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476Y1 - 알 껍질을 이용한 장신구 - Google Patents

알 껍질을 이용한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476Y1
KR200286476Y1 KR2020020011199U KR20020011199U KR200286476Y1 KR 200286476 Y1 KR200286476 Y1 KR 200286476Y1 KR 2020020011199 U KR2020020011199 U KR 2020020011199U KR 20020011199 U KR20020011199 U KR 20020011199U KR 200286476 Y1 KR200286476 Y1 KR 2002864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naments
layer
egg shell
egg
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11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호
Original Assignee
김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호 filed Critical 김성호
Priority to KR20200200111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4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4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476Y1/ko

Link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알 껍질을 이용한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계란이난 메추리알과 같은 조류의 알 껍질을 나무 박판의 외부면에 접착함으로서 자연석과 같은 느낌을 주어 고급스러움을 나타낼 수 있고, 한국적인 문양의 장식편을 사용하여 전통적인 멋을 간직한 관광상품의 개발이 가능하며, 저면에 합지핀이나 클립을 부착함으로서 머리핀이나 목걸이, 팔찌 및 브롯지와 같은 악세사리로 이용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져오는 알 껍질을 이용한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알 껍질을 이용한 장신구{A ornaments of using egg shell}
본 고안은 알 껍질을 이용한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목재 박판에 조류의 알 껍질을 조밀하게 부착시킴으로서 자연석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고, 전통적인 문양을 살릴 수 있는 알 껍질을 이용한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장신구라함은 머리장식품 ·귀고리 ·팔찌 ·반지 ·목걸이 등과 같이 인체에 부착하여 미적효과를 나타내게 하는 것을 총칭하는 것으로, 이러한 장신구는 금이나 은과 같은 금속재를 비롯하여 합성수지나 목재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은 여러종류의 장신구에 있어서, 목재 박판을 이용한 장신구의 경우 통상적으로 장신구에 사용되는 목재를 소정의 모양으로 가공하고, 상기 가공된 목재의 기재 표면에 무늬모양을 그려 넣어 무늬층을 형성시킨 다음, 상기 무늬층에 투명도료 등을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시켜 장신구를 제조하고, 상기와 같이 제조된 장신구의 저면에 협지핀이나 클립을 부착시킴으로서 머리핀이나 목걸이 및 브롯지 등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장신구의 경우 나무를 몸체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전통적이고 고급스러운 외양과 자연적인 미감을 살릴 수 있고, 기타 금속 장신구에 비해 중량이 가볍기 때문에 몸에 부착시에도 활동성이 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또한 성형 및 가공이 쉽고, 가격 면에서도 다른 재질의 장신구에 비하여 훨씬 저렴하므로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이러한 목재 장신구의 경우 장식편의 무늬 모양이 평면적 구성이며, 나무의 단순한 무늬에만 의존한 디자인이기 때문에 장식적인 효과가 좋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으로, 목재 박판에 알 껍질을 조밀하게 부착시킴으로서 나무의 중량감으로 인해 가벼우면서도 자연석과 같은 효과를 통하여 전체적인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통적인문양을 살릴 수 있는 알 껍질을 이용한 장신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알 껍질을 이용한 장신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알 껍질을 이용한 장신수의 A-A'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목재 박판
20 ; 알 껍질층
30 ; 무늬층
40 ; 코팅층
50 ; 도료층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몸체를 이루는 목재 박판과,
상기 목재 박판의 외부면에 접착된 알 껍질층과,
상기 알 껍질층의 상면에 소정의 모양을 갖는 무늬편이 접착되어 형성된 무늬층과,
상기 무늬층을 포함하는 알 껍질층 상면에 통상의 투명도료를 도포하여 형성된 코팅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 껍질을 이용한 장신구를 제공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보 고안에 첨부된 도면에서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기는 하나, 본 고안이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알 껍질을 이용한 장신구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에서 실시한 장신구 A-A'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고안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2를 참고로 하여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통상적으로 장신구 등에 사용되는 목재를 가공하여 제조된 장신구용 목재 박판(10)에 조류의 알 껍질을 조밀하게 접착하여 알 껍질층(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알 껍질층(20) 상면에는 소정의 모양을 갖는 무늬편이 접착되어 형성된 무늬층(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무늬층(30) 상면과 알 껍질층(20)에 니스나 투명 에나멜과 같은 투명도료를 도포하여 형성된 코팅층(4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장신구에 있어서, 먼저 목재 박판은(10) 통상적으로 장신구의 제조에 사용되는 나무는 모두 사용이 가능하나, 단단한 재질을 갖는 대추나무나 오동나무 등을 사용하거나, 고유의 향을 간직하는 미송, 향나무 등을 사용함으로서 좀 더 효과적인 장신구를 만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여러 종류의 나무들은 소정의 모양을 갖도록 성형. 가공함으로서 본 고안의 장신구에 사용되는 목재 박판(10)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목재 박판(10)에는 조류의 알 껍질이 조밀하게 부착되어 알 껍질층(20)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조류의 알 껍질층(20)은 그 색상이 자연석과 비슷하여 고급스러우면서도 자연스러운 미감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의 전통문양에 알맞은 배경을 형성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알 껍질층(20)은 통상적인 조류의 알 껍질은 모두 사용이 가능하나 계란이나 메추리알의 껍질 등과 같이 두께가 얇아 큰 부피를 차지하지 않고, 자연석의 색상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이러한 알 껍질층(20)은 목재 박판의 상면에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측면에도 형성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무늬층(30)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무늬편을 장신구의 용도에 따라 알맞은 무늬를 선택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특히 본 고안에 있어서 폐패각을 이용하여 우리 나라 고유문양인 십이지상이나 사신도 등을 무늬편으로 제작한 후 장신구와 사용하게 되면, 전통미와 함께 패각의 빛에 의해 색이 산란되는 효과로 인하여 고급스러움을 동시에 살릴 수 있으므로 관광상품으로서의 활용도를 높일 수있다.
마지막으로 코팅층(40)은 무늬층(30)을 포함하여 알 껍질층(20) 상면에 내부공간 없이 투명도료를 도포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투명도료는 외부환경에 의하여 흡집과 같은 장신구의 손상을 어느 정도 막아주게 되고 도료 특유의 광택으로 인하여 미감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코팅층(40)은 일반적인 신나나 투명 에나멜을 많이 사용하나. 옻칠을 하는 경우에는 좀 더 좋은 효과를 가져오게 되는데, 이와 같이 옻칠을 하는 경우에는 우리나라 전통의 천연도료를 사용함으로서 한국적인 미감을 느낄 수 있고, 투명도를 가지므로 기재면에 부착된 알 껍질층(20)의 무늬를 그대로 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 1과 도 2에 나타난 것처럼, 무늬편을 갖는 상면을 제외한 외부면에 소정의 색상을 갖는 도료를 도포하여 도료층(50)을 형성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도료층(50)은 사용자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도료층(50)은 장신구의 전체적인 미감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신구의 외부층을 보호하고, 견고하게 해주어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부가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완성된 본 고안에 의한 장신구는 액자보관용 등의 용도로 하여 본 고안에 의한 제품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으나, 본 고안에 의한 제품의 저면에 협지핀이나 클립을 부착함으로서 머리핀이나 목걸이, 팔찌 및 브롯지 등과 악세사리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이러한 장신구는 목재 박판에 자연석의 효과를 낼 수 있는 알 껍질을 접착함으로서 몸체로 나무을 사용하여 중량감이 낮으면서도 자연석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특히 우리 나라의 고유문양을 무늬편으로 사용함으로서 전통미와 멋을 간직한 관광상품의 개발이 가능하므로 사용용도에 따라 국위선양과 고부가가치를 올릴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알 껍질을 이용한 장신구는 도면에 실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따라서 본 고안의 청구항 및 종속항의 기본적인 개념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알 껍질을 이용한 장신구는 계란이난 메추리알과 같은 조류의 알 껍질을 나무 박판의 외부면에 접착함으로서 자연석과 같은 느낌을 주어 고급스러움을 나타낼 수 있고, 한국적인 문양의 장식편을 사용하여 전통적인 멋을 간직한 관광상품의 개발이 가능하며, 저면에 합지핀이나 클립을 부착함으로서 머리핀이나 목걸이, 팔찌 및 브롯지와 같은 악세사리로 이용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Claims (2)

  1. 몸체를 이루는 목재 박판(10)과,
    상기 목재 박판(10)의 외부면에 접착된 알 껍질층(20)과,
    상기 알 껍질층(20)의 상면에 소정의 모양을 갖는 무늬편이 접착되어 형성된 무늬층(30)과,
    상기 무늬층(30)을 포함하는 알 껍질층(20) 상면에 통상의 투명도료를 도포하여 형성된 코팅층(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 껍질을 이용한 장신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알 껍질층(20)이 계란이나 메추리알의 껍질 중에 선택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 껍질을 이용한 장신구
KR2020020011199U 2002-04-13 2002-04-13 알 껍질을 이용한 장신구 KR2002864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199U KR200286476Y1 (ko) 2002-04-13 2002-04-13 알 껍질을 이용한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199U KR200286476Y1 (ko) 2002-04-13 2002-04-13 알 껍질을 이용한 장신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476Y1 true KR200286476Y1 (ko) 2002-08-22

Family

ID=73055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1199U KR200286476Y1 (ko) 2002-04-13 2002-04-13 알 껍질을 이용한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47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034641A (ja) 装飾挿入物を有する人工爪
KR200286476Y1 (ko) 알 껍질을 이용한 장신구
KR200261218Y1 (ko) 목재 박판을 이용한 장신구
KR200293008Y1 (ko) 나전스티커
CN201207972Y (zh) 一种饰品
KR101866631B1 (ko) 결을 갖는 박막 부재를 이용한 장식 구조물의 장식방법 및 그 장식 구조물
KR200434260Y1 (ko) 장식 문양이 형성된 장식 볼펜
KR100576349B1 (ko) 자개가루 칼라판의 제작방법
KR200369344Y1 (ko) 장신구용 합성보석
KR200373534Y1 (ko) 종이 액세서리
KR200270586Y1 (ko) 목재 박판을 이용한 장신구
KR200317922Y1 (ko) 칠보장식을 구비한 지갑
KR200190633Y1 (ko) 네잎 클로버 장신구
KR20130055722A (ko) 공예품의 제작방법
CN202319687U (zh) 一种保鲜电镀玫瑰
JP3898730B1 (ja) 螺鈿様装飾品
KR200367196Y1 (ko) 쥬얼리 부케 베이스
US20030173025A1 (en) Method for decorative crystals
KR200286477Y1 (ko) 기능성을 갖는 장신구
KR101310202B1 (ko) 닥섬유 컬러믹스와 한지를 이용한 보석의 제조방법
KR100404582B1 (ko) 브라이트 진주 및 그 가공 방법
KR101445233B1 (ko) 에나멜 장식체가 결합된 장신구의 제조방법 및 에나멜 장식체가 결합된 장신구.
KR200425889Y1 (ko) 나비장식을 입체구성한 카드
KR200370672Y1 (ko) 장신구용 성형물의 구조
KR20040079356A (ko) 종이를 이용한 장신구와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