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755B1 - 한지 악세사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한지 악세사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4755B1
KR101444755B1 KR1020130111718A KR20130111718A KR101444755B1 KR 101444755 B1 KR101444755 B1 KR 101444755B1 KR 1020130111718 A KR1020130111718 A KR 1020130111718A KR 20130111718 A KR20130111718 A KR 20130111718A KR 101444755 B1 KR101444755 B1 KR 101444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ory
accessory body
paper
decorative plate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1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부빈
Original Assignee
고부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부빈 filed Critical 고부빈
Priority to KR1020130111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47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C27/001Materials for manufacturing jewellery
    • A44C27/005Coating layers for jewellery
    • A44C27/007Non-metallic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되는 한지로 이루어지면서 외부에 복수의 부착면을 구비한 악세사리몸체와 상기 부착면에 접합되는 장식판 및 장식판 또는 악세사리몸체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덮도록 설치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자연적인 전통과 한국적인 아름다움을 내포한 다양한 친환경 제품의 제작이 가능토록 하는 한지 악세사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한지 악세사리 및 그 제조방법{Han-ji jew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압축되는 입체형상의 한지로 이루어지면서 외부에 복수의 부착면을 구비한 악세사리몸체와 상기 부착면에 접합되는 장식판 및 장식판 또는 악세사리몸체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덮도록 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자연적인 전통과 한국적인 아름다움을 내포한 다양한 친환경 제품의 제작이 가능토록 하는 한지 악세사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개는 천연소재로서 표면에 나타난 아름답고 화려한 무늬와 색상, 광택으로 인해 예로부터 가구 등의 고급 표면 장식재나 각종 신변 장신용품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자개를 이용하여 가구 등의 표면을 상감 장식하고자 할 경우에는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이 도안된 본(本)을 천연자개에 부착한 후 그 본을 따라 자개를 수공으로 절개하여 필요한 문양조각을 만든 다음 이 각 문양조각들을 문양을 표출하고자 하는 부분에 짜 맞추어 부착하는 공법이 전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반지나 목걸이 등의 장신구에 자개문양을 부착하여 심미감이 높은 장신구를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으 기술과 관련되어 대한민국 특허 제463994호에서 나전칠기가 결합된 장신구 및 그 제작방법의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귀금속인 금, 은 및 백금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금속을 선택하여 인베스트먼트 주조법으로 성형된 반지부재(미도시)와, 상기 반지부재에 대응되는 홈(210)을 통하여 자개가 부착된 나전칠기 부재(200)를 반지부재에 결합시켜 나전칠기와 귀금속과의 조화로움이 구현된 장신구로, 여기서 나전칠기 부재(200)는 장신구의 외형에 대응되는 목재를 선정하여 표면을 연마가공하고 다수 회 옻칠한 뒤, 자개판(300)을 아교로 접착하고, 재차 다수 회 옻칠하여 제작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장신구는 바지부재와 나전칠기부재(200)를 별도로 제작하여 부착하는 구성으로 작업공정이 증가함은 물론 원가가 증가하게 되며, 조립과정이 매우 번거로워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한지와 나전등 천연재를 사용하여 작용시 인체에 부작용을 최소화 하고, 자연적인 전통과 한국적인 아름다움을 내포한 다양한 친환경 제품의 제작이 가능토록 하며, 다양한 형상을 갖는 악세사리의 제작이 용이하도록 하고, 한지를 이용하여 몸체를 제작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하도록 하며, 소형보석, 악세사리, 단추, 소품, 문구용품등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지 악세사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압축되는 입체형상의 한지로 이루어지면서 외부에 복수의 부착면을 구비한 악세사리몸체와 상기 부착면에 접합되는 장식판 및 장식판 또는 악세사리몸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덮도록 설치되는 제1코팅층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한지 악세사리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장식판사이에 위치토록 악세사리몸체에서 일체로 돌출되는 분리턱이 더 구비되는 한지 악세사리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한지를 악세사리에 대응되는 형을 구비하면서 복수의 부착면을 갖도록 설치되는 금형에 의해 압축성형하여 입체형상의 악세사리몸체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악세사리몸체의 부착면에 대응토록 장식판을 절단하는 단계;
상기 장식판을 악세사리몸체에 접착제층으로 접합하는 단계로서 이루어진 한지 악세사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악세사리몸체의 외측에 코팅층을 형성한 후 건조하고, 상기 코팅층의 상측에 접착제층을 형성하여 장식판을 접합하는 한지 악세사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장식판의 외측에 투명의 코팅층을 형성한 후 연마하는 한지 악세사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한지는, 한지를 세절한 후 물에 혼합하고, 세절된 한지를 두들겨 섬유풀기를 수행한 후 물풀을 투입하여 가압하는 한지 악세사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연적인 전통과 한국적인 아름다움을 내포한 다양한 친환경 제품의 제작이 가능하며, 다양한 형상을 갖는 악세사리의 제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한지를 이용하여 몸체를 제작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하며, 소형보석, 악세사리, 단추, 소품, 문구용품등에 적용하고, 한지와 나전등 천연재를 사용하여 작용시 인체에 부작용을 최소화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장신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한지 악세사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지 악세사리를 도시한 사사도이다.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한지 악세사리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한지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한지 악세사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지 악세사리를 도시한 사사도이며,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한지 악세사리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한지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한지 악세사리(J)는, 압축되어 입체형상을 갖는 한지로 이루어지면서 외부에 복수의 부착면(115)을 구비한 악세사리몸체(110)와 상기 부착면(115)에 접합되는 장식판(130) 및 장식판 또는 악세사리몸체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덮도록 도포되는 제1코팅층(15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악세사리몸체(110)는, 다이어몬드나, 루드 각종 보석류의 외형을 갖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장식판(130) 사이에는 분리턱(117)이 위치하여도 되며, 상기 분리턱(117)은 악세사리몸체(110)에서 일체로 돌출되면서 상대적으로 부착면(115)이 함몰토록 악세사리몸체의 외측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악세사리몸체(110)의 외측에 제2코팅층(12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장식판(130)은 접착제층(140)을 통하여 악세사리몸체(110) 또는 제2코팅층(120)의 상측에 접합된다.
더하여, 상기 악세사리몸체(110)는 백색, 흑색, 또는 일정한 컬러를 갖도록 설치되고, 상기 장식판(130)은 나전(자개)기법으로 제작되거나, 유리, 플라스틱, 천연재중에서 선택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6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한지를 가압하여 입체형상을 갖는 악세사리몸체(110)를 제작한다.
이때, 상기 한지에는 일정한 컬러가 혼합되어도 된다.
상기 악세사리몸체(110)는, 먼저 기성품이면서 흰색이나 검은색 또는 다양한 컬러를 갖는 한지와 물품(밀가루풀, 쌀풀, 녹말풀중 선택되는 어느하나)를 준비한 후 한지를 세절한다.
그리고, 세절된 한지를 물에 4~8시간동안 침투시켜 한지가 충분하게 불려지도록 한다.
더하여, 물에 불려진 한지를 두들겨 한지의 섬유 조직이 풀리도록 한다.
계속하여, 섬유가 풀려지는 한지에 준비된 물풀을 투입한 후 드들기면서 혼합한다.
그리고, 상기 두들기는 동작은 다공상의 스크린에서 수행하며 수분이 40~60중량% 정도가 제거되기 까지 수행토록 한다.
이때, 상기 한지에 투입되는 물풀은 한지의 중량대비 5~7중량%가 적당하다.
상기 물풀이 5중량% 이하이면 수분의 제거시 한지가 서로 분리될 염려가 있으며, 물풀이 7중량% 이상이면 점도가 증가되어 악세사리몸체(110)의 성형 작업이 번거롭게 된다.
상기와 같은 한지를 프레스에 의해 가압하여 수분이 95~98%정도를 제거토록 하여 악세사리몸체(110)를 형성하기 위한 입체형상의 한지블럭(180)을 제조한다.
그리고, 상기 한지블럭(180)을 제작하고자 하는 악세사리(160)에 대응되는 형을 구비하도록 설치되는 금형(170)에 투입한 후 압축 성형하여 악세사리몸체(11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악세사리몸체(110)는 상부와 하부를 별도로 제작한 후 접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더하여, 상기 금형(170)은, 악세사리몸체(110)에서 돌출되면서 부착면(115)이 함몰되는 분리턱(117)이 형성토록 함몰되는 분리턱형성홈(175)이 구비되어도 좋다.
즉, 상기 분리턱형서홈(175)이 구비된 금형을 사용할 경우 악세사리몸체(110)에는 분리턱(117)이 형성되어 장식판이 분리턱에 의해 분리되는 형상을 갖도록 된다.
또한, 상기 악세사리몸체(110)는 디자인의 제약이 없으며, 각종 보석, 악세사리, 문구등의 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한지로 이루어진 악세사리몸체에 나전기법으로 이루어진 장식판을 부착할 때 자연적 아름다음과 고급스러움을 지닌 한국적인 악세사리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더하여, 상기 악세사리몸체(110)의 부착면(115)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도록 장식판(130)을 절단한다.
이때, 상기 악세사리몸체(110)의 외측에는 제2코팅층(120)이 형성되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제1,2코팅층은 한지로서 이루어진 악세사리몸체의 수분침투등이 방지되면서 반사 및 투광효율을 높이게 된다.
또한, 상기 장식판(130)은 나전(자개), 유리, 플라스틱, 천연재중에서 선택되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악세사리몸체(110)의 외측 또는 제2코팅층(120)의 외측에 접착제층(140)을 형성한 후 장식판(130)을 접합한다.
이때, 상기 접착제층(140)은, 아교, 요소수지, 자일렌수지, 부레풀, 나사용에폭시접착제중에서 선택되어 사용된다.
계속하여, 상기 접착제층을 통하여 악세사리몸체(110)에 부착되는 장식판(130)으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190) 및 연마(190)하여 한지악세사리(J)를 제작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장식판이 접합된 악세사리몸체(100)의 외측에 제1코팅층(15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1,2코팅층은, 천연도료를 사용하며, 상기 천연도료는 독성분이 제거된 투명의 정제 옻을 사용토록 하여 인체에 무해하면서 한지의 질감을 외부에 그대로 나타내고, 방수,내수, 통기성과 내구성, 방충성이 우수하여 오랜시간동안 사용하여도 변형이나 변질이 없다.
그리고, 본 발명의 악세사리몸체는, 소형의 보석, 악세사리부재등의 장신구, 단추등 의료용 부재료, 생활용품 사무용품 및 문구용품등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110...악세사리몸체 115...부착면
117...분리턱 130...장식판
140...접착제층

Claims (9)

  1. 가압되어 입체형상을 갖는 한지로 이루어지면서 외부에 복수의 부착면을 구비한 악세사리몸체; 및,
    상기 부착면에 대응되는 크기로서 제작되어 부착면에 접합되는 장식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식판 사이에 악세사리몸체에서 돌출되는 분리턱이 구비되며, 상기 분리턱 또는 장식판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덮도록 설치되는 제1코팅층이 더 구비되는 한지 악세사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판 또는 악세사리몸체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덮도록 설치되는 제1코팅층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 악세사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세사리몸체는, 한지를 금형에 의해 압축성형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 악세사리.
  5. 한지블럭을 악세사리에 대응되는 형을 구비하면서 복수의 부착면을 갖도록 설치되는 금형에서 압축성형하여 악세사리몸체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악세사리몸체의 부착면에 대응토록 장식판을 절단하는 단계;
    상기 장식판을 접착제층을 통하여 악세사리몸체에 접합하는 단계;
    상기 장식판 또는 악세사리몸체중 어느 하나 이상의 외부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이루어진 한지 악세사리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지블럭은, 한지를 세절한 후 물에 담궈 불려지도록 하고, 물에 불려진 한지를 두들겨 한지의 섬유가 풀리도록 하며, 섬유가 풀려지는 한지에 물풀을 투입하여 혼합하고, 물품이 혼합된 한지를 가압하여 수분이 95~98%정도 제거토록 하여 제작되며, 상기 물풀은 밀가루풀, 쌀풀, 녹말풀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 악세사리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아교, 요소수지, 자일렌수지, 부레풀, 에폭시접착제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 악세사리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악세사리몸체의 외측에 코팅층이 더 형성되며,
    상기 코팅층은, 천연도료가 사용하며,
    상기 천연도료는 독성분이 제거된 투명의 정제 옻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 악세사리 제조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악세사리몸체는 상부와 하부를 별도로 제작한 후 접합하여 사용되며,
    상기 금형은, 악세사리몸체에서 돌출되면서 부착면이 함몰되는 분리턱을 형성토록 내부면에 함몰되는 분리턱형성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 악세사리 제조방법.
KR1020130111718A 2013-09-17 2013-09-17 한지 악세사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444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718A KR101444755B1 (ko) 2013-09-17 2013-09-17 한지 악세사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718A KR101444755B1 (ko) 2013-09-17 2013-09-17 한지 악세사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4755B1 true KR101444755B1 (ko) 2014-09-26

Family

ID=51761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1718A KR101444755B1 (ko) 2013-09-17 2013-09-17 한지 악세사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475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8847A (ko) * 1982-03-25 1983-12-16 박성일 한지를 주제로 한 조형물의 제조방법
KR20100005187U (ko) * 2008-11-11 2010-05-20 정형근 입체무늬 한지장식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8847A (ko) * 1982-03-25 1983-12-16 박성일 한지를 주제로 한 조형물의 제조방법
KR20100005187U (ko) * 2008-11-11 2010-05-20 정형근 입체무늬 한지장식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4989A (ko) 입체장식물이 고정된 장식 복층 유리
JP2008290317A (ja) 美術装飾品
KR101444755B1 (ko) 한지 악세사리 및 그 제조방법
KR100776617B1 (ko) 인조손톱세트
CN105648676A (zh) 一种湘南布贴绣的制作方法
KR101204379B1 (ko) 한지를 이용한 자개 장신구
KR100832484B1 (ko) 에폭시 수지 안에 장식물이 내장된 장신구의 제조방법
CN100445108C (zh) 彩色石材圆雕工艺
CN204605362U (zh) 立体压凸水晶贴纸
KR200409878Y1 (ko) 장식품
KR101917653B1 (ko) 심미성 및 조형성을 높인 압화물 제작방법
CN204742982U (zh) 一种镂空大蝴蝶发饰发夹
KR20110114739A (ko) 자개 장식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자개 장식물
KR20090010347U (ko) 한지보석
KR20080104619A (ko) 압화 및 입체 장식 문양을 이용한 목조 장식체의 제조방법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목조 장식체
KR100973057B1 (ko) 장식용 테이프의 제조방법
CN104015543A (zh) 一种工艺品表面的装饰工艺
CN201484785U (zh) 一种滴塑装饰包装盒
KR102101891B1 (ko) 화장품 케이스의 장식판 제조방법
KR200270586Y1 (ko) 목재 박판을 이용한 장신구
CN2298698Y (zh) 实竹工艺钮扣
CN209776002U (zh) 一种实物仿生装饰结构
KR200374211Y1 (ko) 압화를 부착한 장식물
KR200373534Y1 (ko) 종이 액세서리
KR20040013843A (ko) 장식용 판재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