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8130Y1 - 실내 장식용 패널구조 - Google Patents

실내 장식용 패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8130Y1
KR200248130Y1 KR2020010019085U KR20010019085U KR200248130Y1 KR 200248130 Y1 KR200248130 Y1 KR 200248130Y1 KR 2020010019085 U KR2020010019085 U KR 2020010019085U KR 20010019085 U KR20010019085 U KR 20010019085U KR 200248130 Y1 KR200248130 Y1 KR 2002481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interior
present
interior decoration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90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흥호
Original Assignee
신흥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흥호 filed Critical 신흥호
Priority to KR20200100190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81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81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8130Y1/ko

Links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 장식을 위한 패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고안은, 사각의 테두리를 이루는 철재 후면에는 디스플레이의 사각공간부를 갖는 합판을 결합 고정하고 전면에는 투명재질의 유리를 결합하는 한편 그 내부 공간에는 다수개의 기와를 소정길이로 절단한 후 적층시킨 패널을 구성하므로서, 패널을 실내장식을 위해 벽면 등에 고정할 때 기와의 적층으로 부터 표현되는 나선 모양으로 부터 심미(審美)감과 함께 입체감을 제공할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합판의 사각공간부에 별도의 그림이나 문자 등을 넣어 기와의 적층구조와 함께 그 장식효과를 극대화할수 있도록 하는 실내 장식용 패널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실내 장식용 패널구조{Structure for panel decoration the interior of a room}
본 고안은 실내 장식을 위한 패널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각의 테두리를 이루는 철재 후면에는 합판을 결합 고정하고 전면에는 투명재질의 유리를 결합한 후 그 내부의 공간에는 다수개의 기와를 소정길이로 절단한 후 적층시키도록 하여 이를 실내장식을 위해 벽면 등에 고정할 때 기와의 적층으로 부터 표현되는 나선 모양으로 부터 심미(審美)감과 함께 입체감을 제공하는 등 그 장식효과를 극대화할수 있도록 하는 실내 장식용 패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내의 벽면 등에 장식되는 패널들은 액자 형태를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액자의 내부에는 산수화나 풍경화 또는 인물화 등을 넣어 두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패널은 규격화된 패널내에 그림을 넣어두는 형태로서, 그 장식 효과는 그림으로 표현된 평면 구조로 인해 심미감을 제공하지 못하였을뿐만 아니라, 그림의 구입에 따른 비용이 상당히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종래에는 액자패널 속의 그림을 비용이 적게 소요되는 것으로 대체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으며, 이로인하여 오히려 실내 장식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각의 테두리를 이루는 철재 후면에는 디스플레이의 사각공간부를 갖는 합판을 결합 고정하고 전면에는 투명재질의 유리를 결합하는 한편 그 내부 공간에는 다수개의 기와를 소정길이로 절단한 후 적층시킨 패널을 구성하므로서, 패널을 실내장식을 위해 벽면 등에 고정할 때 기와의 적층으로 부터 표현되는 나선 모양으로 부터 심미(審美)감과 함께 입체감을 제공할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합판의 사각공간부에 별도의 그림이나 문자 등을 넣어 기와의 적층구조와 함께 그 장식효과를 극대화할수 있도록 하는 실내 장식용 패널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실내 장식용 패널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실내 장식용 패널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실내 장식용 패널의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실내 장식용 패널에 포함된 기와부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실내 장식용 패널에 포함된 기와부재의 적층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로 실내 장식용 패널에 포함된 기와부재의 적층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실시예로 실내 장식용 패널에 포함된 기와부재의 적층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실시예로 실내 장식용 패널에 포함된 기와부재의 적층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로 복수개의 실내 장식용 패널이 서로 겹쳐지도록 한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테두리패널 11; 안착면
20; 후면패널 21; 칸막이
30; 유리 40,40a,40b,40c; 기와
A ; 사각공간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실내 장식용 패널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실내 장식용 패널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3은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도 2의 A-A' 단면도 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실내 장식용 패널의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실내 장식용 패널에 포함된 기와부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실내 장식용 패널에 포함된 기와부재의 적층상태도 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철재로서 전면의 내측으로 안착면(11)을 단차지게 형성한 사각의 테두리패널(10)을 구성하고,
상기 테두리패널(10)의 후면에는 중앙부위에 그림이나 문자등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칸막이(21)로 하여금 사각의 공간부(A)를 형성시킨 합판재질의 후면패널(20)을 접착 고정하며,
상기 테두리패널(10)의 전면에는 안착면(11)으로 안착되는 투명재질의 유리(30)를 접착 고정하고,
상기 후면패널(20)과 유리(30)의 접착 고정으로 부터 형성된 테두리패널(10)의 내부 공간에는 나선모양으로 심미감과 입체감을 제공하도록 소정길이로 절단된 다수개의 기와(40)를 적층시킨 구조를 이루고 있다.
여기서, 상기 테두리패널(10)의 전면과 후면으로 후면패널(20)과 유리(30)를 접착 고정하는 재료는 접착제 등을 사용하였다.
더불어, 테두리패널(10)과 후면패널(20) 및 유리(30)의 접착 고정으로 부터 형성된 실내장식용 패널은 합판재질로 이루어진 후면패널(20)의 외부면에 접착제 등을 도포시켜 벽면으로의 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였을뿐만 아니라, 벽면에 거치 방식으로 장식할수도 있도록 하였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후면패널(20)에 별도의 걸림부를 두므로서 벽면 등에 그 걸림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철재로서 전면의 내측으로 안착면(11)을 단차지게 형성한 사각의 테두리패널(10)을 구성한다.
이후, 상기 테두리패널(10)의 후면에는 중앙부위에 그림이나 문자등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칸막이(21)로 하여금 사각의 공간부(A)를 형성시킨 합판재질의 후면패널(20)을 접착제 등으로 접착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후면패널(20)로 부터 후면이 밀폐된 테두리패널(10)의 내부 공간에 도 5에서와 같이 기와(40)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후 적층시킨다.
더불어, 상기 후면팬러(20)의 사각공간부(A)에는 그림이나 문자 등을 삽입하여 둔 후, 상기 테두리패널(10)의 전면에 유리(30)를 접착 고정한다.
즉, 상기 테두리패널(10)의 전면 내측에는 단차진 형태의 안착면(11)이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안착면(11)에 접착제 등을 도포시킨 후 그 위로 유리(30)의 가장자리부위를 밀착시키면, 상기 유리(30)는 테두리패널(10)의 전면에 접착된 후 견고한 결합상태를 이루면서 실내 장식용 패널이 완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실내 장식용 패널을 벽면 등에 접착제로 고정하거나 또는 거치시키는 경우, 상기 투명재질의 유리(30)를 통해 비춰지는 기와(40)의 적층으로 부터 표현된 나선 모양으로 그 심미감이 입체적으로 표현될수 있음은 물론, 상기 후면패널(20)의 사각공간부(A)에 삽입된 그림 또는 문자 등과 더불어 그 장식효과를 극대화시킬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로, 이는 서로 다른 모양을 갖는 기와(40a)(40b)(40c)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후 이를 테두리패널(10)의 내부 공간에 적층시키므로서, 실내 장식용 패널의 장식효과를 보다 다양하게 구현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실내장식용 패널을 이루는 테두리패널(10)은 물론, 후면패널(20)과 유리(30)의 크기(가로×세로)는 가변적이며, 이는 용도에 따라 그 크기를 달리할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그 크기를 크게 하여 하나의 벽면을 모두 덮도록 할수도 있지만, 본 고안의 또 다른실시예인 도 10에서와 같이, 실내 장식용 패널을 도어로서 사용할수도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0에서와 같이, 기와(40)를 적층시킨 복수개의 실내장식용 패널에 있어 합판재질을 이루는 후면패널(20)을 서로 밀착하여 접착 고정한 후 테두리패널(10)의 일측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경첩등을 결합시킨다.
이후, 상기 경첩을 통해 건물의 입출구에 소정의 크기로 설계된 실내장식용 패널을 설치하면, 복수개가 서로 접착 고정된 패널의 양면으로 다수개의 기와(40)가 적층된 구조를 유리(30)를 통해 볼수 있게 되는 바,
상기 실내 장식용 패널은 도어의 기능을 수행할수 있음은 물론, 종래 도어가 갖고 있는 단순구조의 단점을 개선하면서 사람들로 하여금 보다 창의적인 입체감을 제공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사각의 테두리를 이루는 철재 후면에는 디스플레이의 사각공간부를 갖는 합판을 결합 고정하고 전면에는 투명재질의 유리를 결합하는 한편 그 내부 공간에는 다수개의 기와를 소정길이로 절단한 후 적층시킨 패널을 구성하므로서, 패널을 실내장식을 위해 벽면 등에 고정할 때 기와의 적층으로 부터 표현되는 나선 모양으로 부터 심미(審美)감과 함께 입체감을 제공할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합판의 사각공간부에 별도의 그림이나 문자 등을 넣어 기와의 적층구조와 함께 그 장식효과를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1)

  1. 철재로서 전면의 내측으로 안착면을 단차지게 형성한 사각의 테두리패널을 구성하고,
    상기 테두리패널의 후면에는 중앙부위에 그림이나 문자등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칸막이로 하여금 사각의 공간부를 형성시킨 합판재질의 후면패널을 접착 고정하며,
    상기 테두리패널의 전면에는 안착면으로 안착되는 투명재질의 유리를 접착 고정하고,
    상기 후면패널과 유리의 접착 고정으로 부터 형성된 테두리패널의 내부 공간에는 나선모양으로 심미감과 입체감을 제공하도록 소정길이로 절단된 다수개의 기와를 적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장식용 패널구조.
KR2020010019085U 2001-06-25 2001-06-25 실내 장식용 패널구조 KR2002481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085U KR200248130Y1 (ko) 2001-06-25 2001-06-25 실내 장식용 패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085U KR200248130Y1 (ko) 2001-06-25 2001-06-25 실내 장식용 패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8130Y1 true KR200248130Y1 (ko) 2001-10-17

Family

ID=73054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085U KR200248130Y1 (ko) 2001-06-25 2001-06-25 실내 장식용 패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81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903B1 (ko) 2008-01-02 2008-04-16 (주)원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벽체의 조립식 기와장식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903B1 (ko) 2008-01-02 2008-04-16 (주)원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벽체의 조립식 기와장식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00037S1 (en) Bezel-less flat panel display
US3736684A (en) Custom framing system
USD446973S1 (en) Desk
KR200248130Y1 (ko) 실내 장식용 패널구조
US5794372A (en) Picture frame molding
USD569994S1 (en) Window shutter panel
KR101518198B1 (ko) 다방향 벽시계 제조방법 및 다방향 벽시계
WO2003026904A3 (en) Changing appearance glass tile
USD489139S1 (en) Front panel for a facing construction
KR200312541Y1 (ko) 투명 조립식 시계겸용 액자
USD528823S1 (en) Dresser
CN216076866U (zh) 一种带有薄板的门板结构
JP3130329U (ja) 屏風式の連立額縁
USD603060S1 (en) Architectural panel with leaves design
JP3805615B2 (ja) 陶磁器製壁掛
JP2007021005A (ja) 額縁
KR200423774Y1 (ko) 탈부착용 벽면 장식 패널 구조
KR200318355Y1 (ko) 액자의 장식 매트
USD529312S1 (en) Wallpaper display panel
KR200334882Y1 (ko) 종이액자
KR200261067Y1 (ko) 책상용 책장의 개량구조
JP2889165B2 (ja) 写真用パネル
WO2001005282A1 (en) Device for framing an article
JP3105263U (ja) 額縁用の棹
USD490255S1 (en) Cabinet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