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9344Y1 - 장신구용 합성보석 - Google Patents

장신구용 합성보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9344Y1
KR200369344Y1 KR20-2004-0026501U KR20040026501U KR200369344Y1 KR 200369344 Y1 KR200369344 Y1 KR 200369344Y1 KR 20040026501 U KR20040026501 U KR 20040026501U KR 200369344 Y1 KR200369344 Y1 KR 2003693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jewelry
gem
metal thin
thi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65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택규
박상엽
Original Assignee
최택규
박상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35249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369344(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최택규, 박상엽 filed Critical 최택규
Priority to KR20-2004-00265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93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93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93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C27/001Materials for manufacturing jewell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합성보석에 금,은 등 또는 이들이 도금된 금속박판을 부착하여 시각적으로 매우 아름답고 화려한 장신구용 합성보석이 개시된다.
종래에는 상부 및 하부에 위치된 합성보석의 사이에 금속박판을 부착함으로써 가공 및 제조가 어렵고 코스트가 상승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표면이 가공된 합성보석(20)과, 상기 합성보석(20)의 상측에 위치된 금속박판(30)과, 상기 합성보석(20) 및 금속박판(30)의 상측에 도포된 에폭시 수지층(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합성보석을 제공한다.
따라서 제조 및 가공이 용이하여 코스트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 매우 아름답고 화려하며 독창적인 디자인을 갖게 된다.

Description

장신구용 합성보석{Synthetic jewelry for personal ornaments}
본 고안은 장신구용 합성보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지 등의 장신구에 다이아몬드 등의 값비싼 보석의 대용으로 적용되는 장신구용 합성보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견상의 아름다움, 물리적인 경도, 산출의 희소성을 겸비하여 장식에 이용되는 보석은 학술적으로는 명확한 정의가 없으며, 이러한 조건을 갖춘 광물과 동일한 물질을 합성하여 보석의 성상을 갖게 될 때 이것을 합성보석이라 하고, 광물로 존재하지 않는 것을 만들어 보석의 목적으로 이용할 때 이것을 인조보석이라 하는데, 현재 사용되고 있는 천연보석은 거의 합성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에 이와 같은 값비싼 천연 보석을 대체하기 위한 합성보석에 관하여 실용신안등록 제20-0314133호로 제안되어 있다.
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층(10)과 하부층(11)의 사이에 금속박막(12)을 자외선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시킨 금속박막이 내설된 합성보석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상부층(10)이 필수적으로 투명재질의 합성보석으로 이루어져야 함은 물론 하부층(11)도 합성보석으로 이루어져야 함으로써 재료비에 의한 코스트가 상승될 뿐만 아니라 가공이 어렵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내재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목적은 제조 및 가공이 용이하고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는 장신구용 합성보석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형태의 형상을 가지는 장신구용 합성보석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장신구용 합성보석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장신구용 합성보석의 제조 공정의 일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장신구용 합성보석의 완성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장신구용 합성보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장신구용 합성보석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합성보석 21: 반사알갱이
30: 금속박판 40: 에폭시 수지층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용 합성보석은, 표면이 가공된 합성보석과, 상기 합성보석의 상측에 위치된 금속박판과, 상기 합성보석 및 금속박판의 상측에 도포된 에폭시 수지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제조 및 가공이 용이하여 코스트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 매우 아름답고 화려하며 독창적인 디자인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장신구용 합성보석의 제조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로서, 합성보석(20)의 상측에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금속박판(30)을 위치시킨다.
상기 합성보석(20)은 가공된 자개, 사금석, 오팔 등의 준보석이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금속박판(30)은 금속제의 박판에 금 또는 은도금을 실시할 수 있으며, 이 금속박판(30)은 부식 가공으로 형성되고, 그 형상은 용, 말 등의 동물이나 봉황, 까치 등의 조류는 물론 산이나 강 등의 풍경이나 소나무, 대나무 등의 수목, 그리고 인물 등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그 두께는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으나 대략 0.5mm이하의 두께로 가공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보석(20)의 상측에 금속박판(30)이 위치된 상태에서 그 위에 에폭시 수지층(40)을 형성함으로써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신구용 합성보석의 제조가 완성된다.
상기 에폭시 수지층(40)은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투명으로 형성되는 것이 내부에 위치된 금속박판(30)을 투시할 수 있으므로 더욱 시각적으로 유리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서는 합성보석(20)의 상측에 금속박판(30)을 위치시키고, 그 상측에 소정 두께의 에폭시 수지층(40)을 도포하여 상기 금속박판(30)을 고정 시킴으로써 시각적으로 에폭시 수지층(40)을 통하여 금속박판(30)이 투시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매우 화려하고 아름답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재료비 등의 절감으로 코스트가 현저하게 절감되며, 가공 및 제조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합성보석(20)은 합성수지로 형성될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햇빛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알갱이(21)를 혼합하여 더욱 시각적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투명재로 이루어진 합성보석(20)의 배면 측에 여러 가지 모양으로 형성된 금속박판(30)을 위치시키고, 그 외측에 소정 두께의 에폭시 수지층(40)을 도포하여 상기 금속박판(30)을 고정시킨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서는 표면이 가공된 투명재의 합성보석(20) 배면 측에 금속박판(30)이 에폭시 수지층(40)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합성보석(20)을 통하여 금속박판(30)이 투시됨으로써 시각적으로 매우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표면에 가공된 합성보석(20)에 의해 투시되는 금속박판(30)이 화려하고 변화가 많으며 보석 특유의 독특한 개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제조 및 가공이 용이하여 코스트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 매우 아름답고 화려하며 독창적인 디자인을 갖는 등의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표면이 가공된 합성보석(20)과, 상기 합성보석(20)의 상측에 위치된 금속박판(30)과, 상기 합성보석(20) 및 금속박판(30)의 상측에 도포된 에폭시 수지층(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합성보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보석(20)은 자개, 사금석, 오팔 또는 반사알갱이(21)가 포함된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합성보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수지층(40)은 투명 또는 반투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합성보석.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박판(30)은 투명재의 합성보석(20) 배면 측에 에폭시 수지층(40)으로 도포하여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합성보석.
KR20-2004-0026501U 2004-09-15 2004-09-15 장신구용 합성보석 KR2003693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501U KR200369344Y1 (ko) 2004-09-15 2004-09-15 장신구용 합성보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501U KR200369344Y1 (ko) 2004-09-15 2004-09-15 장신구용 합성보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9344Y1 true KR200369344Y1 (ko) 2004-12-04

Family

ID=49352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6501U KR200369344Y1 (ko) 2004-09-15 2004-09-15 장신구용 합성보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93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343B1 (ko) 2009-08-27 2009-12-29 신철우 인조 자개류에 곡면 빛의 반사 효과를 이용한 문양층이 형성된 액세서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343B1 (ko) 2009-08-27 2009-12-29 신철우 인조 자개류에 곡면 빛의 반사 효과를 이용한 문양층이 형성된 액세서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3824B1 (ko) 인조네일
US7861555B2 (en) Article of jewelry
US6862898B2 (en) Article of jewelry
US20100154103A1 (en) Gemmed sequin
KR200369344Y1 (ko) 장신구용 합성보석
WO2008007444A1 (fr) Faux ongle incrusté d'une pierre précieuse, structure de montage d'une pierre précieuse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e faux ongles incrustés de pierres précieuses
CN201207972Y (zh) 一种饰品
KR200406078Y1 (ko) 입체 장식판의 이격 내장구조를 갖는 보석장식구
CN2730196Y (zh) 一种相嵌玉饰
US20050188721A1 (en) Combined pearl and precious gem jewelry
CN210611261U (zh) 一种镶嵌装饰件的葫芦工艺品
RU169874U1 (ru) Ювелирная подвеска
EP3320799B1 (en) Ornamental element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RU2349239C2 (ru) Ювелирное изделие
JP3134274U (ja) 装飾品
CN201019092Y (zh) 一种饰品
KR101866631B1 (ko) 결을 갖는 박막 부재를 이용한 장식 구조물의 장식방법 및 그 장식 구조물
KR200286476Y1 (ko) 알 껍질을 이용한 장신구
KR200190600Y1 (ko) 유리장신구
KR100404582B1 (ko) 브라이트 진주 및 그 가공 방법
KR200388447Y1 (ko) 목걸이용 팬던트
CN202319687U (zh) 一种保鲜电镀玫瑰
KR200352870Y1 (ko) 생화가 부착된 장신구
KR200269780Y1 (ko) 브라이트 진주
CN202923273U (zh) 一种保鲜电镀镶钻玫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126

Effective date: 20060926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J22O Acceptance of document from other than kipo (remand - intellect property tribunal)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1031

Effective date: 2007041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601

Effective date: 20070626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