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9057Y1 -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삽입된 건축용 마감 장식재 - Google Patents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삽입된 건축용 마감 장식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9057Y1
KR200359057Y1 KR20-2004-0013859U KR20040013859U KR200359057Y1 KR 200359057 Y1 KR200359057 Y1 KR 200359057Y1 KR 20040013859 U KR20040013859 U KR 20040013859U KR 200359057 Y1 KR200359057 Y1 KR 2003590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decorative
finishing
mixture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38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순봉
Original Assignee
최순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순봉 filed Critical 최순봉
Priority to KR20-2004-00138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90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90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90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non-metallic or unspecified sheet-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4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마감 장식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사각단면을 가진 참숯을 제작한 다음, 상기 참숯을 내부가 비어있는 형틀내에 일정간격을 두며 삽입시키는 과정과, 상기 참숯 사이사이 공간에 숯분말과 접착제로 이루어진 겔상태의 혼합물을 충진하여 건조시키는 과정과, 상기 건조과정을 거친 후, 상기 형틀을 제거하여 참숯과 혼합물이 순차적으로 삽입 구성된 판체를 제작하는 과정과, 상기 판체를 절단하여 장식재를 제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삽입된 건축용 마감 장식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안한다.

Description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삽입된 건축용 마감 장식재{construction decoration materials}
본 고안은 건축용 마감 장식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장식재에 참숯이나 황토등의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삽입시켜 가공처리한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삽입된 건축용 마감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건축용 마감 장식재는 건축물의 실내 벽체나 혹은 천정등의 마감을 위하여 부착되는 몰딩부재나 혹은 가구류의 미적감각을 고양시키기 위하여 부착되는 각종 장식부재를 말한다.
이러한 장식재는 통상 목재등의 재질을 이용하여 당양한 형상으로 가공 처리되는 바, 이와 같이 형상으로 가공되는 장식재는 목재를 단순히 가공하여 구성함으로서 미적감각을 고양시키는 것 외에는 별도의 기능이 구비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0243171 호에는 건축물의 벽체나 칸막이 혹은 천정등에 사용되는 내장패널에 숯을 첨가함으로서 뛰어난 미적감각과 함께 숯이 가지는 효능으로 인체에 유해한 요소를 흡착 정화하는 부가적인 기능을 가진 숯의 자연 정화기능을 이용한 건축마감자재(이하 "선행기술"이라 함)가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은 사각의 패널에 숯과 기타 안료가 혼합된 혼합물을 적층시켜 구성함으로서 종래의 내장패널에 비해 우수한 질감 효과를 갖는 유용한 고안임에는 분명하다.
하지만 상기한 선행기술은 건축물용 장식재가 아닌 건축물의 내장패널에 관한 것이며, 더욱이 그 기술적 사상이 숯 입자와 접착제 및 수성도로용 색소를 혼합한 후, 이 혼합물을 패널에 소정의 두께만큼 적층시켜 구성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방식으로 패널을 제작할 경우에는 제작공정이 복잡 다단해질 뿐만 아니라 시공후 숯입자가 패널에서 떨어져버리는 경우가 발생함으로서 유지보수에 많은 문제점을 야기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실내 벽체나 천정 혹은 각종 가구류의 마감작업시 부착되는 장식재에 참숯을 삽입하여 구성함으로서 참숯이 가지는 고유의 미적감각과 함께 인체에 유해한 요소를 동시에 차단할 수 있는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삽입된 건축용 마감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마감 장식제의 제작시 제조공정의 간편함과 아울러 참숯을 장식재에 보다 견고히 접착 고정시킬 수 있는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삽입된 건축용 마감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건축용 마감 장식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사각단면을 가진 참숯을 제작한 다음, 상기 참숯을 내부가 비어있는 형틀내에 일정간격을 두며 삽입시키는 과정과, 상기 참숯 사이사이 공간에 숯분말과 접착제로 이루어진 겔상태의 혼합물을 충진하여 건조시키는 과정과, 상기 건조과정을 거친 후, 상기 형틀을 제거하여 참숯과 혼합물이 순차적으로 삽입 구성된판체를 제작하는 과정과, 상기 판체를 절단하여 장식재를 제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 예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삽입된 건축용 마감 장식재를 도시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e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삽입된 건축용 마감 장식재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도 3은 본 고안의 제 2실시 예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삽입된 건축용 마감 장식재를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h는 도 3에서 도시한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삽입된 건축용 마감 장식재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건축용 마감 장식재 110, 210: 참숯
120, 220: 형틀 140, 240: 혼합물
150, 250: 판체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우선, 후술할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따른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삽입된 건축용 마감 장식제의 제조방법은 건물의 실내벽체나 천정등의 마감 몰딩부재 및 가구류에 부착되는 장식제에 한정하여 적용하고 있는 제조방법을 제안할 것이나, 본 고안에서 제안하고 있는 바가 등박스나 아트월등 다른 건축용 장식재에 균등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고안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삽입된 건축용 마감 장식제의 개념을 살펴보면 사각이나 삼각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 처리된 참숯과, 숯분말과 접착제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형틀내에 순차적으로 삽입시켜 장식재로 제조하게 됨으로서 건물의 실내 벽체나 천정등의 마감작업이나 각종 가구류에 사용시 뛰어난 장식효과를 취할 수 있으며, 또한 참숯에서 발산되는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인체에 유해한 물질들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삽입된 건축용 마감 장식재를 제안하고자 한다. 한편, 이러한 마감 장식재의 제조방법은 후술할 실시 예들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상기 본 고안이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 1]
도 1은 참숯(110)과, 숯분말이 함유된 혼합물(140)이 상호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구성된 건축용 마감 장식재(100)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러한 건축용 마감 장식재(100)의 제조방법은 도 2a 내지 도 2e에 도시한 바와 같다.
우선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참숯원목의 외경을 가공 처리하여 사각단면을 가지는 참숯(110)을 제작한 다음, 이 참숯(110)을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있는 형틀(120)내에 일정간격을 두며 삽입시킨다.
이후,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형틀(120)내에 삽입되어 있는 참숯(110) 사이사이 공간(130)으로 겔상태의 혼합물(140)을 충진시킨다. 여기서 상기 혼합물(140)은 숯분말과 접착제(본드)를 대략 100:1 비율로 혼합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혼합물(140)이 형틀(120)내에서 응고될때까지 건조과정을 거친 후, 상기 형틀(120)을 탈거(제거)시키면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참숯(110)과 혼합물(140)이 순차적으로 삽입 구성된 판체(150)가 제작되어 진다.
이후, 상기와 같이 제작된 판체(150)를 커터등의 절단공구(도면에 미 도시 함)를 이용하여 절취선(152)을 따라 균일한 폭으로 절단하게 되면 도 2e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진 건축용 마감 장식재(100)가 제작되어 진다.
상기한 제 1실시 예를 통해 제작된 장식재(100)는 각종 가구류의 장식을 위한 장식부재로 사용되어 진다.
[실시 예 2]
도 3은 참숯(210)과, 숯분말이 함유된 혼합물(240)이 상호 순차적으로 삽입된 판체(250)를 제작한 후, 이 판체(250)의 상, 하면에 각각 별도의 나무판재(260a, 260b)를 접착시킨 다음, 이를 균일한 폭으로 절단하여 제작한 건축용 마감 장식재(200)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러한 건축용 마감 장식재(200)의 제조방법은 도 4a 내지 도 4h에 도시한 바와 같다.
우선, 전술한 제 1실시 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참숯(210)과 혼합물(240)이 순차적으로 삽입 구성된 판체(250)를 제작한다. 즉,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단면을 가진 참숯(210)들을 제작하여 도 4b에 도시한 내부가 비어 있는 형틀(220)내에 일정간격을 두고 삽입시킨다. 이후, 숯분말과 접착제(본드)가 대략 100:1 비율로 혼합된 겔상태의 혼합물(240)을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참숯(210) 사이사이 공간(230)에 충진시킨 후, 건조과정을 거쳐 형틀(220)을 제거하게 되면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판체(250)가 제작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제작된 판체(250)를 도 4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나무판재(260a, 260b)사이에 삽입시켜 접착 고정한 다음, 도 4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터등의 절단공구(도면에 미 도시 함)를 이용하여 절취선(252)을 따라 균일한 폭으로 절단하게 되면 도 4h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진 소재(270)가 제작되어 진다.
이후, 상기 소재(270)의 전면을 다양한 형상으로 면취 가공하게 되면 도 4g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진 건축용 마감 장식재(200)가 완성된다.
상기한 제 2실시 예를 통해 제작된 장식재(200)는 건물의 실내 벽체나 혹은천정등의 마감작업등에 사용되는 몰딩부재로 사용되어 진다.
한편, 상기한 제 1, 2실시 예에서는 장식재에 삽입되는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참숯이나 숯분말이 함유된 혼합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참숯이나 숯분말대신 다른 원적외선 방사물질중의 하나인 황토나 황토분말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사상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사실일 것이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사각이나 삼각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 처리된 참숯등의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건물의 실내 벽체나 천정등의 마감작업이나 각종 가구류의 장식효과를 위하여 부착되는 장식재에 삽입하여 접착 고정시킴으로서 참숯과 장식재의 조합으로 인한 뛰어난 미적감각과 더불어 참숯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인체에 유해한 물질들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건축용 마감 장식재에 있어서,
    내부가 비어있는 형틀과, 사각단면을 가진 참숯 및 접착제가 함유된 숯분말이 상기 형틀내에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된 판체와, 상기 판체를 일정간격으로 절단시켜 구성된 장식재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삽입된 건축용 마감 장식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체의 상, 하면에 나무판재를 각각 부착시켜 절단하고 그 측면을 다양한 형상으로 면취 가공한 장식재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삽입된 건축용 마감 장식재.
KR20-2004-0013859U 2004-05-19 2004-05-19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삽입된 건축용 마감 장식재 KR2003590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859U KR200359057Y1 (ko) 2004-05-19 2004-05-19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삽입된 건축용 마감 장식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859U KR200359057Y1 (ko) 2004-05-19 2004-05-19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삽입된 건축용 마감 장식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4161A Division KR20050109128A (ko) 2004-05-14 2004-05-14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삽입된 건축용 마감 장식재 및 그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9057Y1 true KR200359057Y1 (ko) 2004-08-16

Family

ID=49435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859U KR200359057Y1 (ko) 2004-05-19 2004-05-19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삽입된 건축용 마감 장식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90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868B1 (ko) 2005-06-04 2007-05-14 노덕환 건강 목재 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868B1 (ko) 2005-06-04 2007-05-14 노덕환 건강 목재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L1541373T3 (pl) Sposób wytwarzania paneli mających dekoracyjną powierzchnię
KR200359057Y1 (ko)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삽입된 건축용 마감 장식재
KR20050109128A (ko)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삽입된 건축용 마감 장식재 및 그제조 방법
KR200359056Y1 (ko)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삽입된 건축용 마감 장식재
KR200344636Y1 (ko) 참숯이 삽입된 건축용 마감 장식재
KR101210446B1 (ko) 장식무늬판 및 조형물이 구비된 복층유리
KR200162419Y1 (ko) 개량 흙벽돌
KR100771187B1 (ko) 가공석재판
KR20050109127A (ko)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삽입된 건축용 마감 장식재 및 그제조 방법
KR20050058557A (ko) 참숯이 삽입된 건축용 마감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189813B1 (ko) 조립형 장식무늬판이 구비된 복층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00236170A1 (en) Flooring produc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the same
KR101031644B1 (ko) 이종(異種) 색상의 무늬모양 판재가 조합된 건축물 장식용마감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100948942B1 (ko) 황토 패널을 이용한 마감 시공 방법 및 그 마감 구조물
CN218541149U (zh) 一种室内装饰结构
KR200357096Y1 (ko) 건축용 마감재
KR200248962Y1 (ko) 원적외선 방사 바닥재
JP3236594U (ja) 形状模様彫り込み無機質立体的様相装飾材。
JP2018144231A (ja) 柔軟性に優れた装飾材
CN203821634U (zh) 一种竹展平板室内隔断
KR200341186Y1 (ko) 한지 마루판
KR102129880B1 (ko) 숯타일 및 그 제조방법
CN203420417U (zh) 一种中空玻璃用带通透格子的装饰板
JP5973239B2 (ja) パネル壁
KR20070000099U (ko) 나무 타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