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811Y1 - 장식품 - Google Patents

장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811Y1
KR200448811Y1 KR2020080000342U KR20080000342U KR200448811Y1 KR 200448811 Y1 KR200448811 Y1 KR 200448811Y1 KR 2020080000342 U KR2020080000342 U KR 2020080000342U KR 20080000342 U KR20080000342 U KR 20080000342U KR 200448811 Y1 KR200448811 Y1 KR 2004488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ve element
ornament
present
adhesive layer
conv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03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7082U (ko
Inventor
김철규
Original Assignee
김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규 filed Critical 김철규
Priority to KR20200800003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811Y1/ko
Publication of KR200900070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0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8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8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8Trimmings; Orna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류나 가방.신발 또는 액세서리 등의 신변용품들을 치장시키는 인조보석인 장식품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장식품은 에폭시 등의 투명성 수지를 이용해 볼록 또는 오목 렌지기능을 갖는 투과요소와, 그 투과요소의 저면에 선택적으로 다양한 문양층 가질 수 있으며, 그리고 그 저면에 투과성이고 열접합식으로 접착되게 하는 접착층을 갖추어서, 피 부착물의 기저면에 대하여 볼록렌즈 또는 오목렌즈와 같은 효과를 얻는 장식품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장식품{Decorations}
본 고안은 의류나 가방.신발 또는 액세서리 등의 신변용품들을 치장시키는 장식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볼록 또는 오목렌즈와 같은 시각적 효과를 얻는 장식품에 관한 것이다.
장식품은 현재까지 여러 가지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그러한 장식품은 주로 보석대용인 인조보석으로서 통상 투과성의 수지물을 이용해 유입되는 빛을 재귀반사시키어 소기의 장식 효과를 얻게 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에폭수지 등의 투과성 수지를 이용해 소정의형태로 성형되는 투과요소의 저면에 그 투과요소를 통과하여 유입된 빛을 재귀반사시키는 반사층, 그리고 이 반사층의 저면에 피 부착물과 열 접합식으로 접착되게 하는 접착층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장식품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투과요소를 통과하여 유입된 빛이 반사층에서 재귀반사되어 마치 보석과 같은 난반사를 이루어 치장효과를 얻게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장식품들은 단순히 재귀반사 기능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 제품이 단조롭고 단순히 빛의 난반사만을 이루고 있어 제품의 다양성 등 다채로운 변화가 불가한 등의 제품성이 저조한 결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빛을 모으거나 분산시키도록 투과요소를 구성함으로써, 기저면에 대하여 볼록렌즈나 오목 렌즈와 같은 시각적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투과요소의 저면에 다채로운 문양층을 갖춤으로써, 제품의 다양화가 가능한 장식품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의류나 가방.신발 또는 액세서리 등의 신변용품들을 치장시키는 인조보석인 장식품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장식품은 에폭시 등의 투명성 수지를 이용해 볼록 또는 오목 렌지기능을 갖는 투과요소와, 그 투과요소의 저면에 선택적으로 다양한 문양층 가질 수 있으며, 그리고 그 저면에 투과성이고 열접합식으로 접착되게 하는 접착층을 갖추어서, 피 부착물의 기저면에 대하여 볼록렌즈 또는 오목렌즈와 같은 효과를 얻는 장식품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 장식품의 효과를 설명하면, 본 고안은 빛을 모으거나 분산시키도록 투과요소를 구성함으로써, 기저면에 대하여 볼록렌즈나 오목 렌즈와 같은 시각적 효과를 얻어 장식효과는 물론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은 투과요소의 저면에 다채로운 변화를 주는 문양층을 갖춤으로써, 제품의 다양화가 가능한 장식품을 제공함에 있다.
다음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겠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품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데, 본 고안은 의류나 가방.신발 또는 액세서리 등의 신변용품들을 치장시키는 장식품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피착물(장식품이 부착되는 신변용품)의 기저면에 대하여 볼록 또는 오목렌즈와 같은 시각적 효과를 얻는 장식품인 것이다.
도면에서 10은 캐리어시트이다. 이 캐리어시트(10)상에 점착되어 보급될 것이다.
본 고안 장식품은 에폭시 등의 투명성 수지계열을 이용해 소정의 형태로 성형되는 투과요소(20)를 갖는다.
도 1에는 장식품 그 하나의 예로서, 중앙으로 가며 점차 두터워져 빛을 모으는 블록렌즈와 같은 시각적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제시된다.
또 투과요소(20)의 저면에 투과성이고 열접합식으로 접착되게 하는 접착층(22)을 갖추고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볼록렌즈와 같은 시각적 효과를 얻는 장식품은 피착물(신변용품)에 접착시 그 피착물에 표현된 다양한 문양들이 확대되면서 시각적으로 돌출효과를 구현시키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투과요소(20)와 접착층(22)의 사이에 도 2에서와 같이 다채로운 인쇄문양층(24)를 갖추어서 다양한 시각적 변화를 주어 장식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3에는 본 고안 장식품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본 실시 예에서는 가장자리는 두텁고 중앙으로 가며 점차 얇아져 빛을 분산시키는 오목렌즈와 같은 시각적 효과를 얻는 투과요소(30)와, 투과요소(30)의 저면에는 다양한 모양으로 표현되는 인쇄문양층(32), 그리고 인쇄문양층(32)의 저면으로는 투과성이고 열접합식으로 접착되게 하는 접착층(34)을 갖추어서 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장식품의 구성을 보여 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장식품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 장식품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 주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투과요소 22 :접착층
24 :인쇄문양층

Claims (4)

  1. 에폭시수지에 의해 성형되어 렌즈기능을 갖는 투과요소; 및
    상기 투과요소의 저면에 열접합식으로 접착되는 접착층;
    을 갖추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요소는 볼록렌즈인 장식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요소는 오목렌즈인 장식품.
  4. 에폭시수지에 의해 성형되어 렌즈기능을 갖는 투과요소와;
    상기 투과요소의 저면에 열접합식으로 접착된 접착층; 및
    상기 투과요소와 상기 접착층의 사이에 갖추어지면서 다양한 모양으로 표현되는 인쇄문양층;
    을 갖추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품.
KR2020080000342U 2008-01-09 2008-01-09 장식품 KR2004488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342U KR200448811Y1 (ko) 2008-01-09 2008-01-09 장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342U KR200448811Y1 (ko) 2008-01-09 2008-01-09 장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082U KR20090007082U (ko) 2009-07-13
KR200448811Y1 true KR200448811Y1 (ko) 2010-05-26

Family

ID=41334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0342U KR200448811Y1 (ko) 2008-01-09 2008-01-09 장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811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899A (ko) * 2002-03-23 2003-09-29 김철규 장식품 및 그 제조 방법
KR200396756Y1 (ko) 2005-07-15 2005-09-27 허만실 악세사리용 비드
KR200409878Y1 (ko) 2005-12-15 2006-03-03 김철규 장식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899A (ko) * 2002-03-23 2003-09-29 김철규 장식품 및 그 제조 방법
KR200396756Y1 (ko) 2005-07-15 2005-09-27 허만실 악세사리용 비드
KR200409878Y1 (ko) 2005-12-15 2006-03-03 김철규 장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082U (ko) 2009-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315B1 (ko) 입체형 장식물이 형성된 인조네일 제조방법
CA2782951C (en) Manufacturing method of artificial nail with 3-dimension ornament
JP2008290317A (ja) 美術装飾品
CN101744390A (zh) 镶有宝石的珠片
KR200448811Y1 (ko) 장식품
KR200409878Y1 (ko) 장식품
WO2008007444A1 (fr) Faux ongle incrusté d'une pierre précieuse, structure de montage d'une pierre précieuse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e faux ongles incrustés de pierres précieuses
KR100514988B1 (ko) 장식품의 제조 방법
KR101009947B1 (ko) 장식용 인조보석
KR100927891B1 (ko) 장식용 보석 스티커
JP2003182293A (ja) 工芸品及び工芸品の作成方法
KR20170004927A (ko) 실리콘 몰딩부재
KR20090128713A (ko) 핫픽스로 된 글리터 스티커 시트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의한 글리터 스티커 시트지
KR100701415B1 (ko) 플라스틱 비즈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피복천에플라스틱 비즈를 부착하는 방법
KR101985738B1 (ko) 장식부 내측에 외측으로 투시되는 문양이 형성된 장신구 제조 방법
KR102362640B1 (ko) 기재 및 그 장식을 위한 보호를 갖춘 복합 타임피스 또는 보석류 구성 요소
KR20130043363A (ko) 장식용 스팽글
ITMI20060796A1 (it) Simil-pietra per ornamento di indumenti e accessori e relativo metodo di produzione
KR101963645B1 (ko) 악세사리용 장신구의 제조방법
KR101021060B1 (ko) 장식용 인조보석
KR101444755B1 (ko) 한지 악세사리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54573A (ko) 보석장식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323263Y1 (ko) 장식모양 부착부재
KR20080104619A (ko) 압화 및 입체 장식 문양을 이용한 목조 장식체의 제조방법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목조 장식체
JP2006246970A (ja) 鹿の子模様の装身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