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638B1 - 마감캡이 포함된 금속도어 - Google Patents

마감캡이 포함된 금속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638B1
KR101582638B1 KR1020140003729A KR20140003729A KR101582638B1 KR 101582638 B1 KR101582638 B1 KR 101582638B1 KR 1020140003729 A KR1020140003729 A KR 1020140003729A KR 20140003729 A KR20140003729 A KR 20140003729A KR 101582638 B1 KR101582638 B1 KR 101582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oor
metal
finishing cap
rectangula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3040A (ko
Inventor
김명식
최선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쓰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쓰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쓰리
Publication of KR20150073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3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06B3/76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with metal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구성 및 경량성이 강화되도록 금속 소재로 형성된 도어의 테두리를 간편하게 마감할 수 있는 마감캡이 포함된 금속도어가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도어의 외형을 제공하며 금속으로 형성된 사각 형틀, 및 문틀과 마주보는 상기 사각 형틀의 양측 테두리에 각각 구비되며 "ㄷ"자형으로 형성된 마감캡을 포함하는 금속도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마감캡을 통해 도어의 테두리 부분을 차단시켜 내부의 공기층과 도어의 접촉면적을 줄이는 한편 도어와 문틀 사이의 이격 공간을 차단시킴으로써, 기존 금속 도어에 비해 단열성이 개선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마감캡이 포함된 금속도어{METAL DOOR HAVING FINISHING CAP}
본 발명은 마감캡이 포함된 금속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구성 및 경량성이 강화되도록 금속 소재로 형성된 도어의 테두리를 간편하게 마감할 수 있는 마감캡이 포함된 금속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로부터 널리 사용되어오던 원목이나 합판, MDF 등의 가공 목재로 구성된 실내용 도어는 수명이 짧고, 장기간 사용에 따라 비틀어짐 등의 변형이 발생되며, 특히 환경보호를 이유로 목제 공급이 점차 제한적이라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가공 목재로 구성된 실내용 도어는 목재의 테두리를 대패로 가공하여 PVC, PP, PET, ABS,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된 별도의 테두리 마감재를 현장에서 본드를 사용하여 접착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방식은 가구와 건축내장제의 대량 생산에 적합한 방식으로 가구 제작의 오랜 제작 공법인 페인트 도장 공법보다 생산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필름지, 사출플라스틱을 접착제로 목재에 붙이는 방식으로 접착력이 약하여 제품의 내구성이 떨어지며, 이는 제품의 결함으로 이어져 많은 경제적 손실비용이 들어간다.
이를 해결하고자 근래에는 플라스틱재로 된 도어가 제안되어 다양한 형태의 플라스틱 도어가 생산되어 시판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플라스틱 도어는 PVC나 ABS 등의 합성수지를 압출 성형하여 도어를 지지하는 사각 형틀을 만들며, 또한 상기 재료를 이용하여 금형에 의해 판재형상으로 만든 플라스틱 판재로 전면판 및 후면판을 조성하며, 전면판과 후면판의 가운데 즉, 도어의 내측에 중간충진재로 합성수지를 발포충진하거나, 벌집모양의 종이보강재(honey comb)등을 충진하여 도어용 보드를 생산하게 되며, 도어의 크기별로 테두리를 재단하여 도어를 최종 제작하였다.
또한, 종래의 플라스틱 도어는 합성수지와 목재의 복합 형태로는 테두리 보강심재와 허니콤 중간층을 플라스틱 판재로 된 전면판과 후면판으로 부착하는 대신에 전면판 및 후면판 재질을 MDF(Midium Density Fiber) 보드나 합판 등의 가공복재를 부착하고, 그 표면에 PVC 필름이나 무늬목 등의 마감재를 부착하여 실내용 도어보드를 조성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라스틱 도어는 나무도어에 비해 향상된 내구성과 치수 안정성을 가지며, 수분 저항성이 뛰어난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제품 디자인이 단조롭고, 열에 취약하며, 대패질한 곳이 날카로워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전면판 및 후면판을 MDF나 합판 등으로 조성한 도어는 수분 흡수율이 높아 내구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8352호(2013.02.01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6009호(2010.10.06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76493호(2006.05.10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구성과 가공 편의성이 우수한 금속 소재를 도어에 사용하는 경우 금속의 높은 열전도성으로 인해 겨울엔 춥고 여름에 더운 점이 생기는 문제를 완화시키며, 도어의 양 측면을 보완하여 도어의 길이 오차에 대한 안정성을 부여하는 마감캡이 포함된 금속도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어의 외형을 제공하며 금속으로 형성된 사각 형틀. 및 문틀과 마주보는 상기 사각 형틀의 양측 테두리에 각각 구비되며 "ㄷ"자형으로 형성된 마감캡을 포함하는 금속도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금속도어는 금속 소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내구성과 가공 편의성이 우수하고, 목재 등에 비해 가볍게 구현할 수 있으며, 열에 강하다. 다만, 금속의 높은 열전도성으로 인해 단열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되지만, 마감캡을 통해 도어의 테두리 부분을 차단시켜 내부의 공기층과 도어의 접촉면적을 줄이는 한편 도어와 문틀 사이의 이격 공간을 차단시킴으로써, 기존 금속 도어에 비해 단열성이 개선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금속도어는 마감캡에 의해 길이가 조절될 수 있어 일부 오차가 발생된 미닫이문의 문틀에도 간편하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금속도어는 날카로운 테두리 부분이 마감캡에 의해 차단되어 안전사고가 방지된다.
게다가, 본 발명은 외관이 세련되고 고급스러움과 동시에 미려하며, 디자인도 매우 다양하게 연출 변화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도어는 대부분 금속 소재로 구성되어 파손 시 재활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를 설명하기 위한 투과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I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의한 마감캡이 포함된 금속도어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감캡이 포함된 금속도어는 도어의 외형을 제공하며 금속으로 형성된 사각 형틀(100), 및 상기 사각 형틀(100)의 양측 테두리에 각각 구비되는 마감캡(200)을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보강심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감캡이 포함된 금속도어는 사각 형틀(100)을 포함한다.
상기 사각 형틀(100)은 구조적으로 쉽게 변형되지 않고 견고한 프레임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직육면체형의 외형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사각 형틀(100)은 내구성 및 가공편의성를 고려할 때 금속 소재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다양한 디자인의 연출 및 경량화를 위해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사각 형틀(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량화를 위해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각 형틀(100)은 중공이 형성되도록 주물을 통해 제작하거나, 금속판을 직육면체형으로 이어붙이는 용접을 통해 제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제 2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사각 형틀(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판(112, 114, 116)과 내판(122, 124, 126)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외판과 내판은 동일한 외형을 갖도록 형성되어 서로 일부가 겹쳐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판은 평판형으로 형성된 제 1 평판(112)과 상기 제 1 평판(112)의 좌측 및 우측 말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한 쌍의 제 1 측판(114, 116)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내판은 제 1 평판(112)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평판형으로 형성된 제 2 평판(122)과, 상기 제 2 평판(122)의 좌측 및 우측 말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 1 측판(114, 116)에 접촉되는 한 쌍의 제 2 측판(124, 126)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 1 평판(112)과 제 2 평판(122)이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면, 임의의 제 2 측판(124)은 임의의 제 1 측판(114)의 외측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며, 나머지 제 2 측판(126)은 나머지 제 1 측판(116)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서로 접촉된 제 1 측판(114, 116)과 제 2 측판(124, 126)은 용접이나 접착제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서로 이웃한 제 1 측판(114, 116)과 제 2 측판(124, 126) 사이에는 제 1 측판(114, 116)으로부터 제 2 측판(124, 126)을 이격시켜 열전도에 의한 열전달을 차단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패킹(1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킹(130)은 한 쌍의 제 1 측판(114, 116) 중 어느 하나가 제 2 평판(122)에 접촉되어 외판과 내판 사이에 열전도에 의한 열전달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한 쌍의 제 1 측판(114, 116)의 말단부에도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패킹(130)은 한 쌍의 제 2 측판(124, 126) 중 어느 하나가 제 1 평판(112)에 접촉되어 외판과 내판 사이에 열전도에 의한 열전달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한 쌍의 제 2 측판(124, 126)의 말단부에도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패킹(130)으로는 제 1 측판(114, 116)과 제 2 측판(124, 126) 사이에서 발생되는 열전달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실리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를 설명하기 위한 투과정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I-I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제 3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사각 형틀(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형의 외형을 갖도록 형성되며, 그 내부에 장식재(6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사각형 관통홀이 구비된다.
이러한 사각 형틀(100)은 상기 장식재(600)를 중심으로 장식재(600)의 상부에 위치한 상측 형틀(150)과, 상기 장식재(600)를 중심으로 장식재(600)의 좌측에 위치한 좌측 형틀(160)과, 상기 장식재(600)를 중심으로 장식재(600)의 우측에 위치한 우측 형틀(170), 및 상기 장식재(600)를 중심으로 장식재(600)의 하부에 위치한 하측 형틀(180)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측 형틀(150)과 좌측 형틀(160)과 우측 형틀(170) 및 하측 형틀(180)은 모두 장식재(600)와 마주보는 표면에 장식재(600)의 일단을 내삽시켜 장식재(600)를 사각 형틀(10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내삽홈이 형성된다.
또한, 좌측 형틀(160)은 상측 형틀(150)의 좌측 말단에 연결되고, 우측 형틀(170)은 상측 형틀(150)의 우측 말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하측 형틀(180)은 그 일단이 좌측 형틀(160)의 말단과 연결되며, 상기 일단에 대향되는 타단이 우측 형틀(170)의 말단과 연결된다.
한편, 상기 장식재(600)는 금속도어의 장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어떠한 장식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판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판유리로는 투명하거나 채색된 단일 판유리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내부에 꽃이나 장식패널 등의 장식물이 배치된 복층 판유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감캡이 포함된 금속도어는 중앙충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충진층(미도시)은 도어의 기본적인 기능 중 우수한 차음성과 방음성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사각 형틀(100)의 내부에 허니콤 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중앙충진층은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수지, 폴리염화비닐(PVC) 수지, 폴리에틸렌(PE) 수지, 폴리프로필렌(PP) 수지 등의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진공 성형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감캡이 포함된 금속도어는 보강심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심재(300)는 금속도어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사각 형틀(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중앙충진층의 양측에 구비되며, 경량목재인 일반목재나 MDF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보강심재(300)의 설치 개수는 도어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므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도어가 일반적인 실내용 도어의 크기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도 2와 같이 사각 형틀(1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1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심재(300)는 사각 형틀(100)과 원활히 접착되도록 각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감캡이 포함된 금속도어는 마감캡(200)을 포함한다.
상기 마감캡(200)은 문틀과 마주보는 사각 형틀(100)의 양측 테두리를 커버하는 것으로, 금속의 높은 열전도성으로 인해 금속도어 내부와 외부 사이에서 열전달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사각 형틀(100)의 테두리 부분을 차단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 마감캡(200)은 금속도어 내부의 공기층과 금속도어의 접촉면적을 줄임으로써 금속도어와 내부 공기층 사이에서 발생되는 열전달을 최소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마감캡(200)은 열전도도가 1 W/mk 이하인 합성수지나 목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합성수지로는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우레탄(PU), 폴리에틸렌(PE),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목재로는 MDF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마감캡(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횡축단면이 "ㄷ"자형 구조, 또는 이에 좌우 대칭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감캡(200)은 상기 사각 형틀(100)의 테두리에 끼움 결합되어 사각 형틀(100)의 전면 및 후면에 마주보는 전판(202) 및 후판(204)과, 상기 전판(202) 및 후판(204)을 연결하는 측판(20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전판(202)과 후판(204) 사이의 거리는 마감캡(200) 자체적으로 사각 형틀(100)에 대한 결합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사각 형틀(100)의 너비와 동일하거나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상기 측판의 외측면에는 단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모헤어 테이프나 자석판이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판의 외측면에 자석판이 부착된 경우, 상기 자석판에 마주보는 미닫이문의 문틀에는 자석이나 금속이 설치된다.
아울러, 마감캡(200)은 금속도어의 테두리 부분을 차단시켜 용접 가공을 통해 날카로워진 금속도어의 테두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간편하게 안정적으로 커버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마감캡(200)의 내측면에는 접착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는 사각 형틀(100)에 끼움 결합되는 마감캡(200)이 사각 형틀(1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력을 보조해 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마감캡(200)은 그 내측면에 합성수지로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돌기(2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돌기(210)는 마감캡(200)과 사각 형틀(100)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접착제 없이 마감캡(200)을 사각 형틀(10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반구형이나 원통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감캡(200)은 금속도어의 길이를 보정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계상의 길이에 비해 실제 제작된 금속도어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 마감캡(200)은 금속도어의 길이를 보정할 수 있다.
예컨데, 문틀의 길이에 비해 금속도어의 길이가 작은 경우 도 2와 같이 마감캡(200)의 일부만을 사각 형틀(100)에 결합시켜 금속도어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다.
즉, 설계보다 짧은 길이로 제작된 금속도어라도 벽체에 설치된 문틀에 간편히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감캡이 포함된 금속도어는 보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판은 사각 형틀(100)의 양측 테두리에 각각 구비된 마감캡(200)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측 형틀(150) 및 하측 형틀(180)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상부 보강판(400)과 하부 보강판(500)으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보강판(400)은 상기 사각 형틀(100)의 양측 테두리에 각각 구비된 마감캡(200)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사각 형틀(100) 중 상측 형틀(150)에 접촉되어 상기 상측 형틀(150)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도록 상측 형틀(150)의 전면 및 배면에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 보강판(400)은 마감캡(200)에 나사, 접착제 등의 결합수단을 통해 연결되거나, 상측 형틀(150)에 결합수단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하부 보강판(500)은 상기 사각 형틀(100)의 양측 테두리에 각각 구비된 마감캡(200)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사각 형틀(100) 중 하측 형틀(180)에 접촉되어 상기 하측 형틀(180)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도록 하측 형틀(180)의 전면 및 배면에 구비된다.
이러한 상부 보강판(400)과 하부 보강판(500)은 상측 형틀(150)과 하측 형틀(180)이 직접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측 형틀(150)과 하측 형틀(180)이 훼손되는 것을 예방하고, 장식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보강판(400)과 하부 보강판(500)은 우수한 인테리어적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ABS 패널과, 상기 ABS 패널의 표면에 다양한 무늬가 인쇄 등에 의해 형성된 PVC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ABS 패널과 PVC 시트는 열접착을 통해 서로 부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보강판(400)과 하부 보강판(500)은 ABS 패널 대신 MDF 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사각 형틀 112 : 제 1 평판
114, 116 : 제 1 측판 122 : 제 2 평판
124, 126 : 제 2 측판 130 : 패킹
150 : 상측 형틀 160 : 좌측 형틀
170 : 우측 형틀 180 : 하측 형틀
200 : 마감캡 202 : 전판
204 : 후판 206 : 측판
210 : 결합돌기 300 : 보강심재
400 : 상부 보강판 500 : 하부 보강판
600 : 장식재

Claims (9)

  1. 도어의 외형을 제공하며 금속으로 형성된 사각 형틀, 및 문틀과 마주보는 상기 사각 형틀의 양측 테두리에 각각 구비되며, "ㄷ"자형으로 형성된 마감캡을 포함하는 금속도어에 있어서,
    상기 사각 형틀은 평판형으로 형성된 제 1 평판과 상기 제 1 평판의 좌측 및 우측 말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한 쌍의 제 1 측판으로 구성된 외판, 및 상기 제 1 평판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평판형으로 형성된 제 2 평판과 상기 제 2 평판의 좌측 및 우측 말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 1 측판에 접촉되는 한 쌍의 제 2 측판으로 구성된 내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외판과 내판은 동일한 외형을 갖도록 형성되어 서로 일부가 겹쳐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마감캡은 열전도도가 1 W/mk 이하인 합성수지나 목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측판으로부터 제 2 측판을 이격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측판과 제 2 측판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제 1 측판이 제 2 평판에 접촉되어 외판과 내판 사이에 열전도에 의한 열전달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한 쌍의 제 1 측판의 말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제 2 측판이 제 1 평판에 접촉되어 외판과 내판 사이에 열전도에 의한 열전달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한 쌍의 제 2 측판의 말단부에도 각각 구비된 패킹; 및
    상기 사각 형틀의 내부에 허니콤 구조로 형성되며, ABS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구성된 중앙충진층을 포함하는 금속도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의 내측면에는 합성수지로 형성된 복수개의 반구형 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도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은
    상기 사각 형틀의 테두리에 끼움 결합되어 사각 형틀의 전면 및 후면에 마주보는 전판 및 후판과 상기 전판 및 후판을 연결하는 측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측판의 외측면에 모헤어 테이프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도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은
    상기 사각 형틀의 테두리에 끼움 결합되어 사각 형틀의 전면 및 후면에 마주보는 전판 및 후판과 상기 전판 및 후판을 연결하는 측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측판의 외측면에 자석판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도어.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 형틀은
    내부에 장식재가 설치될 수 있도록 사각형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도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 형틀의 양측 테두리에 각각 구비된 마감캡의 사이에 위치하며, 사각 형틀에 접촉되어 상기 사각 형틀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도록 사각 형틀의 전면 및 배면에 구비된 보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도어.
KR1020140003729A 2013-12-20 2014-01-13 마감캡이 포함된 금속도어 KR1015826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0056 2013-12-20
KR1020130160056 2013-1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3040A KR20150073040A (ko) 2015-06-30
KR101582638B1 true KR101582638B1 (ko) 2016-01-07

Family

ID=53518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729A KR101582638B1 (ko) 2013-12-20 2014-01-13 마감캡이 포함된 금속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6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8785A1 (en) * 2021-04-15 2022-10-20 Assa Abloy Entrance Systems Ab Panel arrangement, door leaf and door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764Y1 (ko) * 2005-01-24 2005-04-22 남호숙 조립식 화장실의 커버 연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6493B1 (ko) 2004-04-14 2006-05-10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실내용 플라스틱 도어
KR100986009B1 (ko) 2008-04-02 2010-10-06 백대현 도어용 에이비에스 스프링식 하니콤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05750A (ko) * 2008-07-08 2010-01-18 배진영 문짝 구조
KR20100011143U (ko) * 2009-05-06 2010-11-16 (주)삼선씨에스에이 열전달 차단부재가 마련된 방화문
KR20130099464A (ko) * 2012-02-29 2013-09-06 박성수 경사 벽체형 탄성 고정편을 갖는 미닫이 문 마감구
KR101228352B1 (ko) 2012-07-19 2013-02-01 주식회사 씨쓰리 마감캡이 구비된 도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764Y1 (ko) * 2005-01-24 2005-04-22 남호숙 조립식 화장실의 커버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3040A (ko) 201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3022B1 (ko) 목재패널을 포함하는 합성수지 도어
KR101842934B1 (ko) 도어용 보드
KR101582638B1 (ko) 마감캡이 포함된 금속도어
KR101228352B1 (ko) 마감캡이 구비된 도어
KR100576493B1 (ko) 실내용 플라스틱 도어
KR101210446B1 (ko) 장식무늬판 및 조형물이 구비된 복층유리
KR101163541B1 (ko) 다양한 소재의 장식물 배치가 자유로운 장식 복층유리
CN110802880B (zh) 一种内置加强筋放置孔的铝塑板
KR100614835B1 (ko) 합성수지 도어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04414A (ko) 단열성이 향상된 복합형 마감판넬
CN209760662U (zh) 一种抗形变效果好的建筑保温装饰板
KR20130030963A (ko) 커튼월용 백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4307279A (ja) 装飾樹脂シートとそれを使用した装飾合わせガラス
JPS6316406Y2 (ko)
KR101022005B1 (ko) 이종 간봉을 이용한 3중 복층 유리 제조방법
CN215716723U (zh) 一种节能环保的木塑板材
US20220243526A1 (en) Spacer for insulated glass units
CN218374858U (zh) 一种隔热保温效果好的铝塑复合板
KR20110107719A (ko) 조립형 장식무늬판이 구비된 복층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59648A (ko) 단열기능을 갖는 건축물 벽면 마감재
JP2000240182A (ja) 建装部材用断熱性複合シートおよび断熱性建装部材
KR200175108Y1 (ko) 고무재로 마감처리된 복층유리
JPS6246744Y2 (ko)
KR101005978B1 (ko) 알루미늄 장식 바 및 그 제조방법
KR101270226B1 (ko) 쿠션 타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