가 접착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시트 접착 단계(S40)에서는 판(10)의 양각부(11)와 시트(20)의 타공된 타공부(21)가 일치하도록 접착하여, 상기 판(10)의 양각부(11)가 시트(20)의 타공부(21)를 통과하여 시트(20)의 외곽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시트 접착 단계(S40)에서 판(10)과 시트(20)의 접착방식은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판(10)이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 등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열융착, 초음파융착 등의 방식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정을 거쳐 완성된 시트 위에 양각부가 돌출된 장식물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각부(11)가 시트(20)의 타공부(21)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시트(20)에 양각부(11)가 박혀있는 듯한 모습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양각부(11)는 실제로는 시트(20)에 개별로 박혀있는 것이 아니고 시트(20) 아래쪽에 위치하는 판(10)에 의해 일체로 고정된 것이기 때문에 개별로 떨어져 나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트 위에 양각부가 돌출된 장식물은 시트(20)에 양각부(11)가 박혀있는 듯한 모습을 연출하면서도 일체로 형성된 판(10)에 의해 양각부(11)가 개별로 분리되지 않는 이중적인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시트 위에 양각부가 돌출된 장식물의 양각부(11)를 금속으로 형성하고, 시트(20)를 가죽으로 형성함으로써, 금속과 가죽이 갖는 질감의 대비에 의해 양각부(11)와 시트(20)가 더 강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되는 것임을 명확히 한다.
10 : 판 11 : 양각부
20 : 시트 21 : 타공부
30 : 뚜껑 31 : 공간부

Claims (8)

  1. 화장품 용기의 뚜껑에 압착기구를 이용해 가압하여 양각부가 돌출 형성된 판을 부착하고, 타공부가 형성된 시트를 순차적으로 부착함에 따라, 상기 양각부가 타공부를 관통하여 입체적으로 돌출되되,
    상기 화장품 용기의 뚜껑에는 판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높이는 양각부를 제외한 판의 높이와 시트의 높이를 합한 높이에 대응되어, 상기 공간부로 인해 판과 시트가 뚜껑에 안착되면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위에 양각부가 돌출된 장식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은 금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시트는 가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위에 양각부가 돌출된 장식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과 양각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위에 양각부가 돌출된 장식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부는 일정한 패턴, 무늬, 로고 또는 문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위에 양각부가 돌출된 장식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부의 높이는 시트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위에 양각부가 돌출된 장식물.
  6. 평면 형태의 판을 압착기구로 가압하여 양각부가 돌출 형성된 판을 제조하는 판 제조 단계(S10),
    상기 양각부와 대응되는 위치를 타공하여 타공부가 형성된 시트를 제조하는 시트 제조 단계(S20),
    화장품 용기의 뚜껑에 형성된 공간부에 판을 접착하는 판 접착 단계(S30),
    상기 판의 양각부가 형성된 면에 시트를 접착하는 시트 접착 단계(S40)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S30)의 장식하고자 하는 부위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깊이는 양각부를 제외한 판의 높이와 시트의 높이를 합한 높이에 대응되어, 상기 공간부로 인해 판과 시트가 뚜껑에 안착되면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위에 양각부가 돌출된 장식물의 제조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접착 단계(S40)에서는 판의 양각부가 시트의 타공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면서 판과 시트가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위에 양각부가 돌출된 장식물의 제조방법.
KR1020190009198A 2019-01-24 2019-01-24 시트 위에 양각부가 돌출된 장식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75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198A KR102275518B1 (ko) 2019-01-24 2019-01-24 시트 위에 양각부가 돌출된 장식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198A KR102275518B1 (ko) 2019-01-24 2019-01-24 시트 위에 양각부가 돌출된 장식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083A KR20200092083A (ko) 2020-08-03
KR102275518B1 true KR102275518B1 (ko) 2021-07-09

Family

ID=72042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198A KR102275518B1 (ko) 2019-01-24 2019-01-24 시트 위에 양각부가 돌출된 장식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5518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0411U (ko) * 1984-11-21 1986-06-12
KR200362546Y1 (ko) 2004-06-11 2004-09-22 김형익 줄난 장식물을 구비한 벨트
KR100932527B1 (ko) * 2007-12-05 2009-12-17 송광수 혁대용 아크릴문양 장식버클
KR20110103860A (ko) * 2010-03-15 2011-09-21 이정완 혁대용 장식 버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083A (ko) 2020-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39286A1 (en) Wheel Center Cap and Method Related Thereto
KR102275518B1 (ko) 시트 위에 양각부가 돌출된 장식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04989A (ko) 입체장식물이 고정된 장식 복층 유리
KR20070079651A (ko) 음각무늬부를 갖는 시계 또는 액자용 틀체 및 그 틀체의제조방법
JP6748403B2 (ja) 加飾成形体およびその製法
KR20170079044A (ko) 가죽 제품의 표면에 부착하는 장식물
CN200978559Y (zh) 一种门锁具把手
KR200420652Y1 (ko) 문양 장신구
KR101416040B1 (ko) 입체형 엠블럼 제조방법
KR100830597B1 (ko) 가죽패드를 구비한 키홀더의 장식부 형성방법
US20160000160A1 (en) Method of adorning an article
CN218418724U (zh) 一种镶嵌式饰品及用于加工该饰品的模具
JP3194242U (ja) 絵画
KR101591663B1 (ko) 버클 장식의 형성방법 및 버클 장식
CN210276174U (zh) 一种首饰连接结构以及首饰
KR200382260Y1 (ko) 헤어밴드용 장식
KR20080005966U (ko) 접착방법이 쉬운 장식판이 부착된 찻상
CN207320418U (zh) 一种金属雕花工艺开关插座
JP3117871U (ja) 眼鏡
CN205558751U (zh) 一种包边材料
KR200270586Y1 (ko) 목재 박판을 이용한 장신구
TWI589286B (zh) Ashes altar decoration group structure
KR200191090Y1 (ko) 입체표면처리된 가구용 문
KR101475176B1 (ko) 자개 장식물의 성형방법
KR200330597Y1 (ko) 벽시계의 장식물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