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541Y1 - 투명 조립식 시계겸용 액자 - Google Patents

투명 조립식 시계겸용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2541Y1
KR200312541Y1 KR20-2002-0038971U KR20020038971U KR200312541Y1 KR 200312541 Y1 KR200312541 Y1 KR 200312541Y1 KR 20020038971 U KR20020038971 U KR 20020038971U KR 200312541 Y1 KR200312541 Y1 KR 2003125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atch
picture
transparent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89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준상
Original Assignee
강준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준상 filed Critical 강준상
Priority to KR20-2002-00389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25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25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2541Y1/ko
Priority to PCT/KR2003/002910 priority patent/WO2004058012A1/en
Priority to CNB2003801087017A priority patent/CN100463626C/zh
Priority to AU2003288779A priority patent/AU2003288779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28Adjustable guide marks or pointers for indicating determined points of time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08Hermetic sealing of openings, joints, passages or slits
    • G04B37/084Complete encasings for wrist or pocket watches without means for hermetic sealing of winding stem or crown
    • G04B37/085Complete encasings for wrist or pocket watches without means for hermetic sealing of winding stem or crown without special hermetic sealing piec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9/00Watch crystals; Fastening or sealing of crystals; Clock glasses
    • G04B39/02Sealing crystals or glasses
    • G04B39/025Sealing crystals or glasses without special sealing par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5/00Time pieces of which the indicating means or cases provoke special effects, e.g. aesthetic effects
    • G04B45/0084Pictures or inscriptions on the case or parts thereof, attaching complete pi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상의 시계에 액자의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시간을 알아볼 수 있는 시계의 기능과 더불어 액자의 전시 및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직접 액자 내의 사진을 부착 및 교체할 수 있는 투명 조립식 시계겸용 액자에 관한 것으로써, 본 고안에 따라서, 시계(30)가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며 전면에는 사진(40)을 부착시킬 수 있는 틀체(10, 50)와; 숫자가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틀체(10, 50)의 전방에 부착되는 투명판(20, 6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조립식 시계겸용 액자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투명 조립식 시계겸용 액자{Transparent picture frame combined clock}
본 고안은 통상의 시계에 액자의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시계만으로도 사용이 가능하고 액자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어 시간을 알아볼 수 있는 시계의 기능과 더불어 액자의 전시 및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한 조립식 시계겸용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직접 액자 내의 사진을 부착 및 교체할 수 있는 투명 조립식 시계겸용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면에 걸거나 책상이나 장식장 등에 세워놓을 수 있도록 만들어지는 액자는 다양한 종류가 공지되어 있으며, 시계 역시 벽에 걸 수 있는 벽시계를 비롯하여 보다 소형인 탁상시계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시계가 공지되어 제작, 판매되고 있다.
액자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장식성과 시계에 의해 얻을 수 있는 기능성의 2가지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가정이나 사무실 등 실내에는 통상 한 개 이상씩의 시계와 액자가 벽면이나 책상 위에 놓여 있으며, 그로 인해 오히려 실내환경이 어수선해지고 복잡한 인상을 주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시계와 액자가 일체로 결합된 제품이 시판되고는 있으나, 이러한 제품은 단순히 시계와 액자를 좌우 또는 위아래의 병렬구조로 결합한 것으로써, 부피가 크고 서로 조화를 이루지 못해 시계의 기능성만이 강조되거나 액자의 장식성만이 강조된다는 단점을 가지는 것이었다. 즉, 시계의 기능성만이 강조되는 경우에는, 액자의 사진을 마음대로 바꿀 수 없거나 작은 크기의 사진밖에는 수용할 수 없거나 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액자의 장식성만이 강조되는 경우에는, 시계의 위치가 한쪽 구석에 위치되거나 크기가 작아 시간을 알아보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시계바늘이나 숫자판 등에 의해서 뒤쪽에 위치되는 사진이나 그림이 가려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본 고안의 목적은, 시계의 기능성과 액자의 장식성을 함께 충족시킬 수 있어, 실용적인 동시에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시계겸용 액자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며, 아울러 사용자가 시계 내의 사진 혹은 그림을 임의로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조립식 시계겸용 액자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투명소재 혹은 연한 칼라의 소재에 의해 숫자와 시계바늘을 구성함으로써 삽입된 사진 혹은 그림을 가리지 않도록 한 투명 조립식 시계겸용 액자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투명 조립식 시계겸용 액자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투명 조립식 시계겸용 액자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투명 조립식 시계겸용 액자의 주요부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투명 조립식 시계겸용 액자에 있어서 시계의 결합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변경 실시예에 따른 투명 조립식 시계겸용 액자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투명 조립식 시계겸용 액자의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여, 시계가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며 전면에는 사진을 부착시킬 수 있는 틀체와; 숫자가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틀체의 전방에 부착되는 투명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조립식 시계겸용 액자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틀체의 전면에는 사진을 끼워 넣을 수 있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틀체의 각각의 모서리에는 상기 투명판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명판의 후방면에는 상기 틀체의 결합구멍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탄성 돌출편이 결합구멍과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혹은, 상기 투명판과의 결합을 위해서 상기 틀체의 각각의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멍은 틀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틀체의 배면에는 결합구멍으로부터뻗어 있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명판의 후방면에는 상기 틀체의 결합구멍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삽입부재가 결합구멍과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결합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틀체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힌지에 의해 절첩되며, 이 절첩되는 부분은 틀체 배면의 오목부 내에 삽입되어 매끈하게 마무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틀체의 배면에는 상하 2군데에 벽에 걸 때 사용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투명판의 전방면에는 숫자가 양각 혹은 음각되어 있으며, 상기 시계를 상기 틀체에 결합시키는 너트는 단면이 T자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파지하기 용이한 동시에 시계바늘들과 상기 너트가 투명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명판의 테두리에는 액자틀 형상의 프레임 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사진의 배면에 부착되어 상기 틀체의 가이드 홈에 함께 삽입될 수 있는 보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투명 조립식 시계겸용 액자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계겸용 액자(1)는, 시계(30)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며 전면에는 사진(40)을 끼워 넣을 수 있는 가이드홈(11)이 형성되어 있는 틀체(10)와, 숫자가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틀체(10)의 전방에 부착되는 투명판(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투명판(20)의 테두리에는 액자틀 형상의 프레임 부재(22)가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어도 좋다. 상기 프레임 부재(22)는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반드시 투명 소재로 이루어질 필요도 없다. 상기 프레임 부재(22)는 사용자가 임의로 착탈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기만 하면 되고, 형상, 색깔, 착탈방식 등은 공지된 어떠한 것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틀체의 가이드홈(11)은 상기 틀체(10)의 좌우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뻗어 있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상하방향뿐만 아니라 좌우방향으로 뻗어 있도록 이루어져도 좋다. 상기 틀체(10)의 각 모서리에는 상기 투명판(2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투명판(20)의 전방면에는 숫자가 양각 혹은 음각되어 있으며, 후방면에는 상기 틀체의 결합구멍(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탄성 돌출편(21)이 결합구멍과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투명판(20)은 통상의 액자와 같이 테두리가 형성된 것이어도 좋고, 경우에 따라서 전체 혹은 테두리부가 연한 색깔을 띠도록 만들어져도 좋다.
본 고안의 투명 조립식 시계겸용 액자(1)는 시계(30)와 틀체(1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될 수 있다. 즉, 시계바늘을 초침(31), 분침(32), 시침(33)의 순서대로 시계축(35)으로부터 분리해 낸 다음, 너트(34)와 시계축(35) 사이의 나사결합을 풀어 시계 본체(36)를 틀체(10)로부터 분리해 낸다.
여기에서, 상기 시계바늘들(31, 32, 33)과 너트(34)는 투명판과 마찬가지로 투명소재로 이루어지거나, 연한 색깔을 띠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계바늘들을 투명소재로 제작하더라도 각각의 시계바늘은 두께가 어느 정도 있기 때문에 빛의 굴절에 의해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너트(34)는 통상 시계에 사용되는 링 형상이어도 좋지만, 조립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T자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너트(34)는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된 파이프형상의 몸체(34a)에 링 혹은 다각형의 돌출부(34b)가 일측 끝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시계(30)를 틀체(10)로부터 분리해 낸 다음, 사용자는 틀체의 가이드홈(11)을 따라서 사진 혹은 그림(40)을 삽입시킨다. 계속해서, 사진 혹은 그림(40)에 틀체(10) 중앙의 관통구멍(13)과 동일한 위치 및 크기를 가지는 구멍(41)을 천공시킨 후 시계를 상기의 역순으로 틀체(10)에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원하는 사진이 부착된 틀체(10)에 투명판(20)을 조립함으로써 투명 조립식 시계겸용 액자가 완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사진 혹은 그림(40)은 그 자체로만 상기 틀체(10)의 가이드홈(11)에 삽입되어도 좋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 혹은 그림(40)의 배면에 스티커나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보드 부재(42)가 부착된 후, 함께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도 좋다. 상기 보드 부재(42)는 큰 사진의 경우 사진이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사진의 크기가 작아 가이드 홈(11)에 삽입 고정될 수 없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사진을 교체하고 싶을 경우, 상기 수순에 따라시계를 분리한 후 틀체에 삽입된 사진을 제거한 다음 새로운 사진을 삽입시키고 시계를 재조립하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사진을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변경 실시예에 따른 투명 조립식 시계겸용 액자(2)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본 고안의 변경 실시예에 따른 시계겸용 액자(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시계겸용 액자(1)와 마찬가지로, 시계(30)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며 전면에는 사진(40)을 끼워 넣을 수 있는 가이드홈(51)이 형성되어 있는 틀체(50)와, 숫자가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틀체(50)의 전방에 부착되는 투명판(60)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본 실시예의 시계겸용 액자(2)는, 틀체(50)와 투명판(60)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차이점을 가진다. 즉, 상기 투명판(60)과의 결합을 위해서 상기 틀체(50)의 각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멍(52)은 틀체(50)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틀체(50)의 배면에는 결합구멍(52)으로부터 뻗어 있는 오목부(52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투명판(60)의 후방면에는 상기 틀체의 결합구멍(5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삽입부재(61)가 결합구멍과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재(61)는 상기 결합구멍(52)을 관통하여 틀체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힌지(61a)에 의해 절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절첩되는 부분은 틀체 배면의 오목부(52a) 내에 삽입되어 매끈하게 마무리된다. 결국, 삽입부재(61)를 결합구멍(52) 내로 관통 삽입시킨 후 돌출되는 부분을 접음으로써 투명판(60)은 틀체(50)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며, 삽입부재(61)를 펴면 투명판(60)은 틀체(50)로부터 간단하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틀체(50)의 배면에는 상하 2군데에 지지부재(70a, 70b)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구멍(54a, 54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70a, 70b)에는 벽에 걸 때 사용할 수 있는 구멍(71a, 7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아래쪽의 지지부재(70b)는 벽에 걸 때 이외에도 책상이나 탁자 위에 얹어놓을 때 쓰러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추가적으로 수행한다.
상기 지지부재(70a, 70b)는 본 변형 실시예의 시계겸용 액자(2)에서뿐만 아니라 도 1에 도시된 시계겸용 액자(1)에 있어서도 적용될 수 있다. 그밖에도, 벽에 걸거나 책상에 얹어놓기 위한 구조로는 이미 공지된 어떠한 방법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시계와 액자를 결합함에 있어서 시계의 중앙에 원하는 그림이나 사진을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계의 기능성과 액자의 장식성을 함께 충족시킬 수 있어, 실용적인 동시에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조립식 시계겸용 액자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시계겸용 액자는 사용자가 직접 분해하여 사진을 자유롭게 삽입시킨 후 재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계겸용 액자 내의 사진 혹은 그림을 사용자가 임의로 교체할 수 있는 조립식 시계겸용 액자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투명판을 비롯하여 투명소재 혹은 연한 칼라의 소재에 의해 숫자와 시계바늘을 구성함으로써 삽입된 사진 혹은 그림을 최대한 가리지 않도록 한 투명 조립식 시계겸용 액자가 제공될 수 있다.

Claims (6)

  1. 시계(30)가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며 전면에는 사진(40)을 부착시킬 수 있는 틀체(10, 50)와;
    숫자가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틀체(10, 50)의 전방에 부착되는 투명판(20, 6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조립식 시계겸용 액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10)의 전면에는 사진(40)을 끼워 넣을 수 있는 가이드홈(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틀체(10)의 각각의 모서리에는 상기 투명판(2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구멍(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명판(20)의 후방면에는 상기 틀체의 결합구멍(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탄성 돌출편(21)이 결합구멍과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조립식 시계겸용 액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50)의 전면에는 사진(40)을 끼워 넣을 수 있는 가이드홈(5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명판(60)과의 결합을 위해서 상기 틀체(50)의 각각의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멍(52)은 틀체(50)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틀체(50)의 배면에는 결합구멍(52)으로부터 뻗어 있는 오목부(5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명판(60)의 후방면에는 상기 틀체의 결합구멍(5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삽입부재(61)가 결합구멍과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시계겸용 액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61)는 상기 결합구멍(52)을 관통하여 상기 틀체(5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힌지(61a)에 의해 절첩되며, 이 절첩되는 부분은 틀체 배면의 오목부(52a) 내에 삽입되어 매끈하게 마무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조립식 시계겸용 액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10, 50)의 배면에는 상하 2군데에 벽에 걸 때 사용할 수 있는 구멍(71a, 71b)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재(70a, 70b)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구멍(54a, 54b)이 형성되며,
    상기 투명판(20, 60)의 전방면에는 숫자가 양각 혹은 음각되어 있으며,
    상기 시계(30)를 상기 틀체(10, 50)에 결합시키는 너트(34)는 단면이 T자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파지하기 용이한 동시에 시계바늘들(31, 32, 33)과 상기 너트(34)가 투명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조립식 시계겸용 액자.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20, 60)의 테두리에는 액자틀 형상의 프레임 부재(22)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사진(40)의 배면에 부착되어 상기 틀체(10, 50)의 가이드 홈(11, 51)에 함께 삽입될 수 있는 보드 부재(4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조립식 시계겸용 액자.
KR20-2002-0038971U 2002-12-30 2002-12-30 투명 조립식 시계겸용 액자 KR2003125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971U KR200312541Y1 (ko) 2002-12-30 2002-12-30 투명 조립식 시계겸용 액자
PCT/KR2003/002910 WO2004058012A1 (en) 2002-12-30 2003-12-30 Watch combined picture frame
CNB2003801087017A CN100463626C (zh) 2002-12-30 2003-12-30 具有钟表功能的透明组合式相框
AU2003288779A AU2003288779A1 (en) 2002-12-30 2003-12-30 Watch combined picture fr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971U KR200312541Y1 (ko) 2002-12-30 2002-12-30 투명 조립식 시계겸용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2541Y1 true KR200312541Y1 (ko) 2003-05-13

Family

ID=34374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8971U KR200312541Y1 (ko) 2002-12-30 2002-12-30 투명 조립식 시계겸용 액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0312541Y1 (ko)
CN (1) CN100463626C (ko)
AU (1) AU2003288779A1 (ko)
WO (1) WO20040580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6367A (ko) 2021-09-29 2023-04-06 주식회사 제이오통상 시계 기능을 갖는 장식용 액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TO20100848A1 (it) * 2010-10-20 2012-04-20 Guido Paolo Leban Portafoto portacalendario fermacarte con orologio a lancette
CN104013257A (zh) * 2013-02-28 2014-09-03 四川汇源信息技术有限公司 简易的天线型壁画框架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2016A (en) * 1990-05-23 1991-06-04 Smith Deborah A Display clock
US5216642A (en) * 1991-07-01 1993-06-01 Rikkers Henry D Sports collectors clock
CN2104774U (zh) * 1991-08-22 1992-05-20 刘兆湖 多功能装饰镜框
CN2214777Y (zh) * 1994-08-24 1995-12-13 梁建强 一种相框
CN2200368Y (zh) * 1994-09-12 1995-06-14 常家正 方便相框
US5557586A (en) * 1995-01-06 1996-09-17 Mccuan; Velvet J. Unitary clock and picture frame
USD461721S1 (en) * 1997-10-29 2002-08-20 Dewey M. Ewing Clo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6367A (ko) 2021-09-29 2023-04-06 주식회사 제이오통상 시계 기능을 갖는 장식용 액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58012A1 (en) 2004-07-15
AU2003288779A1 (en) 2004-07-22
CN100463626C (zh) 2009-02-25
CN1738565A (zh) 2006-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07975S1 (en) Combined watch and bracelet
CA104095S (en) Mop
USD495258S1 (en) Wrist watch
USD526816S1 (en) Cabinet
KR200312541Y1 (ko) 투명 조립식 시계겸용 액자
USD502624S1 (en) Wall display for watches
USD478997S1 (en) Accupressure foot massager
AU2021106607A4 (en) An Expandable Display Frame
US20050102875A1 (en) Display frame with side edge engagement members
USD514364S1 (en) Slat of blind
USD500450S1 (en) Watchcase
USD446846S1 (en) Washbasin and furniture stand
KR200360921Y1 (ko) 액자형 벽걸이 시계
KR200206228Y1 (ko) 장식무늬의 교체가 자유로운 문짝
KR100452929B1 (ko) 액자 및 탈, 부착이 가능한 액자 프레임
KR200472911Y1 (ko) 서랍
KR200188498Y1 (ko) 장식용 사진틀 액자
KR200188694Y1 (ko) 조립식 액자
GB2353470A (en) Display device with removable fascia
USD569155S1 (en) Display for watches
KR200248130Y1 (ko) 실내 장식용 패널구조
USD500682S1 (en) Watch case
KR200412654Y1 (ko) 이중 액자
USD527653S1 (en) Watch case with bracelet
US20130216735A1 (en) Interchangeable decor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