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667B1 - 입체 장식물을 갖는 장식용 복층 유리 - Google Patents

입체 장식물을 갖는 장식용 복층 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667B1
KR101647667B1 KR1020150024130A KR20150024130A KR101647667B1 KR 101647667 B1 KR101647667 B1 KR 101647667B1 KR 1020150024130 A KR1020150024130 A KR 1020150024130A KR 20150024130 A KR20150024130 A KR 20150024130A KR 101647667 B1 KR101647667 B1 KR 101647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dimensional
decorative
decoration
fo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4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지원
Original Assignee
윤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지원 filed Critical 윤지원
Priority to KR1020150024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6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장의 유리 사이에 개입되는 단조 장식체의 내부 공간에 3차원의 입체 형상을 나타내는 입체 장식물을 구비하는 장식용 복층 유리 구조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판 유리 내부에 단조 장식체가 개재되는 장식용 복층 유리에 있어서, 상기 단조 장식체는 입체 장식물이 삽입되는 폐쇄형 또는 개방형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는 투명 접합시트가 개입되며, 입체 장식물은 상기 접합시트의 적어도 일면에 접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한 쌍의 판유리 내부에 단조 장식체가 개입되는 복층 유리에 대하여 단조 장식체 내부에 삽입되는 장식물의 입체 형상이 양 측 판유리를 향하도록 고정됨으로써, 복층 유리의 양 방향에서 입체 장식감을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입체 장식물을 갖는 장식용 복층 유리{Duplex Window Glass with Solid Decoration}
본 발명은 장식용 복층 유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장의 유리 사이에 개입되는 단조 장식체의 내부 공간에 3차원의 입체 형상을 나타내는 입체 장식물을 구비하는 장식용 복층 유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 유리는 판유리의 표면을 가공처리하여 아파트나 주택 등의 중문, 방창 유리, 현관 고정창, 드레스 룸 창 또는 사무실이나 상가 등에 사용된다. 창호 유리에 사용되는 판유리는 원료조합, 용해, 청징, 성형, 서랭 및 가공의 공정을 거쳐 제조되며, 제조된 판유리의 표면을 가공처리함으로써 표면을 거칠게 하여 불투명하게 하거나 또는 착색제를 이용하여 착색하여 제조하고 있다.
즉, 투명유리로 제조되는 판유리는 외부의 시선이나 빛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없어 욕실 및 화장실의 칸막이로 이용하거나 사무실의 칸막이 또는 창으로 이용할 시에 결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판유리의 표면을 거칠게 하거나 무늬를 형성시켜 판유리의 반대편으로부터 투시를 차단하여 판유리 안쪽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최근에는 현관문과 같은 곳에 설치되는 창호 유리의 경우에도 판유리의 외부로 다양한 무늬나 문양 등이 표현되도록 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연출하면서 단열 기능을 갖는 복층 유리 구조의 창호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유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판유리(10)와 판유리 내부에 개재되는 단조 장식체(20)로 구성된다. 여기서 단조 장식체(20)는 강철이나 알루미늄 등 금속 소재 선재의 단조나 MDF 또는 판재를 CNC로 절단하여 나무 가지나 화초 등의 형태로 얇게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단조 장식체(20)를 이용한 복층 유리는 금속을 단조하거나 MDF 또는 목판재를 이용한 가공을 함으로써, 형상이나 모양을 다양하게 변형시키기 어렵고, 색상이나 무늬 등을 섬세하고 고상하게 표현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단조 장식체 내부에 다양한 모양의 장식체를 추가로 삽입하는 구조의 장식용 복층 유리가 국내공개특허 10-2010-0104989호(선행문헌)에 제시된바 있다. 상기 선행문헌은 복층 유리를 이루는 2장의 유리 사이에, 천, 종이, 건조화, 건조수목, 금속, 유리 보석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3차원으로 형성한 입체 장식물을 삽입하여 장식을 하되, 상기 2장의 유리 사이에는 상기 입체 장식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용하여 입체 장식물이 제자리에서 유격하거나 정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막아 줄 정도의 공간을 갖는 완전 폐쇄형 포켓이나 부분 개방형 포켓이 마련된 입체공간 형성틀(즉, 단조 장식체)을 개재시켜 구성하고 있다.
상기 선행문헌의 복층 유리는 단조에 형성되는 입체공간 형성틀의 포켓 내부에 조화와 같은 입체 장식물이 단조 장식체 내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된다. 상기 선행문헌에서는 입체 장식물이 적어도 포켓 내부 공간의 직경보다는 큰 크기를 가져야 고정될 수 있으므로, 포켓보다 큰 크기를 갖는 장식물만이 삽입될 수 있고, 크리스탈과 같은 작은 크기의 개별 장식물은 고정 삽입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은 입체공간 형성틀에 삽입되는 입체 장식물이 복층 유리의 일측 방향에서만 장식미를 나타내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크리스탈과 같은 작은 크기의 장식물(3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조 장식체(2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부(21, 포켓) 내부의 유리 판면에 투명 접착제(31)를 이용하여 직접 부착하는 방식으로 장식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유리 판면에 부착되는 크리스탈 장식물(30)의 일면이 유리와 동일한 평면의 접합면(30a)으로 가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접합면(30a)에 의하여 장식물(30)이 접착된 방향의 판유리(10) 외부에서는 장식물(30)의 접합면(30a)이 노출되므로, 장식물(30)이 평면 형상으로만 인식되어 입체감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2와 같이 장식물(30)이 유리 판면에 직접 부착되는 경우 단조 장식체(20)와의 관계에서 장식물(30)과 단조 장식체(30)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장식물이 정위치에 부착되어야 하는데, 이와 같이 장식물의 부착 위치를 정렬(align)하기가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 10-2010-0104989호(2010.09.29.출원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한 쌍의 판유리 내부에 단조 장식체가 개입되는 복층 유리에 대하여 단조 장식체 내부에 삽입되는 입체 장식물이 판유리의 양 방향에서 입체감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장식용 복층 유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조 장식체 내부에 다수의 입체 장식물이 삽입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수의 입체 장식물의 배열에 따라 다수의 입체 장식물 자체가 다양한 문양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장식용 복층 유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 쌍의 판 유리 내부에 단조 장식체가 개재되는 장식용 복층 유리에 있어서, 상기 단조 장식체는 입체 장식물이 삽입되는 폐쇄형 또는 개방형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는 투명 접합시트가 개입되며, 입체 장식물은 상기 접합시트의 적어도 일면에 접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접합시트는 양면 접착 테이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체 장식물은 다수개의 장식물로 구성되어 상기 접합시트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체 장식물은 보석류를 이용한 장식물이거나, 경화성 수지에 글리터(glitter) 부재가 혼합된 장식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한 쌍의 판유리 내부에 단조 장식체가 개입되는 복층 유리에 대하여 단조 장식체 내부에 삽입되는 장식물의 입체 형상이 양 측 판유리를 향하도록 고정됨으로써, 복층 유리의 양 방향에서 입체적인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알갱이로 구성되는 입체 장식물이 그 자체의 배열 구조에 따라 다양한 문양을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장식용 복층 유리의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장식용 복층 유리의 크리스탈 장식물 고정 구조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복층 유리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복층 유리의 입체 장식물 고정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분해 사시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복층 유리의 입체 장식물 고정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복층 유리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복층 유리의 입체 장식물 고정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복층 유리의 입체 장식물 고정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결합 단면도로서, 도 3의 I-I 방향의 단면을 나타내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식용 복층 유리는 한 쌍의 판유리(100)와 판유리 내부에 개재되는 단조 장식체(200), 판유리 사이의 공간에서 단조 장식체의 공간부(210)에 삽입되는 입체 장식물(300) 및 입체 장식물을 고정시키는 접합시트(40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복층 유리는 한 쌍의 판유리(100) 내부에서 단조 장식체(200)와 입체 장식물(300)이 특정 문양을 이루면서 배치된 후, 한 쌍의 판유리(100)의 가장자리가 실링제(미도시)나 접착 테이프로 밀봉되면서 서로 접합된 상태에서 창문, 현관문, 가림막 등의 다양한 용도로 가공되어 사용된다.
여기서, 판유리(100)는 도어 등의 표면을 구성하는 투명 유리로서, 글래스를 이용한 일반 유리, 강화유리, 플라스틱 재질의 유리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단조 장식체(200)는 한 쌍의 판유리 사이에 개입되어 각 유리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단조 구조에 의하여 자체적으로 복층 유리의 장식물을 구성한다. 이러한 단조 장식체(200)는 강철, 알루미늄 등 금속 재질, 나무 판재를 이용한 목재 재질 또는 성형 가공한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나무 가지, 화초, 창살 등의 다양한 형태로 성형되어 1차적인 미감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입체 장식물(300)은 단조 장식체(20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부(210)에 삽입되어 2차적인 미감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단조 장식체(200)는 입체 장식물(300)이 고정될 수 있는 원형, 다각형 등의 공간부(210)를 갖도록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공간부(210)는 가장자리가 폐쇄되거나 일부가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입체 장식물(300)은 크리스탈 등과 같은 보석류가 이용될 수 있으며, 다수의 알갱이로 구성된다. 입체 장식물(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유리 내부에서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어 단조 장식체(200)와 어울려 창호가 더욱 화려한 미감을 나타내도록 한다.
이러한 입체 장식물(300)의 고정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시트(40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접합시트(400)는 투명 수지 재질의 시트로 구성되며, 일 예로 PC(Polycarbonate) 필름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접합시트(400)는 장식물의 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양면 접착성을 갖는 투명 테이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접합시트(400)는 단조 장식체의 공간부(210) 형상을 이루며, 공간부(210) 내부에서 수직 방향 중앙부(즉, 양 측 판유리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삽입된다. 이때, 접합시트(400)는 공간부(210) 내면에 밀착되면서 고정되도록 직경이 공간부(210)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접합시트(400)는 판유리(100)와 동일한 투명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시트 자체는 외부에서 인식되지 않고 시트에 부착되는 장식물만이 외부로 인식된다.
또한, 장식물의 두께가 단조 장식체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경우 단조 장식체 양 면에 접합되는 판유리의 압력으로 장식물이 고정될 수 있지만, 접합시트(400)는 단조 장식체(200)의 두께나 공간부 폭보다 훨씬 작은 크기의 입체 장식물(300)도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접합시트(400)는 입체 장식물(300)의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크리스탈 입체 장식물(3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시트(400)의 양측 표면에 부착된다. 접합시트(400)가 비접착성 필름으로 구성되는 경우 입체 장식물(300)은 별도의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지만, 접합시트(400)가 접착성의 양면 테이프로 구성되는 경우 입체 장식물(300)은 별도의 접착제 없이 접합시트에 부착된다. 이때, 입체 장식물(300)은 접합시트(400)의 양면에 부착되어 입체 형상을 갖는 전면(前面)이 양 측의 판유리(100)를 향하게 되므로 장식물(300)의 입체 형상이 외부로 그대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입체 장식물(300)은 크리스탈과 같은 다수의 알갱이로 구성되므로, 접합시트(400)의 표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위치에 부착될 수 있으므로 입체 장식물(300)의 배열 구조 자체에서도 다양한 문양을 형성하여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입체 장식물(300)은 크리스탈과 같은 보석류 외에도 점착성을 갖는 경화성 수지가 접합시트(400) 표면에 입체 형상으로 도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경화성 수지에는 장식물(300)이 반짝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펄가루와 같은 글리터(glitter) 부재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장식용 복층 유리 구조에서는 입체 장식물(300)이 접합시트(400)를 매개로 단조 장식체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장식물의 입체적 형상이 외부를 향할 수 있어 장식물의 입체적 형상에 의한 미감을 외부로 그대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알갱이로 구성되는 입체 장식물(300)은 접합시트(400) 표면의 다양한 위치에서 부착될 수 있어, 입체 장식물(300) 자체의 배열에 따른 다양한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입체 장식물(300)은 접합시트(400)에 부착되어 판유리(100) 사이에 고정되므로 장식물의 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 판유리
200 : 단조 장식체
300 : 입체 장식물
400 : 접합시트

Claims (5)

  1. 한 쌍의 판 유리 내부에 단조 장식체가 개재되는 장식용 복층 유리에 있어서,
    상기 단조 장식체는 입체 장식물이 삽입되는 폐쇄형 또는 개방형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는 투명 재질의 접합시트가, 한 쌍의 상기 판 유리와 간격을 형성하면서 가장자리가 상기 단조 장식체 내면에 지지되어 고정되도록 개입되며,
    상기 접합시트 양면에는 입체 장식물이, 내면의 접합면이 접합시트 양면에 각각 접합되면서 상기 공간부 내에 고정되어 외면의 입체 장식면이 양면의 판유리를 통하여 외부로 시인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복층 유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시트는,
    양면 접착 테이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복층 유리.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장식물은,
    보석류를 이용한 장식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복층 유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장식물은,
    경화성 수지에 글리터(glitter) 부재가 혼합된 장식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복층 유리.
KR1020150024130A 2015-02-17 2015-02-17 입체 장식물을 갖는 장식용 복층 유리 KR101647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130A KR101647667B1 (ko) 2015-02-17 2015-02-17 입체 장식물을 갖는 장식용 복층 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130A KR101647667B1 (ko) 2015-02-17 2015-02-17 입체 장식물을 갖는 장식용 복층 유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7667B1 true KR101647667B1 (ko) 2016-08-11

Family

ID=56714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130A KR101647667B1 (ko) 2015-02-17 2015-02-17 입체 장식물을 갖는 장식용 복층 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6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6484A (ko) 2019-12-16 2021-06-24 윤철 펜던트 장식을 갖는 단조형 복층 유리창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022B1 (ko) * 2009-02-25 2009-07-08 권영옥 장식무늬판의 수장실에 충진물이 채워진 이중접합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04989A (ko) 2009-03-20 2010-09-29 이용권 입체장식물이 고정된 장식 복층 유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022B1 (ko) * 2009-02-25 2009-07-08 권영옥 장식무늬판의 수장실에 충진물이 채워진 이중접합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04989A (ko) 2009-03-20 2010-09-29 이용권 입체장식물이 고정된 장식 복층 유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6484A (ko) 2019-12-16 2021-06-24 윤철 펜던트 장식을 갖는 단조형 복층 유리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43646S1 (en) Panel for doorway
KR101647667B1 (ko) 입체 장식물을 갖는 장식용 복층 유리
USD607581S1 (en) Glass window
KR101424679B1 (ko) 무늬부를 포함하는 반투명 창호
KR200463692Y1 (ko) 페어 글라스 창문
JP3187473U (ja) 装飾パネル
KR101163541B1 (ko) 다양한 소재의 장식물 배치가 자유로운 장식 복층유리
KR20140135289A (ko) 보석장식부가 구비된 현관문과 그 제조방법
JP6307476B2 (ja) 段違い合わせガラス、扉、及び段違い合わせガラスの生産方法
KR20120017202A (ko) 장식무늬판 및 조형물이 구비된 복층유리
JP2008025203A (ja) 採光扉
ITMO20010080A1 (it) Realizzazione di piastrelle contenenti decoro costituito da elementi organici ed inorganici cristallizzati
KR20010088040A (ko) 방화문
CN216076866U (zh) 一种带有薄板的门板结构
US20070284064A1 (en) Slat Base for Window Blinds
JPH0613232Y2 (ja) 合わせ板硝子
KR20210076484A (ko) 펜던트 장식을 갖는 단조형 복층 유리창호
KR200474816Y1 (ko) 장식 기능을 갖는 장롱 문짝
KR20110107719A (ko) 조립형 장식무늬판이 구비된 복층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EP2165036A1 (en) Door
KR20210087807A (ko) 리본 장식을 갖는 단조형 복층 유리창호 및 그 제조방법
KR101680860B1 (ko) 창호용 페어 글래스 및 이의 제작 방법
JP2010084496A (ja) 採光扉の製造方法
KR200470019Y1 (ko) 모빌 창호
KR200238246Y1 (ko) 문짝의 장식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