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7022B1 - 장식무늬판의 수장실에 충진물이 채워진 이중접합유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장식무늬판의 수장실에 충진물이 채워진 이중접합유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7022B1
KR100907022B1 KR1020090015914A KR20090015914A KR100907022B1 KR 100907022 B1 KR100907022 B1 KR 100907022B1 KR 1020090015914 A KR1020090015914 A KR 1020090015914A KR 20090015914 A KR20090015914 A KR 20090015914A KR 100907022 B1 KR100907022 B1 KR 100907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late
double
decorative
bo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5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옥
Original Assignee
권영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옥 filed Critical 권영옥
Priority to KR1020090015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70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04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omprising false glazing bars or similar decorations between the p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3Assembling the units
    • E06B3/67326Assembling spacer elements with the p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7Evacuating or fill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 Equilibration of inside and outside pressure; Preventing condensation in the gap between the panes; Clean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Abstract

본 발명은 판유리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게 한 통상의 이중접합유리(페어글라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판유리 사이의 공간부에 다양한 모양과 색상이 입체적으로 표현되게 한 장식문양이 배시되게 하여 이중접합유리의 고유기능을 만족하면서,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형태의 장식기능이 부가되게 하므로서, 사용자들로부터 만족감을 도출시킬 수 있는 양질의 제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판유리 사이에 장식문양이 배시되게 한 통상의 이중접합유리를 구성함에 있어서, 판유리 사이의 공간부에 수장실이 형성된 다양한 모양의 장식무늬판을 위치시키고, 상기 장식무늬판에 구성된 수장실에 다양한 색상의 충진물을 충진하여 판유리 사이에 다양한 모양과 색상으로 된 입체형상의 장식문양이 배시되게 하되, 상기 장식무늬판의 수장실에 충진되는 충진물은 소재와 크기, 색상등이 다양한 형태로 가공된 작은 조각이나 알갱이(비즈(beads)), 혹은 천연소재인 모래나, 방부처리되고 염색가공된 곡물류등 다양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장식무늬판의 수장실에 충진물이 채워진 이중접합유리 및 그 제조방법{PAIR GLAS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이중접합유리(페어글라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판유리 사이의 공간부에 수장실이 형성된 장식무늬판이 위치되게 하고, 상기 장식무늬판의 수장실에 충진물을 채워 넣어 다양한 모양과 색상이 입체적으로 표현된 장식문양이 위치되게 하므로서, 단열과 보온, 방음등이 요구되는 이중접합유리의 고유기능을 만족하면서, 외관이 미려하고, 장식성이 우수한 양질의 이중접합유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층유리, 즉 이중접합유리(페어글라스)는 판유리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보온, 단열, 방음등의 기능이 부가되게 한 것으로서, 건물 실내외의 창문이나 출입문, 고정창등 다양한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이중접합유리의 경우 판유리 사이에 단순한 공간, 즉 공기층만 형성되게 한 경우, 장식의 기능은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판유리 사이에 장식물을 부착하거나, 문양필림을 부착하거나, 유리 자체에 문양을 음각하는등 다양한 형태의 방법으로 장식이 부가되게 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판유리 사이에 다양한 문양의 장식이 부가되게 한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단순한 이중접합유리에 비하여 장식기능이 부가되게 하므로서, 미려한 외관을 갖는 양질의 제품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었으나, 입체감이 형성되면서 다양한 색상과 모양으로 문양이 표현되게 하는 데에는 미흡한 점이 있어, 실사용자들로부터 만족감을 얻는 데에는 부족함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단점을 시정하고자, 판유리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게 한 통상의 이중접합유리(페어글라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판유리 사이의 공간부에 다양한 모양과 색상이 입체적으로 표현되게 한 장식문양이 배시되게 하여 이중접합유리의 고유기능을 만족하면서,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형태의 장식기능이 부가되게 하므로서, 사용자들로부터 만족감을 도출시킬 수 있는 양질의 제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판유리 사이에 장식문양이 배시되게 한 통상의 이중접합유리를 구성함에 있어서, 판유리 사이의 공간부에 수장실이 형성된 다양한 모양의 장식무늬판을 위치시키고, 상기 장식무늬판에 구성된 수장실에 다양한 색상의 충진물을 충진하여 판유리 사이에 다양한 모양과 색상으로 된 입체형상의 장식문양이 배시되게 하되, 상기 장식무늬판의 수장실에 충진되는 충진물은, 소재와 크기, 색상등이 다양한 형태로 가공된 작은 알갱이(비즈(beads)), 혹은 천연소재인 모래나, 방부처리되고 염색가공된 곡물류등 다양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판유리 사이에 장식문양이 배시되게 한 통상의 이중접합유리(페어글라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판유리 사이의 공간부에 수장실이 형성된 다양한 모양 의 장식무늬판이 위치되게 하고, 상기 장식무늬판에 구성된 수장실에 소재나 크기, 색상등이 다양한 조각이나 알갱이 형태의 충진물을 충진하여 다양한 색상과 모양으로 된 장식문양이 입체적으로 표현되게 하므로서, 이중접합유리의 고유기능을 만족하면서, 판유리 사이에 위치하는 새로운 형태의 장식문양이 상품성을 증진케 하는 양질의 이중접합유리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이중접합유리(10)의 사시도 및 단면구성도이고,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이중접합유리(10)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요지는 상판유리(11)와 하판유리(12) 사이에 구성된 공간부(13)에, 수장실(21)이 형성된 장식무늬판(20)이 위치되게 하고, 상기 수장실(21)에 충진물(30)을 충진하여 입체형상의 장식문양(40)이 배시되게 한 것이다.
상기에서 수장실(21)이 형성된 장식무늬판(20)의 형태나 모양은, 도면에서는 바다속의 풍경을 표현했으나, 상기한 풍경이외에도 꽃과 나비, 해변풍경등 여러형태의 풍경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장실(21)에 충진되는 충진물(30)의 종류는 수장실(21)에 채워질 수 있는 모든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이중접합유리(10)의 제조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필요한 크기로 재단된 하판유리(12)을 바닥 상에 수평상태로 안치한 다음 상면 을 깨끗이 닦아낸다.
상기한 상태에서 도 3에서와 같이 테두리 부분에 양면접합테이프(14)를 접합한다.
도 3에서와 같이 하판유리(12) 테두리에 양면접합테이프(14)가 접합되면 그 위에 도 4에서와 같이 장식무늬판(20)을 안치하여, 장식무늬판(20) 외측면에 구성된 테두리(22)가 양면접합테이프(14) 상에 안치되면서 장식무늬판(20)이 접합고정되게 한다.
상기 장식무늬판(20)에는 수장실(21)이 형성된 다양한 모양의 무늬조각(23)들이 구성되어 있으며, 이때 무늬조각(23) 배면, 즉 하판유리(12)와 접하는 면에는 부분적으로 접착제를 도포하여 무늬조각(23)들이 유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되는 장식무늬판(20)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합성수지판이나, 압축합판(MDF), 알미늄판등 절단가공이 용이한 판상의 소재이면 만족한다.
또한 장식무늬판(20)에 배시되는 무늬조각(23)의 재단은 목공용 가공톱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작업이 가능하나, 제품의 양산이나 생산성을 고려한다면 CNC기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상태에서 장식무늬판(20)의 무늬조각(23)에 구성된 도 5 및 도 9에서와 같이 수장실(21)에 충진물(30)을 충진하여 다양한 모양과 색상이 입체적으로 표현된 장식문양(40)이 배시되게 한다.
이때 수장실(21)에 충진되는 충진물(30)은 무늬조각(23)의 이미지와 어울릴 수 있는 색상의 충진물(30)을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충진물(30)의 소재로서는 유리, 자개, 옥 합성수지등의 소재로 가공된 조각이나 알갱이(비즈), 굵은 모래, 방부처리되고 염색된 곡물류, 합성솜이나 천연솜등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무늬조각(23)의 수장실(21)에 충진물(30)이 채워지면 도 6에서와 같이 장식무늬판(20)의 테두리(22)에 또다른 양면접합테이프(14)를 위치시킨 다음, 그 위에 도 7에서와 같이 상판유리(11)를 안치하여 접합고정되게 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상하판유리(11)(12) 사이에 위치하는 장식무늬판(20)의 테두리(22) 외면에 도 8에서와 같이 실리콘 수지와 같은 기밀수지(50)를 주입경화하므로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이중접합유리(10)의 제조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중접합유리(10)는 상하판유리(11)(12) 사이에 구성된 공간부(13)에 별도의 장식기능을 부가하여 미려한 외관의 제품을 제공한다는 것은 종래와 다를 바 없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하판유리(11)(12) 사이의 공간부(13)에 수장실(21)이 형성된 장식무늬판(20)을 위치시키고, 상기 장식무늬판(20)의 수장실(21)에, 다양한 색상과 소재로 구성된 조각이나 알갱이(비즈)형태의 충진물(30)을 채워 넣어, 다양한 형태와 색상의 장식문양(40)이 입체적으로 표현이 되므로, 종래 제공되었던 장식기능을 갖는 이중접합유리에 비하여 외관이 미려하여 상품성이 우수한 양질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장식무늬판(20)의 수장실(21)에 채워지는 충진물(30)을 유 색투명한 유리알갱이나 합성수지 알갱이(비즈(beads))와 같은 소재의 충진물(30)을 사용할 경우, 조명빛에 의해 수장실(21)에 채워진 충진물(30)이 다양한 색상으로 반짝이게 되므로 더욱 미려한 외관의 제품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 상하판유리(11)(12) 사이에 위치하는 장식무늬판(20)은 합성수지판이나 압축합판, 혹은 알미늄판과 같이 두께가 균일한 판상의 소재로 구성되어 있어 자연스럽게 판유리 사이의 공간부(13) 간격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이중접합유리(10)를 제조함에 있어서, 상하판유리(11)(12)와 장식무늬판(20) 사이에 위치하는 양면접합테이프(14)와, 무늬조각(23) 배면에 도포되는 접착제는 상하판유리(11)(12) 사이에서 장식무늬판(20)이 움직이지 않고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며, 기밀수지(50)는 판유리 사이의 공간부(13) 내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하판유리(11)(12)를 견고히 접합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조된 이중접합유리(10)는 건물 실내외의 창문이나 고정창, 출입문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하판유리(11)(12)를 강화유리로 제작할 경우에는 강화유리문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1 :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 : 본 발명의 단면구성도
도 3 : 본 발명의 하판유리상태 양면접합테이프가 접합된 상태도
도 4 : 도 3의 상태에서 장식무늬판이 접합된 상태도
도 5 : 도 4의 상태에서 수장실에 충진물이 채워진 상태도
도 6 : 도 5의 상태에서 장식무늬판 상에 양면접합테이프가 접합된 상태도
도 7 : 도 6의 상태에서 상판유리가 접합된 상태도
도 8 : 도 7의 상태에서 상하판유리 테두리에 기밀수지를 주입시킨 상태도
도 9 : 본 발명의 수장실에 충진물을 채워지는 상태의 확대사시도
도 10 :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장식무늬판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이중접합유리 (11)--상판유리
(12)--하판유리 (13)--공간부
(14)--양면접합테이프 (20)--장식무늬판
(21)--수장실 (22)--테두리
(23)--무늬조각 (30)--충진물
(40)--장식문양 (50)--기밀수지

Claims (3)

  1. 판유리 사이에 구성된 공간부에 장식문양이 배시되게 한 이중접합유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하판유리(11)(12) 사이의 공간부(13)에 수장실(21)과 무늬조각(23)으로 구성된 장식무늬판(20)이 접합고정되게 하고, 상기 장식무늬판(20)의 수장실(21)에 충진물(30)이 충진되게 하여, 상하판유리(11)(12) 사이에 입체형상의 장식문양(40)이 배시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무늬판의 수장실에 충진물이 채워진 이중접합유리.
  2. 제1항에 있어서, 장식무늬판(20)을 구성하는 무늬조각(23) 외주면에, 무늬조각(23)과 일체형으로 구성되게 한 테두리(22)를 구성하고, 상기 테두리(22)를 통하여 양면접합테이프(14)로 상하판유리(11)(12)와 접합고정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무늬판의 수장실에 충진물이 채워진 이중접합유리.
  3. 판유리 사이에 구성된 공간부에 장식문양이 배시되게 한 이중접합유리를 제조함에 있어서, 바닥상에 하판유리(12)를 수평상태로 안치하고, 상기 하판유리(12)의 테두리에 양면접합테이프(14)를 접착한 다음, 그 위에 수장실(21)과 무늬조각(23)으로 구성되고, 외주면에 테두리(22)가 형성된 장식무늬판(20)을 안치하여, 양면접합테이프(14)에 의해 장식무늬판(20)이 하판유리(12) 상에 접합고정되게 하고, 상기 장식무늬판(20)에 구성된 수장실(21)에 충진물(30)을 충진하여 충진물(30)이 채워진 장식문양(40)을 형성하고, 상기 장식무늬판(20)의 테두리(22) 상면에 또다른 양면접착테이프(14)를 접합시킨 다음, 그 위에 상판유리(11)를 안치하여 양면접착테이프(14)에 의해 상판유리(11)가 접합고정되게 하고, 상기 상하판유리(11)(12) 사이의 테두리에 기밀수지(50)를 주입경화시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무늬판의 수장실에 충진물이 채워진 이중접합유리의 제조방법.
KR1020090015914A 2009-02-25 2009-02-25 장식무늬판의 수장실에 충진물이 채워진 이중접합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100907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914A KR100907022B1 (ko) 2009-02-25 2009-02-25 장식무늬판의 수장실에 충진물이 채워진 이중접합유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914A KR100907022B1 (ko) 2009-02-25 2009-02-25 장식무늬판의 수장실에 충진물이 채워진 이중접합유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7022B1 true KR100907022B1 (ko) 2009-07-08

Family

ID=41337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5914A KR100907022B1 (ko) 2009-02-25 2009-02-25 장식무늬판의 수장실에 충진물이 채워진 이중접합유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70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446B1 (ko) 2010-08-18 2012-12-10 주식회사 씨쓰리 장식무늬판 및 조형물이 구비된 복층유리
KR101605628B1 (ko) 2014-08-13 2016-03-22 김인수 페어 글래스의 장식 부재 부착 방법
KR101647667B1 (ko) * 2015-02-17 2016-08-11 윤지원 입체 장식물을 갖는 장식용 복층 유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732A (ko) * 2001-10-16 2003-04-23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롤 쵸크 고정장치
KR20050047929A (ko) * 2003-11-18 2005-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용지가이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732A (ko) * 2001-10-16 2003-04-23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롤 쵸크 고정장치
KR20050047929A (ko) * 2003-11-18 2005-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용지가이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446B1 (ko) 2010-08-18 2012-12-10 주식회사 씨쓰리 장식무늬판 및 조형물이 구비된 복층유리
KR101605628B1 (ko) 2014-08-13 2016-03-22 김인수 페어 글래스의 장식 부재 부착 방법
KR101647667B1 (ko) * 2015-02-17 2016-08-11 윤지원 입체 장식물을 갖는 장식용 복층 유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74212A (zh) 具有仿制薄浆线的致密泡沫芯(dfc)瓷砖
US20110023345A1 (en) Frame structure and method of framing a picture
KR100907022B1 (ko) 장식무늬판의 수장실에 충진물이 채워진 이중접합유리 및 그 제조방법
US20130129961A1 (en) Method for producing crystal decoration elements
KR100497131B1 (ko) 문짝표면의 무늬 형성방법 및 그 문짝구조
KR101192006B1 (ko)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핸들프리도어
CN2122896U (zh) 拆装式复合拼花地板
CN104083007A (zh) 透明面板又可保护图案色彩的彩色浮雕家具夹层装饰面板
KR101189813B1 (ko) 조립형 장식무늬판이 구비된 복층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136840B (zh) 工艺品生产模具制作方法
KR101163541B1 (ko) 다양한 소재의 장식물 배치가 자유로운 장식 복층유리
CN201484039U (zh) 一种重组木艺术装饰板板材和重组木艺术装饰板
KR20080091935A (ko)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 및 그 제작방법
CN105708247A (zh) 带有可更换装饰面板的画框
CN210370376U (zh) 一种3d立体软包门面和贴片
CN2937332Y (zh) 复合装饰线条
KR100917224B1 (ko) 인테리어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및 그 이용방법
JP3221581U (ja) 装飾パネル
JP3214297U (ja) 組子様相を呈している装飾板材。
KR101194666B1 (ko) 천연 실크 벽지를 이용한 가구재용 패널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가구재용 패널
KR101293355B1 (ko) 입체감을 갖는 가구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20160185082A1 (en) Reflections Décor II
CN202088780U (zh) 金属拼字拼画牌匾
CN204850327U (zh) 一种便装式装饰软包
CN103266736A (zh) 一种三维立体墙饰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