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357B1 - 자수문양이 내장된 판재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안경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수문양이 내장된 판재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안경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357B1
KR101965357B1 KR1020160156260A KR20160156260A KR101965357B1 KR 101965357 B1 KR101965357 B1 KR 101965357B1 KR 1020160156260 A KR1020160156260 A KR 1020160156260A KR 20160156260 A KR20160156260 A KR 20160156260A KR 101965357 B1 KR101965357 B1 KR 101965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broidery
polyamide
pattern
plat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6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7871A (ko
Inventor
박숙희
Original Assignee
박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숙희 filed Critical 박숙희
Priority to KR1020160156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357B1/ko
Publication of KR20180057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2/00Producing frames
    • B29D12/02Spectacle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025Applying surface layers, e.g. coatings, decorative layers, printed layers, to articles during shaping, e.g. in-mould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8Applying ornamental structures, e.g. shaped bodies consisting of plast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제품 등의 외장 케이스나 타일과 같은 건축마감재, 나아가서는 안경테 등에 적용하기 위해, 투명판재의 내부에 실크, 코튼, 모직, 데님 등의 천을 위치시켜 이들 천에 디자인된 자수가 외부로 표출되게 함으로써 판재의 표면 디자인을 화려하고 아름답게 장식할 수 있도록 한 자수문양이 내장된 판재의 제조방법과 이렇게 제조된 자수문양 내장 판재를 이용하여 디자인과 색상이 아름다운 안경테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안경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수문양이 내장된 판재 제조방법은 한 쌍의 폴리아미드(TR90)판재의 각 한쪽 표면에 폴리아미드 표면용해(겔화)용 무수지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과, 표면이 용융된 폴리아미드 판재들 사이에 자수 천을 위치시킨 후 합지하여 자수 천의 올과 올 사이에 용융된 폴리아미드 용액을 침투시키는 공정과, 자수 천의 올과 올 사이에 스며든 폴리아미드 용융물을 경화시켜 자수 천을 사이에 두고 두장의 폴리아미드 판재가 접착되어 한 장의 자수문양 내장 판재를 완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수문양이 내장된 판재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안경테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board with inner embroidery patter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eyeglass fram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제품 등의 외장 케이스나 타일과 같은 건축마감재, 나아가서는 안경테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자수문양이 내장된 판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투명판재의 내부에 실크, 코튼, 모직, 데님 등의 천을 위치시켜 이들 천에 수놓아진 실크자수, 코튼자수, 모직자수, 데님자수 등이 외부로 표출되게 함으로써 판재의 표면 디자인을 화려하고 아름답게 장식할 수 있도록 한 자수문양이 내장된 판재의 제조방법과 이렇게 제조된 자수문양 내장 판재를 이용하여 디자인과 색상이 아름다운 안경테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안경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전제품이나 소형전자제품, 나아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형 통신기기 등은 그 제품의 외관 디자인과 문양에 의해 제품의 성패가 결정되는 사례가 빈번하므로 메이커에서는 해당 제품의 성능개선에 버금가는 노력을 디자인 개발에 투입하고 있다.
이들 제품에 적용되고 있는 디자인은 그 제품의 케이스에 표현된 컬러풀한 문양뿐만 아니라 케이스 소재에 의해서도 크게 영향을 받게 된다. 주로 금속재나 합성수지재 등 다양한 소재를 선택적으로 채택하게 되는데 제조사에서는 값싸게 만들어지면서 아름답고 고급스러운 디자인을 얻으려는데 노력을 경주한다.
가전제품이나 스마트폰 등의 케이싱 소재로 금속판재를 이용할 경우 비교적 견고한 표면 강성을 얻을 수 있으나 제품의 원가 상승을 가져오고 디자인 문양이 금속표면에 직접 구현되므로 외력에 의해 표면디자인이 손상될 수 있는 단점이 있고, 그 케이싱 소재로 합성수지재를 사용할 경우 제조원가를 낮출 수는 있으나 고급스런 분위기의 디자인을 구현해내기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위와 같은 소재별 가전제품 등의 외관 디자인 특성에 따른 장단점은 타일을 포함하는 건축내장재 및 건축장식재의 경우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가전제품이나 소형전자제품용 케이스에 적용될 판재나 건축내장재로 사용될 건축판재의 소재 특성은 제품의 외관이나 건축물의 외관에 미치는 영향이 대단히 크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안경테도 합성수지판재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에 위와 같은 표면 디자인 구현상의 장단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합성수지재 안경테의 제조 방식을 보면, 합성수지판재를 NC(수치가공)가공하여 안경렌즈테와 안경프레임을 제조하는 방식과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안경렌즈테와 안경프레임을 제조하는 방식으로 대별된다.
NC가공을 통하여 안경테를 제조하는 방식에 적용되는 대표적인 합성수지소재는 아세테이트와 셀룰로이드이다. 이들은 비교적 무게감이 있지만 땀에 강하고 광택이 고급스러우며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는 재질이다.
이 아세테이트는 대부분의 안경테소재로 사용되고 있으며 마블무늬와 같은 다양한 문양을 넣어 만들 수 있어 디자인에 매우 유리하다. 그러나 높은 수축율과 낮은 내열특성으로 인하여 탄성이 없고 쉽게 변형되는 단점이 있다. 보통 판재로 생산되어 NC가공을 통해 제작된다.
주로 사출을 통하여 안경테를 제조하는 방식에 적용되는 대표적인 합성수지소재는 TR90(변성나이론)이다. TR90은 고탄성과 높은 내열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다양한 색상표출이 어려운 단색컬로로만 제작되며 판재생산을 통해서 안경테를 만들기도 한다. 이 TR90은 질기고 부드럽고 저렴한 안경테를 만들 수 있게 한다.
그러나 TR90 안경테의 단일색상 컬러화는 얼마든지 가능하지만 그 표면 코팅이 안되기 때문에 안경테 표면을 디자인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그래서 TR90 안경테의 표면을 아름답게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TR90 안경테의 표면에 다양하게 디자인된 문양필름을 부착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을 필요로 한다.
이렇게 TR90 안경테 표면에 디자인된 문양필름을 부착하는 것으로 TR90 안경테의 디자인의 다양화를 달성할 수는 있게 되었으나, 이와 같은 기존의 안경테 제조방식은 추가공정의 소요와 표면부착필름의 내구성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가지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개선책의 연구와 개발의 필요성이 크게 요망되고 있었다.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안경테의 본연의 기능은 시력을 보정하기 위한 렌즈를 고정하거나 햇빛 등의 유해 광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한 선글라스 등을 고정하여 착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안경을 착용하게 되면 외부로 표출되는 안경 착용자의 이미지가 상대방에게 매우 강렬하게 인식되고 인지되므로 신체에 착용하는 어떠한 의류나 장신구보다도 개인의 정체성이나 개성을 나타내는데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수많은 안경 착용자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세련되고 아름다운 안경테를 쉽게 만들 수 있는 새로운 안경테의 제조방법의 발명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투명 폴리아미드(TR90)판재들 또는 한 쌍의 폴리아미드 판재 중 어느 한쪽이 투명인 판재들 사이에 특정한 문양이 자수된 천을 위치시켜 접착시키는 방식으로 자수문양이 내장된 판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의 제조공정을 통해 제작된 자수문양이 내장된 판재를 가공하여 안경테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수문양이 내장된 판재 제조방법은 한 쌍의 폴리아미드(TR90)판재의 각 한쪽 표면에 폴리아미드 표면용해(겔화)용 무수지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표면이 용융된 폴리아미드 판재들 사이에 자수 천을 위치시킨 후 합지하여 자수 천의 올과 올 사이에 용융된 폴리아미드 용액을 침투시키는 공정과, 자수 천의 올과 올 사이에 스며든 폴리아미드 용융물을 경화시켜 자수 천을 사이에 두고 두장의 폴리아미드 판재가 접착되어 한 장의 자수문양 내장 판재를 완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본 발명의 자수문양이 내장된 판재 제조방법은 무수지접착제 용액조 내에서 자수 천을 사이에 두고 각각의 바깥쪽 면에 보호지가 부착된 한 쌍의 폴리아미드 판재를 함침 상태로 합지하는 공정과, 합지된 한 쌍의 폴리아미드 판재를 꺼내어 올과 올 사이에 용융된 폴리아미드 용액이 침투되도록 가압하는 공정과, 자수 천의 올과 올 사이에 스며든 폴리아미드 용융물을 경화시켜 자수 천을 사이에 두고 두장의 폴리아미드 판재가 접착되어 한 장의 자수문양 내장 판재를 완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수문양 안경테의 제조방법은 한 쌍의 폴리아미드 판재의 각 한쪽 표면에 폴리아미드 표면용해용 무수지접착제를 도포한 후 표면이 용융된 폴리아미드 판재들 사이에 자수 천을 위치시켜 합지하여 자수 천의 올과 올 사이에 용융된 폴리아미드 용액을 침투시키거나 또는 무수지접착제 용액조 내에서 자수 천을 사이에 두고 각각의 바깥쪽면에 보호지가 부착된 한 쌍의 폴리아미드 판재를 함침 합지하여 자수 천의 올과 올 사이에 용융된 폴리아미드 용액을 침투시키는 공정과, 자수 천의 올과 올 사이에 스며든 폴리아미드 용융물을 경화시켜 자수 천을 사이에 두고 두장의 폴리아미드 판재가 접착되어 한 장의 자수문양 내장 판재를 완성하는 공정과, 완성된 자수문양 내장 판재를 레이저 절삭 가공 및 가열 성형과정을 통하여 안경테의 외형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수문양이 내장된 판재의 제조방법은 투명수지판재의 내부 가운데에 특정문양을 갖는 자수 천을 삽입 표출시키게 되므로 별도의 코팅 공정 없이도 판재의 미감을 상승시킬 수 있어 장식판재로서의 기능 향상과 제조공정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수문양이 내장된 판재의 제조방법은 투명수지판재의 내부 가운데에 삽입될 디자인 소스로써 실크자수 천, 코튼자수 천, 모직자수 천, 데님자수 천 등을 적용할 수 있어 손쉽게 판재의 문양과 색상의 다양화를 달성할 수 있다. 특히 서로 다른 문양의 자수 천을 겹쳐서 사용할 경우 그 자수의 형태가 양면으로 표출되게 되므로 양면 디자인된 판재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디자인된 판재를 스마트폰의 백커버, 냉장고등 가전제품의 전면커버, 선박의 내부장식재, 차량의 내장재 등에 적용할 경우 제품의 고품위화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수문양이 내장된 판재의 제조방법은 투명수지판재의 내부 가운데에 특정문양을 넣어 디자인하되 그 한쪽 면에 아세테이트 무늬필름을 부착하여 또 다른 형태의 양면 디자인 판재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한쪽 면의 문양은 판재 속에 매립된 형상을 보이고 그 반대쪽 면은 표면에 문양이 형성된 2중 디자인 판재로 만들어지게 되어 선박이나 자동차의 내장재 또는 건축용 타일재 등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수문양이 내장된 판재의 제조방법에 따라 한 쌍의 투명수지판재를 그의 표면 용해용 용액조에 침지시킨 상태에서 합지할 경우 합지부분에서의 기포생성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수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자수문양 판재를 형틀에 넣고 열과 압력을 가하면 원하는 형태의 3D입체물로 변형 가공할 수 있어 이를 특정제품의 케이스에 적용할 경우 그 제품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수문양이 내장된 판재를 NC 가공 또는 레이저 커팅 공정 등을 이용하여 안경테를 제작할 경우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던 투명 양장 디자인의 고품위 제품이 얻어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자수문양 내장 판재의 기본적인 제조공정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양면을 자수문양과 마블문양으로 이원화된 2중문양 판재의 제조공정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이원화된 2중문양 판재의 다른 제조공정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판재의 실물사진으로서 자수 천의 제2면측 표출문양의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판재의 실물사진으로서 자수 천의 제1면측 표출문양의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판재의 실물사진으로서 자수 천과 그 양쪽의 폴리아미드 판재가 형성하는 접착면의 단면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에 적용될 마블 문양이 형성된 아세테이트 필름과 그 아세테이트 필름에 부착된 폴리아미드 판재의 실물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수문양 내장 판재 제조시의 제조공정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수문양 내장 판재 제조시의 다른 제조공정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자수문양 내장 판재를 이용한 안경테의 제조공정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안경테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폴리아미드인 투명의 TR90 소재 내부에 문양을 삽입하는 기술을 공개한다.
폴리아미드인 TR90은 고탄성과 우수한 내열특성을 가지지만 표면 코팅이 불가능하므로 다양한 마블색상을 구현할 수가 없는 단색 특성을 가진다. 즉, 투명이나 반투명으로 제조되거나 하나의 색상으로만 제작된다. 따라서 다양한 무늬를 표현하려면 그 표면에 특별한 문양(특히 마블 색상 및 무늬)이 구현된 아세테이트 필름을 붙여서 사용해야 한다. 이와는 달리 아세테이트 소재는 다양한 문양의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지만 수축율이 높아 변형이 쉽게 일어나고 낮은 내열특성으로 인하여 안경테 소재로 사용하는 데는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아미드와 아세테이트의 장점만을 기술적으로 합체시켜 소재특성과 기능성을 강화하고, 여기에 실크, 데님, 코튼, 모직 등에 구현된 자수문양을 자유롭게 적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각종 가전제품의 외장패널이나 스마트폰의 전후면 커버, 나아가서는 자동차와 선박의 고급 내장재로 활용할 수 있는 복합 결합판재를 제시한다.
도 1은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자수문양 내장 판재의 기본적인 제조공정 설명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투명한 한 쌍의 폴리아미드 판재(10,30) 사이에 자수 천(20)을 배치하여 접합시키기 위해, 먼저 상기 폴리아미드 판재(10,30)의 각 한쪽 표면에 폴리아미드 표면용해용 무수지접착제(12,32)를 도포한다. 이 무수지 접착제는 폴리아미드 판재의 표면을 용해하여 게(gel)화 상태로 만들게 된다. 이렇게 표면이 용융된 폴리아미드 판재(10,30)들 사이에 자수 천(20)을 위치시킨 후 합지하게 되면 자수 천(20)의 올과 올 사이에 상기 용융된 폴리아미드 용액이 침투된다.
이후 시간을 경과하게 되면 자수 천의 올과 올 사이에 스며든 폴리아미드 용융물이 경화되어 자수 천을 사이에 두고 두장의 폴리아미드 판재가 접착되어 한 장의 자수문양 내장 판재를 완성하게 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아미드 판재(10,30)의 두께는 각각 0.7T, 자수 천(20)의 두께는 0.2T였으며, 무수지접착제(12,32)가 도포되는 폴리아미드 판재(10,30)의 반대쪽 면에는 보호지(11,31)를 부착하였다.
상기 폴리아미드 판재의 합지상태에서의 경화시간은 상온에서 2시간 내지 24시간 범위 였으며, 2시간 이후부터 경화시간이 증가할수록 접착강도는 증가하였으며 24시간 이후에는 경화시간에 따른 유의미한 접합강도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합지후 가열을 실시하면 경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었다. 실험에 있어서 합지 후 80℃-100℃ 조건에서 30분이면 충분한 접합이 이루어졌으며, 상기 가열 온도조건에서 시간이 경과할수록 접합강도가 증가하였고 완료되었으며 1시간을 초과하면 유의미한 접합강도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기서 무수지접착제로 클로로포름을 사용하였다.
한편, 한 쌍의 폴리아미드 판재(10,30) 사이에 서로 다른 문양으로 자수된 2장의 자수 천을 삽입시켜 합지할 경우 각각의 투명한 폴리아미드(10),(30)를 통해 표출되는 문양과 컬러를 달리할 수 있다.
그 실시예에 따른 실물사진을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판재의 실물사진으로서 자수 천의 제2면측 표출문양의 사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판재의 실물사진으로서 자수 천의 제1면측 표출문양의 사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판재의 실물사진으로서 자수 천과 그 양쪽의 폴리아미드 판재가 형성하는 접착면의 단면사진이다.
여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합지를 통하여 만들어지는 하나의 판재에서 전혀 다른 문양과 색상의 디자인을 얻을 수 있어, 이를 안경테에 적용할 경우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았던 유형의 디자인과 문양을 갖는 안경테가 만들어지게 된다.
한편, 무수지접착제를 이용하여 폴리아미드 판재와 판재 사이에 실크 등의 자수 천을 배치한 채로 합지하는 경우, 매우 신중을 기하지 않으면 그 접합면에서 기포가 생성될 수 있으며 이것은 제품의 품질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은 무수지접착제 용액조 내에 폴리아미드 판재와 자수 천을 완전히 함침시킨 상태에서 합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무수지접착제 용액조 내에서 자수 천을 사이에 두고 각각의 바깥쪽면에 보호지가 부착된 한 쌍의 폴리아미드 판재를 함침 상태로 합지한다.
이후, 합지된 한 쌍의 폴리아미드 판재를 꺼내어 올과 올 사이에 용융된 폴리아미드 용액이 침투되도록 가압한다.
다음 자수 천의 올과 올 사이에 스며든 폴리아미드 용융물을 경화시켜 자수 천을 사이에 두고 두장의 폴리아미드 판재가 접착되어 한 장의 자수문양 내장 판재를 완성한다.
이러한 공정을 통해 자수문양이 내장된 판재를 만들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결함이 없는 자수문양 내장 판재가 얻어지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양면을 자수문양과 마블문양으로 이원화된 2중문양 판재의 제조공정 설명도를 보이고 있다.
여기서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를 통해 완성된 자수문양 내장 판재에 마블무늬를 갖는 아세테이트 필름(40)을 부착하고 그 아세테이트 필름 위에는 제3의 폴리아미드 판재(50)를 부착함으로써 한쪽 면으로는 컬러의 마블문양이 표출되도록 하고 다른 한쪽 면으로는 폴리아미드 내부의 자수 천에 의한 컬러 문양이 외부로 표출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아세테이트 필름(40)은 무수지접착제로 접착할 수 없으므로 아크릴접착제와 같은 합성수지접착제(45)를 이용한다. 이러한 합성수지접착제는 그 자체로서 얇은 수지층을 형성하지만 아세테이트 필름이 불투명하므로 합성수지접작제 층이 판재의 표면 문양이나 디자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3은 도 2의 이원화된 2중 문양 판재의 다른 제조공정 설명도로서, 폴리아미드 판재(30), 아세테이트 필름(40) 및 제3의 폴리아미드 판재(50)를 먼저 합성수지접착제로 먼저 합지 시킨 다음 이것의 폴리아미드 판재(30)측과 폴리아미드 판재(10)측 사이에 실크, 데님, 등의 자수 천(20)을 배치한 후 서로 마주하는 양 폴리아미드 판재(10,30)의 측면에 무수지접착제를 게재시켜 합지 및 경화시키는 것으로 이원화된 2중 문양 판재가 만들어 지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수문양 내장 판재 제조시의 제조공정 흐름도이다.
여기서는 한 쌍의 폴리아미드 판재의 각 한쪽 표면에 폴리아미드 표면용해용 무수지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과, 표면이 용융된 폴리아미드 판재들 사이에 자수 천을 위치시킨 후 합지하여 자수 천의 올과 올 사이에 용융된 폴리아미드 용액을 침투시키는 공정과, 자수 천의 올과 올 사이에 스며든 폴리아미드 용융물을 경화시켜 자수 천을 사이에 두고 두장의 폴리아미드 판재가 접착되어 한 장의 자수문양 내장 판재를 완성하는 공정을 통하여 자수문양 내장 판재가 제조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수문양 내장 판재 제조시의 다른 제조공정 흐름도이다.
여기서는 무수지접착제 용액조 내에서 자수 천을 사이에 두고 각각의 바깥쪽면에 보호지가 부착된 한 쌍의 폴리아미드 판재를 함침 상태로 합지하는 공정과, 합지된 한 쌍의 폴리아미드 판재를 꺼내어 올과 올 사이에 용융된 폴리아미드 용액이 침투되도록 가압하는 공정과, 자수 천의 올과 올 사이에 스며든 폴리아미드 용융물을 경화시켜 자수 천을 사이에 두고 두장의 폴리아미드 판재가 접착되어 한 장의 자수문양 내장 판재를 완성하는 공정을 통하여 자수문양 내장 판재가 제조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자수문양 내장 판재를 이용한 안경테의 제조공정 흐름도이다.
여기서는 한 쌍의 폴리아미드 판재의 각 한쪽 표면에 폴리아미드 표면용해용 무수지접착제를 도포한 후 표면이 용융된 폴리아미드 판재들 사이에 자수 천을 위치시켜 합지하여 자수 천의 올과 올 사이에 용융된 폴리아미드 용액을 침투시키거나 또는 무수지접착제 용액조 내에서 자수 천을 사이에 두고 각각의 바깥쪽면에 보호지가 부착된 한 쌍의 폴리아미드 판재를 함침 합지하여 자수 천의 올과 올 사이에 용융된 폴리아미드 용액을 침투시키는 공정과, 자수 천의 올과 올 사이에 스며든 폴리아미드 용융물을 경화시켜 자수 천을 사이에 두고 두장의 폴리아미드 판재가 접착되어 한 장의 자수문양 내장 판재를 완성하는 공정과, 완성된 자수문양 내장 판재를 레이저 절삭 가공 및 가열 성형공정을 통하여 안경테의 외형을 형성하는 공정을 통하여 자수문양의 안경테가 만들어지는 것을 보이고 있다.
여기서, 레이저 절삭 가공에 레이져 절삭장비가 사용되는데 레이저 절삭장비는 사전에 프로그램된 형상으로 자수문양이 내장된 판재를 매우 정교하게 재단 가공하여 안경테를 구성하게 될 안경렌즈테와 안경다리를 만들게 되며, 후속공정을 통하여 안경렌즈테와 안경다리의 표면을 연마하고 이들을 장석 등으로 결합시겨 최종 자수문양 안경테를 완성하게 된다.
특히, 위의 공정 중 안경테의 곡면형태를 충족시키기 위해 평판형태의 자수문양이 내장된 판재를 가열한 상태에서 안경테 형상 몰드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한 다음 곡면 절삭이 가능한 3축 이동 레이저 절삭장비를 이용하여 안경테를 제작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먼저 평판형태의 자수문양이 내장된 판재를 평면상에서 레이저 절삭가공한 다음 이렇게 절단된 평면상 안경테를 안경테 몰드에 삽입 가열하여 곡면형상을 가지는 완전한 형태의 안경테로 성형할 수 있다.
10,30,50 : 폴리아미드 판재
11,31,51 : 보호지
12,32 :무수지접착제
20 : 자수 천
40 : 아세테이트 필름
45 : 합성수지접착제
20A : 자수 천 제1면
20 B : 자수 천 제2면

Claims (6)

  1. 삭제
  2. 무수지접착제 용액조 내에서 한 장의 자수 천 또는 서로 다른 문양을 갖는 두 장의 자수 천을 사이에 두고 각각의 바깥쪽면에 보호지가 부착된 한 쌍의 폴리아미드 판재를 함침시켜 서로 마주하는 상기 폴리아미드 판재의 노출된 표면층을 일정 두께 용융시킨 후 합지하는 공정과, 합지된 한 쌍의 폴리아미드 판재를 꺼내어 상기 한 장의 자수 천 또는 두 장의 자수 천의 올과 올 사이에 용융된 폴리아미드 표면층의 용융물이 침투되도록 가압하는 공정과, 상기 한 장 또는 두 장의 자수 천의 올과 올 사이에 스며든 폴리아미드 용융물을 경화시켜 이들 자수 천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폴리아미드 판재가 융착되어 한 장의 자수문양 내장 판재를 완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문양이 내장된 판재의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자수 천을 사이에 두고 두 장의 폴리아미드 판재를 융착시켜 한 장의 자수문양 내장 판재를 완성한 공정이후, 어느 한쪽 면에 문양을 갖는 아세테이트필름과 투명의 제3 폴리아미드 판재를 합성수지접착제로 순차 접착시켜 한 면은 폴리아미드 판재를 통한 자수 천의 문양이 표출되게 하고 다른 한 면은 아세테이트필름의 문양이 투명한 제 3의 폴리아미드 판재를 통해 표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문양이 내장된 판재의 제조방법.
  6. 무수지접착제 용액조 내에서 한 장의 자수 천 또는 서로 다른 문양을 갖는 두 장의 자수 천을 사이에 두고 각각의 바깥쪽면에 보호지가 부착된 한 쌍의 폴리아미드 판재를 함침시켜 노출된 표면층을 일정 두께 용융시킨 다음 합지 후 가압하여 한 장의 자수 천 또는 두 장의 자수 천의 올과 올 사이에 용융된 폴리아미드 표면층의 용융물을 침투시켜 융착시키는 공정 중 어느 하나의 공정을 통하여 한 장의 자수문양 내장 판재를 완성하는 공정; 및 상기 자수문양 내장 판재를 레이저 절삭 가공 및 가열 성형하는 과정을 통하여 안경테의 외형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문양이 내장된 판재를 이용한 안경테의 제조방법.
KR1020160156260A 2016-11-23 2016-11-23 자수문양이 내장된 판재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안경테의 제조방법 KR101965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260A KR101965357B1 (ko) 2016-11-23 2016-11-23 자수문양이 내장된 판재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안경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260A KR101965357B1 (ko) 2016-11-23 2016-11-23 자수문양이 내장된 판재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안경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871A KR20180057871A (ko) 2018-05-31
KR101965357B1 true KR101965357B1 (ko) 2019-04-03

Family

ID=62454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6260A KR101965357B1 (ko) 2016-11-23 2016-11-23 자수문양이 내장된 판재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안경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3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49196B (zh) * 2018-04-18 2020-05-22 江苏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双面呢绒毛线绣的方法
CN114224005B (zh) * 2022-01-23 2024-05-28 临湘市友缘服饰有限公司 一种服装加工用样板成型放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5985A (ko) * 2006-10-24 2006-11-13 한국폴리렌즈판매(주) 합성수지재 안경테의 문양형성방법
KR101033875B1 (ko) * 2008-12-24 2011-05-11 백병창 이종소재 안경테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한 안경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871A (ko) 2018-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10390B (zh) 插入玻璃或無機材料之嵌入模塑法
US10682838B2 (en) Manufacturing process of a laminated polymeric product
AU2009337020B2 (en) Eyeglass frame with embedded decorative design patter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9536051A (ja) 複合材料によって作られた計時器用部品
JP2014173203A (ja) 光透過性を有する人工皮革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合成樹脂成形品
KR101965357B1 (ko) 자수문양이 내장된 판재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안경테의 제조방법
KR101033875B1 (ko) 이종소재 안경테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한 안경테
KR102208078B1 (ko) 적층 시트와 그를 이용한 인서트 사출 가공 방법
US20160193820A1 (en) Coloured carbon-fibre composite materials
JP3187473U (ja) 装飾パネル
KR20060115985A (ko) 합성수지재 안경테의 문양형성방법
CN205970261U (zh) 装饰用gmt复合板
KR101417440B1 (ko) 자동차 내장부품용 가니쉬 및 이의 제조방법
CN214727133U (zh) 一种内置膜片的外壳
JP5064922B2 (ja) シート材の樹脂成形方法
CN210492929U (zh) 一种塑料硅胶组合戒指
KR101358932B1 (ko) 악세서리 마스크 구조체
CN210886741U (zh) 一种多层车用变色皮革
KR101378317B1 (ko) 장식용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JP3125479U (ja) 樹脂製装身具
KR20100020830A (ko) 한지(韓紙)를 활용한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617946B1 (ko) 유연성과 굴곡을 가진 카본 안경테 제조방법
KR101811818B1 (ko) 기능성 기모 원단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
CN117001931A (zh) 一种具有通透性立体纹理的注塑件的制备方法
JP2017136762A (ja) 和紙インサート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