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713Y1 - 복층유리용 문살대의 3중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복층유리용 문살대의 3중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713Y1
KR200376713Y1 KR20-2004-0032916U KR20040032916U KR200376713Y1 KR 200376713 Y1 KR200376713 Y1 KR 200376713Y1 KR 20040032916 U KR20040032916 U KR 20040032916U KR 200376713 Y1 KR200376713 Y1 KR 2003767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gonal
door
bar
horizontal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29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윤근
Original Assignee
강윤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윤근 filed Critical 강윤근
Priority to KR20-2004-00329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7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7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7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04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omprising false glazing bars or similar decorations between the p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7Connector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8Window bars
    • E06B3/685False glazing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수의 문살대를 3중으로 교차시켜 중첩할 수 있는 구조로 하여 다양한 형태의 문살대 설계 및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고, 문살대간 체결시 상호 선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에지부의 탄성에 의해 누적오차를 흡수하여 많은 수의 연결조립이 가능하도록 한 복층유리용 문살대의 3중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가로살대의 전후면 양측에 홈을 형성하고, 그 가로살대와 중첩된 상태에서 방사상으로 교차하는 대각살대에는 각각 일측에 홈을 형성하여 이 대각살대가 상기 가로살대의 전후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끼워져 맞물리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가로살대와 대각살대를 3중으로 중첩하여 교차하는 결합구조를 갖기 때문에 기존 2개의 격자형 문살대에 비해 다양한 형태의 문살태 형성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고, 가로살대와 대각살대의 결합시 측면이 홈의 에지부에 선접촉하는 형태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누적오차를 흡수할 수 있게 되어 많은 수의 문살대를 상호 연결하여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조립작업이 간편하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보강소품에 의해 문살대의 내구성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층유리용 문살대의 3중 결합구조{Three Cross Frame Structure for Double Glass}
본 고안은 복층유리 속에 설치되는 문살대의 3중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문살대를 3중으로 교차시켜 중첩할 수 있는 구조로 하여 다양한 형태의 문살대 설계 및 제조가 가능하도록 하고, 문살대간 체결시 상호 선접촉하도록 함으로써 누적오차를 흡수하여 많은 수의 연결조립이 가능하도록 한 복층유리용 문살대의 3중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단독주택, 호텔, 식당, 레스토랑과 같은 건축물에 설치되는 복층유리의 내부에 문살대를 격자형으로 설치하여 투명한 유리의 단조로움에서 벗어나 보는 이에게 시각적인 즐거움을 제공해 주고 있다.
이러한 종래 격자형 문살대의 결합구조는 첨부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살대(10)와 세로살대(12)의 일측에 각각 사각홈(10a)(12a)을 형성하고, 가로살대(10)와 세로살대(12)를 십자형으로 맞대어 결합하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종래 격자형 문살대의 결합구조는 단순히 십자형으로 교차하는 2중 결합구조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를 갖지 못하고 모양이 격자형에 한정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문살대의 결합구조는 가로살대(10)와 세로살대(12)의 측면(10b)(12b)이 홈(10a)(12a)에 틈새 없이 면접촉하는 구조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홈(10a)(12a)의 가공오차에 의해 많은 수의 가로살대(10)와 세로살대(12)를 연결하게 되면, 결합부위의 면접촉에 의해 오차가 누적되어 조립이 불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격자형태가 뒤틀려 변형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 문살대의 결합구조는 결합부위를 보강하는 구조가 없어 문살대가 정확한 각도를 유지하지 못하고 조립과정에서 뒤틀려 불량률이 높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문살대의 형태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고, 문살대의 조립이 간편하며, 누적오차를 흡수할 수 있고, 결합부의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복층유리용 문살대의 3중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가로살대의 전후면 양측에 홈을 형성하고, 그 가로살대와 중첩된 상태에서 방사상으로 교차하는 대각살대에는 각각 일측에 홈을 형성하여 이 대각살대가 가로살대 전후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끼워져 맞물리도록 구성하여 복층유리용 문살대의 3중 결합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2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살대(20)의 전후면 양측에 홈(22)(24)을 형성하고, 그 가로살대(20)와 중첩된 상태에서 방사상으로 교차하는 대각살대(30)(40)에는 각각 일측에 홈(32)(42)을 형성하여 이 대각살대(30)(40)가 상기 가로살대(20) 전후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끼워져 맞물리도록 구성하였다.
여기서 가로살대(20)와 대각살대(30)(40)가 이루는 각도는 예컨대, 60°로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가로살대(20)와 대각살대(30)(40)가 결합되면서 이루는 가장 작은 형태는 정삼각의 형태이며, 더 나아가서 여섯 개의 정삼각을 원형으로 배열하면 정육각의 형태로 형성할 수 있고, 이를 이용 마름모꼴, 사다리꼴, 평행사변형의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배열이 가능하다.
상기 가로살대(20)와 대각살대(30)(40)의 측면(42a)(42b)이 홈(22)의 에지부(22e)(22g)에 선접촉하도록 구성하였다.
즉, 상기 홈(22)(24)(32)(42)은 사각홈의 형태이며, 가로살대(20)와 대각살대(30)(40)의 길이방향에 대해 각각 직각방향으로 절개하되 그 홈(22)(24)(32)(42)의 폭(W1)을 가로살대(20)와 대각살대(30)(40)의 폭(W2)에 3배수를 곱한 값에 승근(乘根)3으로 나눈 값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 홈(22)(24)(32)(42) 폭(W1)을 약간 작게 하면, 억지끼움이 되고, 약간 크게 하면 헐거운 끼움이 되어 조립난이도를 이 홈(22)(24)(32)(42) 폭(W1)의 미세한 차이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로살대(20)와 대각살대(30)(40)가 결합하여 이루는 코너부에 보강소품(50)을 접착하여 가로살대(20)와 대각살대(30)(40)의 연결부위를 보강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 보강소품(50)은 예컨대 평행사변형, 마름모꼴, 이등변삼각형, 정삼각형, 사다리꼴 조각이 될 수 있고, 이들을 방사상으로 배치하면 꽃무늬형태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첨부도면 도9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살대(20)에 길이방향 연장부(20t)를 두고, 상기 홈(22)(24)을 가로살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복수로 형성하여 또 다른 대각살대(30)(40)를 연장부(20t)를 통해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또 상기 대각살대(30)(40)에 길이방향 연장부(30t)(40t)를 두고, 상기 홈(32)(42)을 대각살대(30)(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복수로 형성하여 또 다른 가로살대(20)를 연장부(30t)(40t)를 통해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가로살대(20)와 대각살대(30)(40)는 합성수지판재를 절단하여 홈파기가공하여 만들거나 압출 후 일정한 폭으로 절단하여 만들어낼 수 있으며, 그 표면을 무늬목형태로 마감하여 인공적인 나무질감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첨부도면 도10 및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와 같이 연결된 가로살대(20)와 대각살대(30)(40)를 복층유리(60)의 가운데에 두고, 복층유리(61)의 가장자리 부근에 테두리살대(62)를 사각으로 배치한 다음 이 테두리살대(62)와 가로살대(20) 및 대각살대(30)(40)를 연결살대(64)로 상호 연결한 다음 나머지 복층유리(61)를 덮고 문틀(66)에 설치하면 본 고안이 적용된 복층유리창(60)을 완성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2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살대(20)와 대각살대(30)(40)를 이용해서 정육각의 형태로 연결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먼저 복층유리(61)가 되는 한 장의 유리판을 평평한 상태로 놓고 그 위에 하방에 위치하는 대각살대(30)(40)를 홈(32)(42)이 상측으로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놓은 다음 가로살대(20)에 형성된 홈(22)(24)이 대각살대(30)(40)에 형성된 홈(32)(42)에 일치하도록 끼우면, 가로살대(20)가 대각살대(30)(40)에 결합된다.
이후 또 다른 대각살대(30)(40)에 형성된 홈(32)(42)을 밑으로 하여 가로살대(20)에 형성된 나머지 홈(22)(24)에 경사지게 끼우게 되면, 나머지 대각살대(30)(40)가 가로살대(20)에 결합되어 가로살대(20)와 대각살대(30)(40)가 60°각도를 이루면서 방사형으로 결합된다.
그 다음 또 다른 가로살대(20)와 대각살대(30)(40)를 이용해서 위와 같은 결합방식으로 결합하면 첨부도면 도3에서와 같이 육각의 형태로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가로살대(20)와 대각살대(30)(40)가 결합할 때 가로살대(20) 및 대각살대(30)(40)의 측면(42a)(42b)이 홈(22)(24)(32)(42)에 형성된 에지부(22e)(22g)에 선접촉하기 때문에 가로살대(20) 및 대각살대(30)(40)를 연장하여 연결하더라도 홈(22)(24)(32)(42) 가공시에 발생된 누적오차를 에지부(22e)(22g)의 탄성력에 의해 흡수할 수 있게 되며, 에지부(22e)(22g)가 약간 변형하더라도 눈이 띄지 않을 정도로 미세하여 완제품의 미관에는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한편, 가로살대(20) 및 대각살대(30)(40)를 결합한 다음 그 연결부위 코너부분에 보강소품(50)을 접착하면 가로살대(20) 및 대각살대(30)(40)의 각도를 보다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게 되며, 가로살대(20) 및 대각살대(30)(40)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보강소품(50)에 의해 미감을 제공해 줄 수 있게 되며, 보강소품(50)을 방사상으로 배치하면 꽃무늬 형태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가로살대(20)와 대각살대(30)(40) 및 보강소품(50) 그리고 테두리살대(62), 연결살대(64) 등을 모두 결합한 다음 복층유리(61)가 되는 나머지 한 장의 유리판을 덮고 테두리에 실리콘과 같은 충진제를 주입한 후 문틀(66)에 설치하면 본 고안이 적용된 복층유리창(60)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가로살대와 대각살대를 기본으로 3중으로 중첩하여 결합하는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기존 2개로 된 격자형 문살대에 비해 다양한 형태의 문살대 형성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고, 가로살대와 대각살대의 결합시 가로살대와 대각살대의 측면이 홈의 에지부에 선접촉하는 형태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에지부에 의해 누적오차를 흡수할 수 있게 되어 문살대를 연장하여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조립이 부드러워 조립작업이 간편하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가로살대와 대각살대의 연결부위를 보강소품에 의해 보강하여 문살대의 내구성 증대될 뿐만 아니라 보강소품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미감을 제공해 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격자형 문살대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복층유리용 문살대의 3중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복층유리용 문살대의 3중 결합구조를 보인 결합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복층유리용 문살대의 3중 결합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두 개의 홈이 적용된 가로살대의 예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서 두 개의 홈이 적용된 가로살대의 예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서 세 개의 홈이 적용된 가로살대의 예를 보인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에서 세 개의 홈이 적용된 가로살대의 예를 보인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복층유리용 문살대의 3중 결합구조를 이용해서 조립한 예를 보인 정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복층유리용 문살대의 3중 결합구조를 이용해서 제조한 복층유리의 예를 보인 정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복층유리용 문살대의 3중 결합구조를 이용해서 제조한 복층유리창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20 : 가로살대 22,24,32,42 : 홈
22e,22g : 에지부 20t,30t,40t : 연장부
30,40 : 대각살대 42a,42b : 측면
50 : 보강소품

Claims (8)

  1. 복층유리 사이에 삽입되는 문살대에 있어서, 가로살대(20)의 전후면 양측에 홈(22)(24)을 형성하고, 그 가로살대(20)와 중첩된 상태에서 방사상으로 교차하는 대각살대(30)(40)에는 각각 일측에 홈(32)(42)을 형성하여 대각살대(30)(40)가 상기 가로살대(20) 전후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끼워져 맞물리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용 문살대의 3중 결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살대(20)와 대각살대(30)(40)의 측면(42a)(42b)이 홈(22)의 에지부(22e)(22g)에 선접촉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용 문살대의 3중 결합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살대(20)에 길이방향 연장부(20t)를 두고, 상기 홈(22)(24)을 가로살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복수로 형성하여 또 다른 대각살대(30)(40)를 그 연장부(20t)를 통해 연결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용 문살대의 3중 결합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각살대(30)(40)에 길이방향 연장부(30t)(40t)를 두고, 상기 홈(32)(42)을 대각살대(30)(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복수로 형성하여 또 다른 가로살대(20)를 그 연장부(30t)(40t)를 통해 연결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용 문살대의 3중 결합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살대(20)와 대각살대(30)(40)가 이루는 코너부에 접착되는 보강소품(50)을 추가로 구비하여 이 보강소품(50)에 의해 가로살대(20)와 대각살대(30)(40)의 연결부위를 보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용 문살대의 3중 결합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소품(50)은 평행사변형 조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용 문살대의 3중 결합구조.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살대(20)와 대각살대(30)(40)는 합성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용 문살대의 3중 결합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살대(20)와 대각살대(30)(40)의 표면이 무늬목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용 문살대의 3중 결합구조.
KR20-2004-0032916U 2004-05-19 2004-11-20 복층유리용 문살대의 3중 결합구조 KR2003767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916U KR200376713Y1 (ko) 2004-05-19 2004-11-20 복층유리용 문살대의 3중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944 2004-05-19
KR20-2004-0032916U KR200376713Y1 (ko) 2004-05-19 2004-11-20 복층유리용 문살대의 3중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713Y1 true KR200376713Y1 (ko) 2005-03-11

Family

ID=43678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2916U KR200376713Y1 (ko) 2004-05-19 2004-11-20 복층유리용 문살대의 3중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671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446B1 (ko) * 2010-08-18 2012-12-10 주식회사 씨쓰리 장식무늬판 및 조형물이 구비된 복층유리
KR101466822B1 (ko) * 2013-07-04 2014-12-10 임종철 입체형상의 전통문양 문살 및 그 제조방법
KR101581011B1 (ko) * 2015-02-13 2015-12-29 최미희 창호용 페어 글래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446B1 (ko) * 2010-08-18 2012-12-10 주식회사 씨쓰리 장식무늬판 및 조형물이 구비된 복층유리
KR101466822B1 (ko) * 2013-07-04 2014-12-10 임종철 입체형상의 전통문양 문살 및 그 제조방법
KR101581011B1 (ko) * 2015-02-13 2015-12-29 최미희 창호용 페어 글래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9277B2 (en) Thermoformed wall and fencing assemblies
US4598520A (en) Window panel
KR101121904B1 (ko) 구조 패널
US7793474B2 (en) Over-mount corner
US5529289A (en) Plastic multi-functional privacy fence
KR200376713Y1 (ko) 복층유리용 문살대의 3중 결합구조
JP5763977B2 (ja) 日除けの形成方法及び日除け
EP0320077B1 (en) Translucent end block
EP0476951B1 (en) 45 Degree block
CA2367716C (en) Glazing panel and assembly thereof
JP6185950B2 (ja) 透光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建材
KR200406670Y1 (ko) 이중결합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고무 바닥재유닛
US7412803B2 (en) Endpiece for wood siding
KR20170089478A (ko) 패시브 한식창호
CA1273530A (en) Curved window assembly and method of formation
US20060272233A1 (en) Stained glass porch system
GB2380742A (en) Plastic tile roof assembly
JP3986379B2 (ja) ユニット式透明材壁構造建築物の壁部材用木製枠体、透明材壁部材、透明材壁構造建築物ユニットセット及びユニット式透明材壁構造建築物
JP2689094B2 (ja) ユニット式組立軽量断熱遮音障子及びその製造方法
EP4001548A1 (en) A method for producing a grate for swimming pools and a grate
RU2285100C2 (ru) Способ промышленно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дверей из плотной древесины
JPH0539187Y2 (ko)
JP4837511B2 (ja) 框戸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341912B2 (en) Decorative plastic batten shutter
JP3274585B2 (ja) 扉のルーバー構造の取り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