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7241B1 - 장식용 복층유리 - Google Patents

장식용 복층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7241B1
KR100647241B1 KR1020050072413A KR20050072413A KR100647241B1 KR 100647241 B1 KR100647241 B1 KR 100647241B1 KR 1020050072413 A KR1020050072413 A KR 1020050072413A KR 20050072413 A KR20050072413 A KR 20050072413A KR 100647241 B1 KR100647241 B1 KR 100647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glass plate
space
film
spac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2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기봉
Original Assignee
홍기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기봉 filed Critical 홍기봉
Priority to KR1020050072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72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7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7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12Evacuated glazing un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42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characterised by their sealed connection to the panes
    • E06B3/66352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characterised by their sealed connection to the panes with separate sealing strips between the panes and the spac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층유리의 기능인 기밀성(氣密性), 수밀성(水密性), 차음성(遮音性), 방화성(防火性) 및 단열성(斷熱性) 등을 충실히 수행함은 물론 다양한 형태의 모양과 무뉘를 다채롭게 표현함으로써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함과 더불어, 다변화된 장식적 심미감을 표출하도록 함으로써 건물의 실내 또는 실외 등의 장식용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는 장식용 복층유리에 관한 것으로서, 한쌍의 유리판재(10a),(10b)와,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리판재(10a),(10b)의 일표면에 접착고정되는 접착층(12)이 이면에 도포되고, 표면에 각각 서로 다른 반사각(14),(16)이 적어도 두개 이상 형성된 필름(20)과, 상기 유리판재(10a)와 유리판재(10b)의 가장자리 사이에 개재되어 간격과 유리판재(10a),(10b) 사이에서 발생되는 습기를 흡수제거하는 간격유지수단(30)과, 상기 한쌍의 유리판재(10a),(10b)의 사이에 진공부가 형성되도록 각 유리판재(10a),(10b)와 간격유지수단(30)을 상호 접착하는 접착재(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복층유리, 장식, 필름, 반사각, 심미감, 입체감, 인테리어

Description

장식용 복층유리{MULTIPLE-LAYERED GLASS FOR DECOR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복층유리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복층유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복층유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복층유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 10b : 유리판재
12 : 접착층
14, 16 : 반사각
14a, 16a : 미세홈
20 : 필름
30 : 간격유지수단
32 : 유입공
34 : 스페이스바
36 : 흡수재
38 : 모서리연결구
40 : 접착재
본 발명은 장식용 복층유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층유리의 기능인 기밀성(氣密性), 수밀성(水密性), 차음성(遮音性), 방화성(防火性) 및 단열성(斷熱性) 등을 충실히 수행함은 물론 다양한 형태의 모양과 무뉘를 다채롭게 표현함으로써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함과 더불어, 다변화된 장식적 심미감을 표출하도록 함으로써 건물의 실내 또는 실외 등의 장식용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는 장식용 복층유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층유리는 한쌍의 판유리 사이에 지지수단을 개재시켜 두개의 판유리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있다. 이와 같은 복층유리는 미려환 외관과 동시에 유리와 유리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기밀성(氣密性), 수밀성(水密性), 차음성(遮音性), 방화성(防火性) 및 단열성(斷熱性)등이 매우 우수하여, 그 사용이 날로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복층유리중 어느 하나의 유리에 인쇄를 하여 다양한 문양을 갖는 장식용 복층유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유리의 배면에 인쇄를 하는 방법에는 실크스크린 인쇄 내지는 전사지를 이용한 옵세트 인쇄 등이 주류를 이룬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유리에 옵세트 인쇄를 하는 경우 인쇄의 특성상 유기질 잉크를 사용해야하므로 무기질로 이루어진 판유리를 가열하여 소성(塑性)시키면 유기질 잉크와 무기질 유리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에 의하여 잉크가 유리의 배면에서 이탈되는 등의 폐단이 발생하였다. 또한, 유기질 잉크의 특성상 장시간이 지나면 누렇게 변하는 현상 등으로 인하여 쉽게 변색되거나 탈색되어 전체적인 제품의 품위가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방법으로는 다양한 재료 예를 들면 천, 나뭇잎, 망사 등을 유리표면에 안착시킨 후 투명필름을 이용하여 천, 나뭇잎, 망사 등을 유리표면에 접착하여 사용하였지만, 이는 그 표현방법이 단순히 2차원적인 방식에 의존함으로 시각적인 호기심을 자극하지 못함에 따라 다양한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복층유리의 기능인 기밀성(氣密性), 수밀성(水密性), 차음성(遮音性), 방화성(防火性) 및 단열성(斷熱性) 등을 충실히 수행함은 물론 다양한 형태의 모양과 무뉘를 다채롭게 표현함으로써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함과 더불어, 다변화된 장식적 심미감을 표출하도록 함으로써 건물의 실내 또는 실외 등의 장식용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는 장식용 복층유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쌍의 유리판재와,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리판재의 일표면에 접착고정되는 접착층이 이면에 도포되고, 표면에 각각 서로 다른 반사각이 적어도 두개 이상 형성된 필름과, 상기 유리판재와 유리판재의 가장자리 사이에 개재되어 간격과 유리판재 사이에서 발생되 는 습기를 흡수제거하는 간격유지수단과, 상기 한쌍의 유리판재의 사이에 진공부가 형성되도록 각 유리판재와 간격유지수단을 상호 접착하는 접착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복층유리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름이 사각의 띠 형태로 이루어지고, 반사각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분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름의 서로 다른 반사각에 각각 서로 다른 각도를 갖는 미세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간격유지수단이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에 이 수용공간과 연통된 유입공이 등간격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스페이스바와, 상기 스페이스바의 수용공간에 충진되어 유리판재와 유리판재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습기를 흡수제거하는 흡수재와, 상기 각각의 스페이스바 수용공간의 자유단에 결합고정되어 스페이스바를 상호결합고정하는 모서리연결구로 구성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리판재가 판유리 또는 곡면유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복층유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복층유리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복층유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복층유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을 설명하면, 한쌍의 유리판재(10a),(10b)와;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리판재(10a),(10b)의 일표면에 접착 고정되는 접착층(12)이 이면에 도포되고, 표면에 각각 서로 다른 반사각(14),(16)이 적어도 두개 이상 형성된 필름(20)과; 상기 유리판재(10a)와 유리판재(10b)의 가장자리 사이에 개재되어 간격과 유리판재(10a),(10b) 사이에서 발생되는 습기를 흡수제거하는 간격유지수단(30)과; 상기 한쌍의 유리판재(10a),(10b)의 사이에 진공부가 형성되도록 각 유리판재(10a),(10b)와 간격유지수단(30)을 상호 접착하는 접착재(4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쌍의 유리판재(10a),(10b)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형상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특정한 형태와 형상의 유리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한쌍의 유리판재(10a),(10b)는 판유리뿐만 아니라 곡면유리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필름(20)은 사각의 띠 형태로 이루어지고, 반사각(14),(16)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분된다. 또한, 상기 필름(20)의 서로 다른 반사각(14),(16)에 각각 서로 다른 각도를 갖는 미세홈(14a).(16a)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간격유지수단(30)은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에 이 수용공간과 연통된 유입공(32)이 등간격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스페이스바(34)와, 상기 스페이스바(34)의 수용공간에 충진되어 유리판재(10a)와 유리판재(10b)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습기를 흡수제거하는 흡수재(36)와, 상기 각각의 스페이스바(34) 수용공간의 자유단에 결합고정되어 스페이스바(34)를 상호결합고정하는 모서리연결구(38)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장식용 복층유리가 상호 결합고정되는 상태 및 이에 따 른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한쌍의 유리판재(10a),(10b) 중 어느 하나의 유리판재(10a)를 작업대의 상면에 안착시킨 후 띠 형태의 필름(20)을 원하는 길이 및 형상(형태)으로 절단한 후 이 절단된 필름(20)을 상호 조합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배열하여 유리판재(10a)의 일표면에 부착시킨다. 이때, 필름(20)의 이면에 도포된 접착층(12)이 유리판재(10a)의 일표면에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유리판재(10a)의 표면에서 이 물질이나 습기 등을 제거함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필름(20)의 배열은 일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배열된 것이며, 사용자의 취향이나 작업자의 취향에 따라 각각 다른 형상과 모양을 갖도록 배열하여 필름(20)을 유리판재(10a)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필름(20)이 유리판재(10a)의 일표면에 원하는 형상으로 배열되면, 각각의 스페이스바(34) 수용공간에 흡수재(36)를 충진시킨 상태에서 모서리연결구(38)를 이용하여 각각의 스페이스바(34)를 상호결합고정시킨다. 이때, 스페이스바(34)는 모서리연결구(38)에 의하여 사각의 형상을 갖도록 결합고정된다.
모서리연결구(38)에 의하여 사각의 형상을 갖도록 스페이스바(34)가 상호결합고정되면, 이 스페이스바(34)를 필름(20)이 부착된 유리판재(10a)의 상면 가장자리에 안착시킨다. 이때, 유리판재(10a)의 일표면에 배열된 필름(20)은 스페이스바(34)의 중앙부분에 위치되며, 스페이스바(34)와 유리판재(10a)의 가장자리 부분과는 일정한 거리를 갖도록 안착됨이 바람직하다.
유리판재(10a)의 일표면에 필름(20)이 원하는 형상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스 페이스바(34)가 유리판재(10a)의 가장자리 부분과는 일정한 거리를 갖도록 유리판재(10a)의 상면에 안착되면, 다른 유리판재(10b)를 필름(20)이 부착된 유리판재(10a)의 상면에 대응되게 안착시킨다. 이때, 스페이스바(34)에 의하여 유리판재(10a)와 유리판재(10b)의 사이에는 스페이스바(34)의 높이 만큼 간격이 유지된다.
스페이스바(34)에 의하여 유리판재(10a)와 유리판재(10b)의 사이에 스페이스바(34)의 높이 만큼 간격이 유지되면, 한쌍의 유리판재(10a),(10b)의 사이에 진공부가 형성되도록 접착재도포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접착재(40)를 스페이스바(34)와 유리판재(10a),(10b) 사이로 충진한다. 이때, 충진된 접착재(40)는 일정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스페이스바(34)와 유리판재(10a),(10b) 사이에서 경화되어 스페이스바(34)와 유리판재(10a),(10b)를 상호 결합고정시킨다.
스페이스바(34)에 의하여 유리판재(10a)와 유리판재(10b)의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고, 접착재(40)에 의하여 스페이스바(34)와 한쌍의 유리판재(10a),(10b)가 상호결합고정되어 있음으로 기밀성(氣密性), 수밀성(水密性), 차음성(遮音性), 방화성(防火性) 및 단열성(斷熱性)등 이 매우 우수한 복층유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스페이스바(34)의 수용공간에 충진된 흡수재(36)가 스페이스바(34)의 상면에 형성된 유입공(32)을 통하여 유리판재(10a)와 유리판재(10b)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습기를 흡수하여 제거함으로 내부와 외부와의 온도차에 의하여 습기가 발생하여도 바로 흡수되어 제거되는 것이다.
또한, 유리판재(10a)의 일표면에 원하는 형상으로 배열된 필름(20)의 표면에 각각 서로 다른 반사각(14),(16)이 형성되고, 이 각각 다른 반사각(14),(16)에 서로 다른 각도를 갖는 미세홈(14a),(16a)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 필름(20)으로 표현된 형상 및 모양의 입체감이 그대로 재현되어 한층더 멋스러운 분위기가 연출되는 것이다.
즉, 유리판재(10a)에 부착된 필름(20)에 빛이 조사되면, 각각 서로 다른 반사각(14),(16)에 형성된 미세홈(14a),(16a)에 의하여 빛의 각도가 서로 상이하게 반사됨으로 형상 및 모양의 입체감이 그대로 표현되어 한층더 멋스러운 분위기가 연출되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모양과 무뉘를 다채롭게 표현함으로써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함과 더불어, 다변화된 장식적 심미감을 표출하도록 함으로써 장식용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필름(20)을 재단하여 배열하는 모양에 따라 상이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음으로 개개인의 다양한 욕구와 차별화된 디자인 및 세련된 감각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유리뿐만 아니라 곡면유리도 동일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복층유리는 복층유리의 기능인 기 밀성(氣密性), 수밀성(水密性), 차음성(遮音性), 방화성(防火性) 및 단열성(斷熱性) 등을 충실히 수행함은 물론 다양한 형태의 모양과 무뉘를 다채롭게 표현함으로써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함과 더불어, 다변화된 장식적 심미감을 표출하도록 함으로써 건물의 실내 또는 실외 등의 장식용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5)

  1. 한쌍의 유리판재(10a),(10b)와,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리판재(10a),(10b)의 일표면에 접착고정되는 접착층(12)이 이면에 도포되고, 표면에 각각 서로 다른 반사각(14),(16)이 적어도 두개 이상 형성된 필름(20)과,
    상기 유리판재(10a)와 유리판재(10b)의 가장자리 사이에 개재되어 간격과 유리판재(10a),(10b) 사이에서 발생되는 습기를 흡수제거하는 간격유지수단(30)과,
    상기 한쌍의 유리판재(10a),(10b)의 사이에 진공부가 형성되도록 각 유리판재(10a),(10b)와 간격유지수단(30)을 상호 접착하는 접착재(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복층유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20)이 사각의 띠 형태로 이루어지고, 반사각(14),(16)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복층유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20)의 서로 다른 반사각(14),(16)에 각각 서로 다른 각도를 갖는 미세홈(14a),(16a)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복층유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수단(30)은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에 이 수용공간과 연통된 유입공(32)이 등간격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스페이스바(34)와,
    상기 스페이스바(34)의 수용공간에 충진되어 유리판재(10a)와 유리판재(10b)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습기를 흡수제거하는 흡수재(36)와,
    상기 각각의 스페이스바(34) 수용공간의 자유단에 결합고정되어 스페이스바(34)를 상호결합고정하는 모서리연결구(3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복층유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판재(10a),(10b)가 판유리 또는 곡면유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복층유리.
KR1020050072413A 2005-08-08 2005-08-08 장식용 복층유리 KR100647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413A KR100647241B1 (ko) 2005-08-08 2005-08-08 장식용 복층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413A KR100647241B1 (ko) 2005-08-08 2005-08-08 장식용 복층유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2912U Division KR200402893Y1 (ko) 2005-08-08 2005-08-08 장식용 복층유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7241B1 true KR100647241B1 (ko) 2006-11-23

Family

ID=37712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2413A KR100647241B1 (ko) 2005-08-08 2005-08-08 장식용 복층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72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374B1 (ko) * 2007-12-03 2009-12-30 김희정 장식직물이 장착된 유리판의 제조방법
KR101210446B1 (ko) * 2010-08-18 2012-12-10 주식회사 씨쓰리 장식무늬판 및 조형물이 구비된 복층유리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6130A (ko) * 1981-06-15 1983-09-17 린치슝 복층열선 반사 안전유리
JPS59156944A (ja) * 1983-02-24 1984-09-06 Natl House Ind Co Ltd ペアガラス用のスペ−サ−の製造方法
KR940000392A (ko) * 1992-06-29 1994-01-03 치흐시융 린 고열차단, 고휘도 및 단방향 반사성을 가지는 열선 반사유리 구조
KR940008425Y1 (ko) * 1992-04-04 1994-12-19 이화주 장식 무늬가 형성된 칸막이의 유리
KR960031368A (ko) * 1995-02-09 1996-09-17 사카구치 노부오 다층유리
KR19990067379A (ko) * 1995-12-28 1999-08-16 마쯔무라 미노루 복층유리
KR20020086138A (ko) * 2001-05-11 2002-11-18 김석종 이중 유리 충격 흡수 및 간격 유지용 지지체
WO2004016563A1 (ja) * 2002-08-12 2004-02-26 Nippon Sheet Glass Co., Ltd. ガラスパネル及びガラスパネル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6130A (ko) * 1981-06-15 1983-09-17 린치슝 복층열선 반사 안전유리
JPS59156944A (ja) * 1983-02-24 1984-09-06 Natl House Ind Co Ltd ペアガラス用のスペ−サ−の製造方法
KR940008425Y1 (ko) * 1992-04-04 1994-12-19 이화주 장식 무늬가 형성된 칸막이의 유리
KR940000392A (ko) * 1992-06-29 1994-01-03 치흐시융 린 고열차단, 고휘도 및 단방향 반사성을 가지는 열선 반사유리 구조
KR960031368A (ko) * 1995-02-09 1996-09-17 사카구치 노부오 다층유리
KR19990067379A (ko) * 1995-12-28 1999-08-16 마쯔무라 미노루 복층유리
KR20020086138A (ko) * 2001-05-11 2002-11-18 김석종 이중 유리 충격 흡수 및 간격 유지용 지지체
WO2004016563A1 (ja) * 2002-08-12 2004-02-26 Nippon Sheet Glass Co., Ltd. ガラスパネル及びガラスパネル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374B1 (ko) * 2007-12-03 2009-12-30 김희정 장식직물이 장착된 유리판의 제조방법
KR101210446B1 (ko) * 2010-08-18 2012-12-10 주식회사 씨쓰리 장식무늬판 및 조형물이 구비된 복층유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7241B1 (ko) 장식용 복층유리
KR200402893Y1 (ko) 장식용 복층유리
US20080230308A1 (en) Decorative acoustic absorber forming a wall element
KR20200105343A (ko) 장식용 복층유리
CN204020372U (zh) 一种两侧表面具有对称立体浮雕图形的平面玻璃
EP1419207A4 (en) ADHESIVE PREIMPREGN PLATES FOR SANDWICH PANELS
KR101210446B1 (ko) 장식무늬판 및 조형물이 구비된 복층유리
KR200402892Y1 (ko) 장식용 유리
JP6289895B2 (ja) 窓ガラス等に貼着して使用する表示部材
KR101163541B1 (ko) 다양한 소재의 장식물 배치가 자유로운 장식 복층유리
KR100829520B1 (ko) 장식재, 이를 포함하는 장식 패널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2003120140A (ja) 窓ガラス用断熱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ITMO20010080A1 (it) Realizzazione di piastrelle contenenti decoro costituito da elementi organici ed inorganici cristallizzati
KR20110004248U (ko) 실내 마감재
CN208594665U (zh) 一种gmp洁净车间专用自洁净轻质高强度吊顶板
CN217052109U (zh) 一种具有防水功能的印花装饰纸
KR200305210Y1 (ko) 가구 부착용 숯 판넬
KR200383214Y1 (ko) 벽 장식 기구
JPS6212584Y2 (ko)
CN209443698U (zh) 防火板复合铝蜂窝板的拼接安装结构
KR200423774Y1 (ko) 탈부착용 벽면 장식 패널 구조
KR100896420B1 (ko) 내부에 조형물이 설치된 교체형 장식틀을 가지는 격리문
KR200316367Y1 (ko) 목재후레임과 투명판이 결합된 도로 소음방지용 투명방음판
KR200248130Y1 (ko) 실내 장식용 패널구조
KR200293289Y1 (ko) 족자형 기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